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감적(鳥瞰的) 이미지의 현대적 변용 -드론(Drone)시점의 몽타주적(的) 가상이미지를 중심으로-

        양성원 ( Yang Seong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2

        21세기 미술은 가상의 아이템과 인공적인 오브제들을 현실적 상황으로 간주하며 새로운 이미지의 발견과 재창조를 요구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공풍경’을 작품의 주제로 정하였고, 기존 미술가들의 조감적(鳥瞰的) 회화와 차별화하여 ‘하늘에서 수직으로 내려다본 -Top-View-’ 방식에서 비롯한 풍경의 조형화에 목적을 둔다.드론영상(Dronography) 이미지는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듯 수직하향의 이미지로써 걷는 사람의 눈높이에서 관찰된 서정적 풍경과는 달리 다양한 시각 구성과 종합적인 풍경요소들의 특징을 색다르게 제공한다. 연구자는 조감적 드론영상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회화를 표현하기 위해 조형언어의 기본인 ‘점(點)’에 주목했고, 점묘를 구현하기 위해 종이판을 타공하는 방법으로 점(點) 요소를 얻어내었다. 이렇게 드론영상과 타공된 종이판을 컴퓨터그래픽으로 몽타주 하는 과정에서 풍경들의 사실적인 특징들은 색점(色點)에 의해 희석, 배제되며 전체적인 화면의 구성은 가상적이고 추상적인 몽타주 이미지로 재창조되었다.연구자의 작품 구성과 특징을 찾아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논술하였다.첫째, 작품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조감적 풍경의 활용 목적을 기준으로 현대예술의 동향과 이미지의 위상에 대하여 논의했다. 이는 C·G(Computer Graphic) 합성에 의한 풍경이미지의 점묘적 효과를 가상적 이미지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 몽타주 개념으로 정의하였다.둘째, 작품의 제작과정을 서술하였다. 조감적 풍경 이미지를 얻게 된 주제, 즉 ‘인공풍경’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며, 여행이나 일상에서 드론(Drone)으로 얻어진 사진들을 선정한 동기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한편, 점묘표현의 요소를 위해 제작한 타공 종이판은 스캐닝(Scanning)을 거쳐 디지털소스로 변환되었다. 이 두 가지 이미지를 C.G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형상으로 재해석하며, 천연섬유 위에 DTP(Digital Textile Print)로 완성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점묘표현을 가미하여 사실적인 묘사가 배제된 조감 풍경으로써 가상적인 이미지로 재구성되며 독창적인 색(色)과 면(面)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여행을 통해 느끼는 감성을 반영한 내면의 이미지 표출이며, 점이 이루는 미적 표현이자 가상적 풍경이 갖는 새로운 조형성을 끌어내었다. 지구라는 환경을 바라보는 예술가의 표현 시점을 새로이 시도하며, 추상적 풍경이미지의 가치와 시각효과를 강조해봄으로써 향후 연구자의 창작활동에 지향점을 제시해 보았다. 21st-century art regards imaginary items and artificial objects as real situations and demands the discovery and re-creation of new images.This study defines 'artificial landscape' as the theme of work and differentiates it from existing bird's-eye paintings, aiming to form landscape paintings using the 'top-view' method which looks straight down from the sky.The researcher focuses on 'point', which is the basic formative language, in order to express a creative image using a bird's-eye drone, and in order to use the point method, the point element was achieved by punching a paper plate.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dronographic video footage and perforated paper plate in a montage using computer graphics, the realistic features of the scenes are diluted and excluded due to the color point, and the composition of the whole screen is re-created as a virtual and abstract montage image.The following process was used to clarify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works.First, the author discussed the trends of modern art and the status of images based on the purpose of utilizing bird's-eye-view scenery that comprises the contents of the work. This was defined as being a montage concep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virtual images by the point-based grayscale effect of landscape images by was of computer graphic synthesis.Second, The author describe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work.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artificial landscape', which is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photographs taken by drones during travel or everyday life. Meanwhile, the perforated paper plate made for the element of point expression was scann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ource. Meanwhile, the perforated paper plate made for the element of point expression was scann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ource. These two images were combined in a computer graphics program, reinterpreted into a new shape, and finished with digital textile print (DTP) on natural fibers.The author's work has been reconstructed into a virtual image as a bird's-eye landscape view without realistic depiction by adding a dotted expression, and comprises original color and surface. These works are the expression of inner images reflecting the emotions felt during travel, and they have brought out new formative features of aesthetic expressions and virtual scenes that the points consist of.The author attempted to express the point of view of an Creator who is looking at the environment of the earth and emphasized the value and visual effects of abstract landscape imagery.

