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 2형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이성용,신충호,양세원,Lee, Seong Yong,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목 적 : 소아, 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되어지나 최근에는 소아, 청소년에서도 2형 당뇨병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같은 양상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소아, 청소년의 2형 당뇨병의 임상 양상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2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환자 중에서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 진찰상 흑색 극세포증을 보인 경우, 그리고 혈청 혹은 소변 C-peptide가 정상 혹은 증가된 경우 등의 2형 당뇨병의 진단을 지지하는 소견들 중 2가지 이상을 보이고 항GAD 항체가 음성일 경우를 임의적으로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지 않거나 인슐린 치료를 받다가 끊을 수 있었던 경우는 위의 지지소견 들이 2가지 미만인 경우에도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대상 환자 33명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들의 진단 당시의 임상 양상, 인구 통계학적 양상, 검사결과, 치료방법 및 반응 등에 대해 임상적인 고찰을 하였다. 인슐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인슐린을 사용한 군과 2년 안에 인슐린을 끊을 수 있었던 군의 임상적 양상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진단시 나이는 평균 $13.4{\pm}1.8$세로 10대 초반이 다수였다. 23명의 환자 중 16명(69.6%)이 진단 시 사춘기에 해당하였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24.3{\pm}4.2kg/m^2$이었고 $25kg/m^2$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가 32명 중 16명(50%)이었다.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33명 중 24명(72.7%)이었다. 흑색극세포증은 6명(18.2%)에서 관찰되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등의 증상을 보인 경우가 14명(42.4%)이었고, 요당이나 고혈당이 우연히 발견되어 진단된 경우가 19명(57.6%)이었다. 치료방법으로는 인슐린 단독치료가 25명(75.8%), 경구 혈당강하제 단독사용이 3명(9.1%)이었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 경우가 3명(9.1%), 운동과 식이요법 외에 약물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가 2명(6%)이었다. 15명(45.5%)이 인슐린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와 같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증상은 2년 이상 인슐린을 쓴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 론: 소아, 청소년에서의 2형 당뇨병은 증상의 발현이 뚜렷하지 않으며 사춘기, 비만, 가족력과 관계가 깊었다. 소변과 혈청에서의 C-peptide 농도 측정에서 증가 또는 정상 소견이 보일 경우, 췌세포 자가 항체가 음성인 경우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좀 더 나은 1형 당뇨병과의 감별방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수의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초기에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하였고 혈당 조절이 호전된 후 끊을 수 있었으나 진단 시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Purpose :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ype 2 diabetes developing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t period.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33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re reviewed. We analysed clinical manifestations, demographic data, and modes and responses of treatment. Results : Age at diagnosis was $13.4{\pm}1.8$ years. Seventy percent of patients revealed pubertal signs at diagnosis. Half of the patients had BMI more than $25kg/m^2$. Seventy-three percent of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Acanthosis nigricans were found in 18% of patients. Nineteen(57.6%) patients were diagnosed incidentally by random urine or blood glucose test without any typical diabetic symptom or sign. The modes of therapy to control hyperglycemia were insulin alone(75.8%), oral hypoglycemic agents alone(9.1%), insulin and oral hypoglycemia agents(9.1%), and only diet with exercise(6%).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45.5% of patients were not using insulin. The typical diabetic symptoms at diagnosis were more prevalent in patients who required insulin for more than two years than patients who did not(P<0.05). Conclusion :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possibly related to puberty, obesity, family history, and defects in insulin secretion rather than insulin resistance. Man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2 diabetes required insulin initially and some of them could discontinue.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diabetes without any typical symptom or sign, which might be one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prolonged insulin requirement.

