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법 개정을 위한 학습장애 관련 법령 분석과 제안

        양민화(Minwha Yang),이예다나(Yedana Lee),손승현(Seung-Hyun Son),나경은(Kyong-Eun Na),최승숙(Seungsook Choi),민수진(Soojin Mi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개정을 앞둔「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학습장애 조항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제안하기 위하여 학습장애와 관련된 최근의 여러 법령 및 법안들을 분석하고, 더불어 해외 특수교육 법들을 분석함으로써 그 방향성의 근거를 들었다. 먼저 특수교육 패러다임이 세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서 국내 특수교육도 장애로 판별된 학생들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법령이 아니라, 일반교실에 배치되어 있으나 특별한 교육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원까지 아우르는 법령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학습장애의 개념과 진단과정, 그리고 선별 조항들과 배치 및 교사양성에 대한 관계법령을 분석하고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현재 학습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학습장애에 준하는 학업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은 적합한 공교육 지원을 받지 못하고 교육의 사각지대에 쉽게 방치되고 있다. 개정 특수교육법의 학습장애 조항들이 실제적으로 학습장애 또는 그에 준하는 학업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교실에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다수의 학생들에게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지원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의 필요성도 함께 논하였다. The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is currently in process. The authors of this paper claimed that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law has failed to suppor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are learned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nd who are not identified as having learning disabilities. It was asserted that the new special education law needs to be based squarely on the students’ special education needs, not on their disability itself.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law along with the related educational laws and policies on suppor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analyzed together to explain recent movements in the Korean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laws in other countries were also analyzed in support of the arguments. The authors found that emphasis needs to be placed more on “support” rather than “disability itself” through reflections on the definition,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procedures, as well as in teacher education and placements.

      • KCI등재

        CAI 기반 원격 한글파닉스 교수에 대한 일반 난독증 아동과 다문화가정 난독증 아동의 학습반응 비교

        양민화 ( Yang Minwh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난독현상을 보이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일반 난독증 아동에게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한글파닉스 교수프로그램을 제공했을 때,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북부지역 한 교육청의 난독(위험)학생으로, 대학 연구센터에서 지원하는 한글파닉스 원격 교수프로그램에 신청한 학생들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난독현상을 보이는 다문화가정 학생 6명과, 이들과 연령과 읽기쓰기 성취도가 비슷한 일반가정의 난독증 학생 6명이었다. 이들은 원격으로 제공되는 1:1 한글파닉스 교수프로그램에 20주간 평균 17회기 참여하였다. 두 그룹의 학생들은 교수기간과 유지기간 동안 높은 PND를 보였으며 교수 후에는 표준화검사결과에서도 여러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두 그룹은 사전과 사후 검사결과 자모지식, 음운인식, 음운처리, 작업기억,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철자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읽기쓰기에 관련된 교육적 요구와 교수 후 성취수준에서 두 그룹의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다만, 그룹별로 분석된 교수 향상도에서는 다문화가정 그룹은 자모지식, 음운인식, 작업기억, 읽기유창성과 철자에서, 일반가정 난독증 그룹은 음운인식, 음운처리, 단어인지, 철자에서 유의한 향상도가 관찰되어 한글파닉스 교수를 통해 향상되는 성취영역에 일부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난독현상을 보이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난독증 아동의 교육적 요구에 차이가 없고, 한글파닉스 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읽기쓰기 문제를 극복 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기초학력의 어려움을 가져오는 원인이 다양하더라도, 한글파닉스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동일하게 파악되었을 경우, 효과성이 증명된 한글파닉스 교수방법을 제공하였을 때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모두 난독현상에 대한 효과적인 성취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if CAI Hangeul phonics instruction, which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dyslexia, is also effective when applied 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ho have reading difficult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students with dyslexia were selected, six of whom were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six of whom were from families in which both parents were native Koreans. Both groups received CAI-based Hangeul phonics instruction for 20 weeks (17 sessions on average). Moreover, the two groups were similar in terms of their ages, literacy, and cognitive 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r the Mann-Whitney U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ard to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processing,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after 20 weeks of instruction.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rogress through the phonic intervention and in the post-tests.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family backgrounds, CAI Hangeul phonics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for overcoming basic reading and writing difficulties.

