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적 욕망의 진위에 대하여 -니체의 교육론과 민주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양대종 ( Dae Jong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4

        "인간 최대의 병"인 인간의 왜소화를 다루는 니체 철학에 나타나는 수많은 "전환과 조명"의 하나가 교육과 관련된 테마이다. 다른 여타의 테마들과 마찬가지로 니체의 교육론 역시 니체 철학 전체와 통하고 다른 테마들과 연결되는 접점들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이를 쇼펜하우어 철학의 영향과 차이를 통해 고찰하고, 니체의 민주주의 비판과 그의 교육론 사이의 연관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무엇보다도 사회가 당장 필요로 하는 인재들을 대량 양성하려는 현하의 교육이 가지는 근시안적인 인간이해의 문제점을 니체철학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밝혀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평등에 입각한 민주주의 교육은 니체에 따르면 국민경제적 도그마에 의해 유도된, 이윤을 목적으로 한 교육의 확대 및 보급에의 욕망과, 교육적 이상을 가능한 한 축소시켜 교육외적인 삶의 형식에 복속시키려는 욕망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현하의 교육제도가 갖는 부작용을 야기한 이 충동들이 왜 불운한 욕망들인지를 살피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니체가 제시하는 수축과 집중에 대한 욕망과 강화와 자족의 욕망이 길러져야 하는 당위를 살펴본다. 정신의 귀족적 본성과 지성의 성스러운 질서에 입각한, 청년에게 자연스러운 교육의 욕망이 어떤 것이어야 하고, 세대를 넘어서 인류와 문화의 고양을 염두에 둔 교육이 왜 욕망과 의지의 양성을 목표로 삼아야 하는지를 니체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분석한 글이다. Eine von den verschiedenen "Wendungen und Beleuchtungen" in der Philosophie von Nietzsche, welche um die Verkleinerung der Menschen als "die großte Krankheit der Menschen" handelt, ist das padagogische Thema. Wie seine anderen großen Themen zieht Neitzsches Erziehungstheorie durch seine ganze Philosophie hindurch und hat Beruhrungspunkten mit den anderen Them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betrachten wir erstens die erziehungswissenschaftlichen bzw. padagogischen Betrachtungen von Nietzsche sowohl in deren engen Beziehung mit der Philosophie von Schopenhauer als auch in deren Diskrepanz von ihr. Zweitens ziehen wir das enge Verhaltnis zwischen seine Demokratiekrik und Erziehungstheorie in Betracht. Somit wird aufgrund der padagogischen Bedeutsamkeit von der Nietzsche Philosophie die Problematik des kurzsichtigen Menschenverstandnisses von der modernen Erziehung ans Licht treten, welche nur die von der Zivilgesellschaft benotigten funktionellen Menschen maßenweise zu erziehen trachtet. Nach Nietzsche ist die demokratische Erziehung aufgrund der Vorstellung der menschlichen Gleichheit durch zwei Faktoren zu erklaren, namlich einerseits durch den "Trieb der Erweiterung und Verbreiterung der Bildung", welcher den nationalokonomischen Dogmen dient und somit den moglichst hohen Gewinn als seinen Zweck hat, und andererseits durch den "Trieb nach Verringerung und Abschwachung der Bildung", der das Bildungideal moglichst zu verkleinern trachtet, damit die Bildung unter den staatlichen Zwecken unterjocht wird. Den beiden Trieben haben wir die negativen Wirkungen der modernen Erziehung zu verdanken. Wir untersuchen, warum sie verheerende Trieben sind, und betrachten, ob Nietzsches aristokratischen Alternativen dazu noch besser seien. Die vorliegende Arbeit wollte herauskristalieren, welcher padagogischer Trieb der aristokratischen Natur des Geistes und der heiligen Ordung des Intellektes angemessen ist, und warum die Erziehung, welche die Erhohung der Kultur und der gesamten Menschheit als ihr eigenes Ziel betrachtet, schon bei der generationubergreifenden Zuchtung von Trieb und Wille anfangen sollte.