      • KCI등재

        소아 두개인두종 환자에서 치료 전후의 뇌하수체 기능과 성장 및 체중 변화

        정유미,신충호,양세원,Chung, Yoo Mi,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3

        목 적 : 두개인두종은 종양의 위치로 인해 다양한 내분비적 증상을 일으키는 중요한 소아기의 뇌종양이다. 이들 환자들의 진단 시 임상 양상과 수술 전후의 내분비 기능의 이상, 성장 양상 및 성장 호르몬 치료의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4년 10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술 받고 두개인두종으로 진단 받은 소아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 소견과 검사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남아가 25명, 여아가 19명이었으며 진단 시 평균연령은 $7.6{\pm}3.4$세였다. 2) 진단 시 두통이 75%, 시력 장애가 68%, 구토가 52%, 다음 및 다뇨가 32%, 성장 장애가 14%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3) 수술 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2명, 부신피질 호르몬결핍증이 2명, 요붕증이 3명에서 관찰되었다. 4) 수술 후 성장 호르몬결핍증은 44명 모두에서, 요붕증은 93%, 갑상선 호르몬결핍증은 88%, 부신피질 호르몬 결핍증은 88%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5) 수술 후 성장호르몬을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21명(39%)은 1년간 성장속도가 2 cm/yr 이상이었으며, 이 중 11명은 2년간, 8명은 3년간 지속적으로 정상 성장속도를 보였다. 6) 수술 후 첫 2년간 성장 호르몬을 사용하지 않았던 19명에서 신장 표준편차점수는 수술 당시에 비하여 수술 1년 후와 2년 후에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반면 수술 1년 후와 2년 후의 체질량지수는 수술 당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7) 정상 성장군의 수술 후 첫해의 성장속도는 $8.00{\pm}2.71cm/yr$, 2년째는 $6.76{\pm}2.49cm/yr$이었으며 성장지연군에서는 첫해의 성장속도가 $1.79{\pm}1.10cm/yr$, 2년째는 $2.29{\pm}1.33cm/yr$이었다. 정상 성장군의 수술 당시의 신장 표준편차는 성장지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작았다. 8) 수술 후 성장 호르몬을 투여한 환자는 41명이었으며 수술 후 성장호르몬 투여 시점까지의 기간은 평균 1.8년이었다. 성장 호르몬을 2년 이상 투여한 29명의 환자의 신장 표준편차점수는 투여 전에 비하여 투여 후 1년 및 2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체질량지수는 투여 후 2년경에는 투여 후 1년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9) 성장호르몬 사용 후 첫 1년간의 성장속도는 성장호르몬 치료 전 역연령이 어릴수록, 골연령이 어릴수록, 성장호르몬 치료 전 해의 성장속도가 클수록 컸다. 10) 현재 성장이 멈춘 환자는 총 16명이며 이들의 최종 성인키의 표준편차점수는 $0.25{\pm}1.21$이었다. 결 론 : 소아기에 두개인두종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은 수술 및 방사선 치료의 발달로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수술 전후로 올 수 있는 내분비학적 기능 이상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적절한 치료가 삶의 질 향상에 필수 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술 후 많은 환자들은 성장 속도가 저하되고 체질량지수가 증가하지만 일정 기간동안 정상 성장속도를 보이는 환자군도 있으므로 적절한 성장 호르몬의 보충 요법과 함께, 이들이 최종 성인 키에 도달한 이후의 성장 호르몬 투여에 관한 연구 또한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 Craniopharyngiomas are often accompanied by severe endocrine disorders. Although there is universal growth hormone deficiency(GHD), the resulting growth pattern is very heterogeneous. We report the growth and endocrine outcome of 44 children with craniopharyngioma, with emphasis on initial symptoms, growth before and during growth hormone(GH) treatment and spontaneous growth in spite of GHD.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f 44 children treated at our centre between 1984 and 2002. Results : About 30% of patients had symptoms suggesting endocrine disorder at diagnosis. After surgery, multiple endocrinopathies were almost universal. Before GH therapy, height velocity was $8.00{\pm}2.71cm/yr$ in the normal growth group(n=11) and $1.79{\pm}1.10cm/yr$ in the subnormal growth group(n=7) during the first year and during the second year, $6.76{\pm}2.49cm/yr$ and $2.29{\pm}1.33cm/yr$,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body mass index(BMI)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surgery in the two groups.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SDS) was $-1.46{\pm}0.74$ in the normal growth group and $-0.43{\pm}0.97$ in the subnormal growth group. Before GH treatment height SDS was $-1.31{\pm}1.25$ and BMI was $20.46{\pm}3.60$. During GH treatment, height SDS increased to $-0.60{\pm}1.37$ in the first, and to $-0.41{\pm}1.54$ in the second year(P<0.05), but BMI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nclusion : The endocrine morbidity could develop in most children with craniopharyngioma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nd should be managed properly. Although all treated patients benefit from GH therapy,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find out the possible mechanism of growth regulation in normally growing children, despite GH deficient.

