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지역 산업단지의 제조업체 특성과 환경관리 대응 방안

        엄경흠 ( Kyoung Houm Eom ),배상대 ( Sang Dae Bae ) 한국슬로시티연구학회 2011 슬로시티연구 Vol.5 No.-

        This paper only manufacturer of industrial properties and i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industrial park accounted for 44% of steel and machinery, and environmental standards that exceed the PM-10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were found. Particles likely to cause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concerns and increases the damage of the surrounding area. In particular, the existing lung or heart disease in adults or children may be affected. Thus, the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es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is necessary.

      • KCI등재

        [韓中詩史] 收錄 韓中 外交와 使行詩에 대하여

        엄경흠(Eom, Gyeong-Heum)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한중시사]는 한국과 중국의 오랜 관계 속에서 시의 창작이 가능했던 상황들을 제시함으로써 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한 점, 창작된 시의 표현을 통해 외교 상황을 이해하고, 서로의 외교 관계 변화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점, 시의 창수와 경쟁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시인들의 시적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점 등에서 대단히 유용한 책이다. 필자는 한중시사의 한·중 사행시를 살펴본 결과 시대 상황과 국제 관계에 따른 양국 사행시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지적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과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절의 사행시는 설화에 가까운 이야깃거리로 인용하면서 제대로 된 고증을 하지 않았다. 둘째, 唐과 宋에 국한하여 金과 元 및 契丹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행시가 전혀 없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李承休, 鄭夢周, 鄭道傳, 李崇仁 등 麗元 및 元明 교체기에서의 사행시에서 원과의 관계가 충분히 표현된 작품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급이 없다. 셋째, 중국 시인과 한국 시인의 시적 능력을 비교하는 내용을 제시하거나, 필자가 논평을 하여 한국 시인의 실수 및 시적 열등성을 표현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넷째, 중국 사절의 사행시는 단 한 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송시만 인용 하였다. 송시가 상당히 객관적인 외교 관계에 대한 인식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으나, 사행시의 특징인 다양한 외교적 상황의 묘사나 양국에 대한 상호 인식의 표현들을 볼 수 없도록 하였다. 다섯째, 중국 사절의 사행 및 사행시의 창작이 뒷시대까지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시기에서 단절된 것처럼 정리하고 있다. 여섯째, 여금, 여원 관계는 마치 평화로운 상황만 처음부터 지속되었던것처럼 설명하고, 시를 제시하여 다양한 상황의 전개나 시의 표현을 볼 수 없도록 하였다. 특히 여원 관계에서 李齊賢, 李穡 등이 중국인들과 교유하고 증수한 예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용은 모두 빠뜨렸다. 필자가 [한중시사]를 읽고 이해하고자 했던 시기는 외교 관계의 모든 경우들이 혼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외교 행위에서 창작되어진 사행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가 함께 하는 외교의 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제대로 제시하고, 다양한 시들을 제대로 고증 인용하여 외교 상황이 제대로 표현되고 있는지, 창수의 경우라면 서로가 어떠한 교류의 감정과 외교적 사고를 교환하고 있는지, 이를 통한 시의 전개와 발전은 어떻게 가능했는가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s a exceedingly useful book in such points as it makes us deepen poetry understanding by presenting situations possible to create poems in the long relationship of Korea and China, as it leads us to comprehend then diplomatic situations and changes of recognition in the bilateral diplomatic tie, and review poetic developments of two nations’ poets with a focus on poems created and exchanged competitively. After reviewing poems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diplomatic envoys in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 could find out general changes in diplomatic poetry of both countries depending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spite of above mentioned usefulness, the book has the following limits. First, Korean envoy’s diplomatic poetry is cited as a story similar to a folktale and its historical truth has not been ascertained. Second, the book limits its explanation to the Tang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hinting there was no diplomatic poetr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Jin Dynasty, Yuan Dynasty and Khitan. For instance, even though such envoys as Lee Seung-hyu, Jeong Mong-ju, Jeong Do-jeon and Lee Sung-in described in their diplomatic poems the tie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Yuan to Ming Dynasty, no mention is made. Third, it presents contents comparing abilities of Chinese and Korean poets and points out errors and poetic inferiority of Korean poets in the author’s reviews. Fourth, all Chinese envoys’ diplomatic poems cited are farewell verses except one. These parting poems are in a sense positively received as they reveal a fairly objective recognition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ut descriptions of diverse diplomatic situations and their awareness, features of envoy’s diplomatic poetry, are not found. Fifth, though Chinese diplomatic envoys and their creation of poetry continued up to later years, the book concludes these activities were done in a particular period. Sixth, Only the peaceful period was explained as continued from the beginning of the ties between Goryeo and Jin, Goryeo and Yuan, and so it is not possible to see developments of various situations and poetic expressions. Especially, the cases that Goryeo scholars Lee Je-hyeon, Lee Sak and Lee Seung-hyu had mutual social intercourses with Chinese in the period of the Yuan Dynasty are all missing. The period I tries to understand by reading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s the circumstances where all the cases in diplomatic relations were mingled. To comprehend the envoys’ poems created in these diplomatic acts, all situations occurring in the diplomatic field concerning many nations should be properly presented, diverse poems should be historically investigated and cited to confirm that diplomatic situations are rightly described, and what emotions of social intercourse and diplomatic thoughts transmitted in the cases of exchanging poems and through these literary exchanges, what poetic developments possible should be examined.

