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초기의 貞洞街와 일대 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성격과 특징

        엄승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This thesis analyzes the modern ceramic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Jeongdong district in Seoul where diplomatic corporations, bureaucrats, missionaries, and educators who had traveled to Joseon since the signing of the treaty with Western emirates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were collectively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items as excavated items. Excavations from the Jeongdong area, referred to as the ‘Legation Quarters’, are symbols that can be causally interpreted to understand not only the real life of the demanding subject but also its aspect and age. The ruins of Jeongdong Street are located in a place where modern and Western antiquities are concentrated and excavated, and can be assumed to relate closely to the ruins and the royal family. As such, Jeongdong has been the first settlement of westerners since the flowering period, and has provided a place for competition for political diplomacy and interest in Korea and played a role as a bridgehead to advance into other regions. Especially, in order to exp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for their own countries, it was presumed that Western traditions were often performed by the local public offices and Westerners, who were the main residents, preferred Western ceramics imported or imported from their countries rather than Japanese porcelain or Joseon white porcelain. Therefore, the excavated artifacts of Jeongdong Street, which is a cluster of the early modern Westerners, proved to be a relic directly reflecting the lifestyle of the contemporaries of the time, and it is unique as a modern relic. 본 논문은 개항 이후 구미열강들과의 수호조약 체결 이후 조선으로 도항했던 외교 공사, 관료, 선교사, 교육자 등이 집단적으로 거주했던 서울 정동 일대의 유적에서 발굴되는 근대도자를 분석하고 이 도자들이 지니고 있는 성격과 특징을 소비지유적 출토품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소위 공사관 거리(Legation Quarters)로 일컫는 정동 일대의 유적 출토품들은 수요주체의 실생활은 물론 그 양상과 연원을 파악할 수 있는 인과론적 해석이 가능한 상징물이다. 특히 정동가의 유적은 근대기 서양자기가 집중 발굴된 지역으로써, 인근의 유적,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상정해 볼 수 있는 위치에 놓여있다. 이처럼 정동가는 개화기 이래 서양인들의 최초 정착지이면서 對조선 정치외교와 이권경쟁의 장이 마련되었고, 타 지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자국을 위한 정치경제적 권력 확장을 위해 각국 공사관에서는 서양식 연회를 수시 베풀었고, 이 때문인지 주 거주자였던 서양인들은 일본자기나 조선백자보다 자국에서 들여오거나 수입한 서양자기를 선호하며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근대 초기 서양인들의 밀집지인 정동가의 출토 유물은 당대 이국인의 생활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근대 유적으로서는 유일무이한 경우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기 도자 생산구조 및 유통의 전개와 양상