      • KCI등재후보

        반복구조에 의한 현대 텍스타일 아트의 조형 해석

        양성원 ( Seongwon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2

        현대미술에 있어서 반복구조의 적용은 미니멀 아 트(절제된 이미지조형에서 개념적으로 표현된 반복 적 배치), 팝아트(대량 생산물이 반영된 반복구조), 옵아트(시각효과를 위한 반복형상)의 표현 형식들 에서 등장한다. 반복구조는 작품을 전시설치하기 위한 단순한 외 적 형식이 아니라 반복구조 스스로가 의미를 발생 시키는 역동적(energetic) 요소로 작동된다는 해석 이며, 이는 21세기 현대미술의 표현 양상과도 긴밀 히 연계되어 있다. 현대 철학에서는 동일성과 획일성으로써의 반복 이 아닌 ``차이``를 강조한 반복을 통하여 고유한 의미가 생성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들뢰즈(Gilles Deleuze)는 항구적(恒久的)인 구 조와 질서로 환원될 수 없는 단위체의 고유성을 지 닌 힘의 의미를 ``강도(强度)``로 정의하며, 그 강 도의 생성적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를 조형적 으로 적용시켜보면 차이를 지닌 반복의 구조는 단순히 부분, 즉 유닛(Unit: 단위체)들의 모임이 아 니라 새로운 의미의 확장, 즉 ``강도``를 일으키는 생성물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조형심리학자들은 게슈탈트 이론에 준하여 인간의 조형이미지 지각에 있어 개별적 요소보다는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형태를 우선시한다는 것을 발 견했다. 반복조형의 구조는 분해된 단편들의 단순한 합이 아닌 통합적 이미지로서, 전체성에서 시각적 의미를 상승시킨다. 이렇듯 현대미술을 이루는 유닛들은 독립적인 개 체성을 그 특성으로 하는 강도로서의 해석과 더불 어 반복되는 유닛의 통합적 이미지로서의 전체성이 반복을 통해 동시에 강조된다는 견해를 낳았다. 기존에 섬유예술(Fiber Art)·섬유조형·섬유디 자인·텍스타일디자인(Textile Design)등으로 지 칭되던 분야는 21세기에 들어와 공예, 순수미술, 디자인 등으로 서로 구분 짓던 고전적 인식을 초월하 여 동시대성은 물론 상호 융합된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조형적 측면에서는 섬유라는 물성에 대 한 선행적 이해를 기본으로 공예, 혹은 수공예적 기 술탐구에 머무르지 않으며 현대미술의 창작행위라 는 관점과 해석을 시도하는 시대적 맥을 함께 하 고 있다. 섬유의 구조와 표현방법에 있어서 반복이라는 형 식을 초월하여 동시대적인 개념으로서의 텍스타일 아트(Textile Art)는 차이를 포함한 유닛들의 반복 구조로 조형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구조 나 형식 자체가 주제를 수반하는 현대미술로 정위 (定位)됨을 증명한다. 다시 말해, 현재의 텍스타일 아트는 현대미술로서 형식과 의미를 별개로 분리하 여 생각하기 어려우며, 이는 개개의 유닛을 형성하 는 기법과 물성의 선택에 있어서도 내용과의 상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물의 구조와 섬 유의 물성적 표현을 반복구조와 그 의미로 해석한 국내외 텍스타일 아트 작가들의 조형을 분석함으로 써, 21세기 현대미술로서의 논증을 이끌어 보았다. The patterns of repetitive structures of contemporary art appear in expressive forms including Minimal art (based on repetitive arrangements as the formative concept restricted), Pop art (based on repetitive arrangements as a massproduced image), and Op art (based on repetitive configurations for visual effects). The repetitive structure is not an external factor arranged only for the exhibit of works, but an energetic factor to bring about the meaning for itself, and it is related to the expressive aspects of contemporary art in the 21st century. Modern philosophy points out a new meaning is not created by standardized repetition to stress an equality, but by distinguished repetition. Gilles Deleuze defined ``intensity``as the meaning of power to maintain the specialty impossible of returning to permanent structure and order and explained the change of intensity. Formatively applying it, the structure of repetition with a difference can be explained as a creation to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a new meaning, namely, ``intensity`` and simply not as parts, that is, the sum of units. Meanwhile, formative psychologists revealed that people prefer a comprehensive pattern to individual factor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when recognizing formative images. As the structure of repetitive modeling is not the sum of separated pieces, but synthetic images, to bring about the synergistic effect of a visual meaning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Like this, units to form contemporary art create totality as synthetic images of repetitive units and the effect of emphasis by repetition with the explanation as intensity to have the specialty, independent individuality. Together, in the 21st century, the existing fields of Fiber art·Formative fiber·Fiber design· Textile design break from the classical cognition that kept material distinct handicrafts, fine art, design, and so on, and suggest convergence situation in contemporaneity. Moreover, in formative aspects, with fundamentally preceding understandings for fiber material, Textile art does not stay only technical study about crafts or handicrafts, but does keep the context that try to viewpoint and interpretation with creative action of contemporary art. In the structures and expressive aspects, beyond the repetitive technique, Textile art as a contemporary concept, have many cases that expressed with the repetitive structures of units. It proves that placed to contemporary art, that is, structures or forms are accompanied with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orms from the meaning of that in contemporary Textile art like in contemporary art, and it values mutual relation with contents in terms of choosing techniques and the property of matter. In this thesis, I proved contemporary Textile art as a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which are produced by the textile artist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who interpret the structures of texture and properties of matter of fabric by repetitive structures and its`meanings.

