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미디어시대의 주술적 상상력과 그 현대적 의미 고찰 공연예술작품을 중심으로

        양인정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3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agical thoughts, which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piritual world in the pre-literary era, manifest themselves in today’s digital media and their new meanings in the 21st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magical imagin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agicality and digitalmedia are discussed. How magical thoughts find their place in the modern digital medium is illustrated with various case analyses. The discussion is divided into 2 parts. Part 1 focuses on the two underlying concepts of transformation and transcendence in magical imagination. Based on social anthropologist James George Fraser’s “sympathetic magic” in his publication The Golden Bough, it describes how certain things are transformed into supernatural things and the fantasy world in which the transforming body carries. Based on another cultural anthropologist Victor Turner’s “liminality” in his publication Rites of Passage, it explains how things are transcend from one dimension into another. In Part 2, three examples of performing arts illustrate how magical imagination take place through digital media: Klaus Obermaier’s interactive real-time generated stereoscopic dance and music “Le Scare Du Printemps”, Eric Whitacre’s live performance with virtual choir, and “ResonNations” which was played by musicians from different locations remotely.

      • KCI등재

        동물형상 악기의 모방주술과 변형에 관한 연구 -오이스터캐처 래틀(Oystercatcher Rattle)을 중심으로-

        양인정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8

        본 연구는 악기를 소리내는 예능적 도구로서만 인식하는 기존 틀에서 벗어나 종교적, 주술적 의미가 담긴 상징물이자 조형물로 탐구하는 것을 중심과제로 삼았다. 인간의 삶은 상징적 세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징적인 매개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그 어떤 것도 보지도 알지도 못한 것이다(카시러, 1991:50). 이런 의미에서 악기를 세상 이치와 원칙을 담고 있는 신비로운 상징물로서 재조명해보고 악기라는 미디어 자체에 함축된 정신적 의미에 관심을 집중함으로써 우리는 이전과는 다른 접근방식으로 악기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이 논의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모방주술’과 ‘변형’이라는 핵심개념을 이론적 근거로 동물형상의 악기가 초자연적 힘을 상징하는 주술적 도구로 작동하는 원리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두 핵심개념을 이해하는 데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James George Frazer)의 모방주술론이 이론적 토대로 활용되었으며 악기라는 사물에 영적 차원이 부여되는 방식을 시각적 측면과 소리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2부에서는 앞서 다룬 두 핵심 요소가 특정 지역에서 실제 구현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북아메리카 북서해안 지역 틀린깃(Tlingit)족의 주술악기인 오이스터캐처 래틀(oystercatcher rattle)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택하여 악기조형에 나타나는 표현양식을 동물상징 의미체계와 연결시켜 고찰하였다. 동물형상과 연계된 악기에 대한 주술적, 상징적 의미를 논의한 본 연구는 근대화 과정에서 잊어버렸던 종교적, 주술적 사유세계를 살펴봄으로써 물질이 지배하고 정신성이 상실되어 가는 첨단과학기술 시대에 과거 원시사회에 존재했던 인류의 근원적 사고가 21세기의 정신에도 닿아 있음을 되새겨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라 생각한다. 음악행위가 오락과 소비의 대상이 되어버린 오늘날 악기 연주의 본래적 기능과 악기의 신화적 상상력 및 영적 감수성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봄으로써 인간의 근원적 감성과 사유를 끌어내는 새로운 시각으로 현대 문화를 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animal-shaped musical instruments as solely an artistic tool for making sounds, and offers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instruments as symbols and sculptures with religious and magical meanings. It also discusses their present meaning and value of symbolism of animals in musical instruments. Part 1 of the study explains how musical instruments are closely linked to shamanic thinking in light of “imitation magic” and “transformation”, using George Frazer’s theory of imitative magic. The spiritual dimension of the sound and visual effects are examined. Part 2 is a case study of the oystercatcher rattle, a magical instrument of the Tlingit tribe in the northwest coast of North America.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musical instrument are studied: 1) What are their motifs, 2) What i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lingit tribe and the animals depicted in the musical instrument; 3) What kind of symbolism the animal image has in their culture.