      • SCOPUSKCI등재

        단순 비만아에서 인슐린이 지질대사 이상에 미치는 영향

        임중섭,신충호,양세원,Lim, Jung Sub,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목 적 : 영양과잉과 활동량의 감소로 비만한 소아가 급속히 증가하고있다. 성인에서는 비만에 의하여 인슐린 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 당 및 지질대사 이상,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이 발생하며, 남녀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 청소년 시기에 비만이 인슐린 저항성 및 지질대사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비만을 주소로 내원한 비만아 중 90 백분위수 이상인 35명의 비만아[나이 : $10.6{\pm}2.8$년; 남(n=20), 여(n=15)]에 대하여 체중과 키를 계측하였고, 공복시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혈당과 혈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 공복 인슐린/혈당비(FIGR), HOMA-IR[$(glucose(mmol/L){\times}insulin({\mu}U/mL)$/22.5]를 이용하였다. 결 과 : 1) 체질량지수(BMI) : 전체 비만아의 BMI는 $27.1{\pm}5.4kg/m^2$(범위 20.6-44.0)로, 5명이 90-95 백분위수이었고, 30명이 95 백분위수 이상의 고도 비만을 보였으며, 남녀간에 차이는 없었다. 남녀 모두에서 연령과 상관관계가 보였다. 2) 공복시 인슐린 농도 : 인슐린 농도는 $20.7{\pm}10.6{\mu}U/mL$(범위 4.8-53.0)로, 남녀간에 차이는 없었다. 고인슐린혈증은 여아에 비하여 남아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높았다(27% vs 75%). 연령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3) 혈중 지질대사 : 혈중 중성지방이 150 mg/dL 이상인 비만아는 13명(37%),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40mg/dL 이하인 군은 2명(5.7%)이었다. 4) HOMA-IR과 인슐린 농도와의 관계 :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IR은 인슐린 농도와 인슐린/혈당비에 대해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인슐린 : r=0.960, P<0.01; 인슐린/혈당비 : r=0.842, P<0.01). 5) BMI와 HOMA-IR, 인슐린 농도, 지질대사와의 관계 : BMI는 인슐린 농도, HOMA-IR, FIGR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인슐린 r=0.629; HOMA-IR r=0.622; FIGR r=0.583; P<0.01), 남자에서 여자에 비하여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녀 모두에서 BMI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과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6) 공복시 혈중 인슐린 농도와 혈중 지질농도 : 중성지방은 남자에서 인슐린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0.544, P=0.013), 여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도 남자에서만 인슐린 농도와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다(남자 : r=-0.431, P=0.058). 결 론 : 소아와 청소년에서는 지질대사 이상을 반영하는데 있어 BMI보다 인슐린 농도가 더 연관성이 크므로, 공복시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비만에 의한 대사 이상을 평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여자에 비하여 남자에서는 심혈관질환 및 대사 이상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인슐린혈증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더욱 더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Obesity is closely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compensatory hyperinsulinemia and dyslipidemia in adults. We identified the effect of obesity measured by BMI and insulin resistance on dyslipidem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The fasting serum insulin,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and LDL-cholesterol were measured and insulin resistance(HOMA-IR) was calculated in 35 children with simple obesity(age :$10.6{\pm}2.8$ years; male 20, female 15; BMI : $27.1{\pm}5.4kg/m^2$). Results : The hypertriglyceridemia(37%), hyperinsulinemia(54%) and HDL-hypocholesterolemia(5.7%) were observed. HOMA-IR was well expressed by fasting insulin. As BMI increas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level in both sexes. BMI was not related with lipid profile in both sexes. Triglyceride was correlated with only insulin level and insulin resistance index in boys. In girl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insulin(insulin resistan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ertriglyceridemia was dependent on insulin resistance in pre-adult males. Monitoring of insulin resistance and those risk factors known to become a part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should become part of routine medical care for obese children.

