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NSS 선위오차의 편차를 이용한 속도오차소법에 관한 연구

        양창진 한국항해항만학회 1980 한국항해학회지 Vol.4 No.1

        As the NNSS system calculates ship's position by the doppler shift of the NNSS radio waves caused by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ransit Satellite and the ship, ship's speed error inevitably results in the position error, and moreover this kind of erroris most dominant compared with other errors especially in high speed ships and airplanes. Most NNSS receivers now in use have adoptedsuccessive short doppler counts as positioning data and by investigating the dispersion of serval successive positions calculated and by neglecting the mean position having dispersion of over certain threshold level, more accurate adn safe position is to be achieved.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of finding ship's true speed by selecting a speed having least position dispersion for given successive doppler counts. And by computer simul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ethod proposed here is reasonable in finding the ship's desired correct speed together with the correct ship's position.

      • KCI등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씨본관 항목 개발 연구

        양창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대한민국이 해방 이후 40여 년에 걸쳐 이룩한 한 국학 연구 성과의 결정체이다. 수록된 양이 방대한 만큼 한국문화를 상징하거나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약 7만여 개의 표제어를 수록하고 있다. 사실 상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문화 요소들을 거의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백과사전에는 아직도 수록되지 않은 내용이 많다. 그래 서 현재도 수정 증보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이다 이 중 하나가 ‘성씨본관’이다. 성씨본관은 인물 항목과도 관련된다. 이 사전에 수 록된 전체 7만여 항목 중에서 약 18,000여 항목이 인물 항목이다. 그런데 인물 항 목과 마찬가지로 한국인에게 성씨본관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면서 한국문화의 독특함을 알려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오늘날 한 국인은 대부분 성씨본관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성씨본관 항목은 한국문화의 핵심 요소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논쟁 요소를 지니기 때문에 이 백과사전에 수록되지 않 았다. 소모적인 논쟁으로 비화되는 것을 줄이고자 하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논쟁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씨본관 항목은 이 백과사전에 수록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백과사전에 제외된 성씨본관 항목 집필을 위 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성씨본관 정보의 기술을 위해서는 논쟁을 야기하는 요 소인 성씨본관의 명칭, 성씨의 시조, 성씨 관련 인물의 선정, 참고문헌의 선정 등으 로 나누어 명확한 집필 기준을 정한 후, 이에 따라 집필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성씨본관 항목은 논쟁을 동반하는 주제이다. 그러나 이 백과사전이 한국 대표 백과사전을 자임하기 위해서 는 논쟁을 꺼리지 말아야 하며 오히려 논쟁의 중심에 서야 한다. 성씨본관 항목은 이 사전의 권위를 다시 확인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of Korean studi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achieved over 40 years after liberation. This encyclopedia contains approximately 70,000 headings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in symbolizing 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In fact, it contains almost every cultural element of Korea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However, there is still much to be added to this encyclopedia. This is why we still carry out revised and supplementary projects. In my opinion, important contents that symbolize Korean culture are missing from this encyclopedia. One of these is the Seongssi Bongwan (seonggwan, 姓貫). Every Korean has a seonggwan which is a integrated concept of surname and family origin. This is a core element of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has a number of controversial element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people living in modern Korea. Identity disputes are not easy to conclude. So, to avoid this controversy, the seonggwan information was not included in this Encyclopedia. A seonggwan should be listed in this Encycloped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o record seonggwan information in this encyclopedia. A seonggwan is related to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About 18,000 of the total 70,000 entry list in this Encyclopedia ar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Like th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the seonggwa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Koreans to identify their identity, and it is a characteristic that shows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To write seonggwan information, it should set clear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eonggwan names, descriptions of ancestors, the selection of people related to seonggwan, and the selection of reference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controversial factors. In this way, conflicts with stakeholder can be minimized. The seonggwan is always a controversial subject in modern Korea. However, in order for this encyclopedia to become the representative encyclopedia of Korea, it is desirable not to be reluctant to debate, but at the center of the debate.

      • KCI등재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 편찬 현황의 기계적 점검 방안 연구 – 표제자 및 표제어휘 통합 분석을 중심으로–

        양창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0 No.-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漢韓大辭典) and The Dictionary of Compound Words of Korean Made of Chinese Characters (韓國漢字語辭典) compiled by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 are representative research results of Korean studies. Korea became able to compete academically with Japan and China, because of both dictionaries. Both dictionaries are preparing a new leap into the integrate digital dictionary, Unified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統合漢韓大辭典) for new knowledge information era. Because on-line dictionary is to maximize ease of compilation and use. But there are a few things to consider in order to challenge them. First,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in two dictionaries are to be fully included in the integrated dictionary. Second, the incorrect contents of the two dictionaries have to be modified and new research continues to go pu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check whether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is being properly transferred.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 편찬한 한국한자어사전과 한한대사전은 해방 후 이룩한 한국학 연구 성과를 대표할 수 있는 역작으로서 이 사전이 편찬됨으로써 우리도 중국, 일본과 어깨를 겨룰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이 두 사전은 디지털 지식정보 시대에 걸맞게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이라는 이름의 통합사전을 목표로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편찬 방식도 기존의 책 출판이 아니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형식을 취하여 이용의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째, 그동안 두 사전에 축적된 연구 성과가 누락되지 않고 온전히 통합사전에 담겨야 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를 바탕으로 기존 사전 내용 중 잘못된 것을 수정하는 한편 새로운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담아가야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절하고도 온전히 옮겨지고 있는가를 정보처리기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 KCI등재

