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 교육과정 교육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탐구

        양영자 ( Young-ja Y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이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교원양성교육과정 참여자, 교육과정 교과목 교수자, 교사교육자로 살았던 연구자의 삶과 교육경험을 연구한 자서전적인 탐구이다. ‘나의 교육과정 교육경험의 본질은 무엇이었으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쿠레레 방법을 통해 자료를 생성하고 수업 관련 질적 자료를 분석해서, 다음의 일곱 가지 주제로 자기 이해를 개념화했다. 교육과정으로 들어온 길의 초입, 교원양성교육과정 참여자로 겪은 저항과 순응의 이야기, 교육과정 수업 기획 변화의 계기와 의미, 교육과정 교육자로서의 내적 분투와 예비교사라는 거울, 수업이 예비교사에게 미친 영향과 교사교육자로의 성장, (예비)교사에게 다음세대를 부탁할 교사동역자로서의 사명 각인의 계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불안정성에 대한 해석 등이다. 이 연구는 쿠레레를 통해 변화의 유익도 경험하고 자기 이해의 한계도 체감하면서 교사동역자로 성장 중인 한 연구자의 교육경험을 드러냈다. This research is an autobiographical inquiry that explores the lif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a researcher who has lived as a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articipant, curriculum subject instructor, and teacher educator for over a decade. To answer the question 'What was and is the nature of my curriculum teaching experience?',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qualitative materials from the researcher’s own classes and using the writing of currere as an autobiographical method. The following seven themes emerg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 the beginning of the path of entrance into the curriculum, 2) the narratives of resistance and compliance experienced as a participant in the teacher-education curriculum, 3) the occasions and meanings of changes in curriculum class planning, 4) the internal struggle as a curriculum educator, and pre-service teachers as a mirror for curriculum educator, 5) the impact of my teaching on pre-service teachers, and my growing into a teacher educator, 6) the turning point in the mission as a coworker to entrust the next generation to teachers, and 7)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tability of the researcher’s own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reveals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a growing researcher as a teacher coworker while experiencing the benefits of change and the limitations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curere method.

      • KCI등재

        교사는 왜 교직을 떠나며 어디로 가는가: 두 초등교사 출신 교과교육 연구자의 교직 경험과 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영자 ( Young-ja Y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이 연구는 초등교사 연구자가 왜 교직을 떠나며 어디로 가는가를 이해하고자 교직에서 연구직으로 전환한 두 초등교사 출신 교과교육 연구자의 교직 경험과 전환 경험의 의미를 탐구했다.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해 참여자 내러티브에서 다음의 다섯 가지 주제를 구성했다. 교과교육 전문성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로서의 고민과 문제의식, 검증되지 않은 경험을 의존하는 초등 교직 풍토에서 이론의 중요성, 초등교사로서 교과교육 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의 갈등, 고경력 초등교사 연구자가 현장을 떠나는 구조적 문제: 승진 제도, 연구직 전환에 따른 양가감정 등이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가 교과교육 연구자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고려할 점이 무엇인지를 성찰해보는 출발점을 제공했다. This study inquired the narratives of two form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teachers leav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ransitioning to a research position. These two participants had more than 10 years of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experience and transitioned to researcher position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five themes from the two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dentifi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rns and questions about subject matter education expertise, the importance of theory in an elementary teaching climate that favors experiences, conflict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being an elementary teacher to a subject matter education researcher, structural issues that cause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 researchers to leave the field such as the promotion system, and the ambivalence about transitioning to a research position. Through this study, the starting point for reflection on what primary teachers need to consider in order to continue to grow as subject matter education researcher.

      • KCI등재

        초ㆍ중등 교육과정 총론에서 다문화교육의 현재와 미래

        양영자 ( Young-ja Y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3

        이 연구는 정의를 지향하는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서의 다문화적인 교육과정을 국가 수준에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됐다. 이를 위해 다문화적인 교육과정의 사례로 스웨덴의 「기초학교, 유아학급학교, 방과후학교를 위한 교육과정(Curriculum for the compulsory school, preschool class and school-age educare)」 총론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에서의 다문화적인 내용의 반영 양상과 한계에 대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의 초ㆍ중등 교육과정 총론이 변혁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정의를 지향하는 다문화적인 교육과정으로 개정되려면, 무엇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측면, 교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측면, 교수·학습 측면, 학교교육 과정 지원 측면 등에서 논의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o become a multicultural curriculum as an 'education for all' that aims for justice. To this end, after analyzing the general guideline of Sweden's national curriculum as an example of a multicultural curriculum, the reflection pattern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general guideline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With these findings in mind, we discuss the revisions and transformational paradigm needed to change the general guideline of South Korea’s national curriculum into a justice-oriented multicultural curriculum. We discuss the changes required in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how these changes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areas: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construction,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세 중등교사 출신 교과교육 연구자의 교직 경험과 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영자(Young-Ja Y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2