      • KCI등재

        인체의 복강 내 지방조직 배양을 통한 OB 유전자 발현과 Leptin 분비에 미치는 인슐린, Dexamethasone과 성장호르몬의 단독 또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황일태,김경희,황진순,신충호,양세원,Hwang, Il Tae,Kim, Kyung Hee,Hwang, Jin Soon,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지방조직에 존재하는 OB 유전자에서 전사된 호르몬인 leptin은 여러 가지 생리적 요인이나, 호르몬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Leptin의 발현에 대한 호르몬에 대한 연구가 많은 동물 실험들을 상대로 시도되고 있으나 사람에서 OB 유전자와 leptin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영향 및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사람의 복강에서 추출한 조직배양에서 OB 유전자와 leptin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의 영향 및 상호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복부수술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 7명을 대상으로 복강 내 지방조직을 절제하여 배양액에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와 배양액에 인슐린, dexamethasone 및, 성장호르몬을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인슐린과 dexamethasone을 동시에 첨가하거나, 인슐린과 dexamethasone과 성장호르몬을 같이 첨가한 상태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RNA를 추출하여 경쟁적 역전사 중합반응(competitive RT-PCR)을 시행하여 OB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고, human leptin IRMA Kit를 사용하여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배양액 내 leptin 양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인슐린은 단독으로는 OB 유전자 발현과 leptin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Dexamethasone은 OB 유전자의 발현과 leptin 분비를 증가시켰는데, 48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인슐린과 dexamethasone을 같이 배양시에는 OB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leptin 분비는 48시간 배양 후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성장호르몬 단독으로는 OB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나, 인슐린, dexamethasone, 성장호르몬을 같이 배양시에 인슐린과 dexamethasone의 OB 유전자 발현과 leptin 분비증가 능력을 억제시켰다. 결 론 : 인슐린 단독으로는 leptin 분비를 증가시키지 못하나, dexamethasone에 의해 상승작용이 나타나고, 이는 dexamethasone이 OB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 후에 인슐린이 세포질내에서의 leptin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추정할 수 있다. 성장호르몬의 억제효과는 성장호르몬이 인슐린이나 dexamethasone에 대한 지방조직의 반응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leptin의 발현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되며, dexamethasone이 OB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 후에 인슐린이 세포질 내에서의 leptin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hormonal control of OB gene expression and leptin secretion in cultured human visceral adipose tissue. Methods : Visceral adipose tissues were cultured for up to 48 hrs in modified Eagle's medium with varying concentration of hormones : Control(no hormone), bovine insulin(100 nM), Dexamethasone(DEX, 100 nM), growth hormone(GH, 40 ng/mL), insulin+DEX(100 nM each), insulin+DEX+GH(100 nM insulin and DEX, 40 ng/mL GH). Quantitative analysis of leptin mRNA was performed by competi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leptin secretion in culture medium was measured by IRMA using a commercial kit. Results : The addition of dexamethasone to the medium significantly increased OB gene expression and leptin secretion(P<0.05). Unlike dexamethasone, insulin did not affect OB gene expression and leptin secretion. Both insulin and dexamethasone, at high concentration, significantly stimulated leptin secretion compared with basal values(P<0.05). Leptin gene ex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by GH treatment alone, however GH, in combination with high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dexamethasone, attenuated the stimulatory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dexamethasone. Conclusion : Insulin cannot increase leptin secretion without the presence of dexamethasone. The mechanism suggested is that insulin may increase leptin secretion in cytoplasm only after dexamethasone increases the expression of OB gen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action of insulin on leptin secretion after increasing OB gene expression by dexamethasone.

      • KCI등재후보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병발한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1례

        최현진,조희연,강주형,양세원,정해일,최용,문경철,하일수,Choi Hyun-Jin,Cho, Hee-Yeon,Kang Ju-Hyeong,Yang Sei-Won,Cheong Hae-Il,Choi Yong,Moon Kyung-Chul,Ha Il-S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5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9 No.1