      • KCI등재

        난독증을 자각하는 대학생의 학업 및 심리정서적 특징

        양민화(Minwha Yang),김보배(Bobae Kim),남숙경(Suk Kyung Na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난독증을 자각하는 대학생의 학업적 특징 및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들의 성공적인 성인기 지원 방안을 제언하고자 진행된 탐색적 연구이다. 이에 난독증을 자각하는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4명을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읽기, 쓰기 검사결과는 강/약점 및 특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읽기이해에 약점이 있는 프로파일을 보인 그룹과 단어읽기 또는 읽기유창성 영역에 약점이 있는 프로파일을 보인 그룹이 관찰되었다. 이 중 전자의 그룹은 듣기이해에서, 후자의 그룹은 자모지식과 빠른 자동 이름대기에서 상대적인 약점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기본종성을 철자하는 것을 어려워하였으며, 특히 폐쇄음군 내에서의 오류와 울림소리군 내에서의 오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 면담에서는 부족한 읽기이해 능력과 저조한 성적으로 학업적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하였고, 이러한 어려움은 학창 시절과 더불어 대학생인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고 하였다. 한편, 이들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반복 학습, 암기 전략 등 본인의 강점에 근거한 전략을 활용하여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왕따 문제 등 대인관계에서의 갈등, 낮은 자존감, 심한 우울감으로 인한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략적 대응이 전반적으로 미흡해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난독증 대학생들은 학습적,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고 극복 방법에 대한 필요성 역시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난독증 대학생을 위한 지원 내용과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yslexia and suggests supportive measures to contribute to success in their adult life. We conducted reading and writing tests on seven college students who were aware of dyslexia, and four of them were invited t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the reading and writing tests to identify their strengths, weaknesses, and characteristics. Transcribed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vi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es on the reading ability, the study identified a group with weaknes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another group with weakness in word reading or reading fluency. The first group also exhibited relative weakness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ereas the latter group displayed weakness in alphabetical knowledge and rapid auto naming.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y in spelling the final consonant in words; in particular, high-error frequencies were observed in the closed consonant group and the ringing sound group.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exhibited academic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hich resulted in low grades and, thus, contradicted their effort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such difficulties have persisted since high school. Conversel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were exerting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using their strengths, such as repetitive learning and memorization strategie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issues of bullying,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low levels of self-esteem and severe depression.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dyslexia were aware of their academi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a method to overcome them. This finding suggests that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with dyslexia overcome their experienced difficulties and to realize success as adults.

      • KCI등재

        초기문해 교수방법에 대한 교수자 집단 간의 이론적 경향성 및 파닉스 지식 비교 연구

        양민화(Yang, Minwha),박미경(Park, Mikyung),이애진(Lee, Aejin),김보배(Kim, Boba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교사의 교수 철학과 신념, 그리고 지식은 교수 내용 및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그리고 학습상담사의 초기문해 교수법 대한 이론적 경향성과 파닉스 지식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02명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학습상담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음운분석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경향성에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언어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경향성 및 파닉스 지식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사후검증결과 통언어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경향성은 일반교사가 학습상담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닉스 지식 수준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학습상담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들의 상이한 교육적 배경에서 온 것으로 추론되었다.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파닉스 교수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 및 연수의 내용을 개선하여 교수자의 이론적 경향성과 지식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eachers’ practices are influenced by their beliefs and knowledge. We conducted a survey to three groups of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system. The surve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ir instructional beliefs regarding early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as well as to assess their phonics knowledge. Thirty eight general classroom teachers, 21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43 learning consultants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eacher groups about the instructional beliefs in phonics based approach.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beliefs in whole language based approach and phonics knowledge. Post-hoc analyses reveal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a stronger belief in whole language based approach than learning consultants.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er level of phonics knowledge than learning consultants. Author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might have resulted by their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instructional beliefs and knowledge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acher placement and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workshops. In addi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improved in preparing teachers for effective phonics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KCI등재

