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활용한 젖소 발정탐지의 정확도 검증

        양가영(Ka-Young Yang),우샘이(Sae-Mee Woo),권경석(Kyeong-Seok Kwon),최희철(Hee-Chul Choi),전중환(Jung-Hwan Jeon),이준엽(Jun-Yeob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젖소농가에서 착유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번식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젖소에서 번식관리는 발정의 조기발견이 중요하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젖소의 발정시기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자동 모니터링이 농가에는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젖소의 발정유무, 활동량변화, 반추위 운동량, 반추위 온도 및 pH 등을 측정하는 기기를 활용하여 발정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생체정보기기 S1(Smaxtec, Austria)는 반추위 내 삽입형타입으로 반추위의 온도, pH, 젖소의 활동량 및 음수횟수 추정 등을 이용하여 발정 유무의 알림을 제공하고, S2(Healthy Cow 24, SCR. Allflex. Israel)는 목걸이 타입으로 반추위 운동량, 젖소의 활동량으로 발정의 유무를 알려준다. 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1일 2시간 간격으로 획득하였고, 각각의 기준일(Reference day: RD ; -7∼-3, +7∼+3)은 수정일(-2, -1, 0, +1, +2)이 5일과 수정 전 7일에서 수정 후 7일에 대한 평균값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S1 기기의 활동성은 기준일(RD : 10.2±1.0/day)에 비해 수정일(–1 : 12.5±1.03/day ;0 : 12.9±1.73/day)에서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2 기기의 활동성 또한 기준일 (RD : 40.3±2.68)에 비해 수정일(0 : 63.0±3.66)에서 증가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1의 일일 음수횟수는 기준일(RD : 5.9±0.89/day)에서 수정일 전까지는 (-2 : 5.6±0.98 ; -1 : 5.7±0.96)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정일(0 : 6.3±0.86 ;+2 : 6.0±0.73)에는 기준일과 같은 횟수를 보였다. S2의 일일 반추횟수는 기준일(RD : 493.8±10.92) 보다 수정일(–1 : 390.2±13.36; 0 : 354.1±16.71)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eeding control in a farm is a very important factor affecting milk productivity. Breeding management is important for the early detection of estrus, and reliable, automatic, more accurate, and faster monitoring of the timing of dairy cows is essential for farmers. This study measured the accuracy of estrus using the estrus indications, changes in activities, rumination activities, ruminal temperature, and pH. The biomedical information device S1 used in this study provided an estrus notice using the rumen temperature, pH, cow activities, and number of drinking estimations, which were inserted in the rumen through the oral route. The S2 device was used in the estrus notice for the rumen activities and cow activities. The data collected on the instrument were collected at intervals of 2 hours per day at the reference days (RD: -7 ∼ -3, +7 ∼ + 3) +2), 7 days before insemination, and 7 days after insemination. The activities of the S1 device used in this paper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insemination days (-1: 12.5 ± 1.03 / day; 0: 12.9 ± 1.73 / day) compared to the reference day (RD: 10.2 ± 1.0 / day). The activities of the S2 device was also found to increase from the reference day to the insemination day (0: 63.0 ± 3.66) compared to the reference day (RD: 40.3 ± 2.68). The number of daily drinks in S1 decreased from the reference day (RD: 5.9 ± 0.89 / day) to before the insemination day (-2: 5.6 ± 0.98; -1: 5.7 ± 0.96); +2: 6.0 ± 0.73). The number of daily drinks on the insemination day (0: 6.3 ± 0.86; +2: 6.0 ± 0.73) was similar to the reference day. The number of daily rumination in S2 decreased from the reference day (RD: 493.8 ± 10.92) to the insemination day (-1: 390.2 ± 13.36; 0: 354.1 ± 16.71).

