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자녀 수, 수면시간, 비만 간의 관계

        안효정 ( Hyojeong Ahn ),박상신 ( Sangshin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6 No.2

        목적: 출산 후 여성이 겪는 생리학적 변화들은 다양한 건강문제들이 발생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자녀 수, 수면시간, 그리고 비만 간의 관계를 한국 성인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2010-2012년까지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081명을 연령에 따라 3개의 그룹(20-39, 40-64, 65세 이상)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수면시간은 하루 평균 수면시간을 뜻하며, 비만은 체질량지수 _25 kg/m2으로 정의하였다. 자녀 수와 수면시간, 비만 간의 관계는 로지스틱 및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65세 미만의 여성의 수면시간은 자녀 수가 많을수록 감소하였다(그룹 1 [β]: -0.193, p<0.001; 그룹 2 [β]: -0.098, p<0.001). 비만의 교 차비(odds)는 40세 이상 여성에서 자녀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다(그룹 2: 1.19 [1.10-1.29], p<0.001; 그룹 3: 1.08 [1.01-1.15], p= 0.017). 40-64세까지 여성 중 자녀 수가 4명 이상인 경우, 비만의 교차비는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1.92배 높았다(그룹 2: 1.92 [1.18-3.12], p for trend <0.001). 하지만 수면시간과 비만의 유의미한 관계는 어느 연령대에서도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한국 여성들에게 자녀 수와 수면시간 간의 부정적인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녀 수가 많은 여성은 비만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Objectives: Physiological changes can be the result of various health problems in postpartum wome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address the relationships among parity, sleep duration, and obesity across the lifecycle of adult Korean women. Methods: Our study analyzed data from 10,081 participants who provided responses to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0 to 2012. We divided the data into subgroups according to age (Group 1 [20-39 years], Group 2 [40-64 years], and Group 3 [≥65 years]), and parity (0, 1, 2, 3, and ≥4). We defined sleep duration as the average time spent sleeping per day. Obesity was defined as a body mass index (BMI) greater than 25.0 kg/m2. The relationships among parity, sleep duration, and obesity were investigated using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leep duration in women younger than 65 years decreased with increased parity (Group 1 [β]: -0.170±0.050, p<0.001; Group 2 [β]: -0.093±0.027, p<0.001). The risk of obesity increased in women aged 40 years of age and older (Group 2 [odds ratio, OR]: 1.18 [95% confidence interval: 1.09-1.28], p<0.001; Group 3 [OR]: 1.09 (1.02-1.16), p=0.010). Obesity among women with parity ≥4 was 1.89-fold higher than that of nulliparous women in Group 2 (OR: 1.89 [1.16-3.06], p for trend <0.001). However, sleep duration and obesity demonstrat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ny age group. Conclusions: Korean women were found to manifest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arity and sleep duration. Also, an increased risk of obesity was observed in women had more p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