        어머니 평가로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의 차이

        양민화(Yang, Minwha),저신수(Chu, Xinxiu),김보배(Kim, Boba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인인 아버지와 중국인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유아기 자녀였다. 어머니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아동의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문해환경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상․하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카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수입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아동이 엄마에게 사용하는 언어, 가정 내 도서의 수, 도서관 활용 빈도, 쓰기도구의 수, 부모가 아동에게 한글을 써 주는 시간과 스스로 한글을 쓰는 데 할애하는 시간에서 한국어 능력 상 · 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TV나 컴퓨터 등 디지털 언어 · 문해환경의 활용 및 노출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 언어, 읽기, 쓰기, 디지털 환경중에 쓰기환경만이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정 언어 및 가정문해환경에서도 특정 요인들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들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 쓰기환경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home language and literacy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84 children from the age range of between 2 to 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mothers were Chinese and fathers were native Koreans. All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born and raised in Korea. The Chinese mothers gave responses for the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 survey. A series of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family characteristics, as well as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authors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predict the language abilities for Korean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hildren with high Korean language abilities mostly spoke in Korean to their mothers, had more books at home, visited libraries often and involved themselves in writing activities often at home. However,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irrelevant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writing environ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ertain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re related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more carefully with th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

        유치원 아동의 철자발달 단기종단연구

        양민화(Minwha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정규교육과정에 들어가기 이전인 만 5세 아동들의 철자발달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한글은 영어나 불어와 달리 자소음소대응이 투명하여 초기 학습자들이 문식성 발달을 하는데 용이하다고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한국아동의 철자발달에대한 정확한 이해는 미비하다. 이 연구는 유치원 1년 동안 일어나는 아동의 철자발달을 언어학적 유형별로 체계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공립초등학교 부속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5세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10개 단어의 받아쓰기를 2~3개월 간격으로 일 년 동안4번에 걸쳐 실시하였다. 10개 단어로 구성된 받아쓰기 검사지는 유아기에 발달하는 것으로추정되는 9개 철자유형들의 발달을 관찰하기 위해 연구자가 고안하였다. 철자결과는 피셔의정확검정과 정확도분석, 대체오류 분석을 통하여 관찰되었다. 결과: 분석결과 기본모음, 기본초성, 경음화초성, 경음화종성, 경음화된 초성과 종성의 조합은 유치원시기에 발달을 보이는유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기본모음, 기본초성, 경음화 초성은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발달이 완성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또한 대체오류분석결과 만 5세 아동들은 주로음운학적인 전략(phonetic strategy)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턴 전략도 배워가는 것을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형태론적인 전략은 아직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한국아동들은 유치원시기에 매우 체계적인 철자습득양상을 보이며 모음철자정확도에서 다른 문자보다 강점을 보인다. 또한 이번 결과는 유치원 이전 유아기에도 학습되는 철자능력이 있음을,그리고 유치원에서 철자를 교육하는데 있어 발달순차에 맞는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Due to the transparent correspondence between the letters and letter sounds, Hangul is considered to be a shallow orthography. Since there is a great consistency in the phonetic regulation, Korean beginning learners are expected to experience an advantage in acquiring phonetic strategies.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phonetic curriculum, teachers should understand how these young children develop their literacy skills. However, there has been lack of information about Korean literacy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ic development in young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ir spelling performances throughout a kindergarten year. Methods: A total of 32 kindergarten students who were 5 years old were asked to spell ten words in four different periods of a school year. These ten words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in order to observe the students' spelling development in nine linguistic features. The spelling results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and percentage accuracy. The students' spelling errors were also qualitatively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students' logic behind the errors. Results: Fisher's exac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rincipal vowel, initial consonant, co-articulated (tense) initial consonant, co-articulated final consonant, and co-articulation of the initial and final consonant combination were the linguistic features that were developed during the kindergarten year. Among these features, the principal vowel, initial consonant, and co-articulated (tense) initial consonant were found to be fully developed by the end of the kindergarten year.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kindergarten students primarily used phonetic strategies in their spelling and began to apply pattern strategies in later kindergarten year. Conclusion & Discussion: Korean children had strength in spelling vowels comparing to other orthography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systematic cevelopmental course in orthographic development of Korean young children. The author suggested that kindergarten curriculum should reflect this developmental progression.

