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랑전〉의 양식적 특징과 서술 시각

        엄태식(Eom, Tae-sik)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최랑전〉은 효종조를 배경으로 한 애정전기소설로, 실사를 소설화한 작품으로 알려져 왔다. 본고에서는 『승정원일기』 등에 나타난 이여택의 행적이 작품의 내용과 대부분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경주선생안』의 기록을 통해 작품 속 계림부백이 이천기일 가능성이 높음을 밝혔다. 〈최랑전〉의 창작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작품은 『전등신화』의 〈애경전〉이다. 〈최랑전〉과 〈애경전〉은 여주인공이 미천한 신분으로 재색을 겸비하였다는 점, 남주인공이 여주인공의 구원자라는 점,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을 위해 목숨을 바친다는 점 등에서 영향 관계가 확인된다. 이여택과 최랑이 만났을 때, 이여택은 51세, 최랑은 13세였다. 둘은 나이가 38세나 차이 남에도 불구하고, 작자는 이 둘을 여타 애정전기소설의 재자가인처럼 묘사하였다. 그러나 실존 인물 이여택은 여색을 탐하는 관료였을 것이고, 최랑은 침선 이외에 별다른 재주는 없는 미소녀였을 가능성이 높다. 최랑은 작품 전반부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후반부에서 갑자기 열녀의 면모를 드러낸다. 그녀는 우여곡절 끝에 안주까지 가서 이여택과 상봉했으나, 이때 폭동이 일어나 이여택과 헤어지게 되는데, 작자는 이여택과 최랑의 ‘상봉’과 ‘피난’ 사이에 과거사를 삽입함으로써 이여택과 최랑이 어떻게 헤어지게 되었는지를 모호하게 서술했다. 최랑은 이여택을 걱정해 식음을 전폐하다가 다시 경성으로 돌아와 이여택 앞에서 숨을 거둔다. 중요한 것은 이로 인해 이여택이 최랑의 죽음에 직접적 책임이 없다는 논리가 마련된다는 사실이다. Choirangjeon is a romantic Jeon-gi Novel set during the reign of King Hyojong, and has been known as a novelization of a actual event. In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Lee Yeotaek’s actions as shown in Seungjeongwon-Diary are mostly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through the records in Gyeongju Seonsaengan, it was revealed that Gyerimbubaek in the work is highly likely to be Lee Cheon-gi. The work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Choerangjeon is Aegyeongjeon from Jeondeungsinhwa. Choirangjeon and Aekyeongjeon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in that the female protagonist is of humble status but possesses talent, the male protagonist is the female protagonist’s savior, and the female protagonist sacrifices her life for the male protagonist. When Lee Yeo-taek and Choi Rang met, Lee Yeo-taek was 51 years old and Choi Rang was 13. Even though the two are 38 years apart in age, the author described them as if they were Jaejagain from other romantic Jeon-gi Novels.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al person Lee Yeo-taek was a bureaucrat who lusted after women, and Choi Rang was a beautiful girl who had no special talents other than sewing. Choi Rang barely appears in the first half of the work, but suddenly reveals the aspect of a virtuous woman in the second half. After many twists and turns, she went to Anju and reunited with Lee Yeotaek, but at this time, a riot broke out and she was separated from Lee Yeotaek. The author vaguely described how Lee Yeo-taek and Choi Rang broke up by inserting past history between their ‘reunion’ and ‘refuge’. Choi Rang stopped eating because he was worried about Lee Yeo-taek, and then returned to Gyeongseong and died in front of Lee Yeotaek. What is important is that this provides the logic that Lee Yeotaek is not directly responsible for Choi Rang’s death.

