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상용식품의 플라보노이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양윤경(Yang Yoon Kyoung),김지연(Kim Ji Yeon),권오란(Kwon Oran) 韓國營養學會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3

        Flavonoids have been hypothesized to reduce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but the lack of a flavonoid database hampered epidemiological studies addressing this issue in Korea.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lavonoid database,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A total of 1549 food items containing flavonoids were selected using the Korean Nutrient Database. Among them, flavonoid contents for only 649 food items were evaluated with analytical values and the remaining 900 items were replaced with adaptations or calculations from similar items. The developed flavonoid database covered 93.2% of fruits and fruit juices, 76.1% of vegetables, 98.4% of legumes and legume products, and 85.0% of all plant foods overall (1,549 items) as reported by the 24-hr dietary recall method regarding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 found that this flavonoid database, overall, included 95.6% of all mainly consumed plant foods by Koreans. This flavonoid databas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regards to the correlation study of flavonoid intake and chronic diseases.

      • KCI등재

        고령친화형 식품의 제도적 시스템 마련에 대한 식품산업체 인식 조사 연구

        양윤경 ( Yoon Kyoung Yang ),김이선 ( Leeseon Kim ),김소운 ( Sowoon Kim ),김정선 ( Jeong Seon Kim ),김범근 ( Bum-keun Kim ),김지연 ( Ji Yeon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8 산업 식품공학 Vol.22 No.2

        고령친화형식품에 대한 법적 제도마련을 위한 기준규격개발의 기반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산업체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을 타깃으로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식품이 있느냐의 결과는 ‘아니요’ 48명(50.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노인 타깃 식품 유형은 건강기능식품이 19명(40.4%)이고 노인 타깃 식품 생산·판매 희망여부는 52명(54.7%)이었다. 고령자를 위한 식품으로 필요한 식품은 고른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식품, 기능성 원료를 강화한 식품, 저작의 편의를 도모한 식품 순으로 선택하였다. 노인 식품에 대한 법적 지위 필요여부는 47명(51.1%)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고령친화제품 인증이 회사의 판매에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답을 하였다. 고령자를 위한 식품의 인정에 필요한 기준은 저작의 편의를 도모한 물성기준, 건강을 고려한 기능성 원료 첨가에 대한 기준, 영양소 기준, 위해 및 안전 기준 모두가 필요하다고 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저작 능력에 따라 5가지 단계로 구분하는 일본 개호식품을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자를 위한 식품의 기준규격을 설정하는데 있어 5단계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느냐에 대해서는 41명(44.6%)명이 답을 하였다. 고령자 식품 활성화 방안은 인증제도 운영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에서도 고령자를 위한 식품 유형의 신설이나 세금 우대 혜택 등의 활성화 방안이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 for setting a legal system for senior-friendly food. We conducted a web-based survey on 95 food industry workers. Answers to 10 questions in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it comes to food for seniors are the supply of balanced nutrition, enhancement of functionality, and promotion of convenience. A total of 47 respondents (51.1%) felt the need for a legal system for senior food, and they thought that a certification for senior-friendly food would be advantageous for companies. They said that there should be texture standards to promote ease of chewing, standards for functionality, nutritional standards, and safety standards to certify senior-friendly foods. A total of 41 people (44.6%) said that it was reasonable to classify Japanese food into five levels of senior-friendly foods according to ease of chewing. Certification management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implementing an activation plan for senior-friendly food.

      • KCI등재

        젊은 여성에서 짠맛 역치 및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나트륨 섭취 간의 상호 관련성

