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의 교류와 한류문화(hallyu culture) 그리고 그 미래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화를 중심으로-

        양해림 ( Hae Rim Y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한류문화가 동아시아에서 인기를 끄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초기 칼럼니스트들이 내놓은 답변은 첫째, 아시아 주민이 가진 공통적 감수성을 강조하는 것, 둘째, 미국이나 일본 선진국 대중문화의 폭력성과 선정성을 거론하는 논리, 셋째, 아시아 지역에 팽배한 반일감정과 관련된 것 등이었다고 분류한다. 또한 한류의 성공원인을 "우리도 미처 몰랐던 한국인 특유의 기질, 이른바 한류 DNA"에서 찾았다. 이야기를 좋아하고 남의 일에 사사건건 참견하며 ``빨리빨리``를 외치는 성질 급한 한국인의 민족성이 소프트 산업이 화두로 떠올라 21세기에 단점 아닌 장점으로 통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호 이질적인 ``현실감각과 판타지가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 한국산 드라마가 아시아를 석권할 수 있는 이유"라고 주장한다. 한류는 한편으로 자본축적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문화 산업론 또는 경제적 관점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한류를 오늘날의 자본주의의 재생산 매커니즘으로 작용하는 소비자본주의의 현상으로 치부하는 비판적 관점이 있다. 후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한국과 동아시아의 21세기 문화적 관계망은 철저히 자본의 논리가 주도하고 있다. 한류란 이들 거대 문화자본이 기획 조정하는 문화산업 버전"이라는 발언에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한류문화는 문화의 자본화, 탈상업주의, 탈식민주의, 탈서구중심주의의 시각, 신자유주의의 관점 등 다양한 관점과 논의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한류의 대중문화에서 드러난 다양한 관점 중에서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적 시각을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Cultural Exchange, Hallyu Culture, and Future of Hallyu:Focused on Capitalization and Post-commercialism Yang, Hae-Rim What would bring the popularity of Hallyu culture in East Asia? Some answers from early columnists were classified as, first, to emphasize shared sensitivity as Asian people second, a logic of mentioning violence and lasciviousness of pop culture in advanced country including the U. S. or Japan and the last, what is associated with the flood tide of anti-Japanese all over the Asia. In addition, the reason for Hallyu`s success was referred to "Koreans own tendency, which we Koreans didn`t even notice―Hallyu DNA". According to this opinion, it was ethnicity of Koreansthat has become the conversation topic in soft industry, transforming ethnicity of Korean from weakness to strength in 21st century; Koreans love to talk, like to poke their nose into every affair of others, and are often quick in temper shouting out "quick, quick, and quick". Also, it was claimed that Korean soap opera swept over the whole Asia was credited with the harmony of realistic sense and fantasy, which were mutually heterogeneous. Hallyu has been viewed as an instrument of capital accumulation on cultural industry perspective or economic perspective, while it has been criticized as it was regarded as phenomenon of consuming capitalism, operating as a mechanism of reproduction of capitalism today. According to the latter view,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ment that network of 21st century in Korea and East Asia is thoroughly led by thelogic of capitalism. Thus, Hallyu is a version of cultural industry that is planned and controlled by the huge cultural capital. Furthermore, Hallyu culture has been viewed and discussed o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capitalization of culture, post-commercialism, post-colonism, post-western-centrism, and neoliberalism. This study is delimited for capitalization and anti-commercialism of culture among a variety of perspectives of Hallyu in pop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회의 세대간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 만하임의 세대간 문제와 푸코의 세대간 주체 권력론을 중심으로 -