      • KCI등재

        <원회록>과 『전등신화』 개작 소설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5 No.-

        『전등신화』의 개작 소설로는 <원회록>·<원자실전>·<흥낭전>·<귀영전>이 있다. <원회록>은 <영주야묘기>를 확대하여 개작한 소설이고, <원자실전>은 <삼산복지지>에 <영호생명몽록>을 붙여서 개작한 소설이며, <흥낭전>은 <금봉차기>의 뒷부분에 <구운몽>을 비롯한 조선 후기 통속소설을 덧붙인 개작 소설이고, <귀영전>은 <영주야묘기>·<태허사법전>·<취취전>·<애경전>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개작한 소설이다. 『전등신화』의 개작 소설은, 『전등신화』가 국문으로 번역된 후 스토리 중심으로 읽히는 가운데 탄생하였다고 본다. 『전등신화』의 국역본은, 흥미 위주로 소설을 읽었던 조선 후기 국문소설 독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은바, 『전등신화』의 개작 소설이 조선후기 통속소설의 서사 문법을 수용하는 가운데 개작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Wonhoerok, Wonjasiljeon, Heungnangjeon, and Gwiyeongjeon are the adaptations from Jeondeungsinhwa. Wonhoerok was reproduced on an enlarged scale from Yeongjuyamyogi; Wonjasiljeon was remade by combining Samsanbokjiji with Yeonghosaengmyeongmongnok; Heungnangjeon was adapted by adding popular novels from the late Choseon Dynasty to the latter part of Geumbongchagi; and Gwiyeongjeon was reconstructed by combining the following order: Yeongjuyamyogi, Taeheosabeopjeon, Chwichwijeon, and Aegyeongjeon. Korean translation of Jeondeungsinhwa could not have possibly fulfilled a need for entertainment for novel-reading people lived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Thus, the adaptations from Jeondeungsinhwa seem to be born in the flow toward meeting their expectations for seeking the entertaining story-oriented novels. This is the reason why Jeondeungsinhwa was adapted with the narrative grammar of popular novels from the late Choseon Dynasty.

      • KCI등재

        <운영전>의 양식적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

        엄태식(Eom, Tae-sik)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한국고전연구 Vol.0 No.28

        <운영전>은 1인칭 여성 서술자의 존재, 궁녀인 여주인공의 등장, 액자소설식 구성 등에서 독특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소설이다. 그러나 이는 <운영전>만의 독창이 아니라, 애정전기소설과 몽유록의 전통을 계승한 결과이다. <운영전>은 김진사의 성적 욕망을 다룬 애정전기소설이자, 유영의 사회적 욕망을 다룬 몽유록이다. 17세기에 이르러 애정전기소설은 우의적 성향이 사라지면서 통속적 성향이 강화되는데, 이는 16세기 말~17세기 초에 몽유록이 우의의 양식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기 때문이다. <운영전>은 이와 같은 소설사의 흐름 속에서 탄생한 소설이다. Unyeongjeon is a characteristic novel in respect to story-telling from the first-person view of a female narrator, and representing leading character of a court lady, and employing a Rahmennovelle structure. However, the above-mentioned features not only belong to Unyeongjeon, but were inherited from the traditional literary heritages of Romantic Jeon-gi novel and Mongyurok. Specifically, Unyeongjeon corresponds to both a Romantic Jeon-gi novel through Gimjinsa's sexual desire and to Mongyurok through Yuyeong's ambitions for success. By the 17th century, Romantic Jeon-gi novel tends to be a popular novel while disappearing allegorical tendency, because Mongyurok has already tightened its grip on the stylistic features of allegory from late in the 16th century to early in the 17th century. Unyeongjeon came into the world reflecting these currents of Korean novel history.

      • KCI등재

        금기시된 욕망과 속임수: 애정소설과 한문풍자소설의 소설사적 관련 양상

        엄태식 ( Eom Tae-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5 No.-

        애정전기소설은 사대부가 여성을 여주인공으로 등장시킴으로써 대개 비극적으로 마무리될 수밖에 없었지만, 17세기에 이르러 애정소설은 행복한 결말이라는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왕경룡전>은 혼전에 남성과 만나는 일이 문제시되지 않는 기녀를 여주인공으로 등장시켰고, 여주인공에게서 부정적인 면을 제거하였으며,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의 교정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했다. 또 <구운몽>은 액자 구조 및 속임수라는 장치를 마련하여 주인공들이 불행이나 고난을 겪지 않고도 욕망을 한껏 추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17세기 애정소설의 행복한 결말을 가능케 한 동인이며, 당대 향유층의 바람이 투영된 결과이다. 18~19세기에 창작된 한문풍자소설은 <왕경룡전>과 <구운몽>의 영향을 받았다. 한문풍자소설에서는 교정자의 역할을 하는 기녀가 등장하여 공모자들과 함께 남주인공을 속인다. 이로 말미암아 한문풍자소설의 남주인공은 자신의 경직된 사고를 교정할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직접 겪었다면 가혹한 대가를 치렀어야 할 애정을, 속임수라는 가상현실 속에서 체험하고 그 대가로 약간의 망신만 당한다. 한문풍자소설의 남주인공이 단순히 풍자의 대상일 수만은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Love romance, in most cases, had no choice but to end in tragedy since it made women of the gentry appear as the heroines of the stories; however, it showed a shift toward happy endings by the 17th century. Wanggyeongryogjeon made a gisaeng(Korean geisha) appear as the heroine of the story who could date men before marriage without problems, removed negative attributes from the heroine, and made the heroine play the role of corrector of the hero. Also, Guunmong allowed the main characters to satisfy their desires without any hardship or misfortune by putting devices such as frame story structure and deception. This is the driver that made possible the happy endings in love romance of the 17th century, and the result reflecting the wishes of the contemporary readers. Satirical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at were created in the 18~19th century were influenced by Wanggyeongryogjeon and Guunmong. In satirical novels, a gisaeng who plays the role of corrector appears and deceives the hero with conspirators. As a result of that, the hero not only corrects his rigid thinking, but also suffers little disgrace in return for the love he experiences in the virtual, plotted reality; which might have brought him a harsher consequence if it had happened in the real world. This is where the reason why the heros of satirical novels cannot just be the targets for the satire lies.

