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남명(南冥) 『학기류편(學記類編)』에서 자연(自然)과 도덕(道德)의 일관성 문제 -경성관(敬誠觀) 및 충노관(忠怒觀)과 연관하여-

        엄연석 ( Yeon Seok Eom ) 南冥學硏究院 2012 南冥學 Vol.17 No.-

        본 논문은 남명(南冥)조식(조식(曺植)1501, 1572)이 『학기유편(學記類編)』 에 포함된「학기도」를 통하여 자연과 도덕의 연속 성과 일관성을 어떻게 실현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敬과 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충서관(忠恕觀)을 통하여 해망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남명은 천도(天道)의 자연과 인사(人事)의 수양이 존재론적 지위의 차이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격물치지를 통하여 선(善)과 이치를 밝히는 공부의 방법으로서 경(敬)과 실리자연이면서 동시에 사물을 밝게 살필 수 있는 誠올 긴밀하게 연관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서 경(敬)과 지행(知行)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매`` 이라는 계기를 통하여 성(誠)에 이르는데, 여기에서 성(誠)은 선과 이치를 실현할 수 있는 존재론적 근거로서 천도(天道)를 주로 의미한다. 그러나 성(誠)은 인사와 만물에까지 관통함으로써 수양과 실천적 노력에 이르기까지 일관하여 경(敬) 및 명(明)과 연속상을 가지고 도덕적 규범의 실천에 기여한다. 남명은 「충서(忠恕)-관도(貫圖)」를 작성하여 천지(天地) 와 성인(聖人),학자(學者)의 충서(忠恕)의 작용 방식을 비교하면서도 그 연속성 의 계기를 도표에 제시함으로서 자연과 도덕의 통일성과 연속 성을 추구하였다. 남명은 明을 매개로 敬과 誠의 유가적 연속 성, 그리고 충서(忠恕)가 내포하고 있는 여러 단계와 수준의 의미에 대한 구별을 통하여 자연과 도덕의 통일성을 강조했다. 요컨대, 남명은 『학기유편』에서 자연과 도덕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함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이리한 관점은 실천궁행을 강조하는 측면과 형이상학적 근거를 강조하는 입장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학기유편』 의 본령을 어느 한쪽을 강조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는 없다. 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문제 삼은 것으로 볼 때 『학기유편』 의 본래 의의가 살아날 수 있다고 하겠다. 특히 남명이 지와 행, 자연과 도덕 소이연(所以然)과 소당연(所當然), 본체와 작용 등을 함께 강조하여 일관된 것으로 이해하는 시각은 차후 남명의 철학을 단순하게 주자학적이다. 양명학적 경향을 가진다, 또는 도가사상적이다, 아니면 실천유학을 지향한다는 등의 단순하고 일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협소한 시각을 수정해 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tried to elucidate how Hakgido學記圓 being comprised in Hakgiyupyeon學記類編 synthesizes a matter of coherence of nature and moral in connection with view of sincerity-reverence and loyalty-reciprocity. At first, Namrnyeong南冥 regarded sincerity and reverence as being continuous in spite of ontological difference of ways of heaven and humanity. Here while reverence being method of cultivation founded on in the process of clarification of goodness and principle, sincerity is original ways of heaven through which one can observe affairs as realistic nature things. Reverence penetrates knowledge and action, and progresses from brilliance to sincerity. Here sincerity mainly means ways of heaven as the ontological foundation on which one can accomplish goodness and principles. But sincerity contributes to practise of moral standard in connection with sincerity and brilliance by penetrating human affairs and all things. Also, while Nammyeong described Chungseoilguando忠怒一貫圓 and compared with operational methods of loyalty and reciprocity among heaven and earth, sage and scholar, he pursued to unity and continuity between nature and moral by indicating moment of its continuity. Nammyeong emphasized unity of nature and moral by making clear the organic continuity between sincerity and reverence and several level of loyalty and reciprocity through the medium of brilliance. In the last analysis, Nammyeong displayed implicatively consistency and continuity of nature and moral in Hakgiyupyeon and this point of view can be distributed into emphasis of action to one`s principles and one of metaphysical foundation. But we cannot determine one`s characteristic of Hakgiyupyeon emphasized one side of them. Rather than when we regarded Hakgiyupyeon as equating between these two option. it`s original intention can be realized in Nannuyeong`s philosophy. Summing up, we can understand Nammyeong like this emphasized together knowledge and action, nature and moral, reason for being so and obligation acting so, substance and operation, and considered relation with them as consistent. This Nammyeong`s point of view will make it modify scholar`s simple and one-sided opinion of his philosophy such as having Neo-Confucian characteristic, disposition of Yangmyeonghak陽明學, Taoistic tendency, and moving toward practical Confucianism.