      • KCI등재

        모돈 군사 사육의 깔짚과 슬랏바닥의 행동 및 환경 수준 평가 비교

        양가영(Ka Young Yang),하재정(Jae Jung Ha),권경석(Kyeong Seok Kwon),김종복(Jong Bok Kim),장동화(Dong Hwa Jang),이준엽(Jun Yeob Lee),김중곤(Jung K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최근 우리나라는 축산농가의 사육환경 개선을 위해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동물복지형 사육기준을 도입하려고 한다. 이에 모돈의 군사사육 도입 규정에 대응할 수 있는 모돈사 바닥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돈의 군사사육 방식이면서 바닥의 형태가 각각 깔짚과 슬랏 바닥의 형태로 되어 있는 농가 2곳을 섭외하여 동물복지 수준과 환경 수준 및 모돈의 행동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동물복지 수준평가는 실험농가 모돈의 몸상처와 외음부상처 평가, 환경 수준은 돈사 안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농도를 한 달에 1번씩, 총 4 개월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동물복지 수준은 모돈의 몸과 외음부 상처비율이 깔짚 바닥 농가(K 농가)에 비해 콘크리트 슬랏 바닥 농가(H농가)에서 높게 관찰 되었다. 모돈의 돈방 내의 환경수준은 각각 황화수소 (H2S; H 농가 1.0 ppm, K 농가 0.0 ppm), 암모니아 (NH3; H 농가 45.4 ppm, K 농가 1.3 ppm), 및 이산화탄소 (CO2; H 농가 1102.3 ppm, K 농가 258.8ppm) 농도가 H 농가에서 높게 측정 되었다. 모돈의 행동분석 중 투쟁행동은 H 농가에서 주로 발생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일한 군사형태의 사육시설이지만 바닥재의 차이로 인해 공격행동과 환경수준의 변화를 나타나는데, 향후 추가적으로 바닥재의 종류 및 바닥의 변화들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 동물복지 및 환경수준을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and compare the status of animal welfare, environmental level, and sow behavior, by including two farmhouses with sow group housing but having different floor types, viz., litter floor and slat floor. Animal welfare level was evaluated for body and vulval wounds of sows. The environmental level was measured for a total of 4 months, assessing the concentrations of H2S, NH3 and CO2 inside the pig house, once a month.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level of animal welfare, with respect to body and vulval wounds, was better in the concrete slat floor farmhouse (H) than in the litter floor farmhouse (K). Environmental levels obtained (in ppm) were: H2S (H, 1.0; K, 0.0), NH3 (H, 45.4; K, 1.3), and CO2 (H, 1102.3; K, 258.8), indicating higher levels in the H than in K farmhouse. Aggressive behavior was mainly encountered in the H farmhou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ame group housing system, but with different flooring, results in changes pertaining to aggressive behavior and environmental level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the behavior changes, welfare, and environmental levels while deliberating different floor types.

