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경덕의 세계관을 통해 본 박순의 철학

        엄진성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y of Seo Kyung Deok, Park Sun. Park's philosophy is difficult to grasp because of the lack of existing data. However, I can only grasp the outline through the three roundtrip books which are seen in the 『思菴集』and the 『 栗谷全書』. However, the philosophical discourse in this round-trip book suggests that his academic world is original. Unfortunately, it is unfriendly because it tells only the core of the authorities in the round trip book as opposed to the original claim. For this reason, after asking his philosopher world of Seo Kyung-duk, he has to look at Park Sun's claim. There is also room for distortion or distortion in this process. However, this research has enough value for putting together the philosophy of Park Su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Park Sun and Lee 's claim in three roundtrip books after developing the philosophy of Seok Kyung Deok. Especially, we are analyzing the conflicts and logic structure between them based on the concept of Taoist Raws. In this process, we can naturally see Park's philosophical worldview. 이 연구는 서경덕 학파인 박순의 철학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박순의 철학은 존재하는 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 전체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다만 『思菴集』과 『栗谷全書』에서 보이는 3번의 왕복서를 통해 그 윤곽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왕복서 속에서 보이는 철학적 담론은 그의 학문적 세계가 독창적임을 짐작케 한다. 아쉽게도 독창적인 주장에 비해 왕복서에 보이는 전거들을 그 핵심만을 이야기하기 때문에 불친절 하다. 이 때문에 그의 스승인 서경덕의 철학적 세계를 요청한 후 그것에 미루어 박순의 주장을 살펴 볼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곡해나 견강부회 될 수 있는 여지 또한 존재한다. 하지만 박순의 철학을 일괄 한다는 것에도 이 연구는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서경덕의 철학을 전개한 후 3번의 왕복서에 나타난 박순과 이이의 주장에 분석 그 내용을 가진다. 특히 太極生兩儀의 개념에 기초하여 이들 사이에 나타난 첨예한 갈등과 논리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박순의 철학적 세계관을 엿 볼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退溪哲學에 나타난 즐거움(樂)의 의미

        엄진성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4 No.-

        The joy is a subject discussed in Chinese philosophy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f the joy happened around the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affected Korean Confucianism through the Qing Dynasty. Korean Confucian scholar Tweo-Kye also had the comments for the joy. His interest is the state of the joy Confucius and Anhoe had like what the scholars in the Song Dynasty had interested in. Their state is represented through the verse of Analects 'I drink water with rough cooked rice and uses my arm as a pillow so the joy is among them'. Toegyewas based on Chu Hsi philosophy as a way of identifying Confucius and Anhoe's joy state. However, finally he went different routes with Chu Hsi. While Chu Hsi emphasizes on knowing knowledge depending on human reason, he treats human emotion negatively. On the other hand, Toegyefocuses on knowing knowledge according to human reason and takes a positive attitude on human emotion. This attitude of Toegyerests on Confucius and Mencius's interpretation on human beings which take a positive for human all elements. Although Tweo-Kye's interpret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Chu Hsi, it can be a creative interpretation of Chu Hsi philosophy rather than its negation. 중국철학에서 즐거움(樂)은 오랜 논의의 주제였다. 특히 송대(宋代) 학자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즐거움의 논의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쳐 조선성리학에 까지 영향을 미쳤다. 조선의 성리학자인 퇴계 또한 송대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공자와 안회가 가졌던 즐거움의 경지에 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 경지는 ‘거친 밥에 물을 마시고 팔을 베개로 삼으니 즐거움이 그 가운데 있다’는 논어의 구절로 대변된다. 퇴계는 공자와 안회가 노닐었던 즐거움의 경지를 파악하기 위해 주자철학을 토대로 삼는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주자와 다른 노선을 거닐게 된다. 그것의 학문적 관심과 태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주자는 이성에 따른 지식과 앎 그리고 실천을 강조했으나 인간의 감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반면 퇴계는 이성에 따른 지식과 앎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런 퇴계의 태도는 인간을 모든 요소를 긍정한 공자와 맹자의 인간에 대한 해석에 기초한다. 비록 퇴계의 해석이 주자와 다르지만 그것은 주자철학의 부정이 아닌 주자철학의 창조적 해석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서화담의 수양론에 대한 檢討 - 『周易』의 인식체계를 중심으로 -

