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필터 캐쉬 중복을 이용한 저온도 프로세서 설계 기법

        양나라(Na Ra Yang),최홍준(Hong Jun Choi),김철홍(Cheol Hong Kim),이정아(Jung A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회로의 집적도가 급속히 높아지는 상황에서 단위 면적당 소모되는 전력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칩 내에 열섬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열섬 현상은 칩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므로, 최신의 프로세서를 설계할 때에는 저온도 제어기술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프로세서에서 높은 온도를 보이는 유닛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동일한 유닛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필터 캐쉬의 열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필터 캐쉬를 추가하여 선택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DFC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DFC 구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플로어플랜 기법들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기법의 효용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Wattch와 HotSpot을 통합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 플로어플랜을 변경한 7개의 기법 중에서 5개의 기법은 오히려 온도가 상승하는 반면, 2가지 기법은 온도 저하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2000년대 천만 사극 영화의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양나래(Yang, Na Rae)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한국 영화는 지난 2012년 이후 3년 연속 1억 누적 관객을 동원하며, 천만 관객이 넘는 ‘메가히트’ 영화를 매년 제작하고 있다. 여기서 ‘천만’이라는 관객수는 인구통계학적으로나 비교문화학적으로 대단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관객 동원은 곧 영화의 영향력을 짐작케 한다. 본 연구는 성공한 영화의 ‘흥행성’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선행 연구를 통해 ‘흥행’, ‘천만’ 영화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파악했고, 그 과정에서 세 편의 천만 사극 영화를 기준으로 흥행 영화를 분석했다. 또한 ‘대중화 코드’와 대중의 공감에 주목해, 그들의 집단적 감정을 자극하는 이야기를 흥행의 전제 조건으로 설정했다. 즉, 본 연구의 의의는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영화의 매력 요인을 분석, 대중성을 갖춘 흥행영화의 공통적 이야기 코드와 그 전략을 파악함에 있다. 방법론으로는 사극 영화 분석을 위한 스토리 분류 체계 모델을 제시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에 대중들이 반복적으로 소구하는 이야기의 원형적 요소에 주목해,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헬퍼의 205개 모티프 분류 체계’를 참고했다. 동시에 ‘문화재 이야기 자원의 분류 체계’를 함께 참고해 사극이라는 특수한 장르의 주제 분류를 더욱 세분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물 관계망에 따른 인물 분석과, 시퀀스에 따른 사건 · 배경 분석을 각각 진행해 세 편의 사극영화의 구조를 정밀히 분석했다. 앞선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세 편의 사극 영화에 내재된 공통 코드를 정리하고, 스토리텔링 전략에 대해 제언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파악한 사극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왕조사관이 아닌 민중사관에 입각한 상상력으로써 접근하며 둘째, 평범한 소시민적 영웅을 내세우고, 셋째, 계급의식 및 권위의식의 전복, 마지막으로 현실과의 연관성을 유지하며 동시에 민중에의 접근을 강조한다. 동시에 특수 모티프를 적절히 활용해 소재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전략화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극에 적합한 스토리 분류 체계를 제시하고, 해당 모델에 맞게 영화를 분석한 논문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특징을 도출해 영화 기획의 단계에서 문화콘텐츠적인 통찰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Korean cinema has drawn over 0.1 billion viewers for the last three years since 2012, producing ‘mega-hit’ films recording over ten million viewers every year. Here, the number ‘ten million’ is a very high figure both demographically and cross-culturally, which indicates the influence of films. This study starts from the ‘popularity’ of successful films.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opular films were examin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during the process, three popular Korean historical films were analyzed. In addition, stories stimulating emotions of the public were set as the precondition of popularity focusing on the ‘popularization code’ and people’s sympathy.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charm of films in the aspect of storytelling, and grasp the common story code and related strategies of popular films. For methodology, a model of story classification system for analyzing historical films was suggested to rais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To this end, ‘Story helper’s classification system of 205 motifs’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prototype elements of stories repeatedly told by people. At the same tim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resources of cultural stories’ was examined to classify the themes of the special genre, historical drama, more in detail. Based on it, a charac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 relational network and an incident/backgrou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losely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three historical fil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mmon code included in the three historical films was arranged and the storytelling strategy was suggested.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historical films grasp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storytelling strategy, first, approaches with imagination based on the public view of history, not on the dynastic view of history, second, displays ordinary petty bourgeois heroes, third, shows subversion of class consciousness and authority consciousness, and lastly, maintains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lity and emphasizes the approach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properly utilizes special motifs and emphasizes the differentiation of material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suggested the story classification system appropriate for historical drama and analyzed fil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enre.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enetrating into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tage of planning after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 임상 : 상측뇌실 종양의 수술적 치료