      • KCI등재

        자연물 이미지가 아동의 학습수행에 미치는 영향

        양민화(주저자) ( Yang Minwha(주저자) ),홍연구(교신저자) ( Hong Yeon Koo(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인지 회복적 관점에서 자연물 이미지가 초등학교 아동들의 읽기 과제수행에 영향을 주는지 탐색 연구하였다. 151명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각각의 실험에 앞서 다양한 언어성 검사에 응답함으로써 인지 피로도를 높인 뒤 무선표집을 통해 실험집단은 자연물 이미지에, 비교집단은 인공물 이미지에 노출되었다. 자연물-인공물 이미지로 1차 실험에서는 돌고래-핸드폰 사진이, 2차 실험에는 초원-빌딩 사진이 사용되었다. 학습수행 계측으로는 1차 실험에서는 읽기속도 검사가, 2차 실험에는 읽기이해 검사가 활용되었다. 더불어, 이미지 영향이 아동의 성별과 어휘인 지력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삼원분산분석(3-way ANOVA)을 선택모형(customized model)으로 적용하여 인공물 대비 자연물 이미지의 주효과 및 성별과 인지능력수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미지의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1차 실험 읽기속도 평가에서는 성별과 어휘력수준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2차 실험 읽기이해 평가에서는 어휘력수준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발견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개인특성에 따라 자연 이미지가 실제 학습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려준다. Based on the assumption of cognitive restor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ture images on reading performance of children. For two sets of experiment, the study used dolphin and grass field photos as natural objects in comparison with cellular phone and architectural building photos respectively as man-made objects. A total of 151 (71 female and 80 male) children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both the experiments. After several tasks inducing mental fatigue, th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dolphin or cellular phone group in the first experiment, and green grass or architectural building group in the second experiment. Three-way customized ANOVA models were used to analyz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with gender (male vs. female) and language ability (high vs. low). The study found that the nature images exerted meaningful effects on child’s reading performance not directly but interactively with gender and/or language ability.