      • KCI등재

        程頤 《易傳》에서 比應관계와 괘효사 해석

        엄연석(Eom Yeon seo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6 泰東古典硏究 Vol.22 No.-

        본고에서는 정이가 비응(比應) 개념에 의거하여 《주역(周易)》괘효사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를 그의 《역전(易傳)》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정이에 있어서 비응 개념은 중정 개념과 마찬가지로 괘효사를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도덕적 본체로서 리(理)를 근거로 하고 있다. 정이는 호응관계를 적용하여 괘효사를 해석할 때, 일반적으로 두 효의 호응 자체가 괘효의 의미를 긍정적인 것으로 보게 하는 요소라고 보았다. 특히 정이는 호응 관계를 괘효의 자질, 괘의 전체적인 의미, 소성괘의 자질, 괘의 위치상의 중정(中正) 등의 요소들과 결합하여 괘효의 길흉을 평가하고 있다. 정이는 친함 의 관계 또한 괘효를 설명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그가 친함으로 괘효사의 길흉을 판단하는 근거로 삼을 때는 주로 두 효 사이를 바르지 않은 관계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는 때때로 친함의 관계가 괘의 전체적인 의미 상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순기능을 가진다고 생각할 때 이 친함의 관계를 길하거나 허물이 없는 괘효사를 판단하는 근거로 삼기도 하였다. 요컨대. 정이는 비응(比應)이라는 기준을 가지고 괘효사를 해설하는데, 이것은 중정 개념과 함께 의리역학적 관점에서 주역을 이해하는 핵심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has intended to examine how in his I Chuan (《易傳》) Ch eng I interpreted the sentence of hexagram-lines of the I Ching by the concept of neighbourhood and respondence(比應). In case of Ch eng I, the one of neighbourhood and respondence like a concept of equilibrium and righteousness[中正]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of hexagram-lines. Ch eng I usually regarded the respondence itself between two lines as the element which makes the meaning of hexagram-lines positive when he interpreted the sentence of hexagram-lines through the relation of respondence. Especially, Ch eng I evaluated fortune or misfortune of the paring/corelative relation of hexagram-lines in connection with a concept of equilibrium and righteousness[中正], a yin-yang property of hexagram-lines, the entire meaning of hexagram-lines, a small accomplished hexagram(three lined ingram) etc. Ch eng I also utilized the relation of neighborhood one of important methods which interpreted the hexagram-lines. When he considered a relation of neighborhood as the foundation by which he judged fortune or disfortune, he mainly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tow hexagram-lines as the unrighteousness. But he made relation of neighborhood the ground by which he judged fortune of hexagram-lines when the relation of neighborhood was thought as having its positive operation, which leads an entire meaning of hexagram-lines to fortunate orientation. In conclusion, while Ch eng I interpreted a sentence of hexagram-line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neighborhood and respondence[比應], this can be one of central methods through which he interpreted Zhu I[周易] in view of moral-principle theory of I i li i hsüeh 義理易學.

