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 관점의 여성설화의 서사적 전통 연구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시대적 흐름에 입각하여,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한국 여성설화의 서사적 전통을 고찰하였다. 세 주요 인물인 <단군신화> ‘웅녀’, <주몽신화> ‘유화’, <우렁각시>민담의 ‘우렁각시’ 등을 중심으로 이주자, 타자로서의 삶을 어떻게 긍정적,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는지 그들의 의식과 목표, 통과의례적 수난의 삶과 극복, 새로운 세계의 창출과 정주자로서의 삶에 안착 등을 분석하면서 세 여성인물을 다룬 설화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 서사적 전통 등을 살펴 보았다. 이 세 여성인물들의 삶의 일대기 구조 속에서 다문화 가정 내의 상생적이고 긍정적이며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의 전범을 찾아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설화의 여성 인물들을 중심으로 타자의식, 이주자 의식 등을 고찰하는 데는 이물교혼담 설화 등의 활용이 유익함이 있었다. 서사문학에서는 다문화 가정으로 표상되는 이주자, 타자적 여성 존재들의 삶이나 인식이 대체로 부정적이고 실패하거나 불행한 결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성공한 전범의 타자적 여성 존재들이 한국 여성설화문학의 서사적 전통을 갖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주자, 타자적 여성인식의 핵심에는 정주자, 주류문화와의 융합 및 나아가서는 주체적 중심에 서게 되는 성취과정에서 뚜렷한 목표, 투지의 열망, 긍정적, 순응적 극기, 지속적인 모성성의 발현 등이 잠재해 있었다. 본 연구는, 오늘날의 다문화교육과 결혼 이주 여성교육에도 활용 의의가 있다고 기대한다. This study has examined Korea Women"s epic narrative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ound three key figures, ‘Woongnyo’ of Dangun Myth, ‘Yuwha’ of Jumong Myth and ‘Woorung- Gaksi’ of Woorung-Gaksi folklore, we investigated how they made successful and positive life as migrant on the basis of their goal and awareness, their lives as rites of passage and their overcomes, the creation of a new world and resting on their lives as a permanent resident, etc. It has also examined the ep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 narrative tradition of tales dealing with the three female characters. In this biography structure in the lives of three female figures, we could find win-win, positive and successful model of multicultral families. When we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of migrants as strangers around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story, the utilization of ‘Imulgyohondam’ folktale was profitable. In the narrative literature, lives and consciousness of migrant women as the symbol of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seem generally unhappy ending. However, this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 presence of migrant women as successful model had Korea women"s epic narrative tradition of literature. There have been hidden, in the core consciousness of migrant women, synthesis of permanent residents and mainstream culture, and furthermore, clear goals in the fulfillment process, expression of the enduring desire, a positive proactive adaptation, sustainable maternal,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mmigrant women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시대적 흐름에 입각하여,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한국 여성설화의 서사적 전통을 고찰하였다. 세 주요 인물인 <단군신화> ‘웅녀’, <주몽신화> ‘유화’, <우렁각시>민담의 ‘우렁각시’ 등을 중심으로 이주자, 타자로서의 삶을 어떻게 긍정적,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는지 그들의 의식과 목표, 통과의례적 수난의 삶과 극복, 새로운 세계의 창출과 정주자로서의 삶에 안착 등을 분석하면서 세 여성인물을 다룬 설화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 서사적 전통 등을 살펴 보았다. 이 세 여성인물들의 삶의 일대기 구조 속에서 다문화 가정 내의 상생적이고 긍정적이며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의 전범을 찾아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설화의 여성 인물들을 중심으로 타자의식, 이주자 의식 등을 고찰하는 데는 이물교혼담 설화 등의 활용이 유익함이 있었다. 서사문학에서는 다문화 가정으로 표상되는 이주자, 타자적 여성 존재들의 삶이나 인식이 대체로 부정적이고 실패하거나 불행한 결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성공한 전범의 타자적 여성 존재들이 한국 여성설화문학의 서사적 전통을 갖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주자, 타자적 여성인식의 핵심에는 정주자, 주류문화와의 융합 및 나아가서는 주체적 중심에 서게 되는 성취과정에서 뚜렷한 목표, 투지의 열망, 긍정적, 순응적 극기, 지속적인 모성성의 발현 등이 잠재해 있었다. 본 연구는, 오늘날의 다문화교육과 결혼 이주 여성교육에도 활용 의의가 있다고 기대한다. This study has examined Korea Women"s epic narrative tra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ound three key figures, ‘Woongnyo’ of Dangun Myth, ‘Yuwha’ of Jumong Myth and ‘Woorung- Gaksi’ of Woorung-Gaksi folklore, we investigated how they made successful and positive life as migrant on the basis of their goal and awareness, their lives as rites of passage and their overcomes, the creation of a new world and resting on their lives as a permanent resident, etc. It has also examined the ep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 narrative tradition of tales dealing with the three female characters. In this biography structure in the lives of three female figures, we could find win-win, positive and successful model of multicultral families. When we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of migrants as strangers around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story, the utilization of ‘Imulgyohondam’ folktale was profitable. In the narrative literature, lives and consciousness of migrant women as the symbol of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seem generally unhappy ending. However, this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 presence of migrant women as successful model had Korea women"s epic narrative tradition of literature. There have been hidden, in the core consciousness of migrant women, synthesis of permanent residents and mainstream culture, and furthermore, clear goals in the fulfillment process, expression of the enduring desire, a positive proactive adaptation, sustainable maternal,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mmigrant women education.