      • KCI등재

        논문 : 정몽주와 권근의 사행시에 표현된 국제관계

        엄경흠 한국중세사학회 200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6

        In last pereod of Goryeo(高麗) dynasty, Myeong(明) dynasty cared Goryo dynasty conspires with a Bugwon(北元) force and closed Ryaotung(遼東) for efficient control about Goryo dynasty. Therefore the envoy of that time only chose the sea route. But Gwon, Geun(權近) went to Bcijing(北元) vicinity and entered Nanjing(南京) through the canal and came back home through the sea route in 1389. Gwon, Geun returned with the letter of Myoung Emperor at that time. This letter's possibility to be forged is big. Gwon, Geun must keep the discussion about enthronement of king really and dethronement of imitation king(廢假立眞) by this letter. Therefore he could not choose long land route which the period takes. The 『Bongsalog(奉使錄)』 of the Gwon, Geun is the content of the course which start in June 1389 and comes back to September 1389. He described a that time circumstances of the Myeong dynasty so that he was quite minute. A minute description of the Gwon, Geun was the purpose to grasp the circumstances of the Myeong dynasty. In the envoy poetry Jeong, Mong-Ju(鄭夢周) and Gwon, Geun expressing the international relation of that time in the world which to be unified around the Myeong dynasty to be unified. But Nahachu(納哈出) did not surrender when the Jeong, Mong-Ju went to the envoy. Therefore Jeong, Mong Ju recognized the international relation of the day to a military confrontation relation. And Myeong dynasty wish excessive requirement. And there is so many restriction in the route which the envoy goes. Therefore Jeong, Mong -Ju did not think about the Myeong dynasty so that it was good. Nahachu surrendered when Gwon, Geun went to the envoy. And he could go through the Ryaotung. Therefore he thought about the Myeong dynasty so that it was very good. And he expressed very much north races including the Bugwon so that he was humble. This is the direct opposition with his thought about the Myeong dynasty. We can know in his such expression that he is familiar with the Myeong dynasty and disliked the Bugwon.