      • KCI등재
      • KCI등재

        정이의 (程이) 의리적 『역 (易)』 해석 이론의 특성

        엄연석(Yeon Seok Eom) 철학연구회 1998 哲學硏究 Vol.42 No.-

        정이는 도가적 관점에서 현상 또는 상(象)보다는 본질, 또는 의미를 중시하는 왕필의 득의망상론(得意忘象論), 취의설(取義說), 동정(動靜)이론 등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그는 현상과 본체 또는 상(象)과 의미 사이의 분리와 우연성이라고 하는 도가적인『역』해석에 대한 반성적 사색을 통하여 `체용일원 현미무간`이라고 하여 본체와 현상을 유기적이고 통일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철학적인 근본명제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정이는 형이상학적인 이(理) 관념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사물의 다양한 변화를 주재하고 통합할 수 있는 통일적이고 단일한 세계의 지평을 열었다. 이것은 구체적인 사물세계가 총체적인 이(理)의 세계와 유기적이고 내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생생하게 살아나는 것을 의미한다. 정이의 『주역』 해석 방법론의 목표는 보편타당성에 근거한 인과적 자연의 법칙에 대한 사실법칙의 세계를 도덕적 규범을 규정하는 당위법칙의 근거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자연의 내재된 사실의 법칙을 덕성의 고양과 교화의 완성이라는 목적론적인 전제를 통해 당위법칙의 근거가 되게 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정이의 『주역』 해석은 도가로부터 물려받은 형이상학적 유산을 유가적 실천윤리 규범의 근거가 되도록 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 투고눈문 : 퇴계의 역학사상에서 상수(象數)와 의리(義理)의 가역적 전환문제

        엄연석 ( Yeon Seok Eo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This essay tried to make it clear point of view through which Toegye Lee Hwang saw about the 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Hsiang-shu and I Li by examining his philosophical vision of Neo-Confucianism and understanding about Zhu Yi. Toegye distinguished Yin-yang Li-Chi of the ontological dimension from that of moral practical one. Toegye ordinary emphasized I Li for the purpose of practice in Zhu Yi, at the same time he also paid attention to ho-t`u lo-shu and Hsiarig-shu or principle & number of hexagram and line as frame of reference for understanding mechanical and necessary rule of nature on the other hand. Toegye explained the progressive process on which hexagram and lines grow and decline through the change of yin-yang young-old, The other side, being seen with relation to I Li He interpreted Zhu Yi in viewpoint of moral principle science(I Li Yi Xue義理易學) by succeeding Cheng I`s I-chuan and Chu Hsi`s Chou-i pen-i. Seen like this, it is certain that purpose of Toegye`s Yi Xue ordinary lies in practice of moral principle. Because Zhu Yi according to Toegye displayes principle of Yin-yang on which things grow and decline and its fortune and unfortunateness, good and evil through symbol of hexagram and line, it offers basis of moral practice(所以然) on which person should relied for right moral act. (所當然) Summing up, on the contrary Hsiang-shu is the objective foundation converted into moral principle of obligatory practice of subject. I Li means practical obligation, which is objectified by Hsiang-shu revealing aspect of objective fortune or unfortunateness and good and evil of things. In this, Hsiang-shu and I Li in Toegye`s Yi Xue is mutually converted reversibly, founded by turns between them.