        저자들은 당뇨병성 신병증의 자연경과에 맞지 않는 요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인 제 1형 당뇨병을 가진 소아에서 신생검을 시행하여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을 진단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enal diseases other than diabetic nephropathy can occur In diabetic patients. Urinary abnormalities or clinical courses inconsistent with the natural progression of diabetic nephropathy are suggestive of non-diabetic renal diseases and should lead to more extensive investigations. Presence of non-diabetic renal diseases in diabetic patients can alter the treatment plan and the prognosis. We report a 9-year-old girl who had type 1 membranoproliferatiye glomerulonephritis as well as type 1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특발성과 기질성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후 최종 성인신장과 신장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최임정,황진순,신충호,양세원,Choi, Im Jeong,Hwang, Jin Soon,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특발성과 기질성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후 최종 성인신장과 총신장(SDS) 증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진단되어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후 최종 성인신장에 도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발성 GHD 3명(남 : 여, 11 : 2)과 기질성 GHD 22명(남 : 여, 12 : 10)에게 성장호르몬을 각각 $0.62{\pm}0.15IU/kg/wk$, $0.52{\pm}0.11IU/ kg/wk$ 용량으로 $3.2{\pm}2.4$년 동안 일주일에 3-7회 피하주사하였다. 결 과 : 1) 치료 시작 전 신장표준편차점수는 특발성 GHD 군에서는 $-4.13{\pm}1.28$, 기질성 GHD 군에서는 $-1.66{\pm}1.06$으로 특발성 GHD 군이 의미 있게 작았으며, 특발성 GHD 군에서 골연령 또한 역연령에 비해 $5.2{\pm}2.9$년 정도로 지연되어 있었다. 2) 치료 첫해 성장속도는 특발성 GHD 군에서 $9.69{\pm}3.19cm$, 기질성 GHD 군에서는 $7.87{\pm}3.65cm$이었다. 3) 사춘기 시작시 신장은 특발성 GHD 군에서 $-2.28{\pm}0.95$ SDS, 기질성 GHD 군에서는 $-0.55{\pm}1.25$ SDS이었다. 4) 최종 성인신장은 특발성 GHD 군에서 $-1.44{\pm}0.84$ SDS, 기질성 GHD 군에서는 $0.22{\pm}1.06$ SDS로 두 군 모두에서 치료 시작시 신장 SDS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기질성 GHD 군에서 최종 성인신장이 더 컸으며, 두 군 모두에서 최종 성인신장은 사춘기 시작시의 신장과 깊은 연관 관계가 있었다(특발성, r=0.616, P<0.05; 기질성 r=0.830, P<0.001). 5) 총신장(SDS) 증가는 특발성 GHD 군에서 $2.69{\pm}1.36$으로 기질성 GHD 군($1.88{\pm}1.16$)보다 컸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총신장(SDS) 증가는 두군 모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 신장 SDS가 중간부모신장 SDS에 비하여 작을수록 더 컸으며, 특히 기질성 GHD군에서는 치료 시작시 역연령에 비하여 골연령이 어릴수록, 사춘기전 신장(SDS) 증가가 클수록 더 컸다. 결 론: 특발성 GHD 환자에서 기질성 GHD 환자보다 최종 성인신장이 작았다. 성장호르몬에 의한 신장증가 효과는 치료 전 신장이 중간부모신장에 비하여 작을수록 컸으나, 절대적 최종 성인신장은 사춘기 시작 시 신장과 가장 깊은 관련이 있어, 조기진단 후에 적절한 용량의 성장호르몬으로 꾸준히 치료하여 사춘기가 나타나기 전까지 충분한 신장의 증가를 유도하여야만 만족할만한 최종 성인신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final adult height and total height gain in idiopathic and organic growth hormone deficient(GHD) children after growth hormone(GH) treatment. Methods : Thirteen patients with idiopathic GHD and 22 patients with organic GHD who had been treated with GH and attained adult final heigh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 final adult height(FAH) and total height gain, were evaluated. Results : Height SDS(standard deviation score) at initial GH treatment in idiopathic GHD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in organic GHD($-4.13{\pm}1.28$ vs $-1.66{\pm}1.06$, P<0.001). Growth velocity during the first year of GH treatment was $9.69{\pm}3.19cm$(idiopathic GHD) and $7.87{\pm}3.65cm$(organic GHD). Height(SDS) at puberty in organic GHD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idiopathic GHD ($-0.55{\pm}1.25$ vs $-2.28{\pm}0.95$, P<0.001). Final adult height(SD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organic GHD than in idiopathic GHD($0.22{\pm}1.06$ vs $-1.44{\pm}0.84$, P<0.001). In idiopathic GHD, total height gain (SDS) was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dparental height minus initial height(MPH-IH)(SDS) (r=0.886, P<0.001). Total height gain(SDS) was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PH-IH(SDS) and prepubertal height gain(SDS) in idiopathic GHD(r=0.640, P=0.01, r=0.801, P<0.001). Conclusion : Final adult height was greater in organic GHD than in idiopathic GHD patients. While total height gain(SDS) was more pronounced in children with lower initial height compared to MPH, absolute final adult height was influenced by height at puberty. To improve the final adult height in children with GHD, height at onset of puberty must be increased by early diagnosis and continuous treatment with optimal doses of GH. There results should be evaluated with more patients.