      • KCI등재

        「용궁부연록」의 『전등신화』 수용 의미와 금기의 소설적 형상화

        엄태식(Eom, Tae-sik)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용궁부연록」은 「수궁경회록」과 「용당영회록」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용궁부연록」과 「용당영회록」은 작품의 무대가 되는 지역의 전설이 작품의 서사 전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용궁부연록」에 나오는 바 용녀의 혼인은 박연 전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하겠는데, 박연 전설을 보면 용녀가 박진사의 피리소리에 감동하여 본부(本夫)를 죽이고 박진사에게 재가(再嫁)한 것으로 되어 있다. 김시습이 「용궁부연록」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조로 설정한 것 역시 이 때문이다. 그런데 용녀의 혼인은 ‘실절(失節)’과 ‘살인(殺人)’이라는 비윤리적 행동의 결과이니, 한생이 가회각에 상량문을 짓는 일 역시 떳떳한 일일 수 없는 것이다. 「용궁부연록」의 무대인 박연의 용궁은 한생에게 있어 지우(知遇)의 공간이 아니다. 한생은 그곳에서 벌어지는 난잡한 잔치에서 소외당하고 있으며, 한생이 용궁에서 선물로 받은 명주(明珠)와 비단은, 「수궁경회록」의 여선문과 「용당영회록」의 문인자술이 받은 선물들에 비해, 그 값어치 면에서 초라하기 그지없는 것이다. 한생은 용궁에서 받은 선물을 비단 상자에다 보관하고는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는데, 그 이유는 용궁에서의 체험을 남에게 알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용궁부연록」은 작자 김시습의 현실 참여에의 좌절 및 자신의 문학 활동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김시습은 세조 말기와 성종 대에 현실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으나, 그것은 세조의 비윤리적 행동과 완전히 무관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런 현실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쳐 보인다는 것은, 비윤리적인 행동을 저지른 용녀의 신방에 상량문을 써 주는 것처럼 부끄러운 일이었던 것이다. Yonggungbuyeonrok is a literary work influenced by Sugunggyeonghoerok and Yongdangyeonghoerok. Yonggungbuyeonrok and Yongdangyeonghoerok have one thing in common : the way their plots unfold is closely linked to the folk tales of the region, which functions as a backdrop of each literary work. For instance, it can be said that Yongnyeo’s marriage in Yonggungbuyeonrok directly correlates to the legend of Bakyeon. According to the legend of Bakyeon, Yongnyeo kills her husband and remarries Bakjinsa, having been deeply touched by his flute playing. This is the reason why Gim Siseup chose Goryeo period as the time setting for the piece Yonggungbuyeonrok. However, Hansaeng’s action of writing sangryangmun on Gahoegak cannot be considered honorable, in light of Yongnyeo’s marriage resulted from unethical behaviors such as ‘loss of constancy’ and ‘murder’. Bakyeon’s underwater palace, which is the scene of Yonggungbuyeonrok, is not a place where Hansaeng is recognized for his abilities. Hansaeng is marginalized from feasts held in the palace, and pearls and silk that he receives as gifts from the palace are of trifling value compared to the presents obtained by Yeo Seonmun in Sugung-gyeonghoerok or Munin Jasul in Yongdangyeonghoerok. Hansaeng keeps the presents in a box made of silk and shows it to no one else, since he does not want anybody to know his experiences in the underwater palace. Yonggungbuyeonrok is a piece of work that reflects the writer’s. Gim Siseup’s, frustration with reality and his self-awareness of his literary activity. Gim Siseup showed his willingness engage with societ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which was not completely irrelevant to unethical behavior of King Sejo. Showing his talents in such a social reality was as shameful an act as writing sangryangmun for Yongnyeo, who committed acts that were morally wrongs.