      • KCI등재

        맹자와 순자 왕패론의 상대(相對)的 논리와 상보(相補)的 논리

        엄연석 ( Yeon Seok Eo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본고는 선진시대 유학사상을 대표하는 맹자와 순자의 철학에서 王道覇道論의 특성을 그들의 人性論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맹자와 순자가 왕도와 패도를 각각 相對的 관점과 相補的 관점으로 바라보는 근거와 이유를 중점적으로 규명하였다. 맹자가 왕도와 패도를 대립적 시각으로 보는 이면에는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이목구비의 감각적 욕구 중 하나는 적극적으로 실현해야 하는 이상적 지향물인 반면, 다른 하나는 규제하고 제어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인성론이 놓여 있다. 반면 순자의 인성론은 내적인 도덕적 본성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仁義와 같은 도덕적 표준에 근거하되 心의 사려능력을 통하여 구성되는 구체적 외적 규범과 제도에 중점이 있다. 그에 있어서 도덕적 진리의 표준은 내부의 본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제도와 규범에 있다. 맹자에서 왕도가 내적인 도덕성에 근거하는 것이고, 패도가 감각적인 욕구를 추구하는 것으로 대립적인 것이라면, 순자에서 왕도와 패도는 모두 仁義法正이나 제도를 믿음직하게 시행하는 것과 결합된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다.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의 차이는 그들이 왕도와 패도정치를 각각 상대적 관점과 상보적 관점으로 구별하는 이론적 차이를 낳았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왕도와 패도를 대립적 통치방법론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패도는 부국강병과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로서 도덕적 이상을 지향하는 왕도와 공존할 수 없는 통치방법이었다. 반면 순자는 왕도정치를 가장 이상적인 통치방법으로 보면서도, 패도정치 또한 현실에서 수용할만한 정치로 간주하였다. 그는 왕도정치를 仁義와 禮를 근본으로 삼는 통치로 규정하는 반면, 패도 정치는 내적인 인의를 실현하지 못한다고 해도 최소한의 믿음을 가지게 하는 정치로 설명하였다. 요컨대, 맹자와 순자가 제시한 왕도정치와 패도정치의 상호 범주적 의미의 차이는 그들의 人性論과 함께 그들 각각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론적 인식의 차이에 말미암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essay intended to clarify a characteristic of theory of the rule of right[王道] and the rule of might[覇道] in Mencius and Xunzi, who represented Confucianism of pre-Qin Dynasty by succeeding to Confucius` thought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focusing treatise of human nature. Especially, this thesis mainly investigated reason and grounds on which Mencius and Xunzi regarded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oppositive viewpoint and complementary one respectively. In the hidden side of an attitude from which Mencius regarded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oppositive viewpoint, treatise of human nature through which he recognizes ethical human nature and sensuous desire as right oppositeness is lying. Whereas Xunzi`s treatise of human nature not put emphasis on the internal and ethical human nature, but underlines concrete and outer norms and institutions composed through moral standards and consideration capacity of mind. In other words, standard of moral truth in him does not lie in the inner human nature, but the outer institution and norms. In this reason, while in Mencius the rule of right is based on the inner morality and the rule of might pursues sensuous desires,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in Xunzi is continuous in that they all are connected with solid practice of humanity, justice, law and rightness or outer institutions. As this, difference of treatise of human nature between Mencius and Xunzi caused theoretical distinction recognizing differentially government of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mutual oppositive viewpoint or complementary one each other. Because Mencius fundamentally considered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a methodology of mutual oppositive government, the rule of might as rule pursuing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profit couldn`t coexist with the rule of right aiming at moral ideal. Whereas, Xunzi viewed governance of the rule of right as the most ideal method of rule on the one hand, he also regarded one of the rule of might as a system acceptable practically. He defined the rule of right as governance built on benevolence, righteousness and propriety, while the rule of might was regulated with reference to system giving one outer confidence than inner humanity and justice at least. In the eyes like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difference of the mutual categorical meaning of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which Mencius and Xunzi suggested arises from perception gap about periodical circumstances with their treatise of human natur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고유섭의 미학이론을 통해 본 인천시 도시경관의 구조적 특성과 발전 방향

        엄연석 ( Yeon Seok Eo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고유섭(高裕燮)의 한국미에 관한 학설과 미학을 준거틀로 삼아 역사문화적 지리적 측면과 산업발전에 따르는 공업화와 도시화의 과정, 그리고 최근 국제화와 생태문화적 정책과정에서 이루어진 인천의 다층적인 도시경관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고 심미적인 도시경관 구조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고유섭은 서양미학을 연구하면서 수용한 ‘형태미’, ‘모방’, ‘무관심성’과 같은 여러 심미적 개념들을 수용하였는데, 이것들은 모든 인간의 삶의 여러 영역에서 만나는 사물들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고유섭은 구체적으로 한국미의 특징으로서 애니미즘에 바탕이 되는 역동성(意力)을 강조하였고,‘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비정제성’, ‘비균제성’, ‘민예적인 것,’구수한 큰 맛’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과 질박한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점에서 이들 개념은 바로 인위적으로 전체를 계획하지 않고 역사문화적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인천시의 도시경관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심미적으로 그 경관을 개선하는 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시경관을 개선하고자 한다면 그 대전제가 되는 방향은 첫째, ‘기존에 이루어진 계획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는 경관을 그 영역상의 특징을 잘 살리면서 문화적 요소를 가미하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둘째는 ‘인천시의 도시 경관을 개선하는 중요한 요소는 시 안에 사는 시민들의 경제적 문화적 삶을 잘 이루어 주는 방향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다. 요컨대, 인천시 도시경관의 여러 영역이 생명과 실용, 정신적 가치향유를 표준으로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소통하여 자연과 인간,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경관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고유섭의 심미적 가치 개념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Incheon recently has been developed constantly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of late internationalization and ecological-cultural policy. Therefore, this essay intended to establish city identification of Incheon having the future-oriented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again according to Go Yu-seob``s aesthetic theory and opinion about Hankuk beauty. While examining western aesthetic, Go Yu-seob accepted several sensuous concepts such as the beauty of form, imitation and nature of indifferenc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affairs to be come across in the every sphere of human life as it is. Moreover, Go Yu-seob concretely emphasized dynamism which becomes a foundation of animism as characteristic of Hankuk beauty and accentuated the basic unartificial spontaneousness and simpleminded practicality such as technique of artless, plan of haphazardness, unrefinement, asymmetry, the peasant art, delicate great flavor etc. In this point, these concepts properly can be utilized in the improvement of urban scape and its identity of Incheon city, which is unplanned artificially and is composed of according to the historic-cultural and socio-economical motive naturally. Here, if one would improve urban scope of Incheon, its prerequisite and direction first would be that one revives well its demesnial peculiarity toward scope exposed unplanned and natural characteristic as what already composed and at the same time adds cultural elements to it. And second, it is that one must make stabilization of economic and cultural life of citizens within city 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Summing up, it can be said that the significance which Go Yu-seob``s aesthetic value concept implies is that one constructs aesthetic basis through which several realms of urban scope of Incheon make vitality, practicality, mental value enjoyment ultimate standard, communicate one another organically and compose scope that encompasses nature and man, history and culture synthetically.