      • KCI등재

        중국 한족(漢族) 전통 복식 중에 나타난 문양 연구 - 반복문양의 특징을 중심으로 -

        하일천 ( He Yichuan ),양성원 ( Yang Seong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족(漢族) 전통 복식에 주로 나타나는 반복 문양에 대한 객관적 고찰을 통해, 한족 문화의 일부로써 한족 전통 복식에 등장하는 반복 문양의 고유한 특징을 논술하기 위한 것이다. 한족은 중국 주체(主體) 민족으로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 그리고 심후(深厚)한 사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전통 복식문화 역시 폭넓고 심오하다. 그러나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전통 한족의 복식이 점차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사라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통 한족 복식과 복식문양에 대한 관심도도 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의해 본 연구는 전통 한족 복식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의 특징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전통 한족 복식의 역사 발전, 반복 문양의 정의와 형식 그리고 전통 한족 복식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족 전통 복식의 반복 문양의 장식성, 기능성 그리고 상징성 등 세 가지 특징을 찾아내어 실제 사례를 통해 이를 논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한족의 개념, 한족의 전통 복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족은 중국의 56개 민족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으로 역사적으로 장기간 중국 정치를 주도하였으며, 근면하고 순박하며 창의적인 정신을 지녔으며, 경작 기술을 중시하고 혈연관계를 고도로 중시하며, 계층적 차이를 강조하는 민족이다. 한족의 전통 복식은 한복(漢服)으로 약칭하고 주나라 시대에 형성되었으며, 그 주요 특징으로 교령(交領), 우임(右?), 속요(束腰), 등이 있다. 또한 한족의 전통 복식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반복문양의 정의와 형식에 대해 고찰하고, 그 다음에 한족의 전통 복식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내용을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이에는 주로 동물과 식물 문양, 길상 문양과 기하학적 문양 등이 있었다. 연구 결과, 즉 제3장에서는 한족 전통 복식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여 의복의 다양하고 화려함을 더해주는 심미적 장식성, 시각적 효과를 뚜렷하게 표현하는 기능성과 중국의 시대적 문화, 사상을 대변해 주는 상징성 등 3가지의 주요 특징을 발견하게 되었다. 결론으로 한족 전통 복식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의 형태는 매우 다채로웠으며, 중국 한족의 전통문화 특색도 뚜렷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현대인들에게 전통 한복 복식 문화에 나타나는 반복 문양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으며,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향후 전통 한복의 반복문양 요소의 계승과 응용에 대한 가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main patterns of repeated patterns in the Hanfu and to discuss the inherent features of the repeated patterns in the Hanfu as part of the Han nationality. Han nationality, as the main eth-nic group in China, has a long history, rich culture and profound thought. Its traditional costume culture is also broad and profound. However,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ety, the traditional Hanfu gradually disappeared in people's daily life, but also caused the traditional Hanfu and clothing patterns associated les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study of re-peated patterns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traditional Hanfu, the definition and form of historical development, the traditional Hanfu of repeated patterns, in-vestigating and traditional Hanfu in repeated patterns, find the Han traditional dress repeatedly decoration functional and symbolic, and discussed through a practical case.the Second chapter, the concept of the Han nationality and the traditional costumes of the Han nationality are investigated. The Han nationality is the largest ethnic group in the five or six ethnic groups in China. It has long dominated Chinese politics in history. It is industrious, thrifty and creative. It pays attention to farming techniques,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relationship, and emphasizes the grade difference. The traditional clothing of Han called Hanfu, formed in the Zhou Dynast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Jiaoling, Youren, Shuyao. Secondly, it classifies and summarizes the repeated patterns in the Hanfu of the Han nationality, which are mainly divided into an-imal and plant patterns, auspicious knot patterns and patterns. The research re-sults, namely,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ed patterns in the traditional costumes of the Han nationality, and finds out the thre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 clothing more diverse and gorgeous aesthetic decoration, clearly show the visual effect of functional and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thinking.patterns of repeated patterns in the Hanfu are colorful, and the tradi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nationality are also found. Similarly, in order to enhance the modern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repeated patterns in the traditional Chinese costume culture and the inheritance and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 of the traditional Chinese costume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 KCI등재

