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공평구역 제15ㆍ16지구 나지역 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 -유적 내 출토 금속유물과 건물지를 중심으로-

        양현모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3

        The excavation survey of 15-16 districts in Gongpyeong-gu, Seoul, identified cultural traces from the early 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etallic artifacts were excavated. This Relic Site correspond to Gyeonpyeongbang in the central part of the Joseon Dynasty where government offices, royal palaces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loc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relic, in particular, many metal artifacts such as metal type, which were only identified as records, were excavated in the cultural layer(16th century), the early Joseon Dynasty. Judging from the fence stone columns and drainage channels that can distinguish the boundary, the building remains where this metal artifact was excavated has an area of about 505㎡ of square land. There are a total of four building remains built within the site. This building remains are divided into two main buildings and two auxiliary buildings. Considering the housing construction regulation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ould have been owned by the class equivalent to 7 to 9 grade of the Joseon Dynasty's Poemgye(degree of official rank) rather than Seo-in group(庶人). The relics identified by this excavation survey will be important data for grasping the social status of Gyeonpyeongb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addition, metal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16th century were intentionally buried. The meaning of this artifact can be clarified more clearly through future research. ‘서울 공평구역 제15ㆍ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나지역) 내 유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인사동 110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조사결과 근대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문화층에서 다수의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조선전기의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주전 등의 금속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조선시대 중부 견평방에 해당하는 곳이며 주변으로 의금부와 전의감 등의 관청을비롯하여 순화궁, 죽동궁 등의 왕실 궁가와 상업시설인 시전행랑 등이 위치한 한양도성의 중심지이다. 중부 견편방에 관한 기록은 『漢陽都城圖』와 『首善總圖』 등의 고지도와 『朝鮮王朝實錄』, 『新 增東國輿地勝覽』, 『東國輿地志』, 『日省錄』 등의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유적에 대한 조사결과, 모두 7개의 문화층에서 다수의 건물지를 비롯한 공동 우물 및 옛도로 등의 유구가 조사되었으며, 유물은 백자와 청화백자, 기와편, 외산자기편, 유리병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조선시대 전기인 Ⅶ문화층(16세기)에서는 기록으로만 확인되던 한글과 한자의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주전 등의 금속유물이 출토되어 주목된다. 이 금속유물이 출토된 건물지는 대지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담장석렬과 배수로 등을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방형의 대지에 면적은약 505㎡ 정도이다. 대지 내에 조성된 건물지는 총 4채이며, 본채 2동(건물지13ㆍ15), 부속채2동(건물지14ㆍ15-1)으로 구분되고, 본채 2동이 병렬로 배치된 것이 특징이고, 조선 전기 가대분급과 가사규제 등을 고려해보면 서인보다는 조선시대 품계의 7∼9품에 해당하는 규모로 판단된다. 이번 발굴조사로 확인된 유구와 유물 등을 통하여 당시 조사지역의 문화층별 특징을 유추해볼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견평방 일대의 사회상을 파악하는데 주요한 자료가될 것이다. 또한 Ⅶ문화층에서 출토된 금속유물 일괄은 의도적으로 절단되어 매납된 퇴장유물에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유물이 출토된 건물지의 명확한 규모와 용도 파악 등 향후 유기적연구를 통하여 유물의 성격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북정책 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개성공단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양현모,강동완 평화문제연구소 2009 統一問題硏究 Vol.21 No.1

        대북정책 결정과정에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 정책행위자 간에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이른바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행정의 패러다임이 통치(government)의 개념에서 이른바 거버넌스(governance)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특정 부처의 독점적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던 대북정책 결정과정에서도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의 네트워크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북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여러 행위자의 정책목표와 입장, 상호작용 형태 및 이들이 형성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대북 ``통일정책의 효과가 다를 것이 라는 전제하에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대북정책 행위자 상호간의 갈등 원인 및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대북정책 범위가 넓은 편이며 상호작용을 하는 행위자들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따라서 이 모든 행위자들의 정책네트워크를 분석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 간 정책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며, 이를 위해 개성공단사업 사례를 선정하였다. 즉 개성공단사업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특성, 상호작용의 내용 및 이들이 형성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행위자 상호간의 협력 또는 비협력(갈등) 요인과 실태를 파악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 A variety of policy actors are participating in making a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what 1S called policy network phenomenon, the complex interaction among policy actors, is being detected. Recently while the paradigm of administration is undergoing change from the concept of government to that of governance, a network of various policy actors is notably detect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policy against North Korea which was considered an exclusive area of a certain Ministry.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auses and state of conflicts among policy actors involving in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using the policy network model, on the premise that the effect of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licy goal, position, and pattern of interaction of several actors participating in making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formed by the policy actors. The scale of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1S quite wide, and lots of policy actors interact. Therefo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nalyze the policy network of all of the policy actors.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Gaese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with focus on an analysis on the policy network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That is, the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cause and state of cooperation or conflicts among policy actors by analyzing the features and content of interaction of policy actors participating m Gaese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formed by the policy actors.