        엄승희 한국도자학회 2018 한국도자학연구 Vol.15 No.3

        Entering the late 19th century, Korean ceramic history reorganized the system of the ceramic production and the demand-led management which had collapsed after the management changeover of Bunwon, Chosun's governmental kiln site. It is especially noteworthy that in the process Korea stepped into actual modern ceramic era. However, it was needed to bring in new technology of the West in Korea's Enlightenment(Gaehwa) period and it made the status of Chosun's white porcelain very shaky, and the lack of enough capability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crafts and diversify the uses of ceramics made the beginning of Korean modern ceramic history gloomy. Of course, it is very meaningful that in this process, there was a new leap in the whole areas of the ceramic industry because of some reformers trying to accomplish modernization through the Enlightenment(Gaehwa) in the period of Daehan Empire(1897-1910). Even though the system of the ceramic industry in this period also didn't change dynamically, the fact that there was attempts to invigorate the ceramic industry as a part of the modernization policy for building up national strength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which is the key part of Korean modern ceramic crafts history, the process of the system reorganization resulting from imperial Japan's interference and coercion caused more limitations in the ceramic production than any other time and Chosun's white porcelain eventually lost its base for demand-led system,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a Korean ceramic trend biased toward the Japan's. After Korean ceramic industry lost most of its self-regulation, the white porcelain that had been produced for thousands of years lost its identity and began to retrogress. As mentioned above, Korean modern ceramics underwent difficulties in Korean modern ceramic history along with the turbulent national politics and was controled by the fate of Chosun who couldn't cope with the troubled situation. Therefor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key formative period of Korean modern ceramics that was from the privatization of Bunwon to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f the change process of the ceramic production and the limitations are understood it will be a step forward for understanding the modernity of Korean modern ceramics. 한국의 도자기 역사는 19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조선관요인 分院의 체제 전환으로 인해 이전의 제작구조와 수요기반이 해체되어 새로운 틀로 재편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근대 도자의 실질적인 길목에 들어섰다는 점에서 특별히 주목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서구의 신기술 수용이 요구되던 개화기의 상황에서 조선백자의 위상이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었고, 공예의 개념을새롭게 정립하고 도자기의 용도를 다변화시키기에 역부족이었던 시대상황은 한국 근대도자의서막을 암울하게 만들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대한제국기(1897-1910)의 개화를 통해 근대화를이루려는 쟁점들이 대두되어 요업 전반에 새로운 도약이 생겨난 점은 큰 의미를 갖는다. 비록이 시기 역시 요업체제가 역동적으로 변화하지는 못했지만, 부국강병을 위한 근대화정책으로서공예산업의 활성화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적지 않다. 이후 근대도자공예의 핵심적 위치에 있었던 일제강점기는 일제의 간섭과 강요에 따른 구조의재편과정을 통해 도자 생산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한계에 부딪쳤고 결국 조선백자는 수요기반을 상실한 채 일제에 경도된 도자문화를 형성시킬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일제 치하에서의 도자산업이 자율성을 대부분 상실하게 되자 수천 년 간 유지되어 온 백자제작은 정체성을 잃고 본격적으로 반전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한국 도자사에서 근대도자는 격동하는 國政과 함께하며 파란을 겪었고 급변하던 정세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었던 조선의 운명에 따라 결정되었다. 따라서 근대도자의 핵심형성기인 분원 민영화로부터 일제강점기의 흐름을 주축으로 하여, 이 시기에 전개된 제작상의 변화과정 및 한계를 이해한다면 한국 근대도자의 근대성을 파악하는데 한 발 다가갈 것이다.

      • KCI등재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 출품 한국 도자와 조력자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 -프랑스 국립기술공예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엄승희 국립무형유산원 2022 무형유산 Vol.- No.13

        본 논문은 대한제국이 참가한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의 한국 도자 출품물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면서 이들을 통해 대한제국 요업의 정황을 파악하고 참가에 따른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는데 초점 맞추었다. 대한제국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려던 고종의 의지가 함축되고 개최국인 프랑스의 외교적 협력으로 참가한 박람회 석상에 한국 도자가 전시될 수 있었던 배경은 단지 공예품의 일원으로서 홍보되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즉 19세기 중반 이후 이미 서구학자들에 의해 정립되기 시작한 한국도자사 원류의 세계 유포를 비롯하여 근대기에 생산된 도자들을 동시에 소개하기 위해서였다. 비록 분원(分院) 민영 이후에 생산된 도자들의 품격이 그다지 높지 못해 민예적 가치를 발휘하는데 그칠 수밖에 없었지만, 적어도 유구한 역사를 조명할 수 있었던 시대별 도자유물들은 동아시아 속 한국 도자역사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면서 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서국열강의 이목을 집중시킨 한국 도자유물들은 향후 소장 열기를 더해갔으며, 이를 모티브로 한 신제품 개발로 이어지게 할 정도로 파생 효과는 적지 않았다. 이처럼 박람회 참가를 통한 유기적인 도자문화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는 프랑스 외교관들이 적극적으로 가교역할을 다하였으며, 특히 초대 주조공사(駐朝公使)였던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의 조력은 박람회 참가로부터 전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빛을 발했다. 이 박람회는 대한제국이 공식적으로 참가한 마지막 국제 행사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며, 한국 도자는 그 장(場)에서 다양한 해석과 비전을 제시한 대표적인 품목이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요업활동 주체자로서의 재조일본인 구성과 그 식민성 연구