      • KCI등재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hildren with Hypopituitarism

        윤정민,고재성,서정기,신충호,양세원,문진수,혜란,장주영,Yoon, Jung-Min,Ko, Jae-Sung,Seo, Jeong-Kee,Shin, Choong-Ho,Yang, Sei-Won,Moon, Jin-Soo,Yang, Hye-Ran,Chang, Ju-Young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1

        목 적: 뇌하수체저하증 환아들은 비만, 당불내성, 고지질혈증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양상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하수체저하증과 연관된 소아 지방간질환의 임상 양상과 간조직 소견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뇌하수체저하증 환자 중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으로 진단된 소아 11명의 임상자료를 조사하였다. 결 과: 뇌하수체저하증 진단 시 연령은 10.4${\pm}$3.2세였다. 지방간질환 진단 시 연령은 13.1${\pm}$2.7세였다. 두 개인 두종이 뇌하수체저하증의 기저질환 중 가장 흔하였다. 지방간질환 진단 당시 체질량지수 85백분위수 이상이 9명(82%), 금식 시 고혈당이 5명(45%), 고지질혈증이 9명(82%)에서 발견되었다. 신장의 표준편차 점수의 평균은 뇌하수체저하증 진단 시보다 지방간질환 진단시에 유의하게 낮았다. 간생검을 실시한 6명 중에서 1명은 간경변, 2명은 연결 섬유화가 동반된 지방간염, 2명은 경도의 간문맥 섬유화가 동반된 지방간염, 1명은 단순 지방간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뇌하수체저하증을 가진 소아는 저신장, 비만, 고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간조직의 진행된 섬유화가 흔하기 때문에 뇌하수 체저하증 환아에서 지방간질환의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Purpose: It has been reported that children with hypopituitarism have features of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obesity,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dyslipidem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liver histology of pediatric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ssociated with hypopituitarism.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data of 11 children diagnosed with NAFLD among patients with hypopituitarism. Result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of hypopituitarism was 10.4${\pm}$3.2 years, and the me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of NAFLD was 13.1${\pm}$2.7 years. A craniopharyngioma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pituitary dysfunction. At the time of diagnosis of NAFLD, 9 patients (82%) had a body mass index greater than the 85th percentile, 5 patients (45%) had elevate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and 9 patients (82%) had hypertriglyceridemia. The mean height SD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at the time of diagnosis of NAFLD than at the time of diagnosis of hypopituitarism. Of the six patients who were biopsied, one had cirrhosis, two ha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with bridging fibrosis, two had NASH with mild portal fibrosis, and one had simple steatosis. Conclusion: Children with hypopituitarism are at risk of short stature, obesity, dyslipidemia, and NAFLD. The early diagnosis of NAFLD is important in children with hypopituitarism because advanced fibrosis is common.

      • KCI등재후보

        저인산혈성 구루병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창진,조희연,강주형,신충호,하일수,정해일,양세원,최용,Lee Chang-Jin,Cho Hee-Yeon,Kang Ju- Hyung,Shin Choong-Ho,Ha Il-Soo,Cheong Hae-Il,Yang Sei-Won,Choe Yo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4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8 No.2