        양해림(Yang, Hae-rim)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21세기 우리 한국 사회가 노년 세대를 마주 보는 멸시와 혐오의 분위기는 보다 가중되었다. 또한 노인 세대의 정치적 결집은 지난 2016년 말 이후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을 더욱 심화시켜 왔다. 한국사회는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분위기보다는 세대간 집단적 이해관계에 따라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것에 익숙해 왔다. 이런 점에서 한국 사회는 역사적 경험에 의해 비롯된 386세대와 같은 공통된 특성 ‘세대’를 중심으로 그 시대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에 다소 친숙해져 왔다. 왜냐하면 세대 갈등은 ‘내 집단’과 ‘타 집단’간의 구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세대간 갈라치기는 첨예한 세대간 권력관계를 암시하기도 한다. 또한 세대란 “연속적이면서도 동시에 불연속적인 시대의 변화”를 뜻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세대란 시대의 변화에 따르는 변곡점에 의해 세대 집단을 통해 드러낸다. 이런 측면에서 세대론은 한 시대의 표상을 드러내 주기도 한다. 그런데 세대론이 흥미로운 사실은 시대의 인식이 어떤 한 세대에 따라 각각 분절되면서 세대 간의 서로 다른 상대적 관계에 따라 점차 단절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칼 만하임의 세대 문제, 미셸 푸코가 주장했던 권력의 담론 형성과정을 통해 세대간 갈등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상호세대론 및 자기 세대와 타 세대의 관계를 고찰할 것이다. 또한 필자는 지금까지 세대 문제에 준거점이 되었던 세대 개념과 세대간 갈등들을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세대 개념과 세대간 갈등이 한국 사회에서 철학적 및 사회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In the 21st century, the atmosphere of contempt and hatred facing the elderly in our Korean society has become aggravated. In addition, the political unity of the older generation has intensified 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since the end of 2016. Korean society has become accustomed to explaining social phenomena according to the collective interests of generations rather than an atmosphere that respects individuality. In this regard, Korean society has become somewhat familiar with explaining the changes of that era by focusing 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386 generation, stemming from historical experience. Generation also means “continuous and at the same time discontinuous changes in the times.” For example, the generation reveals the inflection poi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through the group called the generation. In this respect, generational theory also reveals the representation of an era. Because generational conflict presupposes a distinction between ‘my group’ and ‘other groups’, this divergence also suggests a sharp intergenerational power relationship. However, an interesting fact about generation theory is that as the perception of the times is segmented according to a certain generation, the perception of the times of each generation is gradually cut off according to the different rel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era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I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own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by understanding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gener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the discourse of power as argued by Karl Mannheim and Michel Foucault. In addition, I examine how the concept of generation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s, which have been the basis for generational issues, can be applied to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is generational concept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논문 : 딜타이(Wilhelm Dilthey) 해석학의 인지과학적 프로네시스(phronesis)

        양해림 ( Hae Rim Ya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시대와 철학 Vol.23 No.1