        엄승희 한국도자학회 2021 한국도자학연구 Vol.18 No.1

        This paper examines the coloniality of the ceramics activities of the Japanese who advanced to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various ceramic productions, ceramic exhibitions, culture, education, etc., and focused on grasping the phenomena expressed throughout the ceramic industry during this period. In the ceramic industry that Japanese members of all walks of life participated in, the purpose and purpose of ceramic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in general, they participated in the colonial Joseon as an interest project.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its affiliates received the protection and cooperation and made a leap forward in overall strengths. Imperial Japan's pottery policy and martial arts policy induces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ceramics during this period, and laid a foothold for a large number of Japanese to migrate to Joseon and participate in ceramics. The field of ceramics, which the Japanese were focused on, was focused on producing industrial ceramics, refractory materials, and cement, which are the symbolic relics of modernization, but also pioneered new ceramic genre that reproduced and transformed Korean traditional ceramics. However, as the Japanese participation was encouraged, the decline of the Joseon pottery industry accelerated and the identity of the handed down ceramics was confused. Accordingly, the role and status of the Japanese in the ceramics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case formed by causing colonial partiality and imbalance in the Joseon ceramics industry.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진출한 일본인들의 요업활동에서 나타나는 식민성을 각종 도자제작, 도자전시, 문화, 교육 등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이 시기 요업 전반에 표출되는 현상들을 파악하는데 중 점을 두었다. 각계각층의 일본인 구성원들이 참여한 요업은 제각각 목적과 취지가 차별되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이권사업으로 참여한 바가 컸다.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와 그 산하기관 들의 비호와 협력을 받으며 강점 전반에 걸쳐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제국 일본의 도자정책과 권업정책은 이 시기 요업에 많은 연구개발과 투자를 유도하여, 적지 않은 일본인들이 조선으로 이주하 고 요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재조일본인들이 주력했던 요업 분야는 근대화의 상 징적 전유물인 산업자기, 내화물, 시멘트 등을 생산하는데 초점 맞춰졌으나, 한국 고유의 전통도자를 재현하고 이를 변용하는 새로운 도예 장르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참여가 고취됨과 동시에 조선 요업의 쇠락현상이 가속되고 전승된 도자의 정체성 혼란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일제강점 기의 요업활동에서 일본인들의 역할과 위상은 조선 요업의 식민지적 편파성과 불균형을 초래하면서 형 성된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 한국 근대도자의 개항단계 기점 시론

        엄승희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14 미술사문화비평 Vol.5 No.-

        In the domain of Korean arts history, the studies o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dern arts have been insufficient so far. But there have been attempted to deal with this issue in the various fields of Korean arts. But the field of crafts, compared to the fields of painting or architecture hasn't given us good results about thi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and the modernity of the ceramic crafts that appeared since the period of transition into modern era.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various ceramics used by royal class were intensively produced especially in Bunwon(分院) that was operated by government and the ceramics for the general public's daily life were produced actively in local kilns. But various foreign ceramics that were imported due to the opening of ports after the Treaty of Ganghwa-Island(江華島) in 1876 and the privatization of Bunwon in 1884 caused the traditional way of making ceramics to change a lot. And modern techniques of producing ceramics were imported from the West and expert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invited. Especially,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morden system of ceramic production was imported from Japan.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ceramic process and the distribution changed much, these aspects indicat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ceramics. This paper examined the progression of the aspects of the Korean ceramics that had undergone change since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in order to determine the period, the modernity of Korean ceramics began and established. The period of emerging modern ceramics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ystem of manufacturing ceramics and the government policy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irst period began when the Chosun opened her ports to foreign powers. After the reformation of system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the opening of ports conclusively led to the different framework of the manufacture system that was new to the Chosun. And, in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at succeeded the Chosun dynasty around the time of the privatization of Bunwon, modern factories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for ceramics were established foreign experts with technical skills came into Korea. However, Japan occupied Korea forcedly 5 years after they set up resident-general office in Korea, this caused the modernization. Japan adopted various policies in favor of them and made the manufacturing of the Chosun white porcelain declined fast. Partially the modern technique was adopted making vessels which changed the supply and demand of ceramics. Therefore,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en Korea faced the new modernization without voluntary agreement, can be classified as the second period of modernization. Especially in the period of about 40 years since 1910, the year when Japan began to occupy Korea,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the ceramic industry. So this period can be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period of modernization. In the period of the opening of ports, the aspects of manufacture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Korean modern ceramics began to change and the privatization of Bunwon caused the manufacture system to change rapidly. And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fter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e modernization was pushed ahead forcedly without voluntary agreem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of this period be analyz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 of situation and system of Korea.