        This study inquires about the narratives of three researchers who had b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more than 10 years in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ir transitioning momentum and processes into research positions. The narratives of these three participant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1990), thereby five themes were constructed as follows: 1) the unexpected difficulties and internal conflicts as novice teachers when confronting problematic realitie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ing profession; 2) the qualitative growth and progress through the postgraduate study as teachers in subject matter education; 3) the internal conflicts as teacher-researchers in a somewhat dichotomous situation where theory is superior to practice in academia and yet the opposite in secondary schools; 4) the teacher-researchers’ identity squeezed in between teaching profession and academia; 5) the gains and losses resulting from transitioning into research positions. The study is to help understand the career paths of transitioning from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research positions.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ppropriate environments for teacher-reseachers’ sustainable growth in the field of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교사 저서에 나타난 교사론의 질적 내용 분석 연구

        양영자(Yang, Young Ja)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교사저자들의 ‘교사론’ 주제를 다룬 단독저서를 질적 내용 분석함으로써, 실천 경험에 기초한 교사론의 내용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해, 현실 정합성 높은 ‘교사의 교사론’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론 주제의 교사 저서 선정을 위해 의도적 표본을 추출하고자, 3인의 정보 제공자에게 연구자가 제공한 리스트에서 총 55권을 추천받고, 이중 교사저자의 교사론에 초점을 맞춘 단독저서 총 30권을 최종 분석대상 저서로 선정했다. Elo & Kyngäs(2008)의 귀납적 내용 분석법으로 분석해, 다음의 여섯 주제를 확인했다. 곧 ‘교사 탓’ 담론 구조 속에 여전히 아프고 힘든 교사의 삶, 교사의 존재 이유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 전문직으로서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강조, 교육 본질과 교사 본위 회복을 위한 교육개혁에의 희망, 교육에의 걸림돌과 교육을 위한 타개책 모색, 교사저자의 수 만큼이나 다양한 ‘훌륭한 교사상’의 의미 등이다. 연구 결과, 교사의 관점에서 교육 쟁점에 대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법을 알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가는 (예비) 교사의 현실과 연결된 실제적인 교사 역할 모델의 특성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교사의 실천 담론 분석이라는 새로운 연구 방향의 기초를 놓음으로써 연구과 현장 사이의 괴리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 방안의 길을 제시했다. This study us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consider teachers’ views on teacher related themes in books written by teacher-authors. In order to extract perspectives on themes by teacher-authors, a list of the books was compiled by the researcher. This list was purposively sampled in such a way that three information providers reviewed them and 55 books were recommended from the original list provided by the researcher. A total of 30 book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focusing on teachers’ views on teachers and conducted us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of Elo & Kyngäs (2008). Six themes were identified in the texts: 1) Emotional difficulties of teachers’ lives in the teacher-blaming discourse structure, 2) continuous reflection on the reason for the teacher’s existence, 3) emphasis on the teacher’s expertise as a professional, 4) hope for education reform to restore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he true role of teachers, 5) obstacle to and solutions for education, and 6)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ence of numerous definitions of a good teacher that is equal to the number of teacher-authors. Not only do the results show us how to look for solution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on educational issues, it also shows 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teacher role model for (new)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ers’ practice discourses, the researcher recommend a way for finding a realistic solution to solve problems of separation between the researches and the practices in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교육 실천가로서의 교사상 탐구: 영화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의 에린 그루웰(Erin Gruwell)을 중심으로

        양영자 ( Young Ja Y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 실천가로서의 교사상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실화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육 실행에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교사 소재 영화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2007)> 텍스트를 질적 내용분석 한 후, 학생관, 교육과정관, 다문화적인 교육 비전이라는 세 가지 코드를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을 차별과 편견 없이 믿음과 기대를 갖고 대하는 교사, 변혁정신을 핵심 원리로 교육과정 변혁을 주도할 뿐 아니라 일상의 차별과 부정의를 직접 느끼고 경험하고 스스로 깨닫게 하는 교수법을 사용하는 교사, 자신과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비전과 철학을 지닌 교사를 다문화교육 실천의 교사상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teachers as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film, Freedom Writers, which provided insight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Employ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aspects: the view of students, the view of the curriculum, and the vi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identified the roles of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s being individuals who trea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being individuals who practices transformative curriculum centered on the transformative spirit using teaching methods that help students learn by being exposed to discrimination and injustice in everyday settings; and as individuals who have visions and philosophies related to transforming oneself and the world.