      • KCI등재

        <세경놀이>의 결합 양상과 유희적 특성

        양인정 한국무속학회 2022 한국무속학 Vol.- No.45

        제주도 큰굿 <세경놀이> 형식과 성격을 분석하여 타 지역과 공유하고 있는 보편성을 밝히고 제주도 굿놀이의 유희적 성격을 구체적으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세경놀이>의 풍농을 기원하는 주술적 성격은 논란의 여지없이 분명하다. 그래서 현용준은 <세경놀이>를 성극의례라 하였는데, 이는 <세경놀이>의 일면이라 볼 수 있다. <세경놀이>는 제주의 민속예술극으로 가능성이 크기에 제주의 정서로 풀어내는 극적 작법을 풀어낼 필요가 있다. <세경놀이>에서는 실생활의 무거운 현실이 놀이 속에서 웃음과 공감을 이끌며 한없이 가볍게 다루어진다. 이러한 면모는 한국의 민속예술극인 탈춤의 정서와도 매우 유사하다. <세경놀이>는 명칭에서부터 ‘세경’이 드러나 있어 농경의례의 성격만 편향적으로 조명하고 삶의 애환에서 드러나는 일탈적 유희성을 주목하지 않았다. 그리고 성적 행위의 표현이 아닌 성적 언어유희를 유감주술(類感呪術)적인 것이라 해석하는 것은 한정적인 해석이라 생각된다. 또한, <세경놀이>는 큰굿 제차의 말미에 모든 긴장을 풀어놓고 웃고 떠들며 장난치고 놀리는 신명풀이의 장이다. <세경놀이>를 의례적인 성격만이 아니라 유희적 성격도 치밀하게 해석해볼 필요가 있겠다. <세경놀이>가 시작되기 전의 제차는 <양궁숙임>이다. <양궁숙임> 말미에서는 청했던 신들이 모두 하늘로 올랐다는 심방의 말명으로 끝난다. 그리고 <세경놀이>가 시작된다. <세경놀이> 다음으로 ‘문전본풀이-본향ᄃᆞ리-각도비념-영계돌려세움-군웅만판-ᄆᆞᆯ놀이-도진-가수리-뒤맞이’까지 하면 큰굿은 끝이 난다. 굿제차의 큰 맥락에서 <세경놀이>는 서울굿과 경기도 ‘뒷전’에 해당하는 제차와 형식적인 면에서 상당부분 유사성을 찾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세경놀이>는 동해안별신굿, 강원도 산멕이 농사놀이와도 유사한 화소를 공유하고 있다. <세경놀이>는 이미 인간의 삶 속에 녹아있는 ‘세경’을 관념하며 노는 것이다. ‘세경’은 땅, 농작물, 농기구, 농업과 관련된 모든 것에 이미 존재한다.

      • KCI등재

        생활문화의 전이로 해석한 제주<입춘굿 탈놀이> '각시' 역할

        양인정 한국무속학회 2023 한국무속학 Vol.- No.46

        'Gaksi' appears as a concubine in mask play. Tried a new approach centered on 'Gaksi'. The concubine in talnori is mentioned as a contrasting figure with the old wife, 'Halmi'.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 relationship centering on the concubine, who was not noticed as a peripheral character. I wondered if I was properly analyzing the existence value of 'Gaksi', a concubine in mask play. I was asked and answered if I fully reflected on the meaning of the role of 'Gaksi', the concubine in <Ipchungut Talnori>. The performance of 'Gaksi', a mask play, does not consist of the unilateral expression of the performer. It is natural to arrange performances for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by spectators of mask play. It is a situation where it is not possible to see what kind of person 'Gaksi' was expressed as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er. If so, it can also be read through the thoughts, emotions, and experiences of the viewer. What would be good if you want to see the performance of 'Gaksi' through the audience? In particular, song is highly likely to share emotions very close to mask plays. It was confirmed that folk songs sung during talnori in other regions other than Jeju Island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lay. Among the Jeju folk songs, the concubine song in the labor song has various views on concubines. The concubine song be said to be the perception of the concubine that be internalized by those who watch the mask play. <Ipchungut Mask Play> 'Gaksi' was a beautiful young woman who conceived a child. 'Gaksi' is significant as a being that causes conflict between 'inspiration' and 'halmang' and leads change. Comparing with the Gaksi masks of other regional mask plays, it can be seen that concubines are women of the same status as gisaengs and prostitutes. A concubine is a being that encourages desire, corruption, and self-indulgence, so men must be careful not to be deceived. However, in the play space, 'Gaksi' should seduce and entertain everyone.