      • KCI등재

        니체 철학에서 노동과 여가에 대한 고찰

        양대종 ( Yang¸ Dae-j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2

        19세기 문화 전반에 대한 비판과 지성사 전반의 편향적인 전개에 대한 교정을 착탄점으로 삼는 니체의 비판적인 글쓰기는 때로 사태에 대한 노골적인 과장과 원색적인 비난을 노정한다. 효과를 노리는 그의 글쓰기는 독자로 하여금 거리를 둔 공정한 독서를 위해 부단한 문헌학적 노력을 경주하게 만든다. 일견, 사회체제 전반에 대해 무심한 듯이 보이는 그의 사상은 그리스적 노예제의 긍정과 전쟁에 함축된 힘의 긍정을 포함하는 정치적인 언명들을 숨기고 있고,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장세니슴을 한 바구니에 집어넣어 비판하는 독특한 가치관을 피력하기도 한다. 그러나 반시대적이고 시대의 정신과 거리를 두는 이러한 언명들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교육과 노동을 바라보는 니체의 시선은 오랜 철학적 전통의 편에서 있다. 철학과 인문학의 개념에 담긴, 일상적 지성의 정도를 넘어서는 잉여에 대한 니체의 긍정과 이를 통해 가능해지는 자유와 인식에의 몰두는 의외로 가진 자의 더 가지려는 끝없는 욕망과 군수산업체의 무분별한 질주를 현대의 가장 거칠고 악한 힘으로 규정하는 결과로 연결된다. 프랑크푸르크학파와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현상학, 생철학자들 중의 일부 그리고 프랑스 현대철학자들 중의 다수가 기술문명의 위험을 경고한 바 있다. 그리고 이들은 은연중에 혹은 명시적으로 니체의 사상에 기대고 있다. 본고에서는 니체의 작품들에 나타난 노동과 근면에 대한 단상들을 분석하여 이것들이 기초하고 있는 고전적 개념들을 밝혀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에 따라 풍요의 학문인 인문학이 필요로 하는 여가와 이것을 얻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노동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고상한 맹수”인 인간이 과연 상업적 문화를 넘어서 슬기롭고 품위 있는 문화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니체의 고민은 여전히 현재에도 유의미한 질문이다. 유용성의 도구이자 힘의 중앙집권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에 대한 니체의 생각들도 동일한 맥락에서 분석의 대상이 된다. 이렇게 노동과 여가의 관계, 욕망과 시장의 체계, 이것을 지지하는 기술문명 등을 한 지평 안에서 숙고하여 이러한 산발적인 단상들의 행간에 숨겨진, 니체가 창조하기를 원했던 근본적인 가치가 무엇이었는지를 가늠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Nietzsche’s criticism of the 19th-century Western culture as a whole and his critical writing directed squarely at the biased intellectual historiography with a view to correcting it often takes trajectories of blatant exaggeration and raw criticism of the situation. His writing mindful of its impact induces his readers to make incessant philological efforts to read it with a fair interpretive distance. Nietzsche’s ideas, which are seemingly indifferent to the social system as a whole at first glance, conceal political declarations embracing the Greek slavery and the power embodied by war, and display a unique value system of indiscriminately criticizing socialism, democracy, and Jansenism. However, despite his untimely and anachronistic declarations, Nietzsche’s views of education and work lean toward the established philosophical tradition. The endless desire of owners to own more and the reckless race of the defense industry are unexpectedly defined as the coarsest and evilest force of the modern times by Nietzsche’s affirmation of the surplus contained in the concepts of philosophy and humanities beyond the level of ordinary intelligence, as well as the engagement in freedom and awareness made possible by the surplus. Ontological phenomenologists of the Frankfurt School and Heideggerian traditions, some philosophers of life, and many modern French philosophers have warned against the dangers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s, relying implicitly or explicitly on Nietzsche’s thoughts. This article analyzes the fragmentary ideas on labor and diligence in Nietzsche’s works, clarifies the classical concepts they are based on,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requisite for Humanities, the science of abundance, and labor indispensable to gain leisure (Aristotle). Nietzsche’s reflections on whether humans, who are “noble beasts,” can accomplish a wise and dignified culture beyond commercial culture are still a valid question. Nietzsche’s ideas about technology as an instrument to centralize power as well as a utility tool are also an object of analysis along the same lines. This article aims to gauge the fundamental value that Nietzsche sought to create, hidden between the lines of his sporadic ideas, by reflecting on his view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mechanism of desire and the market,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supporting them from the same horizon.

