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plied Music: Is it a Counter Proposal or an Alternative to the Church Music? - Focusing on choir and praise team -

        양정식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diverse worship scenes in Korean church, especially on choir which has been playing various roles and functions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hurch music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church, and, on praise teams which has been newly emerging with applied music that has its background on popular music since the 1980s. This essay tried to seek for reasonable alternatives to face the change and challenges coming from the shift from the choir to the praise team. It also aimed to explore on how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se changes and challenges in an appropriate way as being Christians in the 21st century. To achieve the goal, first of all, understandings and viewpoints on worship of people who participate in all kinds of worship were collected through wide and broad method to approach those ideas such as video clip, survey, article, internet, and interview, etc. As looking over the worship scenes in Korean church, throug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pproaching of the 'worship of worshiper' for the last 30 years, the purpose of this essay focused on seeking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mutual existence of classical liturgical service music (which its form and procedures are based on the long tradition of classical music) and modern praise and worship music (which follows expressive forms of popular music of the western Europe since the mid 20th century and also which was influenced by American and English revival movements in the 19th century)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rather than opposition trying to hold fast onto its reason of existence. Choir is now representing the older generation, and praise team the younger. Within a church, there exist two types of worship and praise forms. There are being compared and opposed to each other which in result producing estrangement between the generations, and further more hostility. Yet, the two are representing each generation through playing the most significant roles in modern church music, however, they have faile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ommon value in cooperation and relationship. Therefore the essay reviewed biblical and historical origins in order to find the essential linkag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on of those two. In addition to that, the essay briefly provide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the definition of the worship, classification of worship mus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and music. And also, it compared various functional roles that the praise involves. Most of all, by musicall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choir and praise team, positions at services, and each roles and functions of the two, appropriate plan had been sought in order to achieve mutual communication and union. In the conclusion, the essay dealt on the various applications, roles, and plan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choir in the 21st century worship ministries, and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united ministry of choir and praise team and its operations. I pray that through this essay, worshipers could see the necessity for change and mutual communication in the church music with broader viewpoint and understanding, in order to prepare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온라인 증권거래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정식,홍재범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06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6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quality of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s' behavioral intents. we set the three hypotheses. First, the quality of service of online trading system made affect on the user satisfaction. Second, the user satisfaction made affect on the user behavior intent.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made affect on the user behavior intent. We received 376 questionnaires in Spring 2005 and used the simultaneous equation model. Safety, reliability, certainty and tangibility made the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but sympathy made the negative effect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consumer satisfaction made the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intention of consumer behavior intent. Safety and certainty made the direct effect on the positive intention. Finally,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n-line trading and Sympathy gave the negative effect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 KCI등재

        평화의 사회적 정의를 위한 치유와 회복의 음악

        양정식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헨리 나우웬은 ‘평화를 위한 전쟁’ 이란 모순된 세태(世態)와 역사를 통찰하며 오늘 날 평화를 재건하는 일이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과업이 되었음을 주장한다. 그는 또한 예배와 복음전도, 치유, 세계적인 빈곤과 기아의 완화, 그리고 인권 수호 등 수행해야 할 다급한 일들이 많으나 이 모든 과업들보다 먼저 해야 할 것이면서도 가장 밀접한 사안이 바로 평화를 만들어 내는 일이라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평화의 개념 을 올바로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 우선 본론을 통해 성경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약의 대표적인 평화개념인 ‘샬롬’의 성서적, 신학적, 역사적 의미와 신약의 ‘그리스 도의 평화’란 명제를 들어 논지를 전개하였다. 또한 구속의 역사를 따라 전해져 내려 오는 평화의 노래들을 사례로 들어오늘을 사는 우리 사회의 모순과 갈등, 무엇보다 평화를 위한 시대적 갈급함을 언급하였다. 특히 사회정의란 관계적 접근을 통해 19세 기 미국과 영국의 사회적 찬송가들을 소개하며 음악을 통한 사회적 정의실현이 어떻 게 평화를 이루는데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뉴욕의 위 치한 교회 찬양대와 베네수엘라의 한 음악교육이 이뤄낸 치유와 회복의 기적 같은 이 야기들을 통해 사회적 정의실현과 평화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음악이 어떻게 그 중재적 역할을 수행하는지 아주 구체적이면서도 실제적 실례를 들어 소홀 히 하지 않고 무게 있게 다루었다. 아울러 논지를 펼쳐가는 과정이 통상적인 평화의 개념적 이해나 설명에 머무르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결론에서 본 논문이 오늘날 음악 이 우리 사회 속에 실현이 가능한 하나님의 온전한 평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이 가 능 할 수 있도록 돕는 작은 도전들과 가치를 발견하는 통로가 될 것이라 강조하였다. Henri Nouwen contended based on an insight into ‘War for Peace’, which is ironical social conditions and history, that reconstructing peace is nowadays important Christians’ task. He agreed there are urgent and not delayable social matters that we have to deal with such as worship, evangelical preaching, healing, preventing global poverty and protecting human rights. However, above those, he highlighted that to achieve peace is more priority and most intimate issue. This thesis tried biblical approach for to understand proper notion of peace and to apply. It developed the points with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meaning of ‘shalom’,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oncept of peace from Old Testament, and with ‘peace of the Christ’ from New Testament. Furthermore it mentioned these days our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moreover the needs of era for peace with Songs of peace ― which passed down following the history of redemption ― as an example. Especially it studied how fulfilling social justice by music accomplish a role, through relation approach of social justice with introducing 19 century’s American and British Hymn. Particularly it dealt importantly how music does its arbitrational role on explaining intimate relation of fulfilling social justice and peace, with very specific also practical example such as stories of miraculous healing and recuperating achievement of a church choir in New York and a musical education in Venezuela. Also in progress of unfolding points, this thesis tried to prevent from remaining in general explaining o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peace. In conclusion, this thesis accentuated that nowadays music would guide to find some challenges and values which helps to specific practice for realizable ‘absolute peace’ of God in our society.