      • KCI등재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

        양영자(Yang, Young-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이 연구는 탈북한 부모 배경에, 이주 경험이 있고, 중국과 남한에서 맥락화 된 중첩적 특성의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도모하고 존재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2016년 2월 19일까지의 언론보도자료, 국내·외 실태조사 보고서, 학술논문 등 관련 모든 문헌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법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을 누구로 규정하며 이들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들의 교육 현안은 무엇인지, 이들의 혼종적인 경계경험이나 특성이 한국미래교육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들은 다중 경계의 접합을 드러내고 다양한 차원의 경계 와해를 촉구하는 전환기적 존재이며, 한국교육에서 탈북 교 육과 아울러 소수자교육의 재확립이라는 과제를 제기하는 존재이자, 한국교육과 다문화교육에 새로운 교육 지평을 제공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f children of North Korean immigrants born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children share their parents background as North Korean refugees. However, they also have on their own immigrant experiences moving from another country to South Korea and cultural hybridity characteristics contextualized in China and South Korea. In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such as newspaper articles,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discourse,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children, and the possible educational insight that these children may bring from their hybrid experience toward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Studying this particular population is a turning point in this type of research as it reveals new complex cultural boundaries and encourages breaking down of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search on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 education and minority student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which will ultimately offer a new perspective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 지평: 역사적 소수자의 미래지향적 재현

        양영자 ( Young Ja Y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라는 외적인 변화가 한반도 근·현대사의 내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배제되거나 소홀히 여겼던 중국동포, 고려사람, 재일조선인, 북한이탈주민을 한반도 근·현대사의 역사적 소수자로 명명하고, 역사적 소수자의 존재 의미, 경험의 유산, 관련 지식 등을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내용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문화교육 측면에서 역사적 소수자의 존재 의의를 정당화 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재현을 논의함으로써 한국 다문화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새 지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Korea’s shift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s related to socio-political issu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e author identifies Chinese compatriots,Koryo-saram Korean, Zainichi Koreans and North Korean immigrants as historical minorities, that have been excluded or neglec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Moreover, the author proposes that the historical experiences, cultural heritage, and knowledge of these historical minorities be included in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Particularly, this study suggests a new avenue for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affirms the pre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ountry’s historical minorities in society and promotes a future-oriented representation of the historical minorit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재유형화와 교육 접근법

        양영자 ( Young Ja Y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3

        교육, 연구, 정책 대상으로서의 ``다문화가정 학생``은 대체로 ``국제결혼가정 학생``, ``외국인근로자가정 학생``, ``새터민 아동·청소년``, ``동반·중도입국 학생`` 등으로 유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화는 소수자 학생 지원이라는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신 소외계층``으로 ``이름표 붙이기(labeling)``함으로써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전파·재생산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동질집단으로 인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교육의 획일화는 물론, 연구대상 설정 및 결과 해석의 오류, 그에 따른 합리적인 교육지원이나 정책 효과성 제고 등의 제반측면에서 근본적인 문제를 낳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재유형화의 필요성으로서, 최근 더욱 다양화된 다문화가정 학생 유형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학생 심층문화 중심으로 학생 특성과 조건을 우선시하는 새로운 유형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유형별로 적합한 교육 접근법을 시론적인 차원에서나마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소수자 학생 대상의 다문화교육에서, 최근 더욱 다양화된 학생 유형을 누락됨이 없이 교육 대상으로 포괄할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소수자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과 조건을 반영하여 학생중심의 교육, 연구, 정책이 시행될 수 있는 유형화 틀을 제공하고 교육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re often categorized as part of ``students of international marriages``, ``students of migrant workers``, ``young North Korean refugees`` or ``students who immigrated with their parents or were brought by their already-settled parents``. While this kind of categorization is to systematically support minority students, it is likely to create and spread negative stereotypes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by socially and economically ``labeling`` them as ``a new type of disadvantaged people``. Moreover, as it results in treating such students as a homogeneous group, it leads to a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errors in identification of research objects and interpretation of outcomes of research, and concerns about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and the enhancement of policy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gives cases of the types of recently-diversified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o explain the need for re-categorization of such students. Then it suggests a new typology method which puts emphasis on deep culture of the students, and illustrates appropriate educational approaches for each typ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with a new categorization method in which student-centered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can be operated, and various characteristics, personalities and conditions of minority students can be reflected; and to explor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