      • KCI등재
      • KCI등재

        니체철학에서 책임의 문제

        양대종(Yang Dae Jong)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9 No.-

        현재에는 철학과 그 인접 학문들에서 근본 개념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한 책임이라는 개념은 19세기에 와서야 절대적인 자기선택 속에서만 자신을 의식하는 윤리성에 주목한 키에르케고어와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주권적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 니체를 통해 철학적 조명을 받기 시작한다. 니체는 그가 인류 최대의 병이라고 부른 인간의 왜소화가 유럽 전역을 강타하는 것을 철학적 숙고의 기초로 삼은 철학자이다. 유럽 허무주의의 도래와 그 극복을 둘러싼 그의 철학은 유럽의 미래에 대한 염려를 동인으로 가진다. 전통 형이상학과 기독교에 기초를 둔 선과 악의 도덕이 국제화라는 현대성이 가져오는 커다란 문제의 크기와 심연을 포착하지도 못하며 따라서 해결하지도 못할 것이라는 것을 예감하고 대안을 준비한 철학자가 니체이다. 그는 이 옛 도덕의 제거에 인류의 미래가 걸려 있다는 것을 알리는 데 인생을 바친 자이다. 본고에서는 책임이라는 사태를 둘러 싼 니체의 사고를 추적하여 그의 사상에서 책임 개념이 가지는, 일반적인 규범과 가치의 저편에 놓인, 의미의 외연과 내용을 정리해 본다. The notion of responsibility, which has now gained a firm foothold as one of the fundamental notions of philosophy and its neighboring disciplines, became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enquiry only in the 19th century by Kierkegaard, who delved into the morality of critical self-awareness in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absolute self; and Nietzsche, who put emphasi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sovereign self in coping with the problems of the future. Nietzsche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took issue with the diminishment (Verkleinerung) of humanity-what he called human being’s greatest disease-that swept Europe at that time. Concerns about Europe’s future were the key movens of Nietzsche’s philosophy revolving around the advent of nihilism in Europe and its solutions. He prepared alternative solutions in deep awareness that the ethics of good and evil firmly rooted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Christianity would not even catch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big problem of globalization brought about by modernism, let alone solve it. Nietzsche devoted his whole life to disseminating the knowledge that the future of humankind depends on removing these old ethics. This article traces Nietzsche’s reflections on the ethical event of responsibility and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urview and scope contained in the meaning covered by the notion of responsibility in his philosophy beyond common norms and values.

      • KCI등재

        허무주의를 대하는 마음의 자세

        양대종(Yang, Dae-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5 No.-

        현대철학의 화두는 의미의 문제, 즉 전통가치로부터의 일탈과 새로운 가치창출의 문제이다. 인간은 그것에 이유와 목적이 있다면, 고통 때문에 괴로워하지 않고 기꺼이 그 고통을 감수한다. 단지 의미 없는 고통의 지속이 문제시될 뿐이다. 허무주의는 이제껏 자신의 삶을 규제하던, 행위와 사고의 준거와 원칙이 깨지는 순간에 도래하는 가치박탈과 의미상실에 기반을 둔 정신인성 질병의 징후이다. 본고에서는 니체가 진단하는 유럽허무주의의 태동이유와 역사를 살펴보고, 그것이 인류 정신사에서 초래된 필연적 사건이자 인류가 맞닥뜨린 미증유의 문제임을 밝힌다.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트랜스 휴머니즘으로 설명되는 현대성이 갖는 부정적 함의의 극복가능성이 이 의미의 문제의 해결에 달려있다. 살만한 세상, 재미있는 세상, 존재감이 향상돼 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허무주의의 극복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소비의 문 앞에서 그치고 마는 현대의 욕망들은 인간 왜소화의 결과이자 실존의 무의미를 채워보려는 불안의 현현양식 중 하나이다. 인간의 완성을 위한 첫 걸음인 고양된 문화적 차원으로의 비약을 방해하는 걸림돌인 허무주의의 극복을 위해 모든 인간 속에 잠재돼 있는 의미창출가능성을 촉발할 방도를 모색해 본다.