      • KCI등재

        현대 예배의 올바른 이해와 접근

        양정식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다양한 예배 현장을 배경으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도전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들을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가 드리고 있는 예배를 현대니 전통이니 또는 예전이니 고전이니 하는 개념을 통해 나누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의 개념을 온전히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다면 형식보다는 중심을 살피시는 하나님의 의지도 깨달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 전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먼저 예배의 개념을 보다 폭넓게 가져야 한다는 전제아래 현대 예배의 변화와 도전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관점들-예배의 주체란, 예배의 대상이신 하나님 바로 알기 등-을 언급하였다. 이어서 예배의 순서 안에 꼭 담겨야 할 내용이 무엇이며, 이를 간결화하거나 다양한 형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가란 질문과 함께 ‘열린예배’로부터 시작된 현대 예배의 개념적 이해를 ‘경배찬양’이라 불리는 대표적인 현대 예배의 한 부분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루었다. 이 과정을 통해 성가대와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한 예배보다는 찬양팀과 찬양악단(밴드)을 중심으로 한 경배찬양 예배가 현대예배의 대안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현대예배란 무엇인가란 질문과 함께 다양한 예배의 현장이 나아갈 방향이 무엇이며, 이를 위해 예배의 예전적 주체인 회중이 올바르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드시 관과해서는 않 될 미국교회의 예배현실을 언급하였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예배의 고령화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 예배 통합이 곧 세대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예배와 예배 안의 리더쉽을 가진 예배자 모두에게 보다 적극적인 교회의 필요와 예배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예배와 음악의 전문 사역자의 입장에서 함께 직면하고 있는 21세기 예배의 정체성회복과 함께 교회 안에 바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향력과 지도력이 있는 미래의 동역자가 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어떤 논쟁의 대상이나 명제를 제시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며 우리의 현실에 행해지고 있는 예배의 현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쳐온 미국 교회의 예배 현장을 관찰하고, 변화와 다양한 도전의 중심에 우리의 예배가 있음을 깨닫기 원하는 필자의 진심을 담았다.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며 성실한 마음과 공교한 손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예배를 세우기 위해 좁은 필자의 생각과 마음을 나누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부디 이 글을 통해 보다 넓은 관점과 이해력을 가지고 예배 현실을 직시하며 내일을 준비하는 예배자들 모두가 되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 KCI등재후보