        DB를 활용한 과거급제자 분석 사례 연구 ― 조선조 무과 급제자를 중심으로

        양창진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정보화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인문학 연구 전반까지도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다. 인문학 분야 중 역사 분야도 컴퓨터 통계 기법을 이용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지 않은 분야였지만 이러한 연구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DB를 조회하여 평민 급제자의 출현 시기, 무과 급제자 전력 및 가정환경, 무과의 시대적 변천 등, 그동안 문헌 중심으로 연구되었던 것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경험적 기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불완전하나마 DB 조회를 통해 몇 가지 통계를 산출해 보았고 동시에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부분도 일부 도출하여 보았다. 그런데 통계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축적한 원시 자료가 있어야 한다. 이 연구도 그동안 필자가 축적한 방대한 무과 급제자 정보가 바탕이 되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인문학 연구자들은 자료 소유욕이 크다. 따라서 원시 자료 공개를 꺼리는 경향이 많다. 이런 경향은 연구 기관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최근 정부는 정부3.0 공공 데이터 개방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연구 기관이 보유한 자료를 공개하여 학문 연구 진흥은 물론 경제적 가치 창출에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정부가 운영하는 공공데이터 포털에는 교육, 문화관광, 과학기술 분야 기관들이 공개한 다양한 자료들이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디지털 분석 기법이 능숙한 연구자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그러나 활용 방법을 모르면 변화가 주는 기회를 살릴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더 많은 연구 성과를 내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필자의 경험을 제시하였다. As the informationization is spread throughout society, the statistical DB analysis is also being extended to the humaniti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empirical techniques that can check the military examination candidates(武科及第者) in Joseon Dynasty. As a result, even if incomplete, some statistics were calculated by DB query and a new areas for research were also derived in part. However, the raw materials should be ensured in order to apply statistical techniques. This study was possible because a massive military examination candidates had been accumulated. Humanities researchers are a lot of resources possessive. So they reluctant to open the raw data. Research institutions also have this tendency.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government 3.0, public data opening policy. This policy is intended to promote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create economic value using the public open data. In the government-run open data portal, there are a variety of resources produced by public institutions. These changes can be a good opportunity for skilled researchers in digital techniques. Then you should know data processing techniques to catch up the opportunity. This paper presents the author's experience, that will help to cope with these changes and make a good result.

      • KCI등재

        『씨족원류』를 활용한 과거 급제 기록 복원 연구 - 사마시ㆍ무과를 중심으로 -

        양창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0

        특정 인물의 행위와 관련 역사적 사건들을 이해하는 데는 인물의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역사 연구에서 인물 관계 정보가 중요한 연구 영역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관심을 가지는 조선시대 인물 관계망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과거 급제자 정보를 연구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다. 과거 급제자 정보는 급제자를 중심으로 수직적 혈연관계와 수평적 혼인 관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선조 엘리트의 실상과 이들의 관계망을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특히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이들이 사회를 움직이는 중추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과거 급제자들의 면모를 파악하는 것은 역사 연구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조선조 과거 급제자 중에서 문과 급제자는 『국조문과방목』에 전체적인 윤곽이 드러나 있지만 과거의 또 다른 축인 무과와 사마시는 전제적인 급제자 정보가 정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무과와 사마시(司馬試) 급제자를 정리하는 것은 인물 관계망의 확장을 통한 한국사 연구의 진전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이 논문에서는 과거 급제자 중에서 조선 전기의 무과와 사마시 급제자 복원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즉, 과거 급제자 명부인 ‘방목(榜目)’이 여러 요인으로 많이 소실된 조선 전기 부분을 정리하기 위해 『씨족원류』를 중심으로 하고 기타 자료들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씨족원류』는 조선 중기에 존재하던 거의 모든 성씨의 주요 인물들과 그 가계를 기록한 책이어서 조선 전기의 기록을 비교적 잘 기록하고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부분은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이하 ‘역대 인물 정보’로 약칭)에 축적된 과거 급제자 정보 정리를 위해 실제로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방목이 더 이상 수집되지 않는 한 이 방법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A Person relationship informa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research area. This is because the social relations of the person can be an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actions of the person and the historical events. It may be a good idea to research the civil service exam candidate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study the persons network of the Joseon Dynasty. The list of candidates is a basic data for studying the actual situation of Joseon elites and their network. Especially, those who entered the office through the civil service exam formed the backbone of the society, so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aspect of them in history research. However, all the candidates of the civil services exam of the Joseon Dynasty is revealed, but the other candidates of the military exam(武科) and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exam(司馬試) are not clear. Therefore, it should be an important basis for accumulating the information of the exam through the expanding of elite network to advance research on Korean history. In this paper, practical measures were examin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for the civil service exam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Genealogical records such as Sijok-wolyu(氏族源流) were useful for restoring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civil service exam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is because the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is no longer collected. The part discussed in this paper is a method that is actually being applied for organizing the information in the Korean Historical Figures DB.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시대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 표제어휘의 활용 - 워드프로세서용 인명 서명 변환기 개발 -

