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목적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영재와 언어영재 판별도구의 탐색

        양수경,김현철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M고등학교 등 총 739명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성검사와 적성검사, 그리고 고등학교 입학 전형요소의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력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언어, 수리, 공간, 과학 영역의 적성검사 점수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등의 창의성검사 점수가 과학분야와 언어분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크고, 입학전형 요소 중에서 중학교 내신과 실기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고등학교 입학 연령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언어분야의 영재들을 선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판별방법이 논의되었다. Student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high school gif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 the effects of aptitude test and the creativity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in high school. High school aptitude test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were used for the purpose. The scores of the tests for admission, aptitude test, creativity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739 students from two Science High Schools, on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M Leadership Academ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aptitude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s used for high school admission in all four high schools, and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s used for admission in four high schools.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이용한 학업중단 변별 요인 탐색

        양수경,차성현,남진현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4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단계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과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의사결정나무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이용해 학업중단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을 변별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그 요인들이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10년도에 수행한 선행연구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학업중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생의 무단결석 경험이었으며, 무단조퇴 및 가출 경험, 성별, 친부모와의 동거여부, 부모의 폭력성, 친구의 무단결석 경험, 학업을 중단한 친구여부 등도 중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도 학생의 무단결석 경험이 학업중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수업 중 무단이탈, 무단조퇴 및 가출 경험, 부모의 폭력, 부모의 학업에 대한 억압, 부모와의 대화 정도, 부모의 교육지원, 친부모와의 동거여부, 학교소재지, 학교의 생활지도 엄격성 등이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업중단 학생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전문상담교사의 확대 배치, 학부모 교육 강화, 가정‑학교간 실질적 의사소통 채널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scriminant factors common to students at risk of dropping out and assess the factors' respective influence on the decision to drop out, utilizing a decision tree analysis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ata collected from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nd students who dropped out at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To achieve this end, this study used survey data collected for a prior study by KEDI in 2010.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isk factor most influential in a middle school student's decision to drop out was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unexcused absences from school, and other risk factors included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leaving school early during class hours without an excuse, experience with running away from home, the student's gender, whether the student lives with his or her biological parents, experience with parental violence, friends' experience with unexcused absences, and whether the student had dropout friend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unexcused absences was the most influential risk factor in making a decision to drop out, and other factors included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leaving class without an excuse, experience with leaving school early during class hours without an excuse, experience with running away from home, experience with parental violence, experience with parental pressure to achieve higher academic results, how much the student talks with his or her parents, parental support in education, whether the student lives with his or her biological parent, the school location, and how strict the school is in student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to reduce the number of dropout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placing more professional counselors, reinforcing parental education, and providing a substantial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home and school.

      • 가입자망과 유·무선 댁내망 연동을 위한 홈게이트웨이 표준화동향 및 향후 발전전망

        양수경,김일중,박종안 조선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2001 電子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4 No.1

        Homegateway provides multiple services such as high speed internet, ealtime multimedia service, home resource sharing, network game, tele education, tele medicare, home shopping etc. through various access networks and various wired and wireless home networks. In addition, it enables us control remote home appliances and home security service using hand-held information terminals. This may be come true in a condition that should be installed and managed easily and reliability and security supported. Nowadays the development of homegateway which is a core device for home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the near future, is deeply needed. In this paper, we review the some key access network technologies and wired and wireless home network technologies. And recent development trends of homegateway technology which enables interoperability with each home network technologies and recent home network standardization trends are reviewed. Finally, future aspects on homegateway development are issued in relation to future development of access networks, home networks, internet appliances and cyber-home construction activation.

      • KCI등재

        탈북민 화법 연구에 나타나는 언어 이데올로기 연구

        양수경,이주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2 No.-

        This article has two basic objectives: First, to examine whether existing research on the speech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language ideology: Secon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deology that influenced and shaped the previous research. By using theoretical framework developed by Irvine and Gal, we found that 80% of existing research featured semiotic process of language ideology, focusing on the heterogeneous traits between the speech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native South Koreans. That i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peech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shaped by the ideology of heterogeneity, which we defined as the sets of beliefs that the speech of native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re distinctively different. We argue that these sets of belief reinforces not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eeches, but also the difference of the two countries, further reproducing the structure of conflic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how previous studies are shaped based on this conceptual framework, and why they share the use of terminology and methodology in common. 본 연구는 탈북민 화법 연구 분야에 언어 이데올로기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그성격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탈북민화법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 이데올로기의 기호 과정이 나타나는지와 그 양상은어떠한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석 대상 논문의 80%에서 언어 이데올로기의 기호과정이 존재하였으며, 이는 탈북민 화법의 이질성을 강조하고, 탈북민 화법과 남한 토박이 화법의 이분법적 대립 구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그리고 탈북민 화법대 남한 토박이 화법의 대립 구도는 또다시 남북한 언어의 대립 구도로 재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탈북민 화법 연구에 있어 ‘이질성 이데올로기’가 존재했다고 보고, 이를 ‘탈북민들의 화용 특성이 남한 토박이들과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는 신념체계’로 정의하였다. 이질성 이데올로기의 존재는 앞선 연구들이 동질성보다 이질성에더욱 집중해온 것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기존 연구의 방법론과 용어 선정 경향에 대해서도 설명을 제공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선행 연구의 기저에 존재하는 이질성 위주의 인식 틀을 명시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해외봉사 프로그램의 혁신적 운영사례