      • KCI등재

        高麗後期 對中國使臣 送詩에 表現된 外交認識의 變化와 그 意味

        엄경흠(Eom Kyung-Hu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고려 후기는 蒙古의 침략과 元의 성립, 漢人 群雄의 등장으로 인한 원의 쇠퇴, 明의 등장과 北元의 퇴진 등 국제관계가 급격히 변하던 시기였다. 이시기 중국의 여러 세력들은 고려의 후원을 기대하고, 고려 또한 그들의 변화를 관찰하며 대내외적인 개혁과 안정을 추구하였다.<BR>  이러한 당시 동아시아의 변화와 이에 대처하는 외교에는 수많은 사신들의 활약이 있었으니, 한인 군웅들은 사신의 파견으로 고려와의 관계를 모색하였고, 고려도 적극적으로 답하였다. 이는 원에 대한 고려의 事大政策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며, 새로운 세력과의 적극적인 관계 모색이라 할 것이다.<BR>  이 시기에 많은 사신들을 보내면서 주었던 送詩는 자신이 사행하면서 쓰는 것이 아닌, 사신을 보내면서 쓰는 것이기 때문에 사신 개인에 대한 기대와 파견 대상국에 대한 평가가 우선된다. 따라서 송시를 통해 당대의 외교인식을 살펴보고 이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BR>  이규보가 활동하던 시기는 이와는 달리 이제 막 흥기하는 몽고의 세력에 대처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몽고는 흉포하고 무도하여 교화가 필요한 존재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BR>  몽고족인 원의 성립과 그들과의 관계에 직면했던 이제현을 비롯한 당시 사대부들의 태도를 보면, 그들은 몽고족이 아닌 천자국으로 원을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원의 종족적 가치보다는 외교적 역량에 더욱 가치를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대목이다.<BR>  그리고 고려 말 공민왕의 개혁정치가 시작되면서 張士誠, 方國珍, 朱元璋 등과의 관계 모색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있어 사대부들의 태도를 보면, 원에 대한 그들의 외교적 인식은 결코 의리에 중심을 둔 것이 아니라 외교적 역량에 관계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BR>  이러한 외교적 역량 중심의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은 원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고려 말 국제관계의 혼돈 양상 속에서는 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BR>  이로 볼 때 고려 시대의 외교관계는 종족적이거나 의리로서의 事大 지속이 아니라, 형세의 변화에 따른 외교적 역량의 우열이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obility"s understanding of diplomacy through the valedictory poems written when many envoys were sent to Chin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period of diplomatic chaos. As valedictory verses were written not by the diplomat himself but by those who sent him at the time of his departure, the expectation of the envoy and the assessment of the destination nation are first considere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diplomatic understanding in the given period by means of valedictory poems and their periodic variations.<BR>  The late Goryeo Dynasty was the period when international relations were changing quickly with the invasion of Mongolia and the foundation of the Yuan Dynasty, the decline of the Yuan Dynasty due to the emergence of many Chinese rival leaders, and the fall of the Northern Yuan Dynast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Ming Dynasty. Many Chinese powers in the period expected the support of Goryeo and Goryeo also sought to introduce domestic and foreign reforms and stability by watching their changes.<BR>  The East Asian tumultuous time and diplomacy dealing with it needed the activities of many envoys. Among many Chinese leaders, Jang Sa-seong(張士誠) tried to make a good relation with Goryeo by actively dispatching diplomatic representatives and Goryeo responded to his efforts positively. This means a change in the worship of the powerful to the Yuan Dynasty and a positive search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new power.<BR>  The period when Lee Kyu-bo was in charge, it was urgent to cope with the newly~emerging Mongolian power. As a result, to him, Mongolia was recognized as a brutal and rude presence to be enlightened. This recognition was in part cau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Kyu-bo and Choe military regime, but Mongolia could not overcome the diplomatic recognition of Goryeo at that period. If Lee Kyu-bo lived until the foundation of the Yuan Dynasty and its intervention in the domestic affairs of Goryeo, what happened to the diplomatic recognition of Goryeo for Yuan is a question to be asked. In answer to this question, it is thought that Lee Kyu-bo might have expressed the Yuan Dynasty as a diplomatic object to worship as an emperor"s nation since the utilitarian aspect of diplomatic relations was more important to the Goryeo diplomacy than the loyalty on which the Joseon Dynasty later focused.<BR>  Examining the attitude of the then noble men including Lee Je-hyeon who were faced with the foundation of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golian dynasty Yuan, they recognized it as a emperor"s nation Yuan not as a simple Mongolian kingdom. This shows that they valued the diplomatic capacity of the Yuan Dynasty more than the racial origin.<BR>  Thi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cusing on the diplomatic power was applied to the Ming Dynasty in the chaotic situation of foreign relation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well as to Yuan.<BR>  It is found out that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Goryeo period was inclined to concentrate on the diplomatic capability depending on situational changes, not on the racial origin or the loyalty to continue the worship to the power.