        엄진성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6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actical factors in Hwadam philosophical study. Here, the practical factors means the ethics, the purpose, and the theory of study, the concrete method. However, Hwadam, in respect of human practice, i.e. problem of deed, pays attention to the form, ‘how to act?’ rather than the content of act. Because he views the world as change and continuity, viewing every action therein as the obj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物). For him, since the world is in the mechanical rule, only if a special condition(Yi(理) =Gui(機)) is ‘"the spring moment of principle’(理之時), we can reach the righteousness (止). This equally acts also in human. However, human beings can choose by themselves with their will, instead of guigye, simultaneously can perceive the world. Accordingly, they can reach the righteousness only when a right world view is prepared, differently from other object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grow an ability to comprehend Yi (理) and perceive the time to realize it. To do so, it is necessary to mulgyeok (物格) the nature to perceive the principle. As a method to do so, firstly, the world should be observed (見, 觀). Also, by applying this again to personal affairs (人事), we can reach benevolence(仁) and loyalty(忠), a right ji(止) between me and the others. As the method, reaching the boundary of musamuwi (無思無爲), i.e Yimulgwanmul (以物觀物) where any subjectivity between the cognitive subject and the object does not intervene, after suggesting Jwamang (坐忘) and Jigyeonggwanri (持敬觀理) as the method, was determined as ji (止), the point of arrival of human act. When arranging Hwadam’s academic attitude, this way, the form of his cultivation is to maintain the state to participate in a right change naturally when human beings, who are in change, perceiving the principle of change, instead of perceiving and cultivating the moral body that looks general in Jeongjuhak. 본 연구의 목적은 화담 철학의 학문에 나타난 실천의 요소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 때 실천적 요소란 그 목적이 되는 도덕과 그 구체적인 방식인 수양론을 의미한다. 화담의 경우 인간의 실천 즉, 행위의 문제에 대해 행위의 내용이 아닌 ‘어떻게 행위 해야 하는가?’라는 형식에 주목한다. 그 까닭은 세계를 변화와 연속으로 보고 그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용들을 物과 物의 관계 맺음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에게 있어 세계는 기계적인 법칙에 놓여있기 때문에 특수한 조건(理 =機)이 구비되고 그것이 실현(理之時)되기만 한다면 올바름에 이를 수 있다(止). 이것은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진다. 다만 인간은 기계가 아닌 의지를 가지고 스스로 선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 때문에 여타 사물들과 달리 올바른 세계의 인식이 갖추어져야지만 올바름에 이를 수 있다. 이것을 위해서 理를 파악하고 그것이 실현되는 때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를 위해 자연을 物格하여 그 법칙이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이것을 위한 방법으로 우선 세계를 관찰(見, 觀)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人事에 적용시킴으로써 나와 타자 사이에 올바른 止인 仁과 忠에 이를 수 있게 된다. 그 방법으로 坐忘과 持敬觀理를 제시한 후 인식주체와 대상사이에 조금의 주관도 개입되지 않는 無思無爲의 경계 즉 以物觀物에 도달하는 것을 인간 행위의 도달점(止)으로 상정한다. 이런 화담의 학문적 태도를 정리한다면 그의 수양의 형태는 정주학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도덕본체를 자각하고 그것을 함양하는 것이 아닌, 변화 속에 놓인 인간이 변화의 법칙을 체인하고 인식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올바른 변화에 참여할 수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壬辰倭亂 고령·성주지역의 의병창의에 영향을 미친 사유