      • KCI등재

        모돈의 동물복지형 바닥 기준 설정 연구의 필요

        양가영(Ka Young Yang),전중환(Jung Hwan Jeon),권경석(Kyeong Seok Kwon),김종복(Jong Bok Kim),하재정(Jae Jung Ha),이준엽(Jun Yeob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우리나라는 축산농가의 사육환경 개선을 위해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동물복지형 사육기준을 도입하여 신규농가는 2019년, 기존농가는 2025년부터 적용 예정인 정책을 수립 중에 있다. 이는 임신 4주 이후 임신돈 스톨 사육을 제한하며, 조도는 40Lux이상, 암모니아 25ppm이하, 임신돈 사육밀도를 기존 1.4㎡ 에서 2.25㎡ 등으로 기준이 강화될 것이다. 동물복지를 100년 가까이 연구하여 적용하는 유럽의 경우, 동물복지형 양돈 도입을 위해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사양관리 매뉴얼을 제공하여 전환 농가의 편이성 및 활용성을 높이고 있다. EU 자체 및 EU 내 국가별 독립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돈사 내 동물복지 개선을 위한 바닥시설 기준을 정하여 농가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일부 선도 농가를 제외하고는 일반스톨을 사용하지 않는 사육방식에 대한 방법 및 기술이 전무한 상태이고, 사육면적 외의 모돈의 복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돈사바닥에 대한 복지수준에 대한 연구결과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는 모돈 군사사육 정책변화에 대응 할 수 있으며, 농가의 어려움에 대한 최소화 및 활용 가능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즉, 농가의 시설전환 및 사양관리 매뉴얼 개발과, 동물복지 수준향상을 위한 모돈사 바닥에 대한 연구 및 모돈의 복지수준에 대한 평가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Korea is introducing new animal welfare rearing standards for swine farmers in order to improve the breeding environment of livestock on Korean farms, Korea is establishing a policy to apply to all new farms in 2019 and to all existing farms in 2025. These guidelines are limiting stall breeding of sows after 4 weeks of pregnancy, the light intensity should be above 40lux, the ammonia level should be below 25ppm and the breeding density area should be increased from 1.4㎡ to 2.25㎡. In Europe, where animal welfare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for nearly 100 years, the facility specifications and management manuals are available and provided to farmers to introduce proper animal welfare for pigs and to enhance the convenience and utility of farmers who are converting to raising pigs. The EU has established independent standards for each country, and the EU has set the standards for floor facilities to improve animal welfare on pig farms and as applied by farmers. Yet in Korea, there are no methods and techniques for breeding methods that do not use an ordinary stall, except on a few leading farms.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welfare of sows so that farmer could improve sows" living conditions. Thus, farmers can minimize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the changing government policies, and they must develop farm turnover policies and specification management manuals to cope with the introduced regulations on sow group housing. We suggest that conducting research and evaluating the level of sows" welfare are important for farmers.

      • KCI등재
      • 모돈의 동물복지형 바닥 기준 설정 연구의 필요

        양가영 ( Ka Young Yang ),전중환 ( Jung Hwan Jeon ),권경석 ( Kyeong Seok Kwon ),김종복 ( Jong Bok Kim ),곽정훈 ( Jung-hoon Kwag ),이준엽 ( Jun Yeob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우리나라는 축산농가의 사육환경 개선을 위해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동물복지형 사육기준을 도입하여 신규농가는 2019년, 기존농가는 2025년부터 적용 예정인 정책을 수립 중에 있다. 이는 임신 4주 이후 임신돈 스톨 사육을 제한하며, 조도는 40Lux이상, 암모니아 25ppm이하, 임신돈 사육밀도를 기존 1.4m2 에서 2.25m2 등으로 기준을 강화될 것이다. 동물복지를 100년 가까이 연구하여 적용하는 유럽의 경우, 동물복지형 양돈 도입을 위해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사양관리 매뉴얼을 제공하여 전환 농가의 편이성 및 활용성을 높이고 있다. EU 자체 및 EU 내 국가별 독립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돈사 내 동물복지 개선을 위한 바닥시설 기준을 정하여 농가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일부 선도 농가를 제외하고는 일반스톨을 사용하지 않는 사육방식에 대한 방법 및 기술이 전무한 상태이고, 사육면적 외의 모돈의 복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돈사바닥에 대한 복지수준에 대한 연구결과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 정책변화에 대한 농가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농가가 활용할 수 있는 연구인 모돈의 군사사육 도입규정에 대응할 수 있는 농가의 시설전환 및 사양관리 매뉴얼 개발과, 동물복지 수준향상을 위한 모돈사 바닥에 대한 연구 및 복지수준에 대한 평가 연구가 중요하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우의 개체별 사료 자동급이기 사용이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양가영(Ka-Young Yang),장동화(Dong-hwa Jang),권경석(Kyeong-seok Kwon),하태환(Taehwan Ha),김종복(Jong-b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한우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장치인 개체별 사료 자동급이기는 개체별로 적정 사료량을 급이 할 수 있어 정밀한 사양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개체별 사료급이가 생산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체별 자동급이기 사용농가와 관행 사료급이 농가의 도체 성적 및 품질을 분석하여 농가들 사이의 품질의 균일성을 비교하였다. 한우농가에서 자동 사료급이기를 활용한 농가와 관행적 사료급이를 하는 농가를 섭외하여 도체 성적 및 품질의 5가지 항목인, 도체중(carcass weight, kg),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mm), 배최장근단면적(loineye muscle area, ㎠),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 점수), 육량지수(meat yield index, 점수)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도체중과 등지방 두께는 자동사료급이기를 사용한 농가가 관행급이 농가보다 분산이 작게 나타났다(p <0.05). 반면, 배최장근면적, 근내지방도 등급, 육량 등급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p >0.05). 이 결과, 농가의 수익과 연관되는 도체중과 등지방두께에서 개체별 자동 급이기의 설치가 한우 개체들 사이의 균일성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되나 비교 농가 사이의 품질평가 항목의 성적결과 측면에서는 개체별 자동급이기의 영향뿐만 아니라, 유전적, 환경적, 사료성분 및 사양관리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도 고려하여 추후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y of farms by analyzing their carcass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y of farms equipped with automatic feeding machines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ly feeding farms managed by individuals. The carcass weight (kg), back-fat thickness (mm), and the longest pear contribute to the five measures of carcass performance and quality of farms in Korean cattle. Hence, the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loineye-muscle area, marbling-score, and meat yield index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he two farm types.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the carcass-weight and back-fat thickness were found to have smaller variances in the farms equipped with the automatic feeder than in the conventional feeder farms (p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ineye-muscle area, marbling-score, and meat yield index between conventional and automatic feeding.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installing an automatic feeder for each individual farm achieves uniformity among Korean cattle in terms of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This uniformity is related to the farmer"s profit as well.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consider the effect of this breed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genetic, environmental, feed ingredients, and feed management.