        양나래 ( Na Rae Yang ),진성철 ( Sung Chul Jin ),서의교 ( Eui Kyo Seo ) 대한뇌종양학회·대한신경종양학회·대한소아뇌종양학회 2011 대한뇌종양학회지 Vol.10 No.2

        Objective: Lateral ventricular tumors are rare les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Since most tumors are benign or low grade, good outcomes can be achieved with complete removal. However, optimal surgical management in lateral ventricle tumors remains controversial. We review six cases of patients with these lesions treated with a surgical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tumor location. Methods: Six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lateral ventricle tumors. The transcortical approach was used in five patients, and the transcallosal approach was used in one patient. Transcortical approaches are frontal transcortical, middle temporal gyrus, and posterior parietal transcortical approaches. And we operated one patient with atypical meningioma of frontal horn and body by anterior interhemispheric transcallosal approach. Results: Gross tot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five patients. There was the only surgical morbidity that the tumor bed operated was bled, and the outcome of the patient remained poor. Two visual field deficits were developed transiently, however they were recovered during follow-up period. Conclusions: Lateral ventricle tumors can be treated best by careful selection of the approach accor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size, and vascularization of these tumors.

      • KCI등재

        다양한 IoT 환경에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크로스 버티컬 온톨로지 개발

        양나리(Nari Yang),최환석(Hoan-Suk Choi),이우섭(Woo-Seop Rh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IoT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센서나 액츄에이터 같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온톨로지를 통해 상황정보로 변환한다. 기존의 상황인지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는 타겟 서비스를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설계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 서비스 조건, 환경 등이 변하거나 또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원할 경우 온톨로지를 전반적으로 재설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장소나 상황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는 크로스 버티컬(Cross-vertical) 온톨로지 모델인 Generic Ontology Models(GOMs)를 제안한다. 또한 IoT 서비스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IoT 서비스 개념 모델과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 제안된 환경에서 GOMs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적용해봄으로써 IoT 환경에서 상황인지 서비스가 가능함을 보인다. In the IoT environment, context information is important to provide context service to the user. For this, collected data from devices such as sensors or actuators, converts to context information using the ontology. Because the existing ontologies designed for target service,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ervice requirements, service condition, service environment or another service, overall ontology will be redesigned to the changed service.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propose the cross-vertical ontology model called the Generic Ontology Models(GOMs). It can define the user’s desired services without regarding to place and situation. Also, we propose IoT service concept model that represents data flow of the IoT service and IoT service environment. Moreover, as the use case, we show that the proposed GOMs are able to provide the IoT service wel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천막 수막종으로 오인했던 결핵종의 치료

        양나래(Na-Rae Yang),서의교(Eui-Kyo Seo),구혜수(Hye Soo Koo) 대한두개저학회 2010 대한두개저학회지 Vol.5 No.2

        We report the case of a 44-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a headache and right sixth cranial nerve palsy. The lesion mimicked a tentorial meningioma in the brain and was investigated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Gross total resection was achieved using a subtemporal approach. Histologic examination of the mass revealed the typical tuberculoma such as granulomas with caseous necrosis. Postoperative antituberculous medication led to complete resolution of neurological symptom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Intracranial tuberculoma is an uncommon disease.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is important in postoperative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