      • KCI등재

        특집 : 고전소설의 주인공 ; <창선감의록>의 창작 저변과 서사적 특징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2 No.-

        <창선감의록>은 동시대[17세기] 소설인 <숙향전>·<구운몽>·<사씨남정기>·<홍백화전>과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있는 소설이다. <창선감의록>이 이 작품들과 공유하고 있는 지점들은 <창선감의록>의 전체 서사 구도나 소설 미학의 측면에서 본질적이라기보다는 ``기능적``인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바, 이는 <창선감의록>이 선행 작품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창선감의록>의 ``서두 기록``에 언급된 <원감록>은 실재했던 작품으로 보기 어려우며, 그것은 ``寃``과 ``感``의 ``기록[錄]``이라는 일반명사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처럼 <원감록>은 허구적인 설정이지만, 당대에 유통되었던 소설 가운데 <사씨남정기>를 염두에 두고 ``원감록``이라 일컬었을 가능성이 있다. <창선감의록>은 <사씨남정기>가 가지고 있었던 ``寃``과 ``悲傷``의 감정을 소거하면서 대단원의 행복한 결말을 추구한 작품으로, 결국 흥미 지향성과 통속적 성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Changseon-gam-ui-rok has relation to contemporary novels such as Sukhyangjeon, Guunmong, Sassinamjeonggi, and Hongbaekhwajeon which were all written in 17th. Changseon- gam-ui-rok shared some features with those novels in a technical way, but that common feature is not essential for a plot and an esthetic value of Changseon-gam-ui-rok. Won-gamnok which is mentioned in the beginning of Changseon-gam-ui-rok can not be an actual novel.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Won-gamnok as a term which means a record of ``Won(寃)`` and ``Gam(感)``. Even though Won-gamnok is a fictitious novel, Won-gamnok reminds of contemporary novel Sassinamjeonggi. In Changseon- gam-ui-rok, the feelings of ``resentment`` and ``sorrow`` related to Sassinamjeonggi were eliminated, and sought after happines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clination for interest became stronger in Changseon-gam-ui-rok.

      • KCI등재
      • KCI등재

        기암(畸庵) 정홍명(鄭弘溟) 산문 연구

        엄태식 ( Eom Tae-si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본고는 정홍명(鄭弘溟)의 『기암집(畸庵集)』에 수록된 산문(散文)을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정홍명의 산문 중 일부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번 『기암집』 완역을 계기로 정홍명의 산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기암집』 권9~권12에 수록된 산문의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정홍명 산문의 특징 및 그 산문 이론을 고찰하였다. 정홍명은 진한고문파(秦漢古文派)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의 문학에는 『장자(莊子)』와 한유(韓愈)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정홍명이 『장자』와 한유를 무조건적으로 모방한 게 아니라, 그것들이 그의 산문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면서 적절하게 변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암집』에는 정홍명의 산문 이론을 확인할 수 있는 글이 다수 실려 있다. <문이대강변(文以代降辨)>, 책문(策問), <여조선술논문서(與趙善述論文書)> 등이 그것인데, 이 글들에서 정홍명은 한중(韓中) 산문사, 문체의 난이(難易), 올바른 문장 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정홍명의 산문 이론은 한유의 산문 이론에서 큰 영향을 받았는데, 다양한 문체에 대한 작문 능력을 뜻하는 ‘부전일능(不專一能)’, 내용 전달에 적합한 표현의 사용을 의미하는 ‘각식기직(各識其職)’ 등이 그것이다. 많이 쌓고 적게 드러낸다는 ‘다적박발(多積薄發)’ 역시 그의 산문 이론의 핵심어이다. 정홍명이 생각한 문장의 이상적 경지는 글의 목적에 부합하는 적합성과 정확성을 의미하는 ‘시(是)’라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rose in Giamjip(畸庵集), a collection of writings by Jeong Hong-myeong (Giam), a renowned author of the Middle Joseon period. Only parts of Jeong’s prose texts had been studied until now, but full-scale research on his prose has become possible with the complete translation of Giamjip. This study will first introduce the prose from volumes 9 to 12 of Giamjip in detail. Next, the characteristics of Jeong’s prose and prose theory will be examined. Jeong Hong-myeong is classified as Jinhangomunpa(秦漢古文派), the establishment of Chin and Han Dynasty Classical Literature School. His literary work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Zhuangzi(莊子) and Chinese writer Han Yu(韓愈).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Jeong did not blindly imitate their writing styles; rather, their styles are adapted and blended seamlessly into his prose. Giamjip includes a number of pieces that present Jeong’s prose theory: “Moonyidaegangbyeon(文以代降辨)”, “Chaekmun(策問, ‘examination questions’)”, and “Yeojoseonnonmulseo(與趙善述論文書)” In these pieces, Jeong puts forth his views on the history of prose in Korea and China, the levels of difficulty of styles, writing good sentences, etc. As mentioned above, his prose theory is influenced by that of Han Yu, which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idiomatic phrases describing the qualities of a good writer: Bujeonilneung(不專一能), the ability to use various writing styles, and Gakshikgijik(各識其職), the use of appropriate expressions to convey the message effectively. Dajeokbakbal(多積薄發), which means accumulate steadily or spur with long accumulation, is another keyword in his prose theory. In a nutshell, Jeong’s ideals of writing can be summarized as “Shi(是, being right)”,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fit for the purpose of writing.