      • KCI등재

        영상정보에 의한 모돈의 분만징후 행동특성 분류

        양가영(Ka-Young Yang),전중환(Jung-Hwan Jeon),권경석(Kyeong-Seok Kwon),최희철(Hee-Chul Choi),하재정(Jae-Jung Ha),김종복(Jong-Bok Kim),이준엽(Jun-Yeob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2

        본 연구는 모돈의 분만징후에 따른 예비행동특성 분석 및 분류를 통하여 정확한 분만시점을 예측하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돈 12마리(평균 3.5 산차)에서 분만전 징후의 행동특성으로 측정된 행동은 지속시간에 따라 분석된 기본행동(섭식, 서기, 눕기, 앉기)과 빈도로 분석된 특이행동(탐색, 저작, 긁기, 스톨물기)으로 나뉜다. 분만 24시간 전부터 첫 태아가 나오는 시점까지 시간대별 2분 간격으로 영상정보를 녹화 및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돈의 기본행동 중 서기시간(22.6%; 24H, 24.9%; 12H)과 횡와시간(55.9% ;24H, 66.3% ;12H)은 분만 24시간 전의 빈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섭식시간(13.42% 24H, 4.38% 12H)과 앉기시간(8.2% 24H, 4.5% 12H)은 분만 12시간 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모돈의 특이행동 중 탐색행동(11.44±1.80 24H, 55.97±6.13 12H), 바닥을 긁는 행동 (3.75±1.92 24H, 20.99±5.8 12H) 및 스톨물기 행동(0.69±0.15 24H, 3.71±1.53 12H)은 분만 24시간 전 보다, 분만시간이 점점 다가오는 12시간 전부터 점진적으로 빈도가 증가하였다 (p<0.01). 반면 저작행동 (2.20±1.67 24H, 0.07±0.01 12H)은 분만 12시간 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결과적으로 분만시점이 다가갈수록 서기·탐색·긁기·스톨물기 행동이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exact time of parturition from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preliminary behavior based on parturition signals in sow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 crossbred sows (with an average of 3.5 pariti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duration and the frequency of different behaviors on a checklist, which includes the duration of the basic behaviors (feeding, standing, lying down, and sitting). The frequency of specific behaviors (investigatory behavior, shame-chewing, scratching, and bar-biting) was also recorded. Image information was collected every two minutes for 24 hours before the first piglets were born. As a result, the basic behavior of a sows" standing time (22.6% of the time after 24 h, 24.9% after 12 h) and time lying down (55.9% after 24 h, 66.3% after 12 h) increased over the 12 h period before parturition, compared with the 24 h period before parturition (p<0.01). Feeding (13.42% after 24 h, 4.38% after 12 h) and sitting (8.2% after 24 h, 4.5% after 12 h)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12 h before parturition (p>0.05). The sows" investigatory behavior (11.44±1.80 after 24 h, 55.97±6.13 after 12 h), scratching (3.75±1.92 after 24 h, 20.99±5.81 after 12 h), and bar-biting (0.69±0.15 after 24 h, 3.71±1.53 after 12 h) increased in the 12-hour period before parturition, compared with the 24-hour period before parturition (p<0.01). On the other hand, shame-chewing (2.20±1.67 after 24 h, 0.07±0.01 after 12 h) decreased compared to the 12-hour period before parturition (p>0.05). Thus, standing, investigatory behavior, scratching, and bar-biting could be used as behaviors indicative of parturition in sows.