        예배음악의 성서적 기원연구 ―교회음악인가, 기독교 음악인가

        양정식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0 No.-

        The process of delivering a broader acceptance, along with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hurch music”, to students entering church music in every semester class, was always followed by responsibility and research. If many church music related books in the past focused on exploring and discussing the origins and origins of the history of church music from Hebrew music, Greek music, or the Middle Ages in which the church was founded and developed, I attempted to reinterpret church music from the viewpoint of “Praise and Worship” as well as a practical approach to establish a broader and clearer identity called “Christian Music”. Praise is the response of God to the Creator's character and redemption. I hope that through this approach and research, I would like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dentity of church music. Furthermore,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t in the field of many ministries because of the enlightenment from the biblical and pastoral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ecords of praise in the Bible that are so clearly and mysteriously described, and through it we have dealt with the concept, role and function of praise in the biblical origins of worship music. In particular, the Book of Psalms mentions the manner in which praise is called, and the musical structure. Through this, I presented the biblical basis of the content, structure, and expression of praise. Next, we looked at the records of the New Testament praise related to the story of the birth of Jesus Christ, and sought to reconsider the meaning and value of worship praise. Finally, the term “Christian music” is used instead of “church music”, which does not include the whole history of God's salvation awaiting the Second Coming after the resurrection of Christ from the biblical times, when the church was not established and the legitimacy of use. The purpose of today’s worship is to present the standards of righteous praise to many pastors, worship leaders, or praise-takers, and help them perform the biblical content, role and function of the praise through the right selection. It made sense. In this essay we looked at the biblical origins of praise, presented the great proposition of Christian music beyond the small fence of church music, and mentioned that the biblical origins of church music must be reinterpre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Christianity before the church was established. And I hope that worshipers with these broad perspectives will continue to study the depth of praise, and that the local church will be a place of worship and thanksgiving, which is filled with praise in the presence of God. Also, the biblical origins of praise we can organize the biblical concept and restore the content and function of the right praise so that our worship has a richer experience of God’s presence. 매학기 수업을 통해 교회음악에 입문하는 학생들을 만날 때마다 ‘교회음악’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더불어 ‘교회 음악’을 보다 폭넓게 수용하도록 돕는 과정에서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늘 책임과 연구가 뒤따랐다. 그동안 많은 교회음악 서적들이 히브리(Hebrew) 음악이나 그리스(Greek) 음악, 또는 교회가 세워지고 발달한 중세 교회음악의 역사적 기원과 출처를 찾고 논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본 소고에서는 성경말씀을 기반으로 ‘찬양과 경배’(Praise and Worship)의 관점에서 교회음악을 재해석한다. 아울러 ‘기독교 음악’(Christian Music)의 보다 폭넓고 명확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실제적 접근을 시도했다. 찬양은 창조주의 성품과 구속사에 대해 인간이 하나님께 반응하는 것이다. 이런 접근과 연구를 통해 교회음악의 개념적 이해와 정체성을 숙고하고, 이에 대한 보다 성서적이고 목양적 관점에서의 깨달음이 있어 많은 사역의 현장에 교회음악의 성서적 이해와 적용이 있기를 소망한다. 본론에서는 성서에 나타나 있는, 매우 분명하면서도 신비롭게 기술되어 있는 찬양들의 기록들을 통해 기독교 음악의 성서적 기원에 담긴 찬양의 개념, 역할 그리고 기능을 다뤘다. 특히 시편을 통해 찬양을 부르는 방식과 음악적인 구조를 언급했다. 이를 통해 찬양의 내용과 구조, 표현방식의 성서적 근거를 제시했다. 그 다음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기사와 관련된 신약성서의 찬양 기록들을 살펴보고 기독교 음악의 의미와 가치를 재고하려 했다. 결과적으로 ‘교회음악’(church music)이라는 용어는 교회가 세워지지 않았던 성서시대부터 그리스도의 탄생, 고난, 부활, 그리고 이후의 재림에 이르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 전체를 내포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독교 음악’(Christian music)이란 용어 사용의 정당성을 언급했다. 오늘날 예배의 자리에서 많은 목회자들과 예배인도자 또는 찬양을 담당하는 이들에게 올바른 찬양의 기준을 제시하고, 바른 선곡을 통해 찬양이 가지는 성서적인 내용과 역할 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기독교 음악’이란 용어 사용을 종용하는 데 본 소고의 목적과 의미를 두었다. 본론에서 찬양의 성서적 기원을 찾아보고, 교회음악이라는 작은 울타리를 넘어 기독교 음악이라는 큰 명제(命題)를 성서적 근거들을 통해 제시한다. 그리고 교회음악의 성서적 기원이 교회가 세워지기 이전의 기독교 역사 전체를 통해 재해석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그리고 이러한 폭넓은 시각을 가진 예배자들을 통해 찬양의 깊이를 더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지역교회의 예배가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찬양으로 가슴이 벅차오르는 경배와 감사축제의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교회음악 교육에 대한 소고