      • KCI등재

        한국,몽골 전통문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교육콘텐츠 연구

        양민정 ( Minjung Ya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본고에서는 한국과 몽골의 전통문화, 특히 전통혼례와 설. 추석(나담)의 대표 세시풍속을 활용한 다문화 가정의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첫째, 한국. 몽골 문화의 역사적 관련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 보았다. 둘째, 양국 간 전통문화를 활용한 다문화 가정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몽골 전통문화 중 대표적 두 유형, 즉 전통혼례와 세시풍속(설. 추석-나담축제)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두 유형의 전통문화를 공통점과 차이점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 논의를 근거로 한국. 몽골 구성원 가정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민속학 분야의 학술적 전공 연구는 아니다. 한국과 몽골과의 교류, 특히 몽골 여성의 결혼 이주 현황이 급증하면서 보다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다문화 가정으로의 정착, 나아가서는 한국형 다문화 구성원의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상호문화교육콘텐츠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논의를 위해 양국 간 전통문화를 활용하였다. 본고는 한국. 몽골 간 전통문화 분석을 통하여 정주문화 및 유목민문화의 사유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연구의의도 있다고 본다. 나아가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실질적인 상호이해와 소통에 실질적, 교육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strategies using seasonal customs of traditional cultures of Korea and Mongolia, especially traditional wedding, New Year´s Day and ``Naadam(Mongolian Thanksgiving day)``. In chapter 2, we looked into historical relevance and meaning of culture in Mongolia and Korea, and discussed nee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traditional cultures of two countries. Chapter 3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customs and traditional wedding as the representative types of traditional cultures of two countries. In chapter four, two types of traditional culture arou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And, we extracted a cross-cultural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it. In chapter 5, we proposed 21 plan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 and Mogolia based on the rational of chapter 4. This paper is not an academic major field of study of folklore. It has attempted to provide a cross-cultural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for the purpose of lead to the settlement of a desirable multicultural family of Mongolian women immigra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ubstantial, practical educational assistance to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

        양민정(Yang, Mi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 다층적으로 풍성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 작품이다.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의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다문화적 시각의 접근은 시의적이고 참신함의 의미로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구운몽>은 시각에 따라 다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게 담지되어 있고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만중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삶의 역정과 그의 내밀한 의식과 문학관을 살펴볼 때, <구운몽>은 표면적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애정 방식을 통한 일부다처의 남녀 결연, 가문 창달의식, 자유롭고 환상적인 애정 행각 등의 주제 이면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구적 관심과 통합 의식, 나아가서는 글로벌적 소통의식이 담지되어 있다고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구운몽>의 분석 의의를 논하였고, <구운몽>의 작품 경개를 다문화적 요소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타자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김만중의 다문화적 작가의식에 관해 논하였다. 극소수의 짧은 한문소설 중 작품 일부에서 다문화성을 고찰한 연구 업적은 몇편 있지만 중편의 국문소설에서, 그것도 조선조 시대 대표적 관료 문인의 작품인 <구운몽>에서는 작품 거의 전체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작가 김만중의 글로벌한 선구적 작가의식의 혜안이 돋보인다는 소설사적 의의도 크다고 본다. The paper studie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view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e novel has been studied in multilateral and multi-layered ways along with a huge quantity of research results, which made it harder to find a new subject matter for the great masterpiece. In the arrival of the multi-cultural era, taking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our classical texts can be considered timely and original. Among them,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novels of Korea,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been viewed to contain abundant multi-cultural elements and implications depending on viewpoints. Considering the author Kim Manjung’s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life journey and his inn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novel