      • KCI등재
      • KCI등재

        기상조건 및 온습도지수가 젖소의 유질에 미치는 영향

        양인정,한광우,윤호백,이준희,이원재,전상곤,김진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6

        Increasing in ambient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is likely to reduce milk yields and negatively affect milk quality in dairy cows.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would impact on dairy industry since production costs would increase with reductions in milk production. In Korea, dairy farmers are pai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raw milk components (milk fat concentrations, somatic cell counts and bacteria cell counts). In this study, to assess changes of milk quality caused by ambi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Gyeongbuk province),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was calculated on the base of the equation suggested by Schoen's model.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HI on milk quality. Increased temperature and THI significantly reduced milk fat concentrations from 4.0-4.1% during the winter to 3.6-3.7% during the summer. Occurrence ratio of the 1st grade somatic cell counts (1st SCC) was lower during April to September compared to that of annual average. The THI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milk fat concentrations (r=-0.8914) and 1st SCC (r=-0.6067) in the overall Gyeongbuk region.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temperature and THI on milk fat concentrations and 1st SCC. Whereas occurrence ratio of 1A bacteria cell counts (1A BC) had no correlation with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THI. To make predictions for milk fat concentrations and 1st SCC, th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fit data.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I is a useful and easy way to assess the risks of heat stress and is a candidate parameter to predict milk quality. 지구 온난화에 따른 외기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은 젖소의 유질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원유의 유지방함량, 체세포수 및 세균수를 기준으로 유대가격을 산정하고 있어 궁극적으로 여름철 온도의 상승은 젖소농가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외기온도와 상대습도을 조사하고 외기온도와 상대습도에 따른 온습도지수 (THI)를 도출하여 유질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지방 함량은 겨울철 4.0-4.1%에서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3.6-3.7%로 저하하였고 동시에 온도와 THI가 상승하였다. 체세포수 1등급 출현율은 4-9월이 다른 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는 유지방 함량과는 r=-0.8914, 체세포수 1등급 출현율과는 r=-0.6067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세균수 1등급 출현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을 보이지 않았다. THI에 따른 유지방함량 및 체세포수 1등급 출현율을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을 단순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을 종합하면, 온도 및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도출한 THI는 젖소의 고온스트레스를 분석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티베트 악기재료에 나타난 상징적 의미 - 티베트의 다마루(Damaru)와 캉링(Kangling)을 중심으로 -