        목적: 저인산혈성 구루병 환아의 임상상, 각종 혈액화학 검사 수치 및 방사선 검사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살피고 효과적인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83년 7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저인산혈성 구루병으로 진단받고 내과적인 치료를 받은 환아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56명이었고, 남녀의 비는 1:3 이었다 주소는 대부분 하지만곡과 저신장이었고, 혼자 걷기 시작하면서 발견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진단시 평균연령은 5년 2개월 이었으며 12개월 이전에 진단 받은 경우는 없었다. 14명(25%)에서 가족력이 있었다. 진단받은 연령과 신장의 표준편차 점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47, p=0.005). 생화학적 검사에서 정상 혈청 칼슘, 혈청 인의 저하, alkaline phosphatase의 상승, 세뇨관에서 인산 재흡수의 감소 및 정상 범위의 $1,25(OH)_2D_3$ 치를 보였다. 방사선 검사는 구루병에 합당하였다. 치료제로 Joulie 용액과 비타민 D 대사체를 복용하였다. 치료를 시작한 후 혈청 인과 alkaline phosphatase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P<0.05) 호전을 보였고, 방사선 검사는 구루병의 치유를 보였으나, 신장 표준편차 점수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224). 치료의 부작용으로 신석회화(34%), 부갑상선호르몬의 상승(77%), 고칼슘뇨증(45%) 등이 발생하였다. 16명이 절골술을 통한 변형의 교정을 시행하였고, 그 중 4명은 하지연장을 함께 시행하였다. 결론: 증상의 시작과 진단 사이에는 수 년간의 지연이 있었다 조기치료가 환자의 예후에 가장 중요하므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증상 발현 이전에 생화학적 검사로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하도록 해야 한다. 치료 중에는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용량의 조절을 통해 합병증에 대처해야 한다. Purpose: Hypophosphatemic rickets is a hereditary disease, characterized by hypophosphatemia due to renal phosphate wasting, impaired renal production of 1,25-dihydroxyvitamin $D_3$, rachitic bone deformities and impaired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inical profiles of patients with hypophosphatemic rickets in our hospital. Methods: Between July 1983 and February 2004, 56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hypophosphatemic rickets. The medical records of thes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 manifestations, family histories, laboratory data, treatment outcomes were described. Results: Fifty six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at symptom onset and diagnosis were 20 months and 5 years respectively. Fourteen patients had family histories. The main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bow legs and short statur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ges and the height z-scores at the time of diagnosis(r=-0.47, P=0.005). Initial laboratory data showed normocalcemia, hypophosphatemia, elevated serum alkaline phosphatase, decreased tubular reabsorption of phosphate and a normal range of 1,25-dihydroxyvitamin $D_3$ Radiographic examinations of bone revealed fraying, widening and cupping of the metaphyseal ends. Treatment consisted of Joulie solution and vitamin D metabolites, and resulted in improved biochem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However, height z-scores remained essentially unchanged(P=0.224). Complications of treatment were frequently observed, including hyperparathyroidism, nephrocalcinosis, and hypercalciuria. Sixteen patients had corrective osteotomy and 4 of them underwent leg lengthening together. Conclusion: There was a gap of several years between the onset of symptoms and the diagnosis. Early treatment seems to be essential to growth. For the earlier treatment, the offsprings of affected parents should be followed up closely.

      • KCI등재

        영아기에 반복성 췌장염을 보인 지질단백 지질분해 효소 결핍 1예

        박혜진,최병삼,혜란,장주영,고재성,신충호,양세원,서정기,Park, Hae-Jin,Choi, Byeong-Sam,Yang, Hye-Ran,Chang, Ju-Young,Ko, Jae-Sung,Shin, Choong-Ho,Yang, Sei-Won,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반복적인 복통, 췌장염이 있을 때, 혈액검사에서 중성지방 등의 지질분석을 통해 가족성 킬로미크론혈증의 감별이 필요하며 필요시 LPL 활성도, apo C-II 검사를 실시해야한다. 가족성 킬로미크론혈증으로 진단되었을 경우 식이요법과 약물요법으로 혈중 중성지방을 낮추어 반복적인 췌장염의 발생을 줄이도록 하며, 소아의 경우 식이요법이 어려우므로 보호자와 환자에 대한 교육 역시 중요하다. Familial chylomicronemia syndrome is a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severe hypertriglyceridemia and fasting chylomicronemia. Causes of the syndrome include lipoprotein lipase (LPL) deficiency, apolipoprotein C-II deficiency, or the presence of inhibitors to LPL. We managed a 3-month-old girl who had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caused by chylomicronemia. We report the first case of familial chylomicronemia in Korea caused by LPL deficiency in an infant with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 선천성 뇌하수체 기능저하증과 동반된 신생아 담즙정체 1례

        혜란,송은경,김정은,정수진,이경훈,신충호,양세원,고재성,강경훈,서정기,Yang, Hye-Ran,Song, Eun-Gyoung,Kim, Jeong-Eun,Jeong, Su-Jin,Lee, Gyoung-Hoon,Shin, Choong-Ho,Yang, Sei-Won,Ko, Jae-Sung,Kang, Gyeong-Hoon,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2

        저자들은 반복되는 저혈당과 점차 진행하는 담즙정체를 보이는 3개월 된 여아에서 호르몬 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으로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갑상선호르몬과 부신피질호르몬 치료 후 담즙정체가 호전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hypopituitarism is a possible cause of neonatal cholestasis, but the mechanism is still unknown. The pathogenesis of cholestasis may be due to hormone deficiency, which has effects on the physiological maturation of bile acid synthesis and transport. We experienced a case presenting with cholestasis and recurrent hypoglycemia associated with congenital hypopituitarism. Cholestasis resolved with thyroxine and hydrocortisone replacemen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