      • KCI등재

        월천(月泉) 신오(辛澳)의 생애와 문학

        엄경흠(Eom Gyeong Hue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18세기는 16세기와 17세기의 혼란을 겪고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 있던 시기다. 그런데 그 수습의 과정에서 당파가 강하게 대립하다 결국은 노론이 최종의 승리자가 된다. 이 시기 많은 문인들은 과거를 보아 벼슬을 하려 하였으나 벌열의 과거 장악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에 벼슬은 멀리 하고 은거하며 글을 쓰고, 제자를 키우는 등 그들의 책무라고 할 수 있는 일에 매진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뚜렷이 겪고 그것의 가시적 확인이 가능한 곳은 중앙 지역이라고는 하지만, 이전에 과거를 보아 벼슬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졌던 지역의 선비들에게는 과거에의 응시 의지조차 앗아버리는 결과가 되었다. 월천(月泉) 신오(辛澳)는 기장읍 교리에서 태어나 스스로 월천정(月泉亭)을 지어 스스로의 학문과 수양에 정진하고, 용산재(龍山齋)에서는 제자들을 길러내며 평생을 향리에 머물러 있었다. 그의 문집 『월천선생일고(月泉先生逸稿)』는 1939년 12월 10일 인쇄하고, 1940년 1월 15일에 발행하여 후손이 보관하고 있다. 권1에는 시(詩)가 21수, 소(疏) 1편, 서(書) 32편, 잡저(雜著) 3편, 논(論) 2편, 서(序) 2편, 기(記) 4편이 있다. 그리고 2편의 발(拔)과 1편의 잠(箴), 2편의 명(銘), 2편의 제문(祭文), 2편의 상량문(上梁文)이 있다. 권2는 부록으로 기증된 시들로 <월천정 제영 서술(月泉亭題詠敍述)>을 비롯한 모두 14편이 실려 있다. 필자는 월천 신오의 문집을 통해 그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정리하고, 시와 여타의 자료를 분석하여 그가 지향했던 가치와 구현하고자 했던 세계를 살펴보았다. 신오는 스승인 권적과 작고한 지역의 선배 김방한을 모범으로 하고, 동 시대의 지역 선배인 김학과의 교유 및 제자 양성을 통해, 18세기 당시 지역 선비로서의 목표를 스스로를 수양하고, 학문적 역량을 함양하여 미래 기장을 책임질 수 있는 후학들을 기르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스승이나 동학 및 제자들과 주고받은 학문적 문답에서 뿐만아니라, 자연 경관을 노래하는 시에서도 시의 초점을 경관에 두지 않고 역사적 회고에 맞추는 등 역사의 극복과 미래 지향으로서의 문학적 형상화에 두고 있는 점에서 더욱 잘 확인할 수 있다. Wolcheon(月泉) Sin-o(辛澳) was born in Gyo-ri(校里), Gijang-gun(機張郡) and was devoted to learning and self-cultivation after building Wolcheonjeong(月泉亭) by himself. He educated Confucian disciples in Yongsanjae(龍山齋). His collection of works, 『Wolcheonseonsangilgo(月泉先生逸稿)』 was printed in December 10, 1939 and published in January 15, 1940. It has been handed down to and preserved by his descendants. Volume 1 of the book includes 21 poems, 1 petition, 32 epistles, 3 miscellaneous writings, 2 theses, 2 prefaces, 4 essays along with 2 postscripts, 1 aphorism, 2 inscriptions, 2 funeral odes, and 2 records celebrating the topping out. Volume 2 is the supplement to the collection and contains 14 poems contributed to it including A Depiction of Wolcheonjeong Poetry. The values he aspired to and the world he wished to realize is investigated by summing up his life and relationship and analysing poems and other materials through Wolcheon Sin-o's collection of works. Sin-o took his master Gwon Jeok(權적) and local senior scholar Kim Bang-han(金邦翰) as role models, kept company with another contemporary local scholar Kim Hak(金澩) and taught students. Through these activities, he tried to break through the dark 18th century scholarly milieu and establish a basis for the future Gijang.