        양인정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3 音樂論壇 Vol.29 No.-

        There are many musical instruments in this world. The echo of sounds or the structure of musical instruments is various and there are many materials which are used in them. Men have invented musical instruments that they needed using natural materials which were easily found i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s including wood, animal skins, bones, or horns, stones, metal, and dirt, etc. since the primitive times. The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made by very special materials were found in some areas. It is the body parts of the deceased that were used as the materials of musical instruments. A typical example is Damaru, the drum which was made by putting craniums which were used in the Tibetan Buddhist rituals, that is, two hemispheres of the tops of the heads together and Kangling, the wind instrument which was made by the thigh bones of men. The major content that this paper tries to handle does not include examining how many extremely scandalous materials men made musical instruments with. Its purpose is to investigate why they used these materials. Even without further explanation, it can be estimated that these musical instruments were used in special annual events which are far from ordinary musical acts. For example, it can be thought that tools to be used in special religious rites or shamanistic ceremonies needed the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made by rare materials to create mystery. So you can enough guess that the remains from the dead bodies were made into the musical instruments with special meanings. The thing that the author tries to determine through this paper does not include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recise structure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echo of sounds. It's because it is thought that the musical instruments was not designed to enjoy the musical echo. Rather,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what roles and what symbolic meanings these musical instruments include in the cultural areas that they were used. There are often many cases to be thought that musical instruments concretely realize the physical echo. But when musical acts were observed in the non-western areas, there are cases that this physical echo is not primary concern as the results. That is, there are many cases whose purposes are to deliv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some symbolic meanings to members through their performance, not being interested in how their invention acoustically made good sounds. Therefore, the author tries to consider these contents, that is, the roles and functions of Damaru and Kangling and the symbolic meanings that the members gave through the Tibetan examples. 이 세상에는 다양한 악기들이 많다. 소리의 울림이나 악기의 구조만 다양한 것이 아니라 악기에 사용된 재료 또한 여러 가지로 많다. 인간은 원시시대부터 나무, 동물의 가죽이나 뼈 혹은 뿔 그리고 돌이나 금속, 흙 등 자신들이 거주하는 환경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적인 재료들을 이용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악기들을 발명해 왔다. 그 중에서도 어떤 지역에서는 아주 특별한 재료로 만든 악기들이 발견된다. 바로 죽은 사람의 신체부위를 악기의 재료로 사용한 것이 그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티베트의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사람의 두개골, 즉 정수리의 반구 두 개를 맞붙여서 만든 북인 다마루(damaru)와 사람의 넓적다리뼈로 만든 관악기인 캉링(kangling)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주된 내용은 인간이 얼마나 해괴망측한 여러 재료들을 동원해 악기를 만들었나를 살펴보는데 있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하필이면 왜 이런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그들 나름의 이유를 알아보는데 있다. 자세한 부연 설명이 없더라도 우리는 이러한 악기들이 일상적인 음악행위와는 거리가 먼 특별한 연행에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별한 종교의식이나 주술적인 의식에 쓰이기 위한 도구는 신비감을 조성하기 위하여 흔치 않은 재료로 만든 악기가 필요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 추측에서 죽은 사람의 몸에서 얻어낸 유골에 특별한 의미를 담아 악기로 만들었을 것이라고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은 악기의 정밀한 구조와 음향적 울림에 대한 세세한 정보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 악기들은 음악적 울림을 즐기기 위한 것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이 악기가 사용된 문화권에서 구성원들에게 어떤 역할과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 본 논문의 주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우리는 흔히 악기라는 것이 물리적 울림을 얼마나 구체적으로 실현하는가에 관심을 두고 만들어진 것이라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서구 지역에서의 음악적 행위들을 관찰하다 보면 이러한 물리적 울림이 결과물로써 일차적 관심사가 아닌 경우를 만나게 된다. 즉 악기의 발명이 음향적으로 어떤 좋은 소리를 만들어 내는가에 관심이 쏠려 있기보다, 그 악기의 재료가 가진 특수성과 그에 따른 연주를 통해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필자는 티베트의 사례를 통해 이와 같은 내용, 즉 다마루와 캉링에 담긴 역할과 기능 그리고 구성원들이 부여한 상징적인 의미들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악기의 주술성에 대한 연구 -레이븐 래틀(raven rattle)을 중심으로-

        양인정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8

        Musical instruments are nowadays regarded merely as tools for recreation and entertainment purposes. This paper re-examines their many other functions and usages by tracing back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in art, cultural, religious and social history, especially the symbolism and magic power which have been long forgotten in the wake of westernization and scientific innovation. Raven Rattle was one of the accoutrements among the tribes in the Northwest Coast of North America. It was considered as a spirit-bearing object which possessed magical power. This paper studies this musical instrument thoroughly in 2 aspects. First, how the magical power is manifested through its shape and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which finds similar expression in other artefacts and art works at that time. Second, how it was used by shamans in the potlatch festival and other ceremonies to serve religious and magical purposes. 본 논문은 오늘날 단순히 소리를 창조해내는 물리적 도구로 그 의미가 축소된 악기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성찰하기 위한 것이다. 악기가 본래 갖고 있던 의미, 즉 서구화와 과학화로 인해 잊어버렸던 악기의 주술성과 상징성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악기의 존재를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새롭게 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이 논의를 위해 북아메리카 북서해안 지역의 일부 부족들 사이에서 영혼이 깃들어 있는 주술물로 간주되어온 레이븐 래틀(raven rattle)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문화권에서 이 사물이 어떤 방식으로 의미화되었으며 사람들과 관계를 맺어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 이루어졌다. 먼저 레이븐 래틀의 외형에 패턴화되어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구성 모티프별로 나누어 그 형상들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고 특정 신화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의미들을 검증하는 한 방법으로 유사한 주제들이 등장하는 여러 조형예술품이나 공예품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들 간의 공통점을 고찰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는 실제 연행에서 이 악기의 종교적, 주술적 기능 및 역할을 탐색하기 위해 이 지역의 대표적 연행인 포틀래치(potlatch) 축제와 샤먼의 치병의식에서 이 악기가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졌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