      • KCI등재

        일제 강점 전반기 관립 중앙시험소 기술 관료집단의 요업정책 구현과 공업교육의 영향력

        엄승희 국립무형유산원 2021 무형유산 Vol.- No.11

        This thesis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scale of the technical bureaucrats at the Central research laboratory that led the Joseon ceramic industry policy in the first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31) and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overall ceramic industry implemented by them. The process of imperial Japan’s application of Joseon’s strategy of industrialization to ceramics is from the fact that it accepts the Japanese industrial testing and research system establish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明治維新) fragmentarily, but the main purpose of securing ceramic raw materials and labor is a means of colonial rule. Researchers from the laboratory’s ceramics department gradually prepared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the development and stabilization of the ceramics industry in Joseon from the beginning and reorganized the ceramics industry entirely through the promotion of production policies(殖産興業政策). The excellent raw materials for ceramics buried in the Joseon indicated possible development of Japanese and Joseon ceramics, so the majority of researchers were invested in this field. In addition, they attempted various efforts and approaches to transfer ceramic skills as part of industrial education, and this was also realized as a means of governa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lonial countries. Therefore, the duties of the technical officials composed of the management team and researchers of the Central research laboratory consider the direction of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ceramic industry of this period will be appropriately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Joseon colonial rule and the reality of Joseon,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o implement various policies that could satisfy Japan’s profit creation. 본 논문은 일제 강점 전반기(1910∼1931년) 조선의 요업정책을 주도했던 관립 중앙시험소 소속 기술 관료들의 역할과 규모를 파악하고, 이들에 의해 구현된 요업 전반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제국 일본이 조선의 대공업화 전략을 요업에 적용하는 과정은 메이지유신 이후에 확립한 일본의 공업시험연구체 제를 단편적으로 수용하되, 식민 통치의 수단으로서 요업원료와 노동력 확보가 주된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시험소 요업부의 연구원들은 강점 초기부터 점진적으로 조선의 요업 개발과 안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식산흥업정책을 통해 요업을 전면적으로 재편하였다. 조선에 매장된 우수한 요업원료는 조사연구 자체만으로도 일본과 조선 요업의 발전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에, 대다수 연구원들이이 분야에 투입되었다. 또한 이들은 공업교육의 일환으로서 요업 기술력을 전수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이 역시 식민지국의 개발을 통한 통치 수단으로서 실현되었다. 따라서 중앙시험소의 운영 진과 연구진으로 구성된 기술 관료들의 소임은 이 시기의 요업이 조선의 식민 지배와 조선이 처한 현실에 따라 적절히 변용될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동시에 본국의 이익 창출을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 하는 데 본의가 있었다.

      • KCI우수등재

        근대전환기 초대 프랑스 駐朝公使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Victor Collin de Plancy)의 도자외교