      • KCI등재

        이승휴(李承休)「빈왕록(賓王錄)」시의 시공성(時空性) 연구

        엄경흠(Eom, Gyeong Hum)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39

        Lee Seung-hyu arrived at Khanbaliq, the capital of the Yuan Dynasty in 1273(the 14th year of Wonjong) as Seojanggwan(書狀官) of Hajinsa(賀進使) Sunanhu Wangjong(順安侯 王悰), the son of Wonjong(元宗) with the mission of congratulating the empress and the crown prince on their installation. Though the Jungseo Munha Seong(中書門下省) and Jungchuwon(中樞院) did not interview him as he had no official position, he asked three times to be considered again and was finally appointed as Seojanggwan, With Wonjong's absolute confidence, he started on June 9, 1273 and returned to Wanggyong(王京 : capital) on October 3, 1273. Binwanglok was created in this period and was completed in 1290, 17 years after he returned from his diplomatic mission. This paper aims at grasping Lee Seung-hyu's agonies as a human being and his diplomatic intentions that scholars discussed previously by investigating how the changes of chronotope(time and space) in the poems of Binwanglok reflected on the narrator's thought and behavior. Lee Seung-hyu's political ideal and purpose of writing the work as well as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Yuan Dynasty were thoroughly concentrated on raising present situations and overcoming them, not on the issues of the past and the future. 이승휴는 1273년(원종 14) 황후와 황태자의 책봉을 축하하는 하진사(賀進使) 원종(元宗)의 아들 순안후(順安侯) 왕종(王悰)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원(元)나라 수도 대도(大都)에 도착한다. 관직이 없다는 이유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이 점망(點望)하지 않은 것을 세 번이나 개망(改望)한 후 서장관으로 임명된 그는 원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업고 1273년 6월 9일 출발하였다가 10월 3일 왕경(王京)으로 돌아왔다. 「빈왕록(賓王錄)」은 이때의 기록으로 이를 완전히 정리한 것은 사행에서 돌아온 지 17년이 지난 1290년이다. 본고는 「빈왕록」 시에 제시되어 있는 시공성(時空性)의 변화가 어떻게 작중 화자의 사고와 행위로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하여, 앞선 논자들이 논의하였던 이승휴의 인간적 고뇌와 정치 외교적 지향의 실체를 파악하는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이승휴의 역사와 원에 대한 인식 및 정치적 이상과 저술의 목적은 과거와 미래의 어떠한 것보다 현재 상황의 제시와 극복에 철저히 집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회산(晦山) 양재팔(梁在八)의 지역에서의 삶과 지향

