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료 의 특징과 이본의 계열및 정본화

        엄태식(Eom Tae-sik)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본고를 통해 처음 소개된 엄태식본 은 ??전등신화구해??의 뒤에 과 함께 필사된 자료이다. 낙장이 없는 완질 한문본으로, 필사 시기는 20세기 초로 추정되며 나주 지역에서 유통된 것이다. 엄태식본에는 필사자(筆寫者)가 임의로 변개한 글자가 많다. 지금까지 알려진 의 이본 가운데 선본(善本)은 정명기본?간호윤본?엄태식본이며, 이본의 전승 과정에 따른 계열을 살펴보면, 정명기본과 엄태식본이 동일 이본에서 파생된 것이다. 의 정본화(定本化) 작업은 현존하는 이본을 두루 참고하면서 이본 간의 공통분모를 찾아가되, 한문의 문리, 인용된 전고, 작품의 문맥 등을 두루 고려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The Eom Taesik version Wisaengjeon, which is first introduced in this thesis, is a piece of work that is transcribed in the margin of Jeondeungsinhwaguhae with Choecheokjeon. The Eom Taesik version is a complete set of books written in Chinese with no missing page; it is expected to have been transcrib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 is distributed in Naju area. There are many letters in the Eom Taesik version that are modified at the discretion of the transcriber. The most well-preserved version of Wisaengjeon among many versions known so far is the Jeong Myeonggi version, the Gan Hoyun version and the Eom Taesik version. According to the genealogy of transmission process, the Jeong Myeonggi version and the Eom Taesik version are derived from the same version of Wisaengjeon. The operation of making critical edition of Wisaengjeon should look for the common denominator between many other existing versions, considering quoted authentic precedents and context of literary work.

      • KCI등재

        조선 후기 전기소설 국문본의 종합적 고찰 - 문헌학적 특징 및 번역과 개작의 양상을 중심으로 -

        엄태식(Eom, TaeSik)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본고는 조선 후기에 유통된 전기소설 국문본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그 대상은 중국 전기소설집인 『태평광기』와 전등류(剪燈類) 소설의 국문본, 그리고 한국 전기소설인 〈주생전〉・〈위생전〉・〈운영전〉・〈최척전〉・〈왕경룡전〉・〈동선기〉의 국문본이다. 전기소설의 국문본은 크게 번역본과 개작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번역본은 다시 원전인 한문본에 가까운 경우와 어느 정도의 변개가 이루어진 경우로 나눌 수 있고, 개작본 역시 원작의 영향이 남아있는 경우와 원작과 거의 무관할 정도로 바뀐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소설의 국문본은 대개 ‘한문본 → 국문 번역본 → 국문 개작본’의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직역에 가까운 국문본은 애초에 상층의 여성 독자들을 위해 번역되었던 것들인데, 이것이 전사의 과정을 거듭하면서 하층의 독자들에게까지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국문 통속소설 독자의 기호에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에 변개가 일어나고, 마침내 개작본이 산출되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소설의 상업적 출판 역시 전기소설 국문본의 개작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본래 전기소설은 다양한 층위에서의 독해가 가능한 양식이다. 그런데 한문으로 쓰인 전기소설이 국문으로 번역되자, 전기소설 국문본은 ‘기이한 이야기’로만 읽힐 뿐 다른 층위의 독해는 거의 불가능해졌다. 이것이 전기소설 국문본의 변개와 개작이 이루어진 원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특집 : 고전소설의 주인공 ; <창선감의록>의 창작 저변과 서사적 특징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2 No.-

