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미시구조 분석 : 투자자의 전략적 거래행동을 중심으로 Investor's Strategic Behavior
엄경식,한상범 한국선물학회 2003 선물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에서 기대듀레이션, 거래빈도, 건당 거래량, 만기까지의 잔존기간 등의 시장통계량을 이용하여 투자자들의 전략적 거래행동을 ACD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3개월간 일중자료를 사용하여 KOSPI200 주가 지수 6월물, 7월물, 8월물 콜옵션과 풋옵션 등 6개 종목 "등가격"에서의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첫째,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에서는 거래빈도가 건당 거래량보다 옵션가격의 미래 변동성을 예측하는데 보다 우수한 시장통계량임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다음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1) 주가지수 옵션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그들이 보유한 정보를 일시에 활용하기보다는 소규모 거래량으로 분할하여 투자행위를 수행한다. 또는, (2)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주요 참여자인 기관 및 대규모 투자자의 주요 투자행태인 "델타중립전략"에 따른 결과이다. 둘째, 현 시점의 듀레이션이 미래 시점의 듀레이션에 끼치는 영향력은 매우 지속적이었으며,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경우 ACD 모형을 추정할 때 듀레이션의 표준화된 분포는 r 가 1보다 작은 Weibull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은 주식시장의 경우와 달리 가격변화의 일중패턴이 무정형이어서 해석에 어려움은 있으나, "시초가와 종가의 변동성은 낮고 그 사이 발생한 옵션가격의 변동성은 매우 크다"는 한국의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속설은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KOSPI200 주가지수 등가격 옵션시장에서 만기일 효과는 매우 분명하게 발생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rader's strategic behavior in the KOSPI200 index options market. Using intraday data for various at-the-money options, we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 ⑴ The frequency of trades is a better market statistic than trade size for option price volatility. This may result from the hedging behavior of large trader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informed traders utilize their informational advantage gradually. ⑵ The effect of the duration of previous intervals on the expected duration of current intervals is persistent. ⑶ In the modified ACD model, the standardized distribution of duration is not exponential ; rather, it is Weibull with r < 1. ⑷ There is no specific diurnal pattern of the duration of the duration of the options market. ⑸ we find a clear maturity effect.
엄경식,한상범 한국파생상품학회 2003 선물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에서 기대듀레이션, 거래빈도, 건당 거래량 등 시장통계량들의 관계를 ACD 모형을 통해서 분석하고 이를 투자자들의 전략적 거래행동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에서 만기일 효과가 존재하는지도 분석하였다. 3개월간 일중자료를 사용하여 KOSPI200 주가지수 6월물, 7월물, 8월물 콜옵션과 풋옵션 등 6개 종목 등가격에서의 거래를 분석한 결과, 첫째,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에서는 거래빈도가 건당 거래량보다 옵션 가치를 보다 잘 반영하는 시장통계량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음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1) 주가지수 옵션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은 그들이 보유한 정보를 일시에 활용하기보다는 소규모 거래량으로 분할하여 투자행위를 수행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주요 참여자인 기관투자자나 대규모 투자자의 주요 투자행태인 "델타중립전략"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투자자들이 현시점의 듀레이션을 기대함에 있어서 전기의 듀레이션의 영향력은 매우 지속적이었고,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경우 ACD 모형을 추정할 때 오차항이 Weibull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OSPI200 주가지수 옵션시장은 주식시장의 경우와 달리 가격변화의 일중패턴이 무정형으로 나타나고 있어, "시초가와 종가의 변동성은 낮고 그 사이 발생한 옵션 프리미엄은 매우 크다"는 한국의 주가지수 옵션시장의 속설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KOSPI200 주가지수 등가격 옵션시장에서 만기일 효과는 매우 분명하게 발생하였다.
엄경식,안재목,조영호,박용남,조한상,김욱은,김원곤,노준량,원태희,김희찬,민병구,Eom, Gyeong-Sik,An, Jae-Mok,Jo, Yeong-Ho,Park, Yong-Nam,Jo, Han-Sang,Kim, Uk-Eun,Kim, Won-Gon,No, Jun-Ryang,Won, Tae-Hui,Kim, Hui-Chan,Min, Byeong-Gu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 1999 의공학회지 Vol.20 No.6
심장은 생명의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며, 이 중요성은 인공심장의 연구를 불러일으켰다. 본 고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연구되는 인공 심장 제어의 방법론, 추세 그리고 현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공 심장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인공 심장 제어는 자연 심장의 역할을 최대한 모방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각종 생리적 제어 인자를 얻기에는 센서 기술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공 심장을 위한 많은 제어 변수가 연구되었으나, 단지 몇 가지만 실제로 적용되는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왜 다른 요인들이 제외되었으며 무엇이 현재 제어 방식의 선택 기준으로 고려되었는지를 설명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공 심장의 제어에 앞서서 자연 심장의 제어를 짧게 설명하고, 5개의 대표적인 인공 심장 제어 연구 조직을 선정하여 소개와 정리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