        엄경흠 ( Eom Gyeong-heu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7 No.-

        양재팔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거쳐 살아간 김해의 문인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는 내외적으로 혼란이 극단으로 치닫던 때였다. 그의 생애는 이러한 시대의 변화와 거의 같은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그의 생애는 큰 변화를 중심으로 나누어보면 성장 모색기. 환로(宦路) 혼돈기. 은퇴 한적기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생애 변화와 당대의 사회 변화는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의 성장 모색기는 1892년 과거의 급제로 환로 혼돈기로 넘어가는데, 이 시기는 1894년 갑오경장으로 과거제도가 폐지되기 2년 전으로 과거제도의 폐지가 있었다면 양재팔 자신도 평생 해왔던 과거 공부의 보람을 찾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보람도 잠시, 1892년부터 시작된 환로는 뜻하지 않은 1910년의 국권 상실로 그의 은퇴 한적을 자연스럽게 가져왔다. 양재팔에게 있어 가장 영향을 강하게 끼쳤던 인물은 어린 시절 스승 서파 양정환, 성장하고 난 이후의 스승 성재 허전이다. 아울러 성재와의 관계 속에 오랜 세월 심적 교유를 했던 노필연과 노상직이다. 이들은 부모님을 위한 공부로 보람이 되었던,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른 혼돈의 환로기 18년을 제외한 나머지 50여 년 생애 동안 양재팔의 삶의 태도와 미래에 대한 지향을 유지하도록 한 인물들이었다. 사실상 이들과의 관계에서 이루어낸 학문과 교육의 태도가 그를 그답게 유지시켰던 바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은퇴 한적기 박필채, 문성준, 이광욱, 양재일, 김병훈 등 동래 선비들과의 교유 또한 그에게 교육이라는 미래의 지향을 꿈꿀 수 있도록 해주었다. 양재팔은 사실상 거창한 사업을 벌이거나, 치열한 삶의 태도를 보이거나 한 인물은 아니다. 그러나 혼란한 시대 김해라는 지역에서 제대로 된 김해와 김해 사람을 위해 스스로 실천하고 가르치는 교육자요 학자로서 살아간 인물이다. 그에게 있어 스스로의 태도는 스승의 뜻을 어기지 않고 떳떳하게 지켜야 할 군자로서의 실천이었으며, 그에게 있어 눈앞에 있는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지향은 바로 후학들의 교육이었다. Yang Jae-pal is a man of letters who lived in Gimhae(金海) arou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is period was extremely chaotic both at home and abroad. His life developed almost the same as the changes of the period. His lifetim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of groping for growth, chaotic public service and leisurely retirement. And these shifts in him are nearly identical to the social changes in his era. His groping for growth period switched into that of chaotic public service in 1892 as he had passed first in the state examination called gwageo(科擧) two years before the gwageo system was abolished. If the system had discontinued before that event, he wouldn’t have been paid off for his study for the examination. The reward of the public post, however, didn’t last that long because the nation lost its sovereignty in 1910 and naturally he was forced to retire. Those who influenced Yang Jae-pal most are his boyhood master Seopa(西坡) Yang Jeong-hwan(梁禎煥) and his adulthood teacher Seongjae(性齋) Heo Jeon(許傳). In addition, also influential are Noh Pil-yeon(盧佖淵) and Noh Sang-jik(盧相稷) who associated with him for a long time. These figures made Yang Jae-pal maintain his attitudes towards life and future for some fifty years except for 18 years when he studied to please his parents and served as a public officer in confusion due to the changes of the period. His bearing in relation to learning and education resul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the very foundation that made him what he was. During the leisurely retirement period, his social intercourse with such Dongnae scholars as Park Pil-chae(朴苾彩), Moon Seong-jun(文聲駿), Lee Gwang-uk(李光昱), Yang Jae-il(梁在日) and Kim Byeong-hun(金秉勳) led him to dream his own future-oriented educational dream. Yang Jae-pal is not a figure who embarked on a grandiose business or showed a fierce attitude to life but an educator and scholar who practiced himself and taught the people in Gimhae in the chaotic period only for the sake of the place and people. For him, a scholarly attitude is to practice as a man of virtue following his master’s will and an aim to overcome the reality at hand is to teach the disciples.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의 환경관리 특성조사