        양수경 한국국제협력단 2017 국제개발협력 Vol.2017 No.1

        효과적인 국제 개발 협력 사업의 수행을 위해서는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이하 NGO) 등 사업의 주체가 추구하는 방향성, 전략, 재원, 그리고 사업에 투입되는 인적 요소가 필요하다. 국제 개발 협력 분야에서는 다양한 층위와 그룹의 사람들이 활동을 하는데, 이 중 각국 정부, 민간, 학계에서 운영하는 봉사단 프로그램은 현장의 인적 요소를 채우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정부, 민간, 기업을 망라한 국제사회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를 설정하고, 2030년까지 이를 달성하고자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이 시점, 본 원고에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해외봉사 협력 사례를 찾아봄으로써 SDGs 달성을 위한 해외봉사의 역할과 해외봉사의 효과를 확대하는 새로운 파트너십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새천년개발목표와 지속가능개발목표에 대한 이해, 다른 국가의 해외봉사단 프로그램에 대한 개괄과 다양한 시도들, 대한민국 정부-민간의 협력 모델 월드프렌즈 NGO봉사단, 그리고 한국 기업의 봉사활동 프로그램과 협력 모델을 파악해 본다.

      • 개발협력 인재 양성과 ODA 생태계 육성 방향: NGOs

        양수경 한국국제협력단 2018 국제개발협력 Vol.2018 No.3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가 개발도상국만을 대상으로 한 목표가 아니듯, 일자리 창출 이슈도 마찬가지다. 일자리, 특히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막론하고 한 공동체, 지역, 국가의 경제적·사회적 안정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다. 개발협력 분야에서도 개발도상국 내 인재 양성 및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공여국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일자리가 증가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고 있고, 전문성을 갖춘 능력 있는 인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에 대한 민간단체의 수요도 증대되고 있다. 개발협력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의 인력 기반과 인재 양성 현황, 특히 봉사단 프로그램과 인적 기반의 연계를 살펴보고, ODA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민간단체의 역량 강화 노력과 일자리 창출 노력 그리고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제안한다.

      • KCI등재

        북한 문법의 외딴성분 연구

        양수경,김건희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7

        연구에서는 ‘외딴성분’이라는 북한 문법의 독자적인 문법 부류에 대해 그 일반론과 ‘외딴성분’에 속하는 개별적인 문장성분, ‘부름말, 느낌말, 끼움말, 이음말, 보임말’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외딴성분’ 일반론과 관련된 북한 문법의 쟁점 두 가지를 선정하여 그 내용을 소개하고 논평하였다. 첫째, 소위 ‘외딴성분’에 문장성분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가? 둘째, ‘외딴성분’이 ‘맞물린성분’과 구별되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다음으로 ‘외딴성분’에 속하는 개별적인 문장성분인 ‘부름말, 느낌말, 끼움말, 이음말, 보임말’의 기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 문장성분의 특징적인 설명 부분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부름말’에서는 입말과 글말에서 부름말의 의미·기능, 표현, 위치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였으며, ‘부름받는말’, ‘부름말부’라는 연계되는 단위를 설정하였다. ‘느낌말’에서는 감동사와 더불어 느낌말을 이루는 주된 품사로 ‘상징사’라는 새로운 개념어를 제시하였으며, 의문대명사 ‘뭐’와 요구의 의미를 갖는 일부 명사도 느낌말로 사용됨을 보였다. ‘끼움말’에서는 표현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끼움말의 특성이 공통적으로 언급되며, 굳어진 단어결합과 같은 끼움말의 표현 형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음말’의 경우, 끼움말과 이음말 구별의 모호함을 비판하면서 이음말을 별도의 문장성분으로 설정하지 않는 입장도 나타난다. ‘보임말’의 경우, 다른 외딴성분과 달리 보임받는말을 통해 다른 문장성분과 간접적으로 맞물림관계를 맺는다는 특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theory of the original grammatical class of North Korean grammar called oettan-seongbun (isolated constituent) as well as the individual sentence constituents belonging to the oettan-seongbun, ‘buleum-mal, neukkim-mal, kkium-mal, ieum-mal, and boim-mal’. First, two issues of North Korean grammar related to the general theory of oettan-seongbun were selected, and their contents were both introduced and commented on. First, could the oettan-seongbun be given the status of a sentence constituent?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oettan-seongbun and manmullin-seongbun(correlated constituent)? Next, the descriptions of the individual sentence constituents belonging to the oettan-seongbun, such as ‘buleum-mal, neukkim-mal, kkium-mal, ieum-mal, and boim-mal’, were examined. Characteristic explanations for each sentence constituent are as follows. In ‘buleum-mal’, it was revealed that the meaning, function, expression, and position of buleum-mal appeared differently in oral and written speech, and related units such as ‘buleum-badneun-mal’ and ‘buleum-mal-bu’ were established. In ‘neukkim-mal’, a novel concept word ‘sang-jing-sa’ was presented as the main part-of-speech constituting neukkim-mal along with interjection, and it was shown that the interrogative pronoun ‘what’ and some nouns with the meaning of the demand are also used as neukkim-mal. In ‘kkium-mal’, the characteristics of kkium-mal, which exhibit various expression forms, are commonly mentioned, and the form of expressions of kkium-mal, such as idiomatic word combinations, are explained in detail. In the case of ‘ieum-mal’, there is a position which does not set ieum-mal as another sentence constituent, criticizing the ambigu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kkium-mal and ieum-mal. In the case of ‘boim-mal’, unlike other oettan-seongbun, the characteristic wherein boim-mal indirectly establishes a correlated relationship with other sentence constituent through the boim-badneun-mal is suggested.

