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산업노동연구 : 노동시장과 인적자원개발 ; 위험태도가 자영업 선택에 미치는 효과

        어수봉 ( Soo Bong Uh ),유길상 ( Kil Sang Yoo ),최기성 ( Ki Sung Choi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2 산업노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에서 파악한 개인의 위험태도 관련 변수에 대한 검토와 개인의 위험태도가 자영업 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 분석 하였다. 먼저, 집단과 개인 차원 모두에서 위험태도에 논리적 정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위험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분석결과도 선행연구와 일치하여 해당 자료에 대해 개인의 위험태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의 사용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자영업 선택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근로형태별 기대소득의 차가 증가할수록 자영업 선택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와 자영업에서 비교우위를 가진 개인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결과로 이해된다. 나아가, 개인의 위험감수도가 증가할수록 자영업 선택확률이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이는 자영업 선택이 경제적인 유인뿐만이 아니라 개인의 위험태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영업 선택에 관한 분석 시 위험태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수누락에 의한 추정치의 편의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자영업 선택 결정요인을 성별로 분리하여 추정한 결과 여성의 경우에는 근로형태별 기대소득의 차와 같은 소득적 요인은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연령, 건강, 배우자 취업형태, 가구 부채, 위험감수도 등과 같은 비소득적 요인이 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여성의 경우 능력에 따라 기대소득을 극대화하는 근로형태를 선택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러한 현상은 고용인원이 2명 이하인 영세 자영업주의 경우에도 확인되었다. 이는 근로자 능력에 따른 근로형태의 효율적 배분을 통한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해서는 근로자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일자리(suitable job) 창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vers empirical analysis on how reviews on individual`s risk attitude-related variables and individual`s risk attitude identified in KLIPS affect self-employment selection.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isk attitude is logically conforming at group/individual level; and analysis results on variables affecting risk attitude match advanced research, which confirms validity as variables representing individual risk attitude. Second,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self-employment selection shows higher probability of choosing self-employment as differences among expected income by employment type get bigger,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reasonable decision-making that is considered priority over self-employment. Furthermore, probability of choosing self-employment gets higher as individual`s risk-taking level gets higher. This suggests choosing self-employment is affected not only by economic factors but also individual`s risk attitude; and omitted variable bias may occur when risk attitude is not considered in the analysis on self-employment selection. However, result on analysis on factors in choosing self-employment shows that income related factors such as differences among expected income by labor type don`t affect females` choosing self-employment; but non-income related factors such as age, health, spouse`s employment type, household debt and level of risk-taking affect decision on self-employment. It suggests women don`t tend to choose employment type that maximizes expected income according to their capabilities, which is confirmed in case of small self-employment of 2 or less number of employees. Therefore it implies the need of creating decent job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for socio-economic growth through efficient distribution of workforce based on workers` cap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과 임금효과

        김동규(Dong-Kyu Kim),어수봉(Soo-Bong Uh)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경영연구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 실태와 그 요인 그리고 경력변동에 따른 임금효과를 분석하여,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이 일궁합 수준을 높이는 직장탐색 과정으로서 합리적 선택인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데이터는 패널조사인 한국고용정보원의「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2006-2007)의 1,2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경력변동에 대한 실태분석과 결정요인 분석, 그리고 경력변동에 따른 임금효과 분석의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경력변동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경우, 종속변수는 경력변동 더미(직종·업종 모두 변동, 직종만 변동, 업종만 변동)이며, 독립변수는 개인적 변수(성별 더미, 연령, 배우자 더미, 대학등급)와 이직 전 직장의 조직적 변수(시간당 임금, 고 용형태 더미, 직장형태 더미, 직장규모), 이직 전 직장의 직무적 변수(직장만족도, 교육수준 일치도, 전공일치도)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임금, 비정규직 등 이직 전 직장의 열악한 근로조건이 직종만 변동 또는 직종?업종 모두 변동할 확률을 높였다. 둘째, 남자는 여자에 비해 이직 가능성이 낮았던 것과 달리, 경력변동 가능성은 오히려 컸고, 직종 또는 직종?업종 모두 바꾸는 급격한 경력변동을 하였다. 이는 남자의 높은 경력변동이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더좋은 일자리(decent job)’라는 기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능동적 선택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여자 대졸 청년층은 대학등급이 높을수록 경력변동 가능성이 컸다. 여자는 동일한 대학등급의 남자에 비해 임금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대학등급이 높을수록 그 격차는 더 벌어졌다. 넷째, 이직 전의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경력변동 확률이 낮았다. 다섯째, 직종?업종 모두 변동한 집단은 경력유지 집단에 비해 임금효과가 컸다. 이는 이직에서와 같이, 대졸 청년층의 경력변동도 직장탐색(jobsearch)을 통해 일궁합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찾아가는 합리적 선택 과정임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nd to study the career changes, its causes and the wage effect of graduates youth. I have used the first and secondary resources of「2006-200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from KEIS. Fo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career chang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lex job mobility in both occupation and industry, ‘a change in 4-digit occupation’ and ‘an industrial groups change’. The results on actual analysis of career change are listed as following. First, the probability of ‘a change in occupation’ and ‘complex job mobility’ was higher than the probability of ‘simple job mobility’ for individuals with relatively ‘bad jobs’ as low wages and temporary positions. Second, males had more tendencies to change career than females, especially for ‘complex job mobility’ and ‘a change in occupation’ even though females had greater turnover rate. Third, females with a degree from higher ranking college were more likely to change careers compared to males from same ranking college. Fourth, the probability of career changes was low for individuals who had a job relevant to their majors. Fifth, wag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complex job mobility’ compared to the group with unchanged career.