        엄경흠 ( Kyoung-houm Eom ),배상대 ( Sang-dae Ba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부산지역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의 환경관리 특성을 파악하여 환경관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부산지역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가 밀집된 지역으로 신평· 장림산업단지, 사상전용공업지역, 녹산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통계프로그램 SPSS Win 12.0K을 이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산업단지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문항의 독립성과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분석을 통한 산업단지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산지역의 산업단지에 입주한 배출업소의 종사원 규모는 10명 이내가 4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도 매출액기준으로 10억 미만이 46.6%를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 영세한 중소기업으로 분포되어 있다. 환경시설에서 대기배출시설이 45.7%를 차지하고 있으며, 폐수배출시설은 49.5%를 차지고 있는 것으로 대부분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에서 대기 및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시설의 환경전담 부서 및 전담인력에서 담당자만 있는 경우가 71.6%이며, 환경전문 자격증이 없는 환경업무 경력만 가지고 있는 경우가 89%를 차지하고 있다. 환경업무의 중요도에서는 77.4%가 중요한 업무로 인지하고 있으며, 환경규제 제도에서는 53.4%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부산지역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의 영세한 사업장의 비율이 높은 점을 가만하면 환경 인적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환경시설을 개선하는 데 있어 애로사항으로는 자금조달이 59.2%로 환경시설을 개선하는 데 애로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지원 부족은 66.4%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술정보의 애로점으로 46.4%의 응답을 하였으며, 환경전문 인력 수급에 51.2%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중소기업의 경영사항이나 환경시설에 대한 투자 여력이 부족해 나타나는 부분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산지역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는 환경시설에 대한 전담인력이 비전문가가 운영하고 있어 위기사항에 대한 대처가 부족할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환경정책적 지원제도로 환경인력에 대한 채용이나 인턴제도를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환경시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안정적인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erives methods for the efficient environmental management by bette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at the environmental pollutant emission sites in Busan region. There are a high density of environmental pollutant emission sites, so this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centered on the Sinpyeong-Jangrim Industrial Complex, Sasang Industrial Complex, and Noksan Industrial Complex in Busan region. For the survey,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2.0K was used to conduct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lso,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individual industrial complex better, a cross-analysis of each industrial complex was conducted by using thechi-square method and the independence and correlation of each question was analyzed. In Busan`s industrial complexes, 45.6% of the companies that were responsible for emissions have less than 10 employees. Nearly 46.6% of the companies recorded sales of less than one billion won in the previous year, which means that majority of the companies we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mong environmental facilities, 45.7% were atmospheric emissions facilities and 49.5% wer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which shows that atmospheric and waste-water emissions/discharge facilities were mostly installed at the environmental sites. In 71.6% of the cases, only one representative was in charge of addressing the environmental needs of the facilities, and in 89% of the cases, the representatives had only environmental work experience without any certifie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Nearly 77.4% of the companies admitted that environmental work was important, and 53.4% identified environmental regulation systems as being highly important. Given the higher number of small-sized enterprises in the industrial complex in Busan region, inadequate human resources was cited as the primary reason for insufficient focus on the environment. Nearly 59% of the companies complained that funding was required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66.4% complained about the lack of the government support. Also, 46.4% responded that the lack of availability of technical information was an obstacle, and 51.2% felt that the supply and demand of professional environment-related manpower was a challenge. The lack of margins for investing in management issues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also regarded as a part of this challenge.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enterprises that were responsible for emissions in Busan region and suffered from unprofessional management from their environmental personnel. The companies also lack a means for dealing with a crisis; we believe that a plan needs to be devised to support an employment or an internship system for the environmental work through its policy support systems. Companies need systematic support to build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facilities as well as stable managements.