        오랜 전통을 지닌 해석학은 인지의 본성을 전통의 이론적인 인식으로서의 에피스테메, 즉 지금까지의 선험적 이성에 한갓 머물러 있었던 실천적 지혜로서의 "프로네시스(phronesis)"와 상황적인 이해를 전환시키면서 새로운 면모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해석학이 딜타이, 하이데거, 가다머 그리고 하버마스를 거쳐 축적해 놓은 현상학적/존재론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성중심주의적 요소, 즉, 신학적 내지 초월적 관념의 태도, 인간능력에 대한 낙관적 신념의 태도 등이 종종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전통 해석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당대의 해체론적 해석학자들도 있지만, 그들도 "비물질적인 이해의 현상은 자연과학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낡은 과학관으로부터 그다지 자유롭지 않았던 까닭에 종래의 한계를 반복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현상학의 영역에서 이해의 본성을 함축적으로 전개한 철학자들, 예컨대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질 들뢰즈(Gilies Deleuze) 같은 현대의 철학자들은 정신적 현상을 적극적으로 ``몸``과 관련시켜 논의함으로써 해석학의 지평을 한층 넓혔다. 그러나 이때의 ``몸`` 역시 존재론적 수준에서 머물렀기 때문에 이들의 경우에서도 현대해석학은 기존의 한계를 온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현대해석학의 이러한 한계는 이해를 실제의 공식이나 절차로서 재현하지 못한 채 추상적 입장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타당한 것이라면, 현대해석학은 인지과학에서 그 한계의 출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필자는 오랜 해석학의 역사를 통해 해석학의 토대를 정립한 딜타이의 삶에 대한 부분과 전체의 해석학적 순환관계 속에서 최근의 인지과학의 성과를 통해 ``거울뉴런이론``의 공감개념을 검토 수용하는 가운데 해석학의 지평확장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딜타이의 정신과학적, 해석학적, 역사주의적 방법론적 도전들을 인지 과학적 사유와 연관시켜 시론적 단계로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인지과학과의 대화를 통해 한계의 출로를 활짝 열어 놓고 해석학적 탐구의 일환으로서 해석학을 "신경철학" 내지 "신경현상학"의 단계로 끌어 올리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Hermeneutics that has long history faces a new challenge moving away from a view that sees the essence of recognition as a traditional, theoretical concept of a priori knowledge, which is episteme to the one of practical wisdom of "phronesis,"and situational understanding. However, despite the hermeneutic/ontological achievements that Dilthey, Heidegger, Gadamer and Habermas made, reason-centered ideas which are attitudes toward "theological or transcendental idea" or "positive belief in human abilities" has been criticized. Although there are de-constructionist hermeneutic scholars that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hermeneutics, they also do not find themselves free from an old scientific idea, which is "non-substantial phenomena cannot be subject of natural science." The contemporary philosophers such as Maurice Merleau-Ponty, Michel Foucault, and Giles Deleuze, who implicitly studied the essence of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hermeneutics broadened the horizon of hermeneutics by discussing mental phenomena relating to "body." However, "body" they discussed is limited to ontological understanding and does not fully get away from existing hermeneutic ideas. Considering that this limitation of contemporary hermeneutics is based on an abstract idea on ``understanding`` not on "actual formula or procedures," the exit of contemporary hermeneutics could be found in cognitive science. O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horizon of hermeneutics by examining the idea of Dilthey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hermeneutic history. He notes that parts and the whole of life is in the circulative relationship. This paper also examines a concept of sympathy in a mirror neurons theory that is part of cognitive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lthey`s psychiatrical, hermeneutic, and historical methodologies and cognitive scientific recognition. I hope this study will open another door to discuss hermeneutics through cognitive science, which sees neurophilosophy or neurophenomenologyas a method to study hermeneutics.

      • KCI등재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

        양해림 ( Yang Hae-r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최근 종종 언급되고 있는 뉴노멀은 지난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 나타난 새로운 경제 질서를 지칭하는 용어로 급부상한 용어이다. 즉, 미국의 버블경제 이후 새로운 경제적 표준(Standard)이 일상화된 미래를 일컫는다. 전(全) 세계가 코로나 19를 겪고 있는 지금, 뉴노멀이 다시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이제 코로나19 사태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진행 중인 세계화의 둔화를 재촉하리라는 전망이 불가피하게 많아졌다. 이렇듯 경제적인 변화에서 시작된 이 용어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이후 자리하게 될 새로운 일상의 정상성이나 표준을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표준이 우리 일상의 세밀한 행동을 넘어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과학기술과 예술, 교육 등 거의 전 영역에 걸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적인 변화를 반영해야 할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이렇게 필자는 뉴노멀 시대에 뉴노멀 인문학이 가야 할 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코로나19가 이후의 사회적 변화를 의미하는 포스트코로나(Postcorona) 시대에 어떻게 인문학을 대비해야 할 것인지 점검해 볼 시점이다. 따라서 필자는 인문학이 뉴노멀 시대에 새로운 변화를 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인문학이 뉴노멀 시대에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 관계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이유, 궁극적으로 필자는 코로나19 이후에 다가올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그리고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New normal, which is often mentioned recently, is a term that has emerg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new economic order that emerged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the future in which new economic standards become commonplace after the US bubble economy. Now that the whole world is suffering from Corona 19, New Normal is again becoming a global hot topic. Now, the outlook that the Corona 19 crisis will accelerate the slowdown of globalization, which is currently underway with the financial crisis originating from the US in 2008, has inevitably increased. This term, which originated from such economic change, has come to mean a new normality or standard of daily life that will be in place after the corona pandemic. However, in the new normal centuty, new standards foreshadow Copernician revolutionary changes in almost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and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art, and education, beyond the detailed actions of our daily lives. In this way,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the real path of New Normal Humanities in the New Normal period. It is time to examine how we should prepare for the humanities in the postcorona centuty, where Corona 19 means social change in the future.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humanities need to make new changes in the New Normal century, and why we humans need to re-establish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New Normal century and ultimately the role and challenges of humanities that will come after Corona 19 and the future.