        장족(壯族) 전통의상을 활용한 21C 패션디자인 개발연구

        리줘 ( Li Zhuo ),양성원 ( Yang Seong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중국 장족(壯族)은 진한(秦漢)시대(기원전 206년)부터 오늘날까지 약 18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중 장족(壯族) 의상은 지리적 환경, 풍속, 종교 등을 통한 생산방식과 생활습관에서 선명한 색채와 정교하고 독특하고 수공예적인 특징을 형성, 유지하며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보존되어 왔다. 그러나 급격히 현대화가 되고 있는 21C 생활 방식의 변화와 글로벌 패션디자인 시장의 강력한 유입을 통하여 중국내에서도 현대화된 의상 구매에 대한 욕구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장족 의상의 보수적이고 복잡하며 유유자적한 전통성은 다양한 여가생활을 원하는 현대인의 요구(니즈: Needs)를 충족시키기에 현실적으로 괴리감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장족 의상은 여행객들이 눈으로 보거나 사진으로 남기는 등 현지에서 한번 대여해서 입어보는 관광용 의상으로 전락하는 듯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인 장족 의상의 아름다움을 고찰하고 전통문양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패션디자인으로 승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장족 의상의 역사, 스타일, 문양, 색채, 소재 등 특징을 고찰하고 장족 의상 문화의 고유함을 발견하며, 의미를 제고하고자 한다. 어떻게 하면 현대의상으로써 장족 의상의 민속적, 전통적 장점을 계승·승화하고 보급할 것인가라는 문제로 출발하며, 본 논문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 적극적인 제안을 해보았다. 장족 민족 전통의상에서 추출된 다양한 문양들은 기성복 제작을 중심으로 하여 의상 및 문양디자인으로 진행해보았다. 현대적으로 개량된 장족 의상을 개발하여 현시대의 시장수요를 창출ㆍ확산시켜보고자 기획ㆍ구상을 하였다. 연구자의 장족 문양 디자인의 주요 컨셉(Concept)은 22-35세의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장족 전통 민속의상에서 추출된 문양 중에서 장금(壯錦) 문양 속에 존재하는 태양문양, 기하학적 깃털 무늬를 주로 선정하였고, ‘왕금’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원피스, 스키니, 망토 등 약 9종의 패션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문양 본연의 고유한 조형 가치도 보존하고 현대화된 스타일과 문양을 융합하여 매력적인 패션디자인을 시도하였으며, 전통 장족 의상의 경직된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기능적, 심미적, 혁신적인 형태 등 다양한 면에서 만족할 만한 디자인을 제작해 보았다. 21C 패션디자인에 장족의 전통문양 적용은 전통문양의 발굴과 활용, 더 나아가 계승이라는 의의로 확장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새로운 중국의 현대화된 디자인을 통하여 독창적인 의상 문화를 형성함으로써 전통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도모하며 국제화로의 성장 가능성을 진단해 보고자 하였다. The traditions of the Zhuang people in China have been passed down for about 1,800 years from the period of Jin and Han (206 BC) to the present day, and their costumes have been also preserved for a long time, all while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ir vivid colors and unique and exquisite handicraft features, as shown in their geographical environments, customs, religions, production methods, and lifestyles. However, desires to purchase modernized costumes are expanding in China due to the rapid modernization of the 21st century lifestyles and the massive influx of the global fashion market. The conservative, complicated, and leisurely traditions of the Zhuang people’s costumes are not realistically enough to satisfy the needs of the contemporary people who are pursuing diverse leisure lives. The costumes of the Zhuang people seem to have lost their previous positions as they are regarded these days as tourist costumes that tourists simply see through their own eyes, take pictures of, or rent to wear just once on the spot. This dissertation reviews the beauty of the traditional costumes of the Zhuang people carefully and utilizes their traditional designs to sublimate them into modern fashion designs. In other words, this dissertation thoroughly explores the features of the Zhuang people’s costumes as displayed in their history, styles, patterns, colors, materials, etc., and aims to