        엄승희 한국미술사학회 2019 美術史學硏究 Vol.304 No.304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Victor Collin de Plancy)는 1886년(고종 23) 조불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초대駐朝公使로 재임하면서 한국 문화재에 심취하여 수집과 기증에 매진한 장본인이었다. 한국의 도자는플랑시공사의 헌신적인 노력과 열정적인 수집 의욕이 뒷받침되어 근대 초기 상당량이 자국 프랑스로유입될 수 있었던 대표적인 문화재였다. 한국 도자에 대한 플랑시공사의 지대한 관심은 공예교육과 프랑스산 도자의 수입, 한국 도자사 연구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어 도자외교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조선에서의 한국 도자 수집은 초창기, 전문 골동상을 통한 합법적 구입이 시작된이래 점차 조선 정부로부터 도요지의 발굴허가를 취득하면서 직접 조사에 착수하고 陶製所를 탐문하는열의를 내비친 점이 확인되어 주목된다. 궁극적으로 플랑시공사의 이러한 행보는 근대 프랑스 제국주의의 문화정책에 부흥하면서, 개인적으로는 한국 도자를 시대별, 기종별로 치밀하게 수집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19세기 유럽 인문학계에서 이미 선행 연구된 동양도자사의 범주에 한국 도자의 소개는 물론 도자사적 위상과 위치에 대한 새로운 지평 및 시각을 도출하려는 의지와 직결된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은 19세기 후반을 전후하여 프랑스 세브르도자박물관과 기메박물관 등에 한국관을 설치하게 되고, 비로소 한국 도자의 정체성을 알리게 되는데 일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Victor Collin de Plancy was the first French minister dispatched to Joseon Korea since the Treaty of 1886. Fascinated by Korean cultural artifacts, he committed himself to their collection and donation during his term in Joseon. It was de Plancy’s enthusiasm that made possible the influx of a substantial amount of Korean ceramics into France. His passion for Korean ceramics grew into areas such as ceramic education, the importation of French ceramics, and historical research of Korean ceramics, providing the impetus for the development of diplomatic relations via ceramics. His collection of Korean ceramics is particularly noteworthy because of the shift in his manner of collecting. At first, he purchased his items through the regular channel of antique dealers. But in the end, he acquired his own excavation license from the Joseon government, undertaking firsthand investigations at kiln sites. In the final analysis, de Plancy’s enterprise conformed to the imperialistic cultural policy of modern France. At the same time, his methodical and systematic collection based on chronology and typology attests to his personal dedication to establishing the history of Korean ceramics as a new area of research within nineteenth-century European scholarship of Asian ceramics. Not only did he introduce Korean ceramics as a new subject of study in the history of Asian ceramics, but he also endeavored to foregrou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His efforts came to fruition around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the opening of Korean galleries at the Musée Sèvres and the Musée Guimet, which brought the uniqueness of Korean ceramics to public atten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 엘리트들의 요업활동 본질과 조선통치론

        엄승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2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7 No.-

        본 논고는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진출한 각계각층 일본인들의 요업활동을 정치성 과 결부시키고, 이에 관련된 인물들이 표출시킨 활동의 주된 흐름이 조선총독부의 정책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히는 데 초점 맞춰졌다. 특히 선두에서 요업활동을 지휘 했던 인물들은 대체로 식민지사관을 의도적으로 활용, 주도했던 엘리트들이라는 사 이들의 정치성이 당대 요업에 미친 영향은 거시적으로는 조선의 경제적, 물질적 착 취에 기반을 두었지만 도자교육, 도자인식, 도자창작 등에까지 그 영향력을 행사하 여 문화적 함의를 주도했다. 이른바 이 시기 증폭되었던 요업계의 현상들은 일본을 통해 수용된 산업도자, 창작도예를 대변한다. 그러나 재조일본인들이 주체가 되어 수용된 이 같은 요업 설계는 진부한 전승도자의 재현(再現)이라는 명목을 내세워 올 바른 계승과 보존을 침해하였다. 한편으로는 도자유물을 주도면밀하게 유출시켜 각종 문화사업이 발현된 점 역시 정치적 함의가 내포된 주요 맥락으로 해석된다. 무엇보다 이들 집단은 일제의 공업정책과 문화정책을 철저히 반영하며 각기 조 화로운 체제를 구축하며 요업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은 무단통치에서 문화통 치로 전환하는 강점 전반기와 1930년대부터 해방까지의 강점 후반기로 구분되어 뚜 렷한 활약상을 드러내었다. 특히 30년대를 거치는 동안 총독부 관료와 정재계 인사 들이 요업계로 대거 투입되면서 조선 요업의 대 공업화와 도자예술의 식민화가 가 속된 바 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조선통치에 따른 재조일본인 요업활동의 본질은 조선의 인 적, 물적 자원의 수탈을 통해 안정적 착취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고, 나아가 본국의 이윤창출과 한국도자의 맥락을 단절, 변용시킨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was focused on linking the ceramics activities of Japanese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ho advanced into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ith politics, and to reveal that the main flow of activities expressed by the related figures was made by the policie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In particular, h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igures who led the ceramics activities at the forefront were generally elites who intentionally instilled colonial officers. The influence of their politics on the contemporary ceramic industry was largely based on the economic and material exploitation of Joseon, but they exerted their influence on ceramic education, ceramic awareness, and ceramic creation, leading cultural implications. The so-called phenomena of the ceramic industry amplified during this period represent industrial ceramics and creative ceramics accepted through Japan. However, the design of ceramics, which was accepted as the main body of the Japanese Settler, infringed on the proper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s by proposing the means of traditional ceramics. On the one hand, the fact that various cultural projects emerged by leading and careful leakage of ceramic relics is also interpreted as a major context with political implications. Above all, these groups thoroughly reflected the industrial and cultural policies of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a harmonious system, and developed ceramics activities. This process is the strength of the transition from unauthorized rule to cultural rule in the first half and from the 1930s to liberation. It was divided into the second half and showed a clear performance. In particular, through the 30s, a large number of government officials and business officials were introduced into the ceramic industry, accelerating the industrialization of Joseon ceramics and the colonization of ce-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도자 전람회 개최에 따른 재조선 일본인 관료의 역할과 문화정치