      • KCI등재후보

        Professional Self-Development: Maintaining a Balanced Learning Diet

        양민화(Yang Minwha) 한국직업재활학회 2006 職業再活硏究 Vol.16 No.2

        직업재활교사는 대학에서의 교사교육을 마치고 교사가 된 후에는 전문가로서 전문지식을 스스로 찾아 배우고 현장에 적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시간적인 제약과 정보자료에의 접근성에 등의 이유로 졸업 후 전문성을 증진시켜나가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직업재활 교사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전문가로서의 성장에 대해 고민하고 참여하기를 독려하면서 전문지식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교육기회들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올바른 지식의 선택을 위해서 교사들이 쓸 수 있는 간단하고 실제적인 전략들을 소개하여 현장의 직업재활교사들이 양질의 정보를 선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가 자신의 전문지식 향상을 위해 시작해야 하는 작업은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한 고찰에 있다.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찾아 그 원인을 생각하고, 원인을 해결할 방법을 찾은 후에 자신이 그 방법을 현장에 적용할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 반추해보아야 한다. 만일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치 않을 경우에는 다른 전문지식창구들을 활용해야만 하는 것이다. 교사가 전문지식을 보충해 갈 수 있는 정보자료들은 대체로 교사연수, 연구논문, 그리고 동료교사들의 의견 등을 통해 얻어진다. 교사연수의 경우에는 교육구 단위나 작업장 단위로 대규모 인원의 교육활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공되기 때문에 교사가 매일 접하는 문제점에 대한 탑을 구하는 데에는 다소 제한적인 정보를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차원이나 교육구차원에서 바꾸거나 개정해야할 교육내용을 전달하기위해서는 효과적인 지식창구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교사는 연수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성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부분 전달내용이 구두로 전해지기 때문에 내용이 다소 곡해되어 발표되는 위험이 따르므로, 발표자가 제시하는 내용의 실험적인 뒷받침에 주의를 기울여 그 전달 내용의 신뢰도를 파악하며 들을 필요가 있다. 연구논문은 양질의 전문지식을 얻을 수 있는 정보창구임에도 교사들 사이에 접근성이 그리 높지 않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교사가 학술논문을 읽고 양질의 정보를 선택하여 습득하는데 익숙하지 못한 것도 그중 하나라고 하겠다. 직업교육이나 특수교육은 분야의 특성상 부모의 간절한 기대를 악용하여 논리적이지 못한 상업적 처방들이 쉽게 동장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신뢰할만한 정보를 식별하는 안목을 기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Worrall (1990)의 선별방법을 제시하면서 교사들이 이용할 수 있는 양질의 연구논문 식별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들은 실제로 교수환경이나 아동들에 대한 지식이 많은 전문 인력들이다. 동료교사들은 그 교수환경에 가장 적절한 문제해결방법들을 제시해 주는 정보원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사들 간의 의견에서는 얻는 정보는 전문가적인 최신정보의 수집이라기보다는 서로가 알고 있는 내용들의 답습에 제한 될 위험의 소지가 있으므로 교사간의 토론을 체계화하는 행정적 장치와 리더쉽 있는 교사의 존재가 매우 중요하다. 이들이 주축이 되어 교사들 간의 논의를 보다 생산적이고 학술적인 전문성을 가진 토론으로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든 전문지식 창구는 그 나름대로의 성격과 그 지식내용의 약점과 강점 을 지니고 있다. 교사가 전문가로서 정보를 증진시키고자 할 때 자신의 요구를 충분히 고찰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창구를 찾되, 그 정보창구의 성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전문인으로 거듭나는데 무엇보다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정보식별방법들이 직업재활교사들의 전문지식 증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Professional development is a challenging. but essential task in the teaching profession. Yet. most teacher education programs do not train students how to update validated knowledge once they graduate. In addition. available resources for teachers are not often scientifically proven. As professionals. teachers and vocational trainers need to develop their knowledge and practice to provide the best instruction. Active involvement in the cours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s critical. In this paper. the author investigated information sources available for teaching professionals. and described factors to be cautious when discriminating valid from invalid information. Also. the author explored tools that could help teachers refine their thoughts in this process.