      • KCI등재

        딜타이와 짐멜의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

        양해림 ( Yang Hae-rim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6

        딜타이는 『인간, 사회, 국가에 관한 학문의 역사 연구에 대하여』(1870)라는 논문에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역사와 사회의 관계에서 상호작용해 나가듯이, 부분과 전체의 근본 관계를 현재의 관점에서 전개한다. 딜타이에게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근본문제는 개인과 사회사이의 긴밀한 긴장관계에 있다. 이러한 개인과 사회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정신과학의 입문』(1883)에서 새롭게 전환된다. 짐멜은 『사회학』(1908)에서 딜타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용하여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사회학의 근본문제라 보았다. 짐멜에게서 사회는 실체하는 존재가 아닌 개인들 사이에서 전개되는 상호작용들의 총합이다. 그 상호작용들이 객관적 구조물로 응축되거나 결정화된 제도, 조직, 체계, 구조 등을 포괄한다. 여기서 사회가 사회적 상호작용 혹은 사회화로 해체되고 다시 재구성된다. 짐멜은 『사회학』의 “사회적 영역의 교차점”의 표제어에서 개인으로부터 사회가 형성되고, 사회에서 개인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짐멜에게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의 이해는 동시에 딜타이의 사회학 비판을 인정하고 극복해 나가는 것이었다. Dilthey articulates the primary relation between the part and the whole with a present perspective like the interaction betwee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in a similar vein of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in his academic paper, 'Foundation of the sciences of man, society and history'(1870). According to Dilthey, the primary problem in social interaction occurs in tens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Such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become a new transformation in his book 'Introduction to the Human Sciences'(1883). In 'Sociology'(1908), Simmel encompasses the social interaction of Dilthey and elaborates on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s a fundamental problem. His principle was that society is not a real entity but an integration of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These interactions embrace all the systems, organizations, structures and institutions which are condensed into an objective structure. In this context, the society is disorganized by social interaction or socialization and then is reconstituted. The headword 'intersection of social domains' in Simmel's 'Sociology' refers to all the forms of association by which the sum of separate individuals are made into a society which he describes as a society composed of individuals. For him, understanding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implies his acknowledgement of the critique of sociology by Dilthey and overcomes i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기술과 새로운 공간의 창출

        양해림(Yang, Hae-rim)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09 No.-

        본 논문은 21세기의 디지털 미디어시대에 있어서 일상적 도시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 즉, 디지털 미디어의 몸과의 정체성에 대한 상관관계, 디지털 미디어 공간의 다원적 정체성 및 그에 대한 정체성의 문제 등에 대한 다양한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과학기술시대의 디지털 사회에 담긴 함의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현대성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일상적 도시공간양식의 변화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현대적 도시공간의 새로운 형성이라 할 수 있다. 기계화된 통신과 정보통신의 수단, 물품과 정보혁명으로 인한 대량복제 기술, 동시 다발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등장 등은 시민혁명이후의 대중사회의 출현이라는 사회적 조건과 부합하여 대중시장의 중추로 떠올랐다. 최근 들어 인문학과 한국예술의 인접장르를 비롯하여 공유해야 할 동시대적인 화두는 디지털 미디어와 몸이다. 특히 인간의 몸이 중요하게 간주되어 온 이유는 모든 문명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모든 문화적․사회적 활동의 근원이 몸이며, 우리가 창조하는 모든 문화적 생산물과 문명전반에 몸이 투영된다. 철학자 니체(F. Nietzsche)의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1885)의 저서에서나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1945)에서 강조하고 있듯이, 정신이 우리의 몸의 일부이며 몸은 항상 정신에 선행하는 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낮 설지 않은 일상적 도시공간에서의 멀티미디어는 어떤 것을 표현하는 여러 개의 수단, 즉 다중매체를 의미하게 되었지만, 그에 대한 정체성의 문제를 심각하게 의심받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in the digital society of the scientific technological era by analysing various social phenomena that can be seen in the urban daily lives such as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of the digital media and the identity, the plural identities in the digital media space, and the identity problem in the digital media society of the 21st century. One of the most outstanding changes that came with the emergence of modernity can be a new development of the modern urban space. The new technologies like the methods of the mechaniz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an enormous reproduction technology which was enabled by the revolution of goods and inform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multi-purpose communication technology, became the key factors in thepublic market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conditions leading to mass society after a people's revolution. Recently, the contemporary topics that should be shared with humanities and the whole Korean art are about the digital media and the body. Especially, the human bodies have been believed important because they have been treated as the source of every civilization. The human bodies are the root of every cultural, social activities and they are reflected in every civilization and every production. The mind is a part of the body and the body always precedes the mind as philosopher Nietzsche pointed out in Also sprach Zarathustra (1885) and Merleau-Ponty emphasized in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1945). Though the multi-media in the urban daily space which is familiar to people mean various methods to express something, they are being challenged seriously by the questions about their identities.

