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umerical study on the lift-drag and cavitation performances of a two-dimensional hydrofoil using the Coanda effect

        엄명진,백광준,이주한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2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44 No.6

        As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 stricter, new and existing ships are required to reduce their carbon emission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high-performance ship with low carbon emissions. A variety of high-perfor-mance propellers are being developed worldwide to achieve this goal. In this study, the Coanda effect was applied to a two-dimensional hydrofoil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propeller.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as used to compare the lift and drag performance between NACA66(mod.) and Coanda hydrofoils in two dimensions.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each hydrofoil was compared for the same lift coefficient. The pressure distribution and cavitation performance of the hydrofoil with the Coanda effect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the NACA66(mod.) hydrofoil.

      • KCI등재후보

        제방의 안전을 고려한 소규모 충적하천 횡단면의 살계기법

        엄명진,조원철 한국수자원학회 200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5 No.3

        본 연구는 소규모 충적하천의 안정 하폭 및 수심의 결정기법인 Cheema 등의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이 기법은 기존 방법과는 달리 제방의 일체 파괴와 전단 파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제 하천의 관측 자료에 적용시켜 본 결과, Cheema등의 방법은 50m이하의 하폭을 가진 충적하천일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했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된 방법은 하폭 200m이내의 충적하천의 안정하폭 및 수심을 양호하게 산정하였다. 따라 In this study, the method of Cheema et al., which is used to decide stable width and depth of the small alluvial rivers, is improved to consider the stability of mass failure and shear failure of the bank effectively. This improved method is applied to th

      • KCI등재후보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 강수지역 구분과 계절별 및 연평균 강수량 분석

        엄명진,정창삼,조원철,Um,Myoung-Jin,Jeong,Chang-Sam,Cho,Won-Cheol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5

        본 연구에서는 관측소의 지리적 위치 및 강수특성(월별, 계절별, 연평균)을 이용하여 강원도의 강수지역을 구분하였다. 강수지역 구분은 기상관측소 66개소(기상관서: 11개소, 자동기상시스템(AWS): 55개소)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방법 중 군집 기법인 K-means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역구분 결과, 강수지역은 5개 지역(영동지방 1개 지역 및 영서지방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계절별 평균강수량은 봄에는 강원도 전체에 유사하게 발생하였으며, 여름에는 영서지방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영동지방이 높게 발생하였다. 연평균 강수량 및 여름철 강수량의 공간분석 결과 강원도 중 일부 지역(미시령 및 대관령일원)은 산악형 강수 특성을 나타냈으나 전반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관측소의 고도별 분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관측소의 보완 및 AWS의 자료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separated the precipitation zones us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stations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monthly, seasonal, annual) in Gangwon province. Precipitation data of 66 weather stations (meterological office: 11 locations, auto weather system (AWS): 55 places) were used, and statistical method, K-means cluster method, was conducted for division of the precipitation regions. As the results of regional classification, the five zones of precipitation (Yongdong: 1 region, Youngseo: 4 regions) were separated. Seasonal average precipitation in spring is similar throughout Gangwon Province, seasonal average precipitation in summer has high values at Youngseo, and seasonal average precipitation in autumn and winter have high values at Youngdong. The some areas, the vicinity of Misiryeong and Daegwallyeong, happens the orographic precipitation in spatial analysis, but the orographic effects didn`t occur for the whole Gangwon areas. However, to achieve more accurate results, the expansion of observatories per elevation and AWS data are demanded.

      • KCI등재

        지속시간 및 표고에 따른 강우량 보정에 관한 연구

        엄명진,조원철,임해욱 한국수자원학회 200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0 No.7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내 강우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강우지속시간 및 표고에 따른 강우량 보정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기상청 관측소(기상관서:4개소, AWS:13개소)의 시우량 자료와 표고별 분포를 이용하여 표고와 강우지속 시간에 대한 다항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귀된 모형의 평가에서 강우지속시간은 표고보다 강우량과 좋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강우량 보정시 표고만을 고려한 모형은 과대한 보정을 하였다. 따라서 수자원 설계시 기존의 표고만을 고려한 모형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rainfall adjustment on duration and topographic elevation for rainfall data in Jejudo. The method of rainfall adjustment is based on the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hourly rainfall data and

      • KCI등재

        강원도 지역의 PRISM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분포 해석

        엄명진,정창삼 한국수자원학회 201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지역인자를 이용하여 지점 강우량과 면적 강우량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강원도는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로 형성된 산악지형이며 태백산맥 동쪽 (영동지방)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평야의 발달이 취약하고, 태백산맥 서쪽 (영서지방)은 경사가 완만하여 남 북한강의 대하천이 발달하고 곳곳에 산지가 분포되어 있는 복잡한 지형이다. 강원도 지역의 확률강우량 공간분포를 산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인근의 기상관측소 66개소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강우의 공간 In this study, the regional factors in Gangwondo were use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int precipitation and areal precipitation. The most province area in Gangwondo is consist of mountainous terrain. At the east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 KCI등재