      • KCI등재

        유가철학의 ‘마음’ 이론과 심리학의 ‘자아’ 개념 - ‘마음’과 ‘자아’ 사이의 소통가능성을 중심으로 -

        엄연석(Eom Yeon-seo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8 No.-

        본 논문은 유가철학의 ‘마음’ 이론을 심리학의 ‘자아’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 관점과 연관하여 그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인간의 본성과 마음, 그리고 감정을 경험 현상과 가치 의식의 측면에 주목하여 그 내적 원인과 외적 결과 사이의 일관성 문제를 중점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심리학은 ‘자아’를 주로 경험적 현상으로 드러나는 각각의 개별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탐구하는 반면, 유가철학에서는 ‘마음’을 내적 외적으로 드러나는 경험적 요소들 사이에 내재해 있는 인과적 유기적 관계를 주로 목적 론적으로 문제 삼는다. 또한 심리학이 자아의 내적 외적 현상을 사실 기술적 측면에서 설명한다면, 유가철학에서 마음에 대한 탐구는 도덕적 실천을 목적 으로 한 가치 의존적 평가에 중점이 있다. 하지만, 심리학이나 유가철학은 인간적 특성으로서 욕구, 의도, 목적, 동기, 사고, 가치, 자존 또는 행동과 같은 것을 ‘자아’와 ‘마음’의 공통적 요소로서 중시하고 있다. 심리학적 ‘자아’든 유가철학의 ‘마음’이든 ‘인간이 삶의 과정을 통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면서 인격을 완성한다’고 하는 공통적인 목표의 관점에서 볼 때 이들 개념은 상호 간에 소통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인문학적 틀 속에서 유학의 본성론을 구명하는 시각을 넘어, 사실기술적 경험과학과 가치의존적 인문학의 경계를 허무는 연속성의 측면에서 유학이론을 탐구하는 의미를 가진다. This essay tried to elucidate a new meaning of mind-theory of Confucian philosophy with connection to the concept of self of characteristic psychology. Especially, this thesis intended to mainly examine the problem of consistency contained in the internal cause and outer effect by noticing in the relation between valuative recognition and aspect of experiential appearance. When psychology explores the self, whether it is internal or outer, it analytically investigates individual internal or outer elements which are revealed in experiential appearance. The other side, Confucian philosophy doesn t investigate individual internal or outer elements which are revealed in experiential appearance when it examines the mind, but synthetically contemplates the organic relation implied in these elements. However, as it is in psychology or Confucian philosophy, the self and mind commonly have a desire, intend, motive, thought, and action as a crucial characteristic through which man carries on his life. Seen as this, whether it is psychological self or Confucian mind, if we establish common purpose that man accomplishes personality through process of life, these concepts could be commensurated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