      • KCI등재

        니체 철학에서 본 생명의 문제

        양대종 ( Dae Jong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철학연구 Vol.0 No.39

        `니체를 생철학의 선구자로 볼 것인가 아니면 고전적인 생철학자로 볼 것인가?`라는 질문은 그가 고전적 형이상학의 경직된 진리의 자리에 끊임없이 변화하고 유동하는 생명을 세우는 순간 무의미해진다. 니체는 그의 철학의 시발점에서부터 생명의 다양한 측면들을 총체적인 존재 연관 속에서 살펴 철학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을 경주한다. 생명개념은 그의 사상의 후반부에 이르기까지 니체 철학을 관통해 흐르는 근본테마의 하나이다. 이때 니체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의식과 진리에 대한 지금까지의 과도한 평가의 결과로 발생한 전체생명현상에 대한 폄하와 인간의 왜소화이다. 이 생명현상을 그 전체적인 외연이 드러날 수 있도록 상이한 연관 속에서 다루고 이 생명이 갖는 생산성과 전망에 걸맞은 그리고 이 생명 속에서 가능한 의미를 부여하려는 노력은 니체철학이 갖는 중요한 성과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니체가 중요하게 다룬 생명의 다양한 면들을 정리해 그의 철학의 근본개념 중 하나인 생명이 갖는 의미를 더 선명하게 부각하였다. Vom Anfang seines philosophischen Werdegangs versucht Nietzsche, moglichst viele Facetten des Lebens philosophisch zu sichern und das Lebensphanomen in seinem gesamten Zusammenhang zu betrachten. Es sind schon in seinem ersten Werk solche Bemuhungen um das intaktes Leben zu beobachten, so wie es bei seiner Schilderung uber die griechische Gesellschaft in der Wechselbeziehung der apollinischen und dionysischen Krafte als auch bei seiner Behandlung des Problems des Sokrates geschieht. Nietzsches Augenmerk richtet sich dabei sowohl auf die unberechtigte Geringschazung des gesamten Phanomens vom Lehen als die Folge der bisherigen Uerschatzung des Bewusstseins als auch auf die sich daraus ergebende Selbstverkleinerung des Menschen. Das Phanomen des Lebens in seinem vollem Umfang und in seiner Ganzheit zu denken ist bei Nietzsche ein zentrales Thema, das bis zu seiner letzen Schaffenszeit halt und in vielen Spielarten aufgenommen immer weiter behandelt wird. Diesem Leben einen seiner Produktivitat entsprechenden, in diesem selbst moglichen Sinn zu geben, war eine der wichtigen Bemuhungen von Nietzsches Philosophie gewesen. Diesem Lebensphanomen gegenuber wollte Nietzsche gerecht sein, d. h., ihm das Seinige zuteil werden lassen in seiner unerschoflichen Perspektivitat und somit in seiner prachtigen Sinnvielfaltigkeit, was in der bisherigen metaphysischen Tradition vom Leben in Beschlag genommen ist.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werden einige wichtigen Facetten des Lebens, worauf Nietzsche besonders achtet, in Betracht gezogen, damit das intaktes Leben als ein Grundbegriff in der Philosophie von Nietzsche besser verstandlich wird.