        <창선감의록>은 동시대[17세기] 소설인 <숙향전>·<구운몽>·<사씨남정기>·<홍백화전>과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있는 소설이다. <창선감의록>이 이 작품들과 공유하고 있는 지점들은 <창선감의록>의 전체 서사 구도나 소설 미학의 측면에서 본질적이라기보다는 ``기능적``인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바, 이는 <창선감의록>이 선행 작품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창선감의록>의 ``서두 기록``에 언급된 <원감록>은 실재했던 작품으로 보기 어려우며, 그것은 ``寃``과 ``感``의 ``기록[錄]``이라는 일반명사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처럼 <원감록>은 허구적인 설정이지만, 당대에 유통되었던 소설 가운데 <사씨남정기>를 염두에 두고 ``원감록``이라 일컬었을 가능성이 있다. <창선감의록>은 <사씨남정기>가 가지고 있었던 ``寃``과 ``悲傷``의 감정을 소거하면서 대단원의 행복한 결말을 추구한 작품으로, 결국 흥미 지향성과 통속적 성향이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Changseon-gam-ui-rok has relation to contemporary novels such as Sukhyangjeon, Guunmong, Sassinamjeonggi, and Hongbaekhwajeon which were all written in 17th. Changseon- gam-ui-rok shared some features with those novels in a technical way, but that common feature is not essential for a plot and an esthetic value of Changseon-gam-ui-rok. Won-gamnok which is mentioned in the beginning of Changseon-gam-ui-rok can not be an actual novel.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Won-gamnok as a term which means a record of ``Won(寃)`` and ``Gam(感)``. Even though Won-gamnok is a fictitious novel, Won-gamnok reminds of contemporary novel Sassinamjeonggi. In Changseon- gam-ui-rok, the feelings of ``resentment`` and ``sorrow`` related to Sassinamjeonggi were eliminated, and sought after happines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clination for interest became stronger in Changseon-gam-ui-rok.

      • KCI등재

        「용궁부연록」의 『전등신화』 수용 의미와 금기의 소설적 형상화

        엄태식(Eom, Tae-sik)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용궁부연록」은 「수궁경회록」과 「용당영회록」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용궁부연록」과 「용당영회록」은 작품의 무대가 되는 지역의 전설이 작품의 서사 전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용궁부연록」에 나오는 바 용녀의 혼인은 박연 전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하겠는데, 박연 전설을 보면 용녀가 박진사의 피리소리에 감동하여 본부(本夫)를 죽이고 박진사에게 재가(再嫁)한 것으로 되어 있다. 김시습이 「용궁부연록」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조로 설정한 것 역시 이 때문이다. 그런데 용녀의 혼인은 ‘실절(失節)’과 ‘살인(殺人)’이라는 비윤리적 행동의 결과이니, 한생이 가회각에 상량문을 짓는 일 역시 떳떳한 일일 수 없는 것이다. 「용궁부연록」의 무대인 박연의 용궁은 한생에게 있어 지우(知遇)의 공간이 아니다. 한생은 그곳에서 벌어지는 난잡한 잔치에서 소외당하고 있으며, 한생이 용궁에서 선물로 받은 명주(明珠)와 비단은, 「수궁경회록」의 여선문과 「용당영회록」의 문인자술이 받은 선물들에 비해, 그 값어치 면에서 초라하기 그지없는 것이다. 한생은 용궁에서 받은 선물을 비단 상자에다 보관하고는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는데, 그 이유는 용궁에서의 체험을 남에게 알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용궁부연록」은 작자 김시습의 현실 참여에의 좌절 및 자신의 문학 활동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김시습은 세조 말기와 성종 대에 현실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으나, 그것은 세조의 비윤리적 행동과 완전히 무관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런 현실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쳐 보인다는 것은, 비윤리적인 행동을 저지른 용녀의 신방에 상량문을 써 주는 것처럼 부끄러운 일이었던 것이다. Yonggungbuyeonrok is a literary work influenced by Sugunggyeonghoerok and Yongdangyeonghoerok. Yonggungbuyeonrok and Yongdangyeonghoerok have one thing in common : the way their plots unfold is closely linked to the folk tales of the region, which functions as a backdrop of each literary work. For instance, it can be said that Yongnyeo’s marriage in Yonggungbuyeonrok directly correlates to the legend of Bakyeon. According to the legend of Bakyeon, Yongnyeo kills her husband and remarries Bakjinsa, having been deeply touched by his flute playing. This is the reason why Gim Siseup chose Goryeo period as the time setting for the piece Yonggungbuyeonrok. However, Hansaeng’s action of writing sangryangmun on Gahoegak cannot be considered honorable, in light of Yongnyeo’s marriage resulted from unethical behaviors such as ‘loss of constancy’ and ‘murder’. Bakyeon’s underwater palace, which is the scene of Yonggungbuyeonrok, is not a place where Hansaeng is recognized for his abilities. Hansaeng is marginalized from feasts held in the palace, and pearls and silk that he receives as gifts from the palace are of trifling value compared to the presents obtained by Yeo Seonmun in Sugung-gyeonghoerok or Munin Jasul in Yongdangyeonghoerok. Hansaeng keeps the presents in a box made of silk and shows it to no one else, since he does not want anybody to know his experiences in the underwater palace. Yonggungbuyeonrok is a piece of work that reflects the writer’s. Gim Siseup’s, frustration with reality and his self-awareness of his literary activity. Gim Siseup showed his willingness engage with societ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which was not completely irrelevant to unethical behavior of King Sejo. Showing his talents in such a social reality was as shameful an act as writing sangryangmun for Yongnyeo, who committed acts that were morally wrongs.