elevate the uniqueness and meaning of the culture of the Zhuang people’s costumes. How is it possible to inherit, sublimate, and disseminate the traditional and folklore competitive edges of the Zhuang people’s costumes as contemporary costumes? That is the most immediate task in the present day, and this dissertation makes active proposals by developing designs. In particular, the various designs and patterns extracted from the traditional costumes of the Zhuang people are presented mainly in the ready-to-wear costumes. The ultimate goal is to create and spread the market demands of the modern era by developing modernized costumes of the Zhuang people. The main target group of the researcher’s concept for the designs and patterns of the Zhuang People is young women aged 22-35 years. The sun and the geometric feather patterns present in the silk patterns of the Zhuang people are mainly selected among the patterns extracted from the traditional folklore costumes of the Zhuang people, and about nine fashion designs, including one-piece, skinny, cloak, etc., are presented under the theme of ‘King’s Silk’. The fashion designs, combining the modernized styles and patterns while preserving the inherent and unique formative values of the patterns, are satisfactorily attempt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function, aesthetics, and innovation, eliminating rigid images of the traditional costumes of the Zhuang people.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of the Zhuang people to 21st century fashion design can extend its meaning to the extent of excavation, utilization, and furthermor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designs. By forming a unique costume culture through the modernized designs of present-day China,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explore the potential growth for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섬유디자인의 디지털 공정성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축에 관한 연구

        박현숙(Park, Hyunsook),양성원(Yang, Seongw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5 조형디자인연구 Vol.8 No.2

        Digitalized textile production has been improving productivity and specialty day by day with its excellent imitation technology, and producer's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 has given birth to more versatile and specialized more original production process. In particular, digitalized process enables more economical production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enhances the economy of valuable rarity and more variety in its products. Additionally, database system and Internet communication invited a new era of vibrant interactivity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of today. Against this backdrop,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originality, identity, product value and productivity to meet the strategic goals of the textile design field. The creation of clear brand identity for businesses to enhance the management in textile design industry is in need in this era. In this regard,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how brand awareness for clear brand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textile industry can be work together in various ways with digitized design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