      • KCI등재

        국내 동물복지 인증 산란계 농가의 사육시설 및 동물복지 수준 현황 조사

        양가영(Ka Young Yang),이준엽(Jun Yeob Lee),권경석(Kyeong Seok Kwon),김종복(Jong Bok Kim),전중환(Jung Hwan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동물복지 인증기준의 개선을 위해 농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더불어 국내 농가환경에 적합한 동물복지 수준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일부 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동물복지 수준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조사의 대상은 동물복지 산란계 인증농가 10개소를 선정하였으며, 산란계 인증농가 사육시설 조사는 사육형태, 사육두수, 사료와 음수 공간, 사육밀도, 횃대의 길이 및 모양을 수집하였다. 동물복지 수준 평가는 모래목욕의 유무, 산란상 사용, 환경풍부화물 제공, 방사장 제공, 깃털손상, 쪼기에 의한 상처 유무를 조사였다. 연구결과는 동물복지 산란계 인증농가들의 대부분이 인증기준을 준수하고 있었다. 일부 농가에서 과도한 인증기준을 지적하였는데 실제 농가내부에 급이기, 급수기 및 횃대의 시설로 인해 닭들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든 농가들에서 산란상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방란율이 20%이상인 농가도 있어 산란상 활용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횃대의 경우 길이는 충족하고 있었으나 10개 농가 중 3개 농가에서만 둥근형태의 횃대를 사용하고 있었다. 모든 농가에서 깔짚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보충 또는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바닥이 단단해져 닭들이 모래목욕행동을 보이지 않는 농가도 2개 소나 되었다. 환경풍부화물의 경우 사료 외에 풀사료 등을 제공하는 농가는 4개소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조사농가에서 깃털손상이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조사농가 모두 유정란을 생산하고 있어 수탉에 의한 깃털손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10개소의 농가만 조사하였기 때문에 전체 인증농가를 대표할 수는 없으나 일부항목에서 조사농가들 사이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동물복지 수준평가에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rmers’ field survey to improv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and to obtain basic data on the animal welfare level for certified farmers to develop evaluation methods of animal welfare level suitable for domestic farm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10 animal welfare laying certified farmhouses. The farming certified farming facility survey collected breeding form, head, feed and drink space, breeding density, length and shape of perch. Animal welfare was assessed by the presence of sand bath, spawning, enrichment measures, free range, feathers pec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the certified animal welfare laying hens complied with the certification standards. All the farms were providing the nest box, but there were farms with more than 20% of the spawning rate. The perches were provided in sufficient length, but only three of ten farms were using rounded perches. Feather damage has been identified in most survey farms, which is likely to be due to feather damage caused by roosters producing both fertilized eggs. In this study, 10 farm households were surveyed. It was not possible to represent the whole certified farmhouse. Therefore, it should be analyzed thoroughly to evaluate the level of anim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