      • KCI등재

        한국 전기소설의 연구사 검토 및 서사 문법 시론

        嚴泰植 ( Eom Tae-sik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80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 전기소설 연구는, 소설사적 관점에서의 연구, 전기소설의 양식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기소설에 나타난 奇에 주목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은 저마다 타당성을 지니고 있지만, 거기에서 도출해 낸 몇몇 특성들은 전기소설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으며 전기소설만의 특징도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전기소설의 奇에 주목하여 한국 전기소설의 서사 문법을 시론으로 제시해 보았다. 한국 전기소설이 여타 고전소설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점은 ‘비극적 결말’이 보편적이라는 점인데, 이는 기이함에 대한 향유층의 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국 전기소설의 奇는 非日常일 뿐만 아니라 非正常이기도 한바, 비극적 결말은 곧 奇에 대한 향유층의 부정적 인식에 따른 필연이다. 한국 전기소설의 향유층은 儒者였고 전기소설의 기이한 이야기는 공자가 이야기하지 않았던 怪力亂神이었던 것이다. 요컨대 전기소설의 奇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그에 따른 비극적 결말은 한국 전기소설의 서사 문법이며, 그 기저에는 儒家的 사유가 자리하고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모두 비극적 결말이고 신광한의 『기재기이』에는 비극적 결말이 없다. 김시습은 세계의 불합리를 드러내기 위해 비극적 결말의 기이한 이야기를 창작했고, 신광한은 현실을 긍정하기 위해 기이함을 부정하는 기이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그러나 두 작자 모두 奇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The study of Korean Jeon-gi novels can be divided into the study that accompanies perspective from fiction history, the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Jeon-gi novels, and the study that focuses on the Gi奇 of Jeon-gi novels. However,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their validity,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m are not universally applicable to Jeon-Gi novels nor are they unique features of Jeon-gi novels.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Gi of Jeon-gi novels and presented as an essay about the narrative style of Korean Jeon-gi novels. What distinguishes Korean Jeon-gi novels from other classical novels is that ‘tragic ending’ is commonly found. This fac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ain readers’ perception towards Gi. Gi of Korean Jeon-gi novels contains not only unusual but also abnormal contents, thus a tragic ending being inevitable due to the readers who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Gi. Most readers of Korean Jeon-gi novels were Confucian scholars and the Gi of Jeon-gi novels represented goelyeognansin怪力亂神 in the world that Confucius did not talk about. In short, the negative perception of Gi of Jeon-gi novels and its tragic ending are the narrative structure style of Korean Jeon-gi novels, its basis coming from Confucian ideology. All novels from Kim Shi-seup’s Gumosinhwa are tragic endings while there are no tragic endings in the novels in Shin Gwang-han’s Gijaegii. In order to expose the absurdity of the world, Kim created a novel about eccentric happenings with a tragic ending, and Shin wrote a novel that denies eccentricity to affirm reality. However, they are alike in that both writ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towards Gi.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