      • KCI등재

        <숙향전>의 생태주의적 독해

        엄태식(Eom, TaeSik)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본고는 <숙향전>을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독해한 것이다. 생태주의에서는 부분과 전체, 개체와 환경의 유기성을 강조한다. <숙향전>에서 숙향의 고난은 전생의 죄(罪)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러한 인과 관계는 생태주의적 사유와 흡사하다. 그리고 숙향과 이선은 타인의 고통이 자기에게서 비롯되었다고 말하는바, 자신과 세계가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생태주의적 사유가 타자와의 간격을 없앨 수 있었던 것이다. 생태주의에서는 인간중심주의와 이분법적 사고의 극복을 중요한 과제로 생각한다. 숙향은 사회의 최약자로서 고난을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고 신과 동물 들의 도움을 받는데, <숙향전>은 인간은 나약한 존재로서 인간이 아닌 존재들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숙향전>에는 신과 인간, 그리고 동물 사이에 엄격한 위계질서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자연과 동물을 지배하지 않는다. <숙향전>은 가족의 붕괴로 상징되는 공동체의 위기를 생태주의적 실천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숙향전>의 결말을 보면, 숙향이 생부모를 남겨 두고 먼저 승천(昇天)하는데, 이는 곧 자식을 버린 부모는 진정한 부모가 아니라는 뜻이다. <숙향전>은 재난 속에서 버림받은 유기아(遺棄兒)들의 기억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유기아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에게 닥친 고난은 환상계나 전생 등을 끌어들이지 않고서는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었으며, 그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은 이 세상에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존재가 없다는 사실이었을 것이다. 숙향의 조력자들이 대개 신이나 동물이라는 것은 유기아들의 조력자가 거의 없었음을 반증한다. <숙향전>은 유기아 문제를 환상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이로 인해 생태주의적 사유에 육박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reading and comprehension of Sukhyangjeon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Ecology emphasizes the organic relationship of parts and wholes, individuals and environments. In Sukhyangjeon, Sukhyang"s suffering is the result of the sins of her past life, and this causal relationship is similar to ecological thinking. And Suk-hyang and Iseon say that the suffering of each other comes from them. This is because the ecological thinking that the self and the world are deeply connected was able to close the gap with others. Meanwhile, ecology considers the overcoming of anthropocentrism and dichotomous thinking as important tasks. As the weakest person in society, Suk-hyang cannot overcome hardships on her own and gets help from gods and animals. Here, Sukhyangjeon shows that humans are weak beings and cannot live without the help of non-human beings. In Sukhyangjeon, there is no strict hierarchy between gods, humans, and animals, and humans do not dominate nature and animals. Sukhyangjeon shows an optimistic prospect that the crisis of the community, symbolized by the collapse of the family, can be overcome through ecological practices. But that"s not all. According to the ending of Sukhyangjeon, Sukhyang ascends to heaven first leaving behind her biological parents, which means that the parents who abandoned their children are not true parents. Sukhyangjeon is a work that contains the memories of abandoned children in disaster. From a abandoned children’s point of view, it wa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hardship she faced without bringing in the fantasy realm or past life, and the most frightening thing was the fact that there was no one in this world who could feel a bond. The fact that Sukhyang"s helpers are usually gods or animals proves that there were few helpers for abandoned children. Although Sukhyangjeon ha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solves the problem of abandoned children in a fantastic way, it was able to achieve results close to ecological thinking.

