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기회공정성 인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엄승범 ( Eum Seung-bum ),김재우 ( Kim Jae-woo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1 한국사회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격차를 설명할 수 있는 연결고리로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초점을 맞춰 각각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 7차 한국 자료의 전체 표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였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행복은 사회계층적 위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좌우되지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교육, 취업, 직장에서의 승진 승급, 정규직화에 있어서 더 공평한 기회가 주어져 있다고 평가하며 그 결과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둘째, 자유로운 경쟁 속에서 노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가치관을 가질수록 사회계층에 따른 기회 불평등 인식의 격차가 완화되며 지각된 공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정적 관계 역시 약화된다. 셋째, 소득이 노력한 만큼 차등적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강하거나 또는 생계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중시하면서 국가에 의한 소득 재분배를 부정적으로 볼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기회공정성 인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기회의 평등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행복 불평등을 부분적으로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다. 나아가 본 연구는 경쟁과 노력의 미래 가치가 보장받지 못한다면 사회계층을 따라 기회공정성 인식은 물론 주관적 안녕감의 격차가 심화될 수 있으며, 생계의 책임을 개인에 두지 않고 소득 재분배를 지향하는 경우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만족이 기회공정성을 둘러싼 평가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것이라는 시사점을 남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equality of opportunities as a link that can explain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oeconomic value systems in search for intervening conditions. To this end, we estimat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7th wave of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for a representative national sample of Korean adults. First, we found that the happiness of Koreans is directly affected by their social class position, and a part of SES-based subjective wellbeing is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quality of opportunities across education,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transition of fixed-term to full-time workers. Second, perception of opportunity equality is les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happiness is weaker among those who tend to believe that competition is good and hard work, not luck or connections, brings a better life. Third, subjective wellbeing is more vulnerable to perception of opportunity equality among people who follow the equity principle or oppose income redistribution by the state in favor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conclusion, pursuing the overall equality of opportunities in Korean society seems to be one of ways in which happiness inequality across socioeconomic strata can be partially weakened.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if rewards for hard work and fair competition are not guaranteed, the gaps not only in perceived opportunity equality but also in subjective wellbeing may deepen between high and low SES groups. Furthermore, more egalitarian social values may mak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s free from the evaluation of equality in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