      • KCI등재

        니체 철학에서 본 인식의 문제 : 진리개념을 중심으로

        양대종 ( Dae Jong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2

        니체가 이상적 인간으로 삼고 있고 자신의 전 생애와 철학함을 통해 되고자 하는 정의로운 자(der Gerechte)가 갖춰야 할 덕성으로 정의롭게 행동하려는 진실한 의지와 더불어 엄격한 판단능력이 요구되는 한, 진리개념은 니체 철학의 내재적인 이해를 위해서 간과할 수 없는 핵심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니체에게 있어 진리개념은 언제나 동일한 사태를 의미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니체의 가치평가도 양가적으로 나타난다. 자유정신의 편력에서 보이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진리관과 함께 고전적 상응이론에 기반하는 형이상학적 진리개념을 지성에 의해 만들어진 삶의 불가피한 오류로 보는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한 비판 역시 니체 철학의 중요한 테마 중 하나이다. 니체 철학의 여러 맥락에서 양가적으로 나타나는 진리개념의 연관과 외연을 살피고 이러한 양가성이 나타나는 이유와 니체철학 내에서 진리추구가 갖는 함의를 밝히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니체철학에는 두 차원의 진리, 즉 필연적인 가상으로서의 진리와 형이상학적 진리의 가상성을 통찰하는 진리가 있으며, 불확실하게 남을 수밖에 없는 진리의 추구를 통해 이미 화석화해 더 이상 참 진리일 수 없는 특정한 진리의 허위성을 밝히는 니체의 작업은 이율배반적이지 않다. 그것은 오히려 인간이성의 한계에 대한 인식이며, 그간 형이상학적 진리관에 의해 부당하게 희생돼온 생명의 다른 표현들에 자리를 내주려는 노력이다. 이 한계설정 후에도 계속되는 니체의 인식에의 열정은 심연에 선 철학자가 이성의 경계에서 존재의 초월적 발현을 경험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 Solange nicht nur der echte Wille, gerecht zu sein, auch das Urteilen-Konnen als die notigen Tudenden von dem Gerechten verlangen werden, der fur Nietzsche das menschliche Ideal darstellt, ist der Begriff der Wahrheit fur das immanente Verstandnis der Philosophie von Nietzsche ein unumganglicher Schlußelbegriff. Aber er meint mit dem Begriff nicht immer ein und denselben, so dass seine diesbezugliche Wertschatzung auch ambivalent bleibt. Neben der positiven Einstellung zur Wahrheit und Erkenntnis, was bei der Wanderschaft des freien Geistes zu betrachten ist, gehohrt seine Kritik an der metaphysischen Wahrheit zu den wichtigen Themen seiner Philosophie, wobei der auf der klassischen Korrespondenztheorie basierende, metaphysische Wahrheitsbegriff als ein lebensnotwendiger Irrtum von Seizen des Intellektes angesehen wird. In der Philosophie von F. Nietzsche sind zwei verschiedenen Wahrheitsbegriffe zu betrachten, namlich die Wahrheit als der lebensnotwendiger Irrtum einerseits, und die diese Irrtumlichkeit der metaphysischen Wahrheit einsehende Wahrheit andererseits. Durch seine Suche auf die Wahrheit, die standig unbestimmt bleibt, entlarvt Nietzsche den perspektivischen Charakter der schon versteinerten bestimmten Wahrheiten. Es ist gar keine Antinomie, sondern eher die eigene Grenzziehung der menschlichen Vernunft und gleichzeitig seine Bemuhung, den anderen Lebensaußerungen gerecht zu bleiben, welche der metaphysische Wahrhiet ungerecht geopfert sind. Die weitere Betatigung der leidenschaftlichen Erkenntnis von Nietzsche ist als sein Versuch zu betrachten, an der Grenze der Vernunft das transzendierende Sein zu beruhren.