      • KCI등재

        부산 지역 신선 관련 지명의 형성에 대한 연구

        엄경흠(Eom, Gyeonghue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부산은 강과 바다와 산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 탓에 신선의 땅, 삼신산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사실 부산을 신선의 땅이라고 생각하는 인식은 다른 지역과 다를 바 없이 隱逸, 養生, 修道 등의 태도를 가진 전통적 신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오래 전부터 지형이나 경관을 보고 신선의 땅으로 생각하는 시각적 인식 태도는 많지 않았다. 그 결과 신선과 관련된 오래된 지명들은 모두 은일, 양생, 수도 등 신선사상과 관련된 인물과의 관련성이 있는 곳, 그 가운데서도 산에 국한되었고, 막연한 신선과 관련된 지명은 나타나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동래를 ‘동쪽의 蓬萊’라는 지명의 유래로 설명할 수는 없다. 조선조 말은 전통적인 신선사상이 민족적인 신선, 산신사상으로 확대되면서 신선의 땅에 대한 인식 또한 확대되어 갔고, 이러한 인식에 삼신산의 환상이 더해져서 부산에서도 원래 제대로 된 행정적 지명이 없던 지역, 특히 바닷가에 신선 관련 지명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일본식 지명으로 바뀌었던 지명은 해방 후 원래의 지명을 회복하거나 새로운 지명을 획득하게 되었다. 특히 일본인 들이 많이 생활하였던 해안가의 지명들은 조선조 말에 형성된 신선의 지명으로 회복되어 가거나, 새로운 신선의 땅으로 이름 지어지는 경향이 확대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조선조 말 형성되었던 민족주의적 신선, 산신사상에다 해방을 맞이한 상황에서 일본에 대한 반일의 감정까지 더해져 생겨난 현상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이 부산의 남쪽 바닷가를 신선의 땅으로 이름지어가게 된 연유였다고 생각한다. Busan was thought of as a land of Sinseon(a Taoist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because of its beautiful scenery of the sea, rivers, and mountains in harmony. This conception of Busan as a land of Sinseon has arisen from the traditional thought of Sinseon having the attitudes of seclusion, regimen and discipline, not unlike other regions. Since long ago, not many attitudes of visual recognition of Sinseon land have been formed on the basis of topography and landscape. As a result, old place names related to Sinseon were limited to regions known for the Taoist hermit ideology of seclusion, regimen and discipline, and place names vaguely associated with Sinseon were rarely developed. Thus, Dongnae cannot be explained as the East Bongnae. Aroun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the traditional Taoist hermit ideology developed into the national ideology, the conception of Sinseon land also expanded. Following this trend, many names associated with Sinseon came into being in Busan places where no proper administrative names existed. Especially. those place names changed into Japanese o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covered their original names or obtained new ones. The trend was expanded that seaboard areas where many Japanese lived regained their Sinseon names formed in the end of Joseon or were given new Sinseon associated names.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arisen from the combination of the nationalist Taoist hermit ideology developed around the Joseon Kingdom and the anti-Japanese sentiment around the national liberation from Japan. This is the reason why the southern seaboard of Busan was named as the land of Sinseon.

      • KCI등재

        환경규제 정책수단이 환경인식과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엄경흠 ( Kyoung Houm Eom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2 環境政策 Vol.20 No.1

        This thesis examined the influential power and the intensity of the policy means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that influenc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that influence the economic goal and strategic target outcomes. There are few empirical researches on verifications of the types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implement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influencing the business outcomes of enterprises. Accordingly, the necessity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perception and influential power of those regulated is raised for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means for the industrial sector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policies. So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means of business units emitting pollutants into the influential power and intensity of environmental regulation means and the direct regulations limiting direct actions and the indirect regulations inducing the actions, and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biding by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normative, social, and economic perception, and set up the control effects on the research hypothesis and emitting scale of influence that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have on the competitiveness and the financial outcomes set as the economic goal of enterprises and the non-financial outcomes set as strategic goal, and pres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implications in deciding the future policies of the policymakers by using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