        GPD 모형 산정을 위한 부분시계열 자료의 임계값 산정방법 비교

        엄명진,조원철,허준행 한국수자원학회 200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1 No.5

        GPD 모형은 수문학 극치확률량 해석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극치 통계의 주목적은 드문 사상의 예측이며, 주요 문제점으로는 임계값 또는 임계값 초과치들에 대한 정확한 산정방법이 없어 그 추정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계값 또는 임계값 초과치들을 산정하기 위하여 4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비교를 위하여 GPD 모형에 적용하여 7개의 지속시간(1, 2, 3, 6, 12, 18 및 24시간)과 10개의 재현기간(2, 3, 5, 10, 20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GPD) is frequently applied in hydrologic extreme value analysis. The main objective of statistics of extremes is the prediction of rare events, and the primary problem has been the estimation of the threshold and the excee

      • KCI등재

        강원도 지역의 최적 확률 강수 공간분포 해석방법

        엄명진,정창삼,이태삼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1

        In the current study,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quantiles for the precipitation data of 75 stations in Gangwon province. The results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show that the generalized logistic distribution is the best fit for the Gangwon area. The four methods of spatial analysis were adopted with the quantile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s Thiessen,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Barnes method, and 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s Model (PRISM). Thiessen method presents the discontinuity in the quantiles of spatial distribution between observations. In the case of IDW method, the quantiles are concentrated around observations. Barnes method presents the averaging phenomena of quantiles and these phenomena become more serious when the effective radii become large. PRISM method considers the topographic variables rationally and maintains 85.18~89.89% of max-min ranges of quantiles. Accordingly, the IDW and Barnes methods are not applicable for the rainfall-runoff model.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PRISM in the current study is the best alternative among the four spatial analysis methods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in Gangwon area.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 확률 강수의 최적 강수공간분포 해석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내 기상청 관할의75개 관측소의 자료에 대하여 지역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지역빈도해석결과 GLO 분포형이 강원도의 최적 분포형으로 나타났다. 산정된 확률강수량을 적용하여 4가지 강수공간분포 해석을 수행하였다. Thiessen 방법은 강수의 공간적 불연속성을 나타내었으며, IDW 방법은 강우관측소 주위의 강우분포 집중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Barnes 방법의경우 확률강수량이 평균화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유효반경이 커질수록 뚜렷해졌다. PRISM 방법은 지형요소들을 적절하게 고려하였고 85.18~89.89%의 최대-최소범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IDW 방법 및 Barnes 방법을 통한 확률강수량의 공간분포 적용시 강우-유출모형을 통한 충분한 검증 후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강원도 지역에 적용한4가지 공간분포해석 방법들 중 PRISM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CLM 및 CLM-VIC를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의 과거 가뭄 분석

        엄명진(Myoung-Jin Um),김정빈(Jeongbin Kim),김문모(Mun Mo Kim),김연주(Yeonjoo Kim) 응용생태공학회 2018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CLM 및 CLM-VIC의 모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에 관측된 동아시아 지역의 가뭄을 분석하였다. 관측 자료는 CRU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기간으로 1951 - 2010년을 설정하였다. 기상학적 가뭄 지수인 SPEI를 산정하기 전에 연평균 강수량, 기온 및 증발량에 대한 각각의 비교 및 검토를 수행하였다. 각 모의 자료들이 국지적으로는 관측 자료와 미소한 차이를 보이나 동아시아 전반적으로는 유사한 시공간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간주되어 SPEI 산정 시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PEI 산정결과들을 기왕 대표 가뭄 및 연구 기간에 대한 빈도 해석을 통하여 검토한 결과, CLM 및 CLM-VIC는 관측 가뭄인 CRU와 공간적으로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다만, 가뭄의 정도가 심해지면 그 유사성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drought in East Asia was analyzed with the Community Land Model (CLM) and CLM-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 (CLM-VIC). The observation dataset, Climate Research Unit (CRU), were also applied to check and estimate the historical drought for 1951 - 2010. The annual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evapotranspiration by CRU, CLM and CLM-VIC were investigated before estimating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which is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Three variables by observation and simulations have generally similar spatial pattern in East Asia even though there are some m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l area. These similar patterns are also founded in the results of SPEI by CRU, CLM and CLM-VIC. However, the similarity of SPEI becomes weaker as the drought severity goes severer from D1 to D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