      • KCI등재

        서양철학의 정신도야 모델에 대한 고찰

        양대종(Yang, Dae-Jong)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8 No.-

        Philosophers have looked into the methods of reaching a high quality of life and felicity with the idea of soul healers acting as a spiritual doctor; an idea which runs through the whole length of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with its primary emphasis laid on mind cultivation. The present article aims at highligh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 models of Plato and Nietzsche by scrutinizing them in a comparative analysis. The former has admittedly exercised an enormous influence on the human intellectual history, and the latter is diagonally opposed to it in a dynamic tension. The Platonic model of Mind cultivation has been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Speech of Diotima in Plato’s Symposium and the three allegories contained in the sixth and seventh books of Politeia, i.e.allegory of the sun, allegory of the line, and the allegory of the cave. For the examination of Nietzsche’s model of mind cultivation, relevant analyses were made on the wandering of the free spirit and the process of self-overcoming of the spirit as demonstrated in Zarathustra’s Prologue in Thus Spoke Zarathustra. What both models have in common in principle is the recognition of a deep spiritual drive in the search for truth. However, they show differences with reference to their respective approaches to truth, path and aims of education, and attitudes towards life after the enlightenment. Both thinkers share the view that carnal sensuality and desire is in fact a natural spiritual drive which strives for beauty and harmony. The one ascribes the failure of the drive to achieve its sublimation to the primitiveness of its object, while the other thinks that the tender and sensitive tree called human being can only attain its height in proportion to the depth of its roots. And this fundamental difference of approaches leads to the difference of the educational models of the two thinkers. Notwithstanding the differences, each model has its logical vein along the lines of its own concept of truth. Once the epistemological and ethical pre-decision has been made, either model will prove functional as a significant model depending on the need at hand.

      • KCI등재

        자기도피의 여러 양태들에 대한 고찰-키에르케고어를 중심으로

        양대종 ( Dae Jong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연구 Vol.0 No.53

        키에르케고어는 인간의 정신이 바로 자기라고 정의하고 그 정신의 자기도피를 절망으로 파악한다. 인간은 자연적인 것과 초월 적인 것과의 동시적 연관 속에 사는 존재이다. 모순적인 것의 통일성인 인간이 시간 속에 육체로 살면서 영원을 바라보고, 필연 속에 살면서 자유를 실현하는 정신적 존재라는 사실로부터 인간의 실존적 특성인 불안과 절망이 도출된다. 키에르케고어의 사상에서 불안과 절망은 모두 인간을 규정하는 대립적 요소들과 관계하고, 불안과 절망을 느끼는 인 간에게 실존적 위기이자 동시에 폭넓은 조망을 열어주는 실존적 고양 의 기회가 된다는 유사한 면이 있다. 그러나 크게 보아 미래에 대한 불 확실성과 자유로부터 기인하는 불안은 인간 실존의 성장과 전체성을 설명하는 개념이고, 절망은 자기와 관계하는 인간의 자기도피의 양태와 구원의 가능성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 자기도피의 양태들을 키에르케 고어의 사상을 중심으로 분석해 참다운 자신의 발견에 방해가 되는 기 전들을 드러내 실존적 좌절을 예방하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Nach der Definition von Kierkegaard ist der menschliche Geist das eigentliche Selbst von dem Menschen und dessen Selbstflucht die Krankheit zum Tode, Verzweiflung. Der Mensch ist ein Wesen, das in der gleichzeitigen Beziehung mit dem Naturlichen bzw. dem Transzendentalem lebt. Er ist als eine Synthese von den Gegensatzlichkeiten ein geistliches Wesen, das in der Zeit lebend die Ewigkeit blickt und in der Notwendigkeit lebend die Freiheit verwirklicht, Und daraus ergeben sich seine Angst und seine Verzweiflung, welche zu seinem existenziellen Charakter gehoren. Im Gedanken von Kierkegaard beziehen sich Angst und Verzweiflung jeweils auf die gegensatzlichen Elementen, welche den Menschen bestimmen. Und sie haben die Ahnlichkeit, dass sie fur den durch sie ergriffenen Menschen sowohl eine existentielle Krise als auch eine Chance zur Erweiterung des breiteren Daseinshorizontes bedeuten. Aber grob gesagt, die Angst, welche von der Unbestimmtheit der Zukunft und somit von der menschlichen Freiheit stammt, ist ein Begriff fur die Erlauterung von dem existentiellen Werdegang und der Ganzheit des Menschen. Und der Begriff von der Verzweiflung steht fur die Erklarung sowohl von den verschiedenen Formen der Selbstflucht des Menschen, welcher sich zu sich selbst verhalt, als auch von der Moglichket seiner Erlosung. Die vorliegende Arbeit hat vor, die verschiedenen Formen der Selbstflucht im Gednken von Kierkegaard zu analysiern und die Hindernisse fur die menschlichen Selbstwerdung zu entlarven, um die existentielle Frustration zu vermeiden.