      • KCI등재

        <조선어문장성분론>의 맞물린성분에 대하여

        양수경,김건희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rth Korean grammar theory related to manmullin-seongbun (correlated constitu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3 of Joseoneo Munjangseongbunlon (Theory of Korean Sentence Constituents) (2005). Manmullin-seongbun includes sentence constituents, such as subjects, predicates, complements, adverbials, and attributives. This study examined new conceptual words and issues and compared them with South Korean grammar. The manmullin-seongbun content in Joseoneo Munjangseongbunlon was examined after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1) issues that were comm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2) characteristic descriptions that appear in multiple sentence constituents, and (3) characteristic descriptions that appear in specific sentence constituents. The common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ere ‘subjectless construction’, ‘double-subject construction’, ‘a constituent that precedes anida/doeda’, and ‘status of an attributive sentence constituent’. The characteristic descriptions that appeared in multiple sentence constituents include ‘subtyping each sentence constituent in terms of semantic function’, ‘subtyping each sentence constituent in terms of structure’, ‘emphasizing objectivity at the sentence constituent level’, ‘proposing jesi-seongbun (sentence relational constituents)’, ‘regarding clausal units important in sentence constituents’, and ‘establishing ryeong-to’. The characteristic descriptions that appeared in specific sentence constituents were, ‘classifying kkeseo as the subject case marke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case marker and the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distinguishing between statementness and predicateness’, and ‘analyzing complements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조선어문장성분론>(2005)은 ‘조선어학전서’ 제28권으로 ‘문장성분’이라는 단일 주제를 종합적으로 다룬 북한의 문법서이다. 본 연구는 <조선어문장성분론>의 3장 내용을 토대로 맞물린성분(주어, 술어, 보어, 상황어, 규정어)에 관한 북한 이론문법의 내용을 새로운 개념어 또는 쟁점이 되는 사항 중심으로 살펴보고 남한 문법과 대비하며 논평한다. <조선어문장성분론>에 나타난 맞물린성분의 내용은 남북한 공통 쟁점, 여러 문장성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 기술, 개별 문장성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기술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첫째, 남북한 공통 쟁점으로 ‘무주어문, 2중주어문, ‘아니다/되다’ 앞에 오는 성분, 규정어의 성분’을 선정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여러 문장성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기술로는 ‘의미기능적 측면에서 각 문장성분을 하위유형화함’, ‘구조적 측면에서 각 문장성분을 하위유형화함’, ‘문장성분 층위에서 대상성이 강조됨’, ‘문장관계성분인 제시성분이 설정됨’, ‘절 단위를 문장성분에서 비중 있게 다룸’, ‘령토를 설정함’의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셋째, 특정한 개별 문장성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기술로는 ‘‘께서’를 주격토로 분류함’, ‘주격토와 도움토의 차이를 정보구조 관점에서 설명함’, ‘진술성과 술어성의 구별’, ‘보어를 정보구조 관점에서 분석함’의 네 가지를 들어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