        심유진(Shim, Eugene),양윤정(Yang, Yoon Jung),양윤경(Yang, Yoon Kyou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20대 초반 한국 여성의 짠맛 역치 및 선호도를 측정하여 음식섭취빈도법을 통해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관련되어 있는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과 나트륨 섭취 기여음식을 조사하였다.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음식섭취빈도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나트륨 증가 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나트륨 감소 식행동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중에는 식탁에서 소금과 양념간장의 사용, 외식과 배달음식의 빈도, 국, 찌개, 국수류의 국물 섭취, 레토르트나 가공 식품의 이용, 생채소의 섭취, 싱거운 맛에 대한 수용태도 등의 항목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나트륨 섭취 기여 음식 중에는 라면, 순두부찌개, 총각김치 및 김치를 이용한 음식 등이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어, 짠맛 선호도가 이들 식행동 및 음식을 통해 높은 나트륨 섭취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상과는 달리 짠맛 검출 및 인식 역치는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 나트륨 섭취량, 나트륨 증가 및 감소 식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식품체계가 아닌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한 짠맛 역치보다는 자기 평가된 짠맛 선호도가 개인의 평상시 나트륨 섭취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더 좋은 지표로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자기 평가 짠맛 선호도는 나트륨 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평상시 나트륨 섭취 정도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나트륨 섭취 수준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recruited 118 women in their early 20"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dium intake and salty taste thresholds and preference. We also examined the association of salty taste preference with sodium-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major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Methods: Daily sodium intake was estimated using a 127-item dish-frequency questionnaire. Salty taste thresholds and preference were measured using rating scales using water solution of NaCl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ased on a Likert scale, respectively. Results: Salty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aily sodium intake and sodium intake-increasing behaviors, and inverse association with sodium intake-decreasing behaviors, including salt and soy sauce use at the table,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nd home delivery of foods, broth consumption of soup, stew or noodle soup, the use of ready-to-serve or processed foods, fresh vegetable intake, and the accommodating attitude toward bland food. Intake of sodium-contributing dishes, including ramen, spicy soft-tofu stew, radish kimchi, and dishes containing kimchi, also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salty taste preference. Unexpectedly, detection and recognition thresholds of salty taste showed no association with salty taste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sodium-related dietary behavior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alty taste preference could reflect sodium intake of individuals rather than thresholds of saltiness, and may be used as a simple and effective proxy for usual sodium intake.

      • SCOPUSKCI등재

        RAW 264.7 큰포식세포에서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비교

        김윤영(Yunyoung Kim ),양윤경(Yoon Kyoung Yang),김동민(Dongmin Kim),김지연(Ji Yeo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3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상백피, 상지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산화질소(II), 프로스타글란딘 E2, 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α 등의 생성능과 COX-2, iNOS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산화질소(II) 생성량은 두 추출물 모두 유의하게 비슷한 정도로 감소시켰으나, 활성산소종 생성에서는 상백피 추출물이 상지 추출물 보다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스타글란딘 E₂와 인터류킨-6 생성에서는 상지 추출물의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COX-2와 iNOS mRNA 발현량 또한 상지 추출물의 상백피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로 상백피, 상지 추출물 모두 염증 매개인자 발현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상지 추출물이 상백피 추출물 보다 염증 완화 효과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상백피 및 상지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들의 차이와, 염증완화 메커니즘을 통한 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는지 정확한 작용메커니즘 확인 등의 분석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root peel and spear of mulberry (RME and SME, respectively)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Both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nitric oxide (NO), and interleukin-6 (IL-6). However, prostaglandin E₂ (PGE₂) levels decreased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reated with SME. Additionally, the extracts reduced inducible NO synthase (iNOS) expression and cyclooxygenase-2 (COX-2) in mRNA levels. Although ROS production was lower in the RME-treated cells than in the SME-treated cells, the levels of other inflammatory parameters, including IL-6 and PGE₂, and mRNA levels of iNOS and COX-2 reduced more in the SME-treated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E showed highe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an RME. Therefore, SME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to enhance health.

      • KCI등재

        한식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한국인 상용 음식과 식품에 대한 인식

        이상은(Lee, Sang Eun),강민지(Kang, Minji),박영희(Park, Young-Hee),정효지(Joung, Hyojee),양윤경(Yang, Yoon-Kyoung),백희영(Paik, Hee Young)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6

        Han-sik is a term in Korean that may indicate any Korean dish or food. At present,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Han-sik among scholars or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Han-sik by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food, nutrition, and culinary arts using 512 dishes and foods commonly consumed by Koreans using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 total of 117 professionals out of 185 initially contacted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online survey. We calculated the rate of respondents with a positive answer, that is “It is Han-sik’, on each dish and food from the 512 items in 28 dish groups. Item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ir Han-sik perception rate: over 90%, 75-89%, 50-74%, 25-49%, and below 25%. Most items in the three dish groups ‘Seasoned vegetables, cooked (Namul·Suk-chae)’, ‘Kimchis’, and ‘Salt-fermented foods (Jeotgal)’ showed high perception rates of Han-sik, with a higher than 90% positive response. Items in ‘Soups’, ‘Stews’, and ‘Steamed foods’ dish groups also showed high perception rates of Han-sik. However, no item showed a greater than 90% Han-sik perception rate in ‘Fried foods (Twigim)’, ‘Meat, poultry and fishes’, ‘Legumes, nuts, and seeds’, ‘Milk and milk products’, ‘Sugars and confectioneries’, and ‘Soup’. Most items in the ‘Milk and milk products’, ‘Sugars and confectioneries’, and ‘Soup’ groups belonged to the lowest perception rate of below 2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items perceived as Han-sik by the length of living abroad to (p < 0.05). In summary, the perception rate of Han-sik seemed to be affected by the cooking method, ingredients, and length of time living abroad by the professionals. Further studies targeting subjec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warranted to define the concept of Han-si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