      • KCI등재

        자주적 의식과 과감한 참여로의 지적인 촉구

        양대종(Yang Dae jong)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6 No.-

        랑시에르는 엘리트 교육을 받고 노동자 계급에게 세계와 혁명을 설명하는 것을 자신의 활동의 중심에 둔 철학자이다. 그의 스승 알튀세(Louis Althusser)와의 방법론적이고 정치적인 결별에서 보듯이 그는 다른 사상가의 혁명이론에 동의하기보다는 대립각을 세우고 의문을 제시해왔다. 그는 "말하기와 힘의 장소들을 새롭게 배치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가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 실제로 시대와 노동자의 문제를 보다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성숙한 관점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본고에서는 랑시에르의 층위가 다른 저술들을 그 내재적 연관성과 정합성을 상정하고 독해하여 그의 정치철학의 외연과 그것의 전략적 구현방법에 대한 그의 탐색을 정리해 본다. 이를 통해 사회변혁의 영역에서 그 난해함과 애매함으로 인해 잘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던 랑시에르의 글쓰기가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보는 것 또한 본고의 목적이다. 랑시에르가 주장하는 것은 손과 몸을 써서 일하는 노동자와 철학적 관찰자의 평등, 반위계적인 혁명적 사회운동의 주체와 그것을 조직하는 자의 일치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모두에게 동일한, 자발적 행위와 결단을 특성으로 하는 지성의 평등을 자신의 정치철학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새로운 사실을 알아야만 하는 어쩔 수 없는 상황과 이것을 타개하려는 의지만으로도 지성의 모험은 충분히 성공적인 길로 들어선다는 그의 확신은 생각하는 존재를 자발적 사고와 결단으로 초대하는 또 다른 계몽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사회에 의해 강제로 행해진 감성의 분할을 전복시키는 주체를 만드는 랑시에르의 작업은 새로운 말과 말의 방식을 둘러싼 지적인 사회운동처럼 보인다. 랑시에르가 정치와 해방을 기획하며 중시하는 "사회의 무분별 속에서도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게 남으면서 사회의 무분별에 효과를 낼 수 있는 이성의 삶"은 개인의 차원에서 합리적인 사회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자는 계몽의 이야기이다. 그의 지성적 사회운동이 꾀하는 것은 정의롭게 깨어 있으려는 의식 있는 정신의 태도를 고양하는 것일 뿐 전체적인 구조의 변혁을 꾀하는 사회운동의 전략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The axis of the French philosopher Jackques Rancière's activities is explaining the world and revolution to the working-class people from the standpoint of his elite educational background. As demonstrated by his methodological and philosophical separation from his teacher Louis Althusser, he has raised questions from a diagonally opposite stance rather than going with other philosophers' revolutionary theories. His main concern is to "rearrange places of speech and exercise of power". However, whether the new perspective presented by him is a mature viewpoint contributing to a more rational and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issues of our time and working-class people remains open for debate. This paper seeks to present Rancière's multi-layered writings and interpret their interrelatedness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to gain insight into the extensional context of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his efforts towards its strategic implementation. By doing s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Rancière's writings on social reform that have been unheard and unseen thus far under the thick cloak of complexity and ambiguity. What is advocated by Rancière may be summarized as the equality between a manual worker and a philosophical observer and the oneness of a participant in an anti-hierarchical revolutionary social movement and its organizer. The starting point of his political philosophy is the equality of intelligence characterized by autonomous action and determination given equally to all people. His firm conviction that the situation requiring the understanding of new facts and the will to overcome the situation alone are sufficient for leading an intellectual adventure to success,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history of enlightenment inviting thinking beings to autonomous thoughts and determinations. Rancière's striving towards creating the actors for overthrowing the "partage du sensibl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mposed by society conveys the impression of being an intellectual social movement revolving around new words and modi operandi of words. It is Rancière's story of enlightenment encouraging maximum efforts to build a rational society at individual level by living a "rational life that leaves impact on the social indiscretion while being true to oneself amidst the social indiscretion" as advocated by Rancière's political philosophy of emancipation. What is intended by his intellectual social movement is the mere encouragement of an alert mental attitude for righteous awareness, not a strategic plan for a social movement striving for overall structural 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