      • KCI등재

        금기시된 욕망과 속임수: 애정소설과 한문풍자소설의 소설사적 관련 양상

        엄태식 ( Eom Tae-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5 No.-

        애정전기소설은 사대부가 여성을 여주인공으로 등장시킴으로써 대개 비극적으로 마무리될 수밖에 없었지만, 17세기에 이르러 애정소설은 행복한 결말이라는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왕경룡전>은 혼전에 남성과 만나는 일이 문제시되지 않는 기녀를 여주인공으로 등장시켰고, 여주인공에게서 부정적인 면을 제거하였으며,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의 교정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했다. 또 <구운몽>은 액자 구조 및 속임수라는 장치를 마련하여 주인공들이 불행이나 고난을 겪지 않고도 욕망을 한껏 추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17세기 애정소설의 행복한 결말을 가능케 한 동인이며, 당대 향유층의 바람이 투영된 결과이다. 18~19세기에 창작된 한문풍자소설은 <왕경룡전>과 <구운몽>의 영향을 받았다. 한문풍자소설에서는 교정자의 역할을 하는 기녀가 등장하여 공모자들과 함께 남주인공을 속인다. 이로 말미암아 한문풍자소설의 남주인공은 자신의 경직된 사고를 교정할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직접 겪었다면 가혹한 대가를 치렀어야 할 애정을, 속임수라는 가상현실 속에서 체험하고 그 대가로 약간의 망신만 당한다. 한문풍자소설의 남주인공이 단순히 풍자의 대상일 수만은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Love romance, in most cases, had no choice but to end in tragedy since it made women of the gentry appear as the heroines of the stories; however, it showed a shift toward happy endings by the 17th century. Wanggyeongryogjeon made a gisaeng(Korean geisha) appear as the heroine of the story who could date men before marriage without problems, removed negative attributes from the heroine, and made the heroine play the role of corrector of the hero. Also, Guunmong allowed the main characters to satisfy their desires without any hardship or misfortune by putting devices such as frame story structure and deception. This is the driver that made possible the happy endings in love romance of the 17th century, and the result reflecting the wishes of the contemporary readers. Satirical nove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at were created in the 18~19th century were influenced by Wanggyeongryogjeon and Guunmong. In satirical novels, a gisaeng who plays the role of corrector appears and deceives the hero with conspirators. As a result of that, the hero not only corrects his rigid thinking, but also suffers little disgrace in return for the love he experiences in the virtual, plotted reality; which might have brought him a harsher consequence if it had happened in the real world. This is where the reason why the heros of satirical novels cannot just be the targets for the satire lies.

      • KCI등재

        <원회록>과 『전등신화』 개작 소설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5 No.-

        『전등신화』의 개작 소설로는 <원회록>·<원자실전>·<흥낭전>·<귀영전>이 있다. <원회록>은 <영주야묘기>를 확대하여 개작한 소설이고, <원자실전>은 <삼산복지지>에 <영호생명몽록>을 붙여서 개작한 소설이며, <흥낭전>은 <금봉차기>의 뒷부분에 <구운몽>을 비롯한 조선 후기 통속소설을 덧붙인 개작 소설이고, <귀영전>은 <영주야묘기>·<태허사법전>·<취취전>·<애경전>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개작한 소설이다. 『전등신화』의 개작 소설은, 『전등신화』가 국문으로 번역된 후 스토리 중심으로 읽히는 가운데 탄생하였다고 본다. 『전등신화』의 국역본은, 흥미 위주로 소설을 읽었던 조선 후기 국문소설 독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은바, 『전등신화』의 개작 소설이 조선후기 통속소설의 서사 문법을 수용하는 가운데 개작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Wonhoerok, Wonjasiljeon, Heungnangjeon, and Gwiyeongjeon are the adaptations from Jeondeungsinhwa. Wonhoerok was reproduced on an enlarged scale from Yeongjuyamyogi; Wonjasiljeon was remade by combining Samsanbokjiji with Yeonghosaengmyeongmongnok; Heungnangjeon was adapted by adding popular novels from the late Choseon Dynasty to the latter part of Geumbongchagi; and Gwiyeongjeon was reconstructed by combining the following order: Yeongjuyamyogi, Taeheosabeopjeon, Chwichwijeon, and Aegyeongjeon. Korean translation of Jeondeungsinhwa could not have possibly fulfilled a need for entertainment for novel-reading people lived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Thus, the adaptations from Jeondeungsinhwa seem to be born in the flow toward meeting their expectations for seeking the entertaining story-oriented novels. This is the reason why Jeondeungsinhwa was adapted with the narrative grammar of popular novels from the late Choseon Dynasty.