      • KCI등재

        CEO의 내·외부 활동이 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성표(Sung-Pyo Choi),어수봉(Soo-Bong U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기업에서 CEO의 내·외부 활동(정보, 지식경영, 학습조직)이 혁신활동(활용적, 탐색적)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기업의 CEO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와 학습조직 활동은 활용적 혁신활동과 탐색적 혁신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경영 활동은 탐색적 혁신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또한, CEO 내⋅외부 활동에서 정보, 지식경영, 학습조직 활동의 영향을 받은 활용적, 탐색적 혁신활동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세기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에서 CEO의 내·외부 활동 중에서 정보, 지식경영, 학습조직 활동에 의한 활용적 혁신과 탐색적 혁신활동 발현으로 경영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모색은 선행 연구에서 지각된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기업의 경영 환경을 고려하여 유리한 활동을 추출하고 이를 경영 전략에 반영하는 것이 기업에서 최상의 경영성과 목표달성에 유리함을 본 연구결과에서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conducts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a survey of 300 CEOs from Korean compani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EO"s internal?external activities (information,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organization) on business innovation activity (exploitative, exploratory) and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y. In additi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lack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y. Furthermore ,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y was affected by CEO"s internal?external activities (information,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organization)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but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influence was different.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aximizing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developing innovation activity by CEO"s internal?external activities (information,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company, extracting activity advantageous to company"s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activity perceived in the precedent study and business strategy becomes advantageous to the attainment of business performance objectives.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학 교육성과의 새로운 평가방안 연구: 취업통계조사의 취업률을 중심으로

        최기성 ( Ki Sung Choi ),어수봉 ( Soo Bong Uh ),조세형 ( Sei Hyoung Ch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현행 취업통계조사의 한계점을 취업률 집계방법과 결과의 활용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된 취업률 집계방법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집계방법과 관련된 한계점으로 해당 조사의 수행을 위한 법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점,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 사업에 대졸자의 취업률이 주요 평가지표로 활용됨에 따라 허위 취업, 정부지원금을 통한 교내취업자 부풀리기 등 취업률을 양적 지표로 평가하는 방식에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점, 현재 대학별 취업률은 조사기준 시점에서의 취업여부와 3개월과 6개월 뒤 유지취업률만을 반영함으로써 청년층의 노동이동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밝혔다. 다음으로 활용측면과 관련된 한계점으로 현재는 조사결과를 통해 집계된 취업률을 개별 대학에 대한 성과평가에만 활용함으로써 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현재의 단순 집계된 취업률을 그대로 대학dml 성과지표로 사용함으로써 개별 대학이 갖는 학교 및 학과별 특성이 평가에 반영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새로운 취업률 집계방안을 제시하고, 대학 내·외부 환경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취업률 평가지표 산출을 위한 실증모형을 구축하고 분석결과와 함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 of current employment statistical surveys in terms of how to collect employment rate data and how to use the result, and suggests improved methods and use of collecting employment rate data. Regarding limitation on how to collect data, the followings are revealed: poor legal foundation for performing surveys; possibilities of negative side effects of poor legal foundation to perform surveys which may lead to false employment rate as the government support is evaluated by emplo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as a main quantitative index and schools may report more graduates as the employed to get more government fund. As for limitation regarding application, current survey methods are used only for evaluating education result of individual schools therefore other information cannot be actively utilized; and the collected data of employment rate is directly used for schools` education result indexes, which does not effectively reflect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departments into the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new method to collect employment rate data and ways to establish new evaluation model reflect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schools and to use employment rate evaluation index improved and adjusted accordingly.