      • 읽기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연구 - 다섯가지 교수영역을 중심으로

        양민화(Minwha Ya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1

          읽기장애 아동들을 가르칠 때, 가장 핵심적인 언어, 읽기 기술들은 무엇이고, 그 영역들을 가르치는 데에 효과성이 입증된 교수방법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다. 2000년에 발표된 National Reading Panel은 90년대 후반까지 읽기장애에 관한 연구논문들을 정리하여 어떠한 교육방법들이 효과적인지를 발표한 미국 교육부의 보고서이다. 본 논문에서는 NRP에서 발표한 내용들과, NRP이후에 덧붙여진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음운인식, phonics, 유창성, 어휘, 읽기 이해의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하여 효과적이라고 밝혀진 교육방법들을 정리하였다. 끝으로 한국어 상황에 맞게 재검토되거나 주목해야 할 연구영역들을 들어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reviewed studies in the five areas of reading instruction: Phonemic awareness, phonics, fluency, vocabulary, and text comprehension. For each area of reading instruction, National Reading Panel report (2000) and more recent studies after the NRP report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This review was intent to Korean teacher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speech and language service.<BR>  For phonemic awareness, the definition and tasks of phonemic awareness was reviewed and Korean examples were given to interpret the NRP results. The difference of syllable structur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which affects difficulty level of phonemic awareness, was explained. Next,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in phonics instruction was reviewed, The concept of systematic phonics instruction, and different approaches of explicit and systematic phonics instruction was provided. For teachers, the author described a process that connecting word-level instruction with text related activities. Thirdly, review of fluency research was presented with discussions around guided oral reading vs. independent silent reading. As follow-up research of NRP, Therrian"s meta-analysis (2004) in repeated oral reading was summarized. For vocabulary and text comprehension, review of NRP report was given with suggested readings that help teachers to use the NRP result in classroom teaching.<BR>  Because reading instruction is a very much related to the orthographic system, careful consideration was given in interpreting English studies during the review. While Korean is a shallow orthography, English is a deep orthography. Therefore, certain NRP results such as the difficulty among phonemic awareness tasks and the power of phonemic awareness in predicting reading difficulties should be reconsidered and investigated in Korean. Also, English studies had not produced a research consensus about effective strategies in text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not to mention writing. Many young Korean children suffer reading difficulty in these areas of reading curriculum. The author suggest Korean field of special education conduct more research in order to find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especially in those areas. The author hoped this pap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future Korean research and practice in reading instruction.

      • KCI등재

        음운론적 유형과 형태론적 유형의 초기 철자발달

        양민화(Minwha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철자문제와 교수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아직 아동의 철자발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철자결과를 분석하여 철자유형들을 통계적 요인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들의 발달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의 단어에 등장하는 철자유형들을 포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철자검사를 147명의 1, 2, 3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였다. 검사한 철자유형들은 모두 14개 유형들이었으며 이들 유형들의 군집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군집화된 철자 유형들의 발달양상을 보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성분분석 결과 14개의 철자유형들 중 11개 유형들이 군집화 양상을 보였으며 크게 두 유형으로 군집화할 수 있었다. 이들 군집은 각각 음운론적 전략만으로 철자가 가능한 음운론적 유형과 형태론적 지식을 활용해야 하는 형태론적 유형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둘째, 일원분산분석 결과 음운론적 유형보다는 형태론적 유형에서 발달양상이 두드러졌다. 이는 음운론적 유형에 대하여 1학년 학생들이 매우 높은 철자 정확도를 보였기 때문이었다. 음운론적 유형의 발달은 형태론적 유형보다 앞섰으며 형태론적 유형 중에서도 일부의 유형들은 3학년에 이르기까지 발달이 부진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다른 표음문자권의 이전 연구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글의 철자발달도 음운론적 유형의 철자발달이 형태론적 유형의 철자발달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론적 유형들은 3학년에서도 철자발달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고학년에서도 발달이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Previous research has emphasized the effectiveness of phonics approach. In order to construct an effective phonics intervention,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sequence of spelling features that students acquire as they ma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incipal linguistic constructs that consist words that primary students learn an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spelling features. Methods: One hundred and forty-seven students in grade 1 to 3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pelling test which was designed to examine 14 different spelling features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ose 14 features into principal feature groups, and ANOVA test was applied in order to observe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spelling feature groups in three different grades. Results: The observed spelling featur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amely phonological features and morphological features. Phonological features were developed more rapidly than morphological features and some phonological features seemed to be mastered by the first grade. Conclusion: When a teacher develops a phonics program for students in primary grade, they need to ensure the students' spelling acquisition of phonological features before teaching morphological features. It wa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pelling vowel features needs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inves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