has been analyzed to contain pioneering intere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wareness of unity and global communication awareness behind the subjects the author presented on the surface; polygamic unity among genders through various ways of love, family formation awareness and free and fantastic acts of love. Therefore, the paper discusses the analytic implication of the novel from the multi-cultural viewpoints and summarizes the story outline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elements foun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novel is reviewed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presented in the artwork is analyz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h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s an author is discussed.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iew multi-culturalism in parts of few short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a hug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ovel as the mid-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and the artwork of a leading bureaucrat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is outstanding with the author’s global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insights and the most part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을 통해 본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다각적, 다층적으로 풍성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있어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우수 작품이다.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우리의 고전 텍스트들에 대한 다문화적 시각의 접근은 시의적이고 참신함의 의미로 새롭게 부각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구운몽>은 시각에 따라 다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풍부하게 담지되어 있고 다양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김만중의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삶의 역정과 그의 내밀한 의식과 문학관을 살펴볼 때, <구운몽>은 표면적으로 제시되는 다양한 애정 방식을 통한 일부다처의 남녀 결연, 가문 창달의식, 자유롭고 환상적인 애정 행각 등의 주제 이면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선구적 관심과 통합 의식, 나아가서는 글로벌적 소통의식이 담지되어 있다고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구운몽>의 분석 의의를 논하였고, <구운몽>의 작품 경개를 다문화적 요소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타자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 보았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운몽>에 나타난 소통과 화합 방식에 관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김만중의 다문화적 작가의식에 관해 논하였다. 극소수의 짧은 한문소설 중 작품 일부에서 다문화성을 고찰한 연구 업적은 몇편 있지만 중편의 국문소설에서, 그것도 조선조 시대 대표적 관료 문인의 작품인 <구운몽>에서는 작품 거의 전체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작가 김만중의 글로벌한 선구적 작가의식의 혜안이 돋보인다는 소설사적 의의도 크다고 본다. The paper studie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view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The novel has been studied in multilateral and multi-layered ways along with a huge quantity of research results, which made it harder to find a new subject matter for the great masterpiece. In the arrival of the multi-cultural era, taking a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our classical texts can be considered timely and original. Among them, one of the representative classical novels of Korea,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been viewed to contain abundant multi-cultural elements and implications depending on viewpoints. Considering the author Kim Manjung’s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life journey and his inn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novel has been analyzed to contain pioneering interes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wareness of unity and global communication awareness behind the subjects the author presented on the surface; polygamic unity among genders through various ways of love, family formation awareness and free and fantastic acts of love. Therefore, the paper discusses the analytic implication of the novel from the multi-cultural viewpoints and summarizes the story outline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elements found in the novel. Based on the analysis,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novel is reviewed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unity presented in the artwork is analyz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h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s an author is discussed.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view multi-culturalism in parts of few short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oweve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has a hug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novel as the mid-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and the artwork of a leading bureaucrat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is outstanding with the author’s global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insights and the most part of the work can be appreciated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