        양창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4

        Today, all research writing is done with a computer word processor. There are many proper names, such as names of people, place names, book titles, and official titles, in writings and papers published as a result of research. Among them, names and book titles must be included in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period. This is because these studies are the study of humans as well as the events and documents created by humans. However, the names of people and book titles are not recorded only with alphabetic characters, but are indicated by combining various special symbols and numbers. It is also because the researcher’s preferred input format is different, and the notation format is different for each journal. Examples of the book titles are ① 三國史記(Samguk sagi), ② Samguk sagi(三國史記), ③ ≪三 國史記(Samguk sagi)≫, ④ ≪Samguk sagi(三國史記)≫, ⑤ ≪三國史記≫, ⑥ ≪Samguk sagi≫. The above examples are some of the frequently appearing forms. The problem is that the notation form is varied and the input is complicated. And if you refer to the wrong data, you may enter it incorrectly. In order to reduce such inconvenience and errors, embedding the vocabulary of a reliable dictionary into the word processor program will help improve research efficiency and maintain consistency of information forma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proper name format converter for a word processor and to present a new use case of a the headwords of The Great Chinese-Korean Digital Dictionary. 오늘날 모든 연구 저술 행위는 컴퓨터 워드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연구 결과로 발표되는 각종 저술과 논문에는 인명, 지명, 서명, 관직명 등 고유명칭이 수시로 등장한다. 이 중에서도 전통시대를 연구한 저술이나 논문들에는 인명과 서명들이 반드시 포함된다. 역사 연구는 ‘인간’에 대한 연구이자 인간들이 만든 ‘사건’과 ‘문헌’ 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명과 서명은 그 속성으로 인해 단순히 문자로만 표기되지 않고, 특수기호와 숫자가 추가적으로 다양하게 결합하여 표기된다. 연구자가 선호하는 표기 형태가 다르고, 학술지마다 표기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인명 표시의 대표적 유형으로는 ① 이순신(李舜臣, 1545~1598), ② 李舜臣(이순신, 1545~1598), ③ 이순신(1545~1598), ④ 李舜臣(1545~1598) 등이 있다. 서명 표기 사례로는 ① 三國史記(삼국사기), ② 삼국사기(三國史記), ③ ≪三國史記(삼국사기)≫, ④ ≪삼국사기(三國史記)≫, ⑤ ≪三國史記≫, ⑥ ≪삼국사기≫ 등이있다. 위 사례는 빈번하게 등장하는 형식 중 일부이다. 문제는 표기 형태가 다양하기도 하지만 입력이 번거롭다는점이다. 그리고 입력할 때 잘못된 자료를 참조하여 틀리게 입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함과 오류를 줄이기위해 공신력 있는 사전의 어휘를 워드프로세서에 처음부터 내장하면 연구 효율 향상과 입력 정보 형식의 일관성 유지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은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의인명, 서명 표제어휘들을 활용하여 워드프로세서의 고유명칭 입력 형식 변환기 개발 및 사전의 새로운 활용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이거의 완성된 지금 이 사전에 수록된 표제어를 활용하는 특별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초음파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건전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양창진,이동운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0 No.1

        Nowaday, Cast in Place Concrete Pile is adopted to basements, which have large amount of load is applied. But, due to Imperfect means of Integrity test methods, safety risk of stability to piles and upper structures grow up as time goes by.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methods of checking stability of the internal concrete and identifying size and shape of the cracks by using one probe which has the ability to send and receive longer than 50kHz ultrasonic waves and several ones.

      • KCI등재

        한국 고전(古典) 영문 명칭 DB 구축 및 공유 방안 연구

        양창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2 통번역학연구 Vol.16 No.1

        There has been an increased need for knowledge of Korea abroad. To meet this demand what is required is to organize the achievements of Korean researchers in various areas and to help those with an interest in Korea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they wish to know. When it comes to more specific areas, the situation is different. With insufficient translations of relevant research, documents and papers, Koreans have been relatively ineffective in their response to controversial issues raised by Japan and China concerning the ancient territorial boundaries of Korea; Japan's continued territorial claim to Dokdo Island, and biased interpretations of Korean history in their textbooks. One of the key problems is the dearth of quality translations of Korean academic research. It is essential, in this regard, to have references, which are both reliable and standardized, in order to facilitate transl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so as to provide foreign readers with the correct information in different foreign languages. Hence, the need for a glossary of Korean studies is critical. It is also very important in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classics because many academic papers refer to these sources. In translating classical Chinese documents into Korean and then into foreign languages there are always slight changes in semantics, so the author tries to identify what kind of problems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to determine how a corpus of knowledge based on the internet can be constructe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standardizing a manual of online corpus knowledg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