        양정식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97 No.-

        How will this study overcome the reality of church music education in virtual spaces rather than classrooms in which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in Christian universities is lost due to the epidemic of infectious diseases? It started by raising the issue. Today, Christian col- leges and churches have lost the role of worship, which had been a top priority throughout history. Students are educated without going to school, and believers worship without going to church. They are adrift with the unanswered task of reinterpreting and resetting the standards of Christian education and faith. The ‘utopia,’ which emerged as a philosophical concept that projects the real world’s problems through imagination and depicts an ideal world to replace reality, means a world that everyone wants but does not exist. And ‘dystopia’ implies a world that not everyone wants but exists. Perhaps our present reality is in the middle of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worlds. ‘Next normal’ is a new word that conveys an active will to actively cope with and resolve the changes after the global pandemic that will change rapidly. In other words, it deviates from passive education that conforms to the reality of ‘new normal’ and seeks a way to respond more actively to digital and online, devising a strategy for social isolation and responding to the era of ‘post- corona.’ It is time to be ready to do it. How can we convey the essence of the Gospel, Jesus Christ, and the Christian spirit and faith with a long history, through church music educa- tion to Gen Z in college and the “Alpha generation” raised through digital and global networks? I want to find possible realistic alternatives to the ques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educational reality in virtual spaces such as small classe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find problems, and seek various ways and alternatives to improve them.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a suggestion and wish that a framework for education can integrate knowledge and life, faith, and life in Christian education and de- velop a curriculum for it. The current pandemic will end someday. However, to live in the era of “post corona” with an indelible scar, we will have to pioneer and adapt to a new conceptual life area. 본 연구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펜데믹이란 감염병 대유행으로 인해 기독교 대학에서 친밀한 관계를 상실한 교실과, 가상공간 너머로 내몰린 교회음악 교육의 현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라는 문제 제기에서 시작하였다. 오늘 날 기독교 대학뿐만이 아니라 교회는 역사적으로 가장 우선시 해 온 예배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이다. 학습자는 학교에 가지 않고도 교육을 받고, 신자들 은 교회에 가지 않고 예배하며 기독교 교육과 신앙의 기준을 재해석하고 재 설정해야 하는 답이 없는 과제를 떠안은 채 표류하고 있다. 현실 세계의 문제를 상상으로 투영해 내고 현실을 대신할 이상적인 세상을 묘사하고 있다는 철학적 개념으로 등장한 유토피아(utopia)는 모두가 원하지 만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세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디스토피아(dystopia)는 모두가 원하지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세상을 뜻한다. 어쩌면 지금의 우리 현실은이두세상이공존하는한가운데있다고할수있다. ‘넥스트노멀 (next normal)’, 급변하게 될 세계 대유행 사태 이후의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 로 대처하고 해결하려는 능동적인 의지를 담고 있는 신조어다. 즉 ‘뉴 노멀 (new normal)’이란 현실에서 비롯된 현상에 순응하는 수동적 교육의 자리에서 벗어나 디지털과 온라인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을 모색하 여 사회적 격리에 대비한 전략을 세우고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응대할 준비 가 되어야 할 때이다. 현재 대학교육을 받는 Z세대를 넘어 디지털과 글로벌 네트워크로 중무장한 ‘알파 세대’를 향한 교육 현장, 특별히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대학 에서 교회음악 교육을 통해 복음의 본질인 예수 그리스도와 역사 깊은 기독 교 정신과 신앙을 어떻게 전수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하여 현실적으 로 가능한 대안들을 찾고자 한다. 비대면 상황에서 원격수업이란 가상공간 에서의 대학교육 현실을 분석하고 문제점들을 찾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 양한 방안들과 대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표를 둔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기독교 교육에서 앎과 삶, 신앙과 생활을 융합시킬 수 있는 교육상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제안과 바램을 담아보고자 한다. 작금의 대유행은 언젠가 종식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지울 수 없는 흉터를 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삶의 영 역을 개척하고 적응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회음악 교육은 그리 스도를 바탕으로 한 복음의 본질 위에 더욱더 확실한 기독교적 정체성을 세 우고 하나님으로부터, 하나님을 향한, 회중의 삶의 여정을 진정성 있게 담아 낸 교육적 가치와 유산을 지닌 기독교 음악교육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