      • KCI등재

        미취업자의 직업훈련 참가 결정요인과 고용성과 분석

        강순희 ( Soonhie Kang ),어수봉 ( Soo Bong Uh ),최기성 ( Kisung Choi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미취업자의 직업훈련 참가의 결정요인과 직업훈련 이수자의 고용성과를 취업효과와 임금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훈련 참가확률 측면에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연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직업경험이 있을수록 참가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결정 요인을 남녀로 나누어 보았을 때, 혼인 및 배우자 유무, 만 6세 이하 자녀 유무, 가구의 금융소득 유무 등은 여성에게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직업훈련정책 설계 시 성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패널프로빗 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직업훈련 이수는 전반적인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있고, 그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훈련의 정규직 취업효과는 남녀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업 취업효과는 남성에게서만 나타나고 있다. Heckman 모형으로 임금함수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참가는 임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직업훈련 참가가 오히려 임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에서는 취약계층의 직업훈련 참여 미흡, 여성의 직업훈련참여 제약요인, 직업훈련이 정규직 고용이나 임금 상승 등 고용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못 미치고 있다는 주요 발견점의 원인을 살펴보고, 개인별·계층별 맞춤형 훈련의 확산, 훈련의 품질관리 등 인적자원개발정책에의 함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what factors have effects to participate in job training by using raw data of KLIPS, and then examined its effects on employment. The analytical results through a panel random effect model showed 1) no difference in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between male and female, 2) the higher probability for younger, more educated and work experience groups, and 3) the lower probability for those who were in school, had spouses or children under age 6, and financial income. Marital status, spouses or children under age 6 and financial income did not affect male``s decision on participating in training, however those factors affected significantly female``s decision. By a probit model estimation, job training was foun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o get a job, and this effect was more prominent in women than in men. However, the train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full-time employment probability. Probability of being hired at large companies has increased only for male. Finally, a Heckman-type 2-stage model estimation showed that training had no effect on wages and, even for female, negative effect. As a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customized training for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non-regular, less educated workers etc., is needed. Also women-friendly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Finally, we drew the implications and suggested the challenges for the HRD strategy.

      • KCI등재

        생산성논집 : 국내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의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김현생 ( Hyeon Saeng Kim ),어수봉 ( Soo Bong Uh ),윤동열 ( Dong Yeol Yoon ) 한국생산성학회 2014 生産性論集 Vol.28 No.3

        In the purpose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which are suitable for industry demand and relieving difficulties of sector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the continuosdiscussion between workforce demand and supply groups, Korea organized 3 Sector Councils(machinery industry, electronics industry, e-Biz industry) in 2004 for an example. It extended SC to 23 Sectors in 2010 but the evaluation about SC is mostly skeptical.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problems regarding SC in ourcountry and suggest a suitable development way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overseas cases, interviews with people concerned. This study diagnosed realistic problems and awareness level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SC members, government officials, specialized agency staff and researchers who are well awar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C. It also drew out main issues by analyzing references such as research and study papers. There are several accomplishments and obstacles in SC development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orkforce demand and supply takes first place, training and development demand survey comes in second, the operation of training and developmentin third, the development of NSC in fourth,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s in fifth in terms of achievement. However, each party concerned has different views on the SC outputs. The SC members rate them positively but others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put them below the average. The achievements, on thewhole, can be said ``unsatisfactory``. The main barriers ahead of SC development are in the following order ;discontinuous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lack of practical use, incomplete relevant laws andregulations, indifference of business part and lack of participation, lack of support and interest in within SC itself.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beaddressed in terms of the supporting system. This study looks into the Korea local SC development in three aspects; government policy and system, perform role, organization and workforce. First, in aspect of government policy and system, it is necessary to modify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ensure the stability of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a well-organized projectmanagement system(SC general council and SC support center). Secondly, in aspect of performance, SC should play a role as a messenger in order to deliver suggestions and opinions from the business circle to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 government. It also needs to strengthen original SC projects such as workforce demand and supply forecasting, and education and training needs surve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use of SC activity outputs and activate their promotion, and reinforce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nd employment support. Finally, in aspect of organization and workforce,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select SCs which represent each industry, make SC specialized departments or independent bodies, and improve skills of SC workforce. In this study, the interviews were only limited to workforce suppliers and system operators. On the other hand, no interviews were done with people from the industr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quite regretful of having not had interviews with CEOs who are final decision-m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