      • KCI등재

        마르크스의 인권관

        양해림 ( Yang Hae-rim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세속적 권리로서의 사회권은 17-18세기의 시민혁명들이 무산계급과 여자들을 열등 시민으로 여기면서 혁명의 성과로부터 배제했다는 비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즉, 사회권은 18세기의 시민혁명, 보통선거권, 사회보장과 복지, 노동과 직업의 권리, 건강과 쾌적한 생활의 권리, 교육권 등을 보장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평등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존엄과 인격의 가치를 구현하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홉스의 자연 상태에서 만인 대 만인의 투쟁, 로크의 사회계약으로 인한 저항권의 인정, 루소의 인간불평등비판, 칸트의 인간의 존엄성,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이념” 등은 인간의 권리와 자유를 바라보는 시각을 현실적 삶의 수준으로 맞추었다. 근대적 인권은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자기소외라는 개념은 초기 마르크스 사상의 중심에 놓여 있다.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이란 이 세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타인 없이는 살아갈 수 없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를 말한다. 따라서 인간은 함께 노동함으로써 새로 생명을 발현시키는 사회적 존재이다. 여기서 사회란 인간 상호간의 생산 공동체다. 이러한 사회관은 자본주의 사회의 이기적 인간관의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빈곤문제를 극복하고 분열된 시민사회를 넘어서게 된다. 마르크스의 이념은 1917년의 러시아혁명(노동하고 착취 받는 인민의 권리선언)을 통해 확인되었다.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려는 사회권은 자유권에 한정되었던 기존의 인권 개념을 확대했다. 따라서 필자는 마르크스의 초기저작인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의 저서에 한정하여 사회권을 고찰하고자 한다. Social rights as secular rights originated from the criticism that the civil revolutions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designated the proletariat and women as inferior citizens and excluded them from performance in the revolution. That is to say, social rights and social equality are guaranteed by guaranteeing civil revolution, ordinary suffrage, social security and welfare, labor and occupation rights, health and comfortable living rights, and education right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case of Thomas Hobbes’s struggle of all people in the natural state, the recognition of resistance by Locke's social contract, Rousseau's critique of human inequality, Kant's human dignity, and "Marx's socialist ideology"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One is that of a revolutionary who is based on orthodox Marxism, which is considered to be possible after the complete revolution of capitalist society is made possible. The other is that of a reformist who thinks that socialism can be reached through the progressive reform of capitalist society. The viewpoint of human rights and freedom are set to the level of realistic lif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modern human rights originated from Karl Heinrich Marx (1818-1883). Marx was at the center of the early Marxian concept of human and self-alienation as a relic. Human beings as human beings are social beings that cannot live without others and live with other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is world. Therefore, human beings become social beings that express new life by working together. Society is a mutual production community. This human and social view overcomes the problem of poverty caused by the selfish image of capitalist society and the problem of selfish humanity, and transcends the divided civil society. Marx's ideology was confirmed by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Working and Exploited People). Social rights to guarantee human life expanded the existing concept of human rights, which were limited to the right to freedom.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social rights only in the book "On the Jewish Problem", an early work by Mar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