      • KCI등재
      • KCI등재

        동서독 의회 간 교류 사례가 남북 국회회담에 주는 시사점

        양현모 통일연구원 2019 統一 政策 硏究 Vol.28 No.2

        During 1980s and 1990s,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RoK) had discussed a possibility of holding an inter-Korean parliamentary meeting wit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over 12 preparatory meetings. However, due to some acute disagreements between the two nations, it couldn’t be realized. Recently, the idea re-surfaces as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has announced its plan to propose inter-Korean parliamentary talks again. Germany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divided countries which used to have contacts at the parliamentary level. From the division to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between 1949 and October 1990, the Bundestag, the parlia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ad experienced both success and failure while continuing contact and exchanges to make progress in reunification with the Volkskammer, the parliament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on inter-Korean parliamentary meetings by analyzing the parliamentary meeting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during the separation and post-unification period. Rather than emphasizing the emotional necessity for holding the inter-Korean Parliamentary meeting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objective lessons to learn from German case in the preparation of the inter-parliamentary talk.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 국회는 북한 최고인민회의와의 회담을 추진하면서 예비접촉 2회, 준비접촉 10회 등 총 12회의 접촉을 통해 본회담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그 때마다 남북 간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며, 결국 실제 본회담은 한 번도 개최된 적이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최근 우리 국회는 다시 북한과의 국회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분단국에서 의회 차원의 접촉과 교류가 있었던 대표적 사례로는 독일을 들 수 있다. 1949년 분단 후부터 1990년 10월 3일 통일 전까지 서독의 연방의회(Bundestag)는 동독의 인민회의(Volkskammer)와 접촉하여 교류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단시기 동서독 간 추진되었던 의회회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남북 국회회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남북 국회회담의 필요성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오히려 독일의 사례를 분석하여 국회회담의 추진에 앞서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 조심해야 할 사항 등 보다 현실적인 측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 분석

        양현모,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언어이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지적장애는 초기 언어발달이 느리고 추상적인 개념이나 추론능력, 논리력 등의 상 위인지능력이 결손으로 인해서 지식의 논리적인 조직화와 일반화를 어려워하며, 단기기억과 작업기억이 부 족한 것과 관련이 있다. 작업기억은 어휘, 문장학습, 문해력 및 언어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 이 있다. 따라서 작업기억능력이나 작업기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은 말과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주 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방법은 2017년 이후 지적장애의 작업기억 또는 언어이해와 관련된 논문을 19편 선정하였다. 연도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그리 고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와 관련된 연구는 2021년 을 제외하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연구는 4편,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연 구는 13편으로 구별할 수 있었으며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가 2편 있었다.

      • 국가 중장기 발전 전략

        양현모,강일규,장혜경,최승범,허만형,허문영,한현주,강일규,임승빈,장혜경,최승범 한국행정연구원 2003 기본연구과제 Vol.2003 No.-

        이 연구는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0년 한국 발전의 좌표 제시와 함께 사회 하위체계 과제의 설정과 그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연구는 2010년 한국이 세계의 중심국가로 발전하기 위한 목표 설정과 아울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을 구상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국가발전의 여러 하위체계 중 경제분야를 제외한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이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국가발전의 여러 범위 중 인적자원(교육), 여성, 정부행정, 복지, 남북관계 및 한반도 통일문제 등 비경제분야에 한정하였다. 이 연구는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이며, 제2장 은 한국 국가발전의 좌표 설정 및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기초적 논의이다. 제2장에서는 21세기 대내외 환경에 대해서 논의한 후, 이러한 환경 속에 한국이 선택하여야 할 방향설정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국가발전을 위한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을 제시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국가발전의 전략으로서 세계 중심국으로의 발전전략, 사이버 영토 개척자로 입지 확보 전략, 평화 이미지 구축 전략, 남북한 공존 및 공영 체제 확보 전략, 성장과 분배의 상호 보완적 전략, 통일기반의 확보 전략, 지속가능한 환경정책 정착 전략, 성별·세대한 화해 관계 정착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부터 제7장까지는 제2장에서 설정한 2010년 국가좌표를 달성하기 위한 부문별 하위체계의 개혁에 관한 논의로, 정부행정, 교육, 여성, 복지, 남북관계 등 각 부문의 발전과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이의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들 각 장에 서는 각 부문별로 비전과 발전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전략은 물론 구체적 실천과제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또한 각 장에서는 그간 각 부문 개혁정책의 성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그 성과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 medium/long - term development strategy for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Korea`s stage of development in 2010, to establish tasks for various aspects of society, and to propose a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In other words, this study not only establishes an objective for Korea―to be a world-leading country in 2010―but also elaborates on several strategies for accomplishing that objective. This study focuses on several aspects of the society, excluding its economic aspects. The objects and scope of the study concern human resources, gender equality, government administration, inter-Korea relations,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onsists of seven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while the second chapter projects the Korea`s developmental stage in the future and discusses several strategies toward that objective. The second chapter also discusses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s confronting Korea in the 21st century, proposing the direction in which Korea should head under these contingencies.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hapter includes a developmental strategy for Korea to become a world-leading country, a firm determination to explore the cyber frontier, a security strategy for coexistence and mutual prosperit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 balanced emphasis on development and redistribution, provision of unification foundation, establishment of continuous environmental policies, and finally reconciliation between genders and generations. Chapter 3 through Chapter 7 discusses implementation plans which are proposed to attain the developmental strategy mention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areas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education, gender equality, welfare, inter-Korea relations, these chapters discuss how effectively each developmental plan can be made operative and implemented. In addition, each of the chapters critically analyzes the outcomes of the reform policies mention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