        엄진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7 민족문화논총 Vol.67 No.-

        임진왜란 시기 창의 의병은 유학적 가치 아래 전국적으로 일어난 구국활동이다. 다만 시간적·공간적 특수성에 따라 임진왜란 당시 활동했던 儒者들의 학문적 기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이 가운데 고령·성주 지역의 경우 鄭球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이며 앞선 세대인 이황과 조식의 학문이 또한 간접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상 좌우도가 교합되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고령·성주 지역의 학풍은 절충적이며 조화를 이루는 형태를 보였다. 그리고 어느 한쪽에 함몰되거나 傾倒되지 않고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自得的 성향도 살펴볼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倡義는 신념에 기초하여 자신의 목숨도 초개같이 던질 수 있는 殺身成仁의 태도가 견지되어야 하며 그 바탕에는 자발성과 성리학적 신념의 실천의지가 깔려 있어야 한다. 지역마다 그 특징은 다르겠지만 적어도 고령·성주의 儒者의 창의의 바탕에는 경상좌우도 즉 이황과 조식의 학문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던 독립적이고 자발적인 태도가 뒷받침됐으리라 여겨진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家傳學을 통해 薰習되어 體化된 성리학적인 정신무장도 임진왜란의 倡義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Raise an armi in the catcher of the Justician is a national oral action under the conviction of confucianism. However, depending on the time and space specialty, the academic basis of confucianism that was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ay also vary. Among them, it is believed that the study of Jeong Ku`s directly affected the region of goryeong and seong. And at the same time, studies by the previous generations of Yi Hwang and Jokshik also appear to have worked indirectly.And because of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Gyeongsang-do meets, academic manners of Goryeong and Seong Ju-gu were compromised and harmonized. And have a critical attitude, not subsiding or biased. Based on the belief of Raise an armi in the case of Korea in 1592, Japanese Invasion was able to give up her own life. It must also have a willingness and the will to practice Neo-Confucianism. Although each region may have its characteristics different, the spontaneity of the confucianism of goryeong-seong Jun`s would have at least supported the critical adoption of the studies of Gyeong-Kyung-Kyung and Yak.

      • KCI등재

        『동경대전』과 『삼일신고』에 나타난 천인(天人)의 관계연구

        엄진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samneunda 天 shown in 『東經 大全』 and 『三一神告』 theme. 『東經大全』 and 『三一神告』 is a scripture in each 東學 and 大倧敎. And 東學·大倧敎 is both ethnic and religion of the Korean people. Because of this, they have an image of cloth holds the unique ethos of the Korean people. But the sky was a unique mix containing the ethos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Chinese character as 天 was gradually lost its original meaning. The Joseon Dynasty who ruled the Confucian understanding of the unique sky of the Korean people to be destroyed. But Korean Empire appeared 東學·大倧敎 is to revive the concept of a unique sky of the Korean people, and from that to interpret the world. Their interpretation can be found in the scriptures and through 東學· 大倧敎 『東經大全』 『三一神告』. Although 東學·大倧敎 ethnic religion of the Korean people, but everyone has a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of the sky. The main difference is that the problem of God's welcome. In the process, 東學 is to rely on external forces to try to harmonize with God. And 大倧敎 is used with the power and strength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to the unity of God. 본 연구는 『동경대전』과 『삼일신고』에 나타난 天과 하늘의 개념적 분석을 핵심 주제로 삼고 있다. 『동경대전』과 『삼일신고』는 동학과 대종교의 경전이다. 동학과 대종교는 모두 한민족의 민족적 색채를 지닌 종교이다. 이 때문에 이들이 가지는 하늘의 개념 속에는 한민족의 고유한 에토스가 깔려 있다. 하지만 한민족의 고유한 에토스를 담고 있던 하늘이 한자어인 天과 혼용되면서 점차 그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심지어 유교가 본격적으로 사회를 지배했던 조선시대에는 한민족의 고유한 천관이 희석된 채 민간의 신앙 형태로만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구한말 등장한 동학과 대종교는 한민족의 고유의 하늘의 개념을 부활시키고 그것을 통해 세계를 해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해석은 동학과 대종교의 경전인 『동경대전』과 『삼일신고』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비록 동학과 대종교가 모두 한민족의 민족성에 기초했다 할지라도 하늘의 해석에 있어서는 적잖은 차이를 보이는데 그 주된 부분은 하늘님을 어떻게 영접하느냐의 문제이다. 이점에 대해 동학은 타력적인 접근을 통해 하늘님과의 조화를 도모하는데 반해 대종교는 타력과 자력의 중간에서 하늘님과의 합일을 도모코자 한다.

