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2인 구조자 심폐소생술에서 인공호흡 횟수를 세는 것이 가슴압박 중단시간과 가슴압박분율에 미치는 영향: 마네킹 선행 연구
여현철,이현정,나지웅,신동혁,한상국,최필조,이정훈,서준석 대한응급의학회 2015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6 No.6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 of counting numbers out for giving breaths on the interruption time (IT) of chest compressions (CCs) and chest compression fraction (CCF) in the 2-rescu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Thirty medical students were enrolled in this randomized control simulation study,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y group. Both groups performed 2-rescuer CPR for 5-cycles with giving breaths using a bag-mask. Only participants in the study group were instructed to count numbers out for each breath verbally (“one, two”) at the end point of each inspiration period and immediately perform CCs at the point of counting “two”. Results: However, no differences in terms of depth, rate, incorrect location, and duty cycle of CCs, as well as ventilation volume of each breath, time to delivery of two breaths, and counts of breathing during 1 minute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study group had significantly shorter IT and higher CCF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measured parameters of CPR qua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방송의 유명인 자살보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조성민씨 사례를 중심으로
여현철,이창호 한국소통학회 2013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자살의 원인은 개인적 요인, 사회구조적 요인, 환경적 요인, 미디어요인 등 다양하다. 특히 TV, 신문,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 등 정보미디어환경 변화로 인해 유명 연예인 등 공인의 자살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일반인의 자살 의도에 영향을 미칠 개연성도 커지고 있다. 가령, 언론의 대대적인 유명인 자살 보도가 일반인의 모방자살을 최대 14.3배나 높일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최근 수년간 발생한 유명인의 자살은 일반인들에게 모방 자살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논란거리이며, 모방자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와 관련해 자살보도를 자제하자는 권고 기준이 있으나 제대로 준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초 스스로 목숨을 끊은 조성민의 자살 보도와 관련해 지상파 3사(KBS, MBC, SBS)의 영상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살보도의 연성화경향, 자살방법의 구 체적 소개, 자살보도로 인한 사생활침해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살보도 방 식의 개선방안으로 알권리 차원에서 최소한의 단순정보 소개, 자살예방정보 등 공익적이고 긍정적 정보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방송사 및 언론사의 자살보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으며, 여러 심의기관 등에서는 향후 자살 보도 및 프로그램 심의 실 무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통일교육 평가기준에 따른 시대적 통찰과 통일교육 방향 모색
여현철,조철호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4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previous unification education with the three main criteria (universality, inclusiveness, and spontaneous). This paper evaluates the present unification education and seeks the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ain future tasks by applying the aforementioned three criteria. First,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rational contents which are based on democratic value. The political and legal institution is required not to be affected by the specific political faction. Second, in terms of inclusiveness, the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embrace various agencies as much as possible. It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the actual integration capacity by providing profound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unification. Third, voluntarism refers to interactiv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cluding various discussion, fieldwork.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new era should follow this policy direction rather than the previous teacher-centered education. To fulfill this goal, governance between private and the government is required rather than the previous government leading education.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주요 평가기준을 가지고 과거 통일교육 흐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고 현재 통일교육을 진단・평가한 후 미래 통일교육의 대안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통일교육 평가의 주요 기준을 통일교육의 보편성, 포괄성, 자발성으로 설정하였다. 통일교육의 주요 평가기준을 통해 본 향후의 통일교육의 방향 및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교육의 보편성과 관련하여 통일교육은 민주적 가치에 부합하는 합리적 내용을 확보하여야 하며, 정치적 이해관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치적・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의 포괄성과 관련하여 통일교육은 통일 관련 국내외적인 관심 제고 및 교육대상의 확보를 위해 최대한 수용하여야 하며, 통일에 대한 풍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통일 이후 실질적 통합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을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의 자발성과 관련하여 통일교육의 교육방식은 일방형 공급자 중심의 주입식 교육보다는 토론, 체험학습, 참여학습과 같은 쌍방형 수요자 중심의 학습자 주도형 교육을 증대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주도형의 통일교육에서 탈피하여 민관이 유기적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통일교육 거버넌스를 창출시켜 나아가야 하겠다.
ESG 경영 관점에서 본 사이버 불법정보와 피해 방지를 위한 기업의 대응 방안
여현철,엄재근 한국ESG과학회 2024 ESG과학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ESG의 거버넌스(G)의 준법경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준법 경영 측면에서 사이버 정보 피해 유형과 사례를 분석하고 기업의 대응 방안을 연구하였다. 온라인 불법 정보 사례로 사이버 금융사기, 온라인 도박, 온라인 음란물, 권리침해 정보 유통으로 인하 여 사회적으로 지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매체 특성상 온라인상 피해는 글로벌하게 발생할 수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기업의 다각적인 대응 방안 이 필요할 것이다. ESG 경영에서 사이버상 불법정보 유통 문제는 기업의 신뢰성과 지속 가능성에 직결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G's compliance management of ESG. We analyzed cyber damage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iance management and studied regulatory measures. Examples of online illegal information include cyber financial fraud, online gambling, online pornography, pornographic and harmful material distribution, and types of rights-infringing information, which are causing serious social problems. For this purpose, various regulatory measures exist. In the future, cyber damage must be dealt with in a variety of ways from various aspects. And regulatory measures should also be studied in detail. Since cyber issues in ESG management are directly related to corporate reliability and sustainability, efforts will be needed to strengthe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