      • KCI등재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菊堂排語』에 나오는 崔陟은 <최척전>의 최척과 동일인으로 보기 어려우며, <최척전>의 後識는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 또 <紅桃>와 <최척전> 사이에는 문헌 전승에 의한 영향 관계가 있다고 보는 게 타당한데, <홍도>와 <최척전> 간의 인명 표기, 서사의 합리성 등을 고려한다면, 조위한이 <홍도>를 변용하여 <최척전>을 창작했다고 보아야 한다.李民宬은 <題崔陟傳>에서 ``당시 商山의 어떤 士人이 스스로 <최척전>을 지었다고 말했다``고 썼다. 趙緯韓은 1622년에 맏형 趙繼韓의 訃音을 듣고 上京했다가 商山牧使였던 아우 趙纘韓과 함께 商山으로 갔다. 그렇다면 <제최척전>에서 말한 ``상산의 사인``은 결국 ``상산에 가 있었던 조위한``을 가리키는 것인데, 조위한이 상산에 있었던 시기는 1622~1623년이다. 이로써 볼 때, <제최척전>의 언급은 결국 조위한이 1622~1623년에 <최척전>을 지었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는바, 그간<최척전> 後識에 의거, 조위한이 1621년에 南原의 周浦에서 <최척전>을 창작했다고 본 견해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조위한이 <李生窺墻傳>·<萬福寺?포記>·<홍도>를 활용하여 <최척전>을 창작한 주된 이유는, 여주인공 玉英을 ``賊의 수중에 떨어졌다가 살아 돌아온 烈女``로 형상화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옥영의 이야기는, 丁酉再亂때 남편 조찬한을 적의 포위망에서 벗어나게 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柳氏의 이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조위한은 조찬한·유씨부부에 대한 연민 때문에 <최척전>을 지었지만, 그 역시 전란이라는 특수하고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도 정절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hoecheok in Gukdangbaeeo is the same person as Choe Cheok in Choecheokjeon. The postscript of Choecheokjeon is likely fictitiou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do and Choecheokjeon can be defined as literature succession. Considering each character`s name in Hongdo and Choecheokjeon, the reasonability of narration, etc.,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by rewriting Hongdo. In Jechoecheokjeon, Yi Minseong wrote, "a scholar in Sangsan at that time said he wrote Choecheokjeon by himself." Jo Wihan came to Hanyang to attend the funeral of his eldest brother, Jo Gyehan. He then went to Sangsan with his younger brother Jo Chanhan, the governor of Sangsan. ``A scholar in Sangsan`` described in Jechoecheokjeon confirms that Jo Wihan was in Sangsan at that time. Jo Wihan stayed in Sangsan between 1622 and 1623, thus meaning that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between 1622~1623. However, the postscript of Choecheokjeon states that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in Jupo, Namwon, in 1621. This record needs to be revised. The main reason why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essentially by using Isaenggyujangjeon, Manboksajeopogi, and Hongdo is to describe the heroine Okyoung as a virtuous woman who came back alive from enemies. Meanwhile, the story of Okyoung is similar to the story of Jo Chanhan`s wife, Yussi, who helped her husband escape from the camp besieged by enemies during the Jeongyu War and killed herself. Although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to express his sympathy to this couple, he failed to be free from the conservative idea that chastity must be maintained, even in inevitable and special situations like war.

      • KCI등재

        <최치원>의 창작 배경과 서사적 특징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소설학회 2010 古小說 硏究 Vol.30 No.-