        엄승희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2

        In order to analyze the exhibition related to ceram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thesis examines the organizer, the background, trends, and operating policies. During this period, various events specializing in the exhibition of ceramics and ceramics were exhibited in the space of exhibitions, symposiums, and expositions in accordance with the Japanese rule of operation.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was based on cultural governance, the meaning of the related exhibitions had many limitations in expressing the symbolism of modern culture. Porcelain was a major produ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various ceramic materials that could be produced were an essential resource. Japanese workers and bureaucrats in manufacturing strategically displayed raw materials from Joseon and finished ceramics with Japanese products to show superiority and superiority, and through the exhibition of creative ceramics, they encouraged to follow the banal tradition of Japanese taste rather than the perception of modern art.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exhibitions in this period were dominated by Japanese bureaucrats, it was far from modernized ceramics production and creative ceramics production to experience individual skills. Nevertheless, through the exhibition format, ceramics and creative ceramic works from various production areas were displayed in a certain spac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 production culture and skills that had not been experienced befor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n essenc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exhibition coexisted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개최된 도자 전람회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주최자를 비롯하여 그 경위와 동향, 운영방침 등에대해 고찰하였다. 이 시기 도자기와 도자유물들을 전문적으로전시하는 각종 행사들은 전람회, 공진회, 박람회 등의 공간에서 일제의 운영방침에 따라 전시되었다. 그러나 전시의 취지가 문화통치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관련 전람회들이 내포한 의미는 근대 문화의 상징성을 표출시키는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 도자기는 일제강점기의 주요 산물(産物)이었고 이를 제작할 수 있는 각종 도자원료들은 필수 재원(財源)이었다. 재조선 일본인 종사자들과 관료들은 전략적으로 조선산원료와 도자 완제품들을 일본 제품들과 동시 진열하며 우열을 가렸고, 창작도예 전람회를 통해서도 근대적 예술 인식이아닌 일본 취향의 진부한 전통성을 답습하도록 조장하였다. 이처럼 이 시기의 도자 전람회의 특성이 일본 관료들에 의해좌지우지되다 보니 근대화된 도자생산과 개인 기량을 표출할수 있는 창의적 도예활동은 요원하였다. 그럼에도 전람회 형식을 통해 비로소 각종 산지의 도자기들과 창의적 도예작품들이 일정 공간에 진열됨으로써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제작풍토와 역할을 발휘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의 도자 전람회는 본질적으로 성과와 한계가 극명하게공존하는 장(場)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