      • KCI등재

        단군연구의 철학사적 전개와 전망

        엄진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study on Dangun(founding father of Gojoseon) direction developed in future by investigating the cases having philosophy and ideological tendencies among existing researchers on Dangun. The time to conduct Dangun research in earnest is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is period, Korean unique culture, history, ideology, etc were undermined and distorted by Japanese scholars. Especially, they tried to perverted the root of the nationality through systematic negation about Dangun who was a symbol of national legitimacy.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like Choe Nan-seon, Sin Cae-ho refuted Japanese scholars' claims and tried to keep Dangun and national legitimacy. They purposed new theories and hypotheses using various humanistic methodologies such as history, philosophy, linguistics, cultural anthropology, etc to keep national legitimacy. These efforts made Dangun research be included in the humanities category, and provided the basis of the foundation on Dangun study after Independence. In the Dangun research after Independence, the common purpose to establish national legitimacy was disappeared, it was changed into the forms each researcher's tendency reflected on. However, Dangun was still the symbolic code of the nation. Dangun research after Independence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religious approach and ideological approach. In case of religious approach, it was separated into christian approach and no religious approach and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point out atheist approach was similar to humanities and religion. Ideological approach such as Han philosophy, poetical approach, ideological approach, etc also was a different approach form on Dangun study.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se researches, this researcher found one common thing about these claims and it was the harmony. Because of this, this researcher insists that the harmony to integrate existing studies as one should be at the core of Dangun study. 본 논문은 기존의 단군연구 가운데 철학・사상적 성향을 띈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 전계 될 단군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군연구가 본격적으로 행해진 시기는 일제강점기이다. 이 시기는 일본학자들에 의해 우리의 고유한 문화・역사・사상 등이 훼손당하고 왜곡되어졌다. 특히 민족의 전통성에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단군에 대한 체계적인 부정을 통해 민족의 근본부터 흔들고자했다. 하지만 최남선이나 신채호 같은 당시의 지식인들은 일본학자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단군과 민족의 정통성을 지키고자 노력했다. 이들은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 역사・철학・언어학・문화인류학 등의 다양한 인문학적 방법론을 도구로 사용하여 새로운 학설과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들의 이러한 노력은 단군연구를 인문학적 범주 속에 포함시켰으며, 광복이후 단군연구에 관한 기초토대를 제공하였다. 광복이후 단군연구는 민족의 정체성 확립이라는 공통의 목적이 사라지고, 연구자 각자의 경향이 반영되는 형태로 바뀌었다. 하지만 여전히 단군은 민족의 상징적 코드로 자리하였다. 광복이후 단군연구는 크게 종교적 접근과 사상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종교적 접근의 경우 크리스트교적 접근과 무교(巫敎)적 접근으로 다시 나눌 수 있는데 논자는 무교적 접근이 인문종교와 매우 유사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 밖에 한(Han)의 철학, 풍류적 접근 등의 사상적 접근도 또한 단군연구의 다른 접근형태이다. 이들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주장에 흐르는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조화이다. 이 때문에 논자는 기존 연구들을 하나로 통합 할 수 있는 조화를 단군연구의 핵심에 두어야 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순자철학과 아마추어리즘 그리고 체육교육

        엄진성,정병석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4 No.2

        Xunzip-ja's philosophy, amateurism and physical education are two different backgrounds. However, we can find common ground in dealing with human desires and edu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mateurism and applied it to the philosophy of purity. By applying this concept to physical education again, he produced meaningful results on the theme of physical education seen through the amateurism of Soonja. The content was based on Xunzip-ja's description of human psychology as "human nature, emotion, desire" and "thought" to establish their relationship anew and reveal that this could be applied to amateurism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ion, Xunzip-ja's "Hua Xing Qi Wei"(Transforming the Inborn Nature and Developing the Acquired Nature) provides a useful logical foundation for explaining the pursuit of "cooperation," "self-development," "community spirit," "creativity," and "aesthetics" aimed at sports education, while at "fair competition," "preventing excessive violence and injury," and "recommending participation over public sports events." And by presenting that specific case, we proved that it is practically feasible, not just a theory. 순자철학과 아마추어리즘 그리고 체육교육은 서로 다른 역영이지만 인간의 욕망과 교육을 다룬다는 점에서 접점을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아마추어리즘의 개념적 정의를 확보한 후 이를 순자의 철학에 적용시켰다. 그리고 다시 체육교육에 이들 개념을 적용시킴으로써 ‘순자의 아마추어리즘을 통해 본 체육교육’이란 주제에 대한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그 내용은 순자가 인간의 심리를 性 - 情 - 欲 그리고 慮의 개념을 통해 드러낸 것에 착안해 이들 관계를 새롭게 정립시킨 후 이것이 아마추어리즘과 체육교육에 적용 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순자의 化性起僞는 체육교육 이 지향하는 ‘협동’, ‘자기개발’, ‘공동체 정신’, ‘창의성’, ‘심미성’의 추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논리적 토대를 제공하며 동시에 아마추어리즘의 정신인 ‘공정한 경쟁’, ‘과도한 폭력과 부상의 방지’, ‘스포츠 도박 금지’, ‘대중의 스포츠 경기 관람보다 참여를 권장’하는 것에도 부합될 수 있음을 도출했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단순한 이론이 아닌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