        <최치원>은, 원래 <쌍녀분기>와 같은 志怪의 형태로 전해지거나 그와 비슷한 내용의 설화로 전승되던 것이, 훗날 문인의 손을 거침으로써 지금과 같은 형태로 확대되었다고 여겨진다. <최치원>의 작자는 補史的 시각에서 <최치원>을 창작하면서, <遊仙窟>의 서사를 차용하고, 典故를 활용하여 최치원과 팔랑·구랑의 갈등을 표현하였으며, <任氏>의 주제를 끌어들여 최치원의 인식 변화 및 성찰을 그려냈다. <최치원>은 소외되고 고독한 남주인공 崔致遠이 귀녀인 八娘과 九娘을 만나 사랑을 나눈 이야기인데, 인간인 남주인공과 귀신인 여주인공의 만남은 이별이 전제된 만남이다. <최치원>에서 팔랑·구랑은 최치원과의 결연을 `혼인`으로 생각하는 반면, 최치원은 팔랑·구랑과의 결연이 혼인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인다. 왜냐하면 귀녀와의 혼인을 인정한다는 것은 곧 이 세상의 살아 있는 여인 가운데는 자기의 배필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치원은 팔랑·구랑을 성애의 대상으로 보는 희롱적 태도를 취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최치원과 팔랑·구랑 사이의 갈등이 생기게 되었는데, 작품 속에서는 이 갈등의 상황이 典故를 활용한 대화와 시로써 표현되었다. 하지만 최치원은 귀녀와 혼인할 수밖에 없다는 운명을 끝내 받아들이는바, 이는 그가 知己의 남편을 만나지 못해 자결한 여인의 비극을 자신의 불우와 동질적인 것으로 인식했음을 뜻한다. 이와 같은 변화와 성찰의 모습은 최치원이 팔랑·구랑과 헤어진 다음 날 무덤가를 다시 찾아와 읊은 長歌 속에서 볼 수 있으니, 장가 속에는 최치원의 두 여인에 대한 `성적 대상`에서 `知己`로의 인식 변화와 성찰이 담겨 있다. 최치원은 팔랑·구랑과의 교감을 통해 자신의 고독이 그녀들의 恨과 동질적인 것이며 또한 이 세상에서는 해소될 수 없음을 깨달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최치원의 가야산 은거는 불합리한 세계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갖게 된다. <최치원>은 최치원의 고독과 소외를 아버지로 대표되는 중세적 규범의 강요로 인해 목숨을 잃게 된 여인들의 비극으로 형상화하고, 나아가 실존인물 최치원 및 <최치원> 작자의 불우를 이 세상에서는 배필을 찾을 수 없는 남주인공의 형상으로써 우의한 작품이다. ChoiChiw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expanded to the current form by being handed down in the form of Jigoe like Ssangnyeobungi, and by being passed through the hands of future writers. The author of ChoiChiwon created the story in an attempt to complement history, borrowing the story of Yuseongul, using references, and borrowing the theme of Imssi. ChoiChiwon tells the story of the lonely Choi Chi-won meeting and falling in love with the female ghosts Palang and Gurang. The meeting between the human male character and female ghost characters is destined for farewell. Palang and Gurang each consider their relationship with Choi Chi-won as marriage, while Choi Chi-won denies his marriage to Palang and Gurang because admitting to marriage with a female ghost is acknowledging the fact that his spouse does not exist among human women. Hence, Choi Chi-won assumes a chauvinistic role by viewing Palang and Gurang as sexual objects, which in turn creates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s and is expressed throughout the dialogue and poetry of the folktale. However, Choi Chi-won eventually accepts his destiny of marrying female ghosts, signifying his realization that his wives tragic suicides resemble his predicament. This change and introspection can be observed in the full-length Chinese poem Choi Chi-won recited when returning to Palang`s and Gurnang`s graves, and reflects his change in his perception of them from sexual subject to appreciative friend. Choi Chi-won realizes his loneliness is fundamentally same to deep sorrow of the two women, and accepts the fact that it cannot be relieved within this world. Choi Chi-won`s retirement to the Gaya Mountain signifies his feelings of resistance toward the irrational world. The loneliness and alienation of Choi Chi-won is reflected in the tragedy of women who lose their lives from the enforcement of medieval practices, which is represented by their father. ChoiChiwon is an allegory in which the misfortune of a real person Choi Chi-won, as well as the author, is compared to the image of the misfortunate main character who is unable to find a spouse in this world

      • KCI등재

        <운영전>의 양식적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

        엄태식(Eom, Tae-sik)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한국고전연구 Vol.0 No.28

        <운영전>은 1인칭 여성 서술자의 존재, 궁녀인 여주인공의 등장, 액자소설식 구성 등에서 독특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소설이다. 그러나 이는 <운영전>만의 독창이 아니라, 애정전기소설과 몽유록의 전통을 계승한 결과이다. <운영전>은 김진사의 성적 욕망을 다룬 애정전기소설이자, 유영의 사회적 욕망을 다룬 몽유록이다. 17세기에 이르러 애정전기소설은 우의적 성향이 사라지면서 통속적 성향이 강화되는데, 이는 16세기 말~17세기 초에 몽유록이 우의의 양식으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기 때문이다. <운영전>은 이와 같은 소설사의 흐름 속에서 탄생한 소설이다. Unyeongjeon is a characteristic novel in respect to story-telling from the first-person view of a female narrator, and representing leading character of a court lady, and employing a Rahmennovelle structure. However, the above-mentioned features not only belong to Unyeongjeon, but were inherited from the traditional literary heritages of Romantic Jeon-gi novel and Mongyurok. Specifically, Unyeongjeon corresponds to both a Romantic Jeon-gi novel through Gimjinsa's sexual desire and to Mongyurok through Yuyeong's ambitions for success. By the 17th century, Romantic Jeon-gi novel tends to be a popular novel while disappearing allegorical tendency, because Mongyurok has already tightened its grip on the stylistic features of allegory from late in the 16th century to early in the 17th century. Unyeongjeon came into the world reflecting these currents of Korean nove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