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문 : 종교경험으로서의 ‘전의’(轉依) -외적 시선과 내적 시선에 의한 해석-

        안환기 ( Hwan Ki Ah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종교와 문화 Vol.0 No.26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way radical conversion, subjective religious experience, is admitted by the people in religious society. For this by analyzing the concept of common object in Yogacara thought and the theory of religious experience,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about the radical conv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rom internal view, the content of radical conversion is admitted by the people in practice society when that of radical conversion formed by the private discrimination is expressed by the language corresponded with the society rule. From external view, the radical conversion is constructed by the cultural analysis framework handed down from the past in community. Finally these show that the ultimate stage reached by practice is accepted only if that is admitted by the people in practice community. From this point of view I think that radical conversion is not universal on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but cultural product.

      • 세속과 진(眞)의 계게 그 경계의 넘나듦-삼밀행(三密行)을 중심으로-

        안환기 ( Ahn Hwan-ki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3 密敎學報 Vol.14 No.-

        본 논문은 밀교의 삼밀행을 下化衆生과 眞의 세계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했다. 이를 위해 우선 顯敎의 三業과 密敎의 三密을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밀교에서 중생의 삼밀은 중생이 불성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둘째, 밀교는 중생이 불보살의 가호를 받아서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가게 된다고 본다. 이어서 필자는 삼밀행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첫째는 밀교가 궁극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과 더불어 깨달음의 경지를 중생에게 펼치는 것에도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깨달은 자의 가피가 중생에게 도달되는 과정을 하화중생으로 해석했다. 둘째는 밀교의 삼밀행은 세속에서 진의 세계를 펼치는 과정이 된다는 것이다. 수행자는 자신의 내부에 불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자각하고, 깨달은 자의 감응을 통해 점점 그 경지와 일치된다. 이후 그는 세속에서 깨달음의 경지를 펼치게 된다. 필자는 이것을 성스러운 眞의 세계가 세속의 사회 속에서 구현되는 현상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I try to discuss three esoteric practices [三密行] in two points, salvation for all people and realization of the truth. For this I compare the three practices[三業, trini-karman] with the three esotericism[三密] above all. As a result I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t is as in the following. The first, in esoteric Buddhism the three esotericism of all people begins from the self awareness that they already have the nature of Buddha. The second, they go to the state of the enlightenment with the help of the Bodhisattva. And I argue that there are two features in three esoteric practices[三密行]. The first, the esoteric Buddhism points that the sate of enlightenment spreads into all the people. I think this phenomenon is interpreted to be salvation for all people[下化衆生], which is the process that the power of the Buddha reaches at all the people. The second, the three esoteric practices[三密行] is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world of truth into the mundane. When the practicer is aware of the nature of Buddha in his mind, he more and more goes to the state of the Buddha with the help of the Buddha. After that he spreads the contents of the enlightenment into the mundane. I think this phenomenon to be the realization of the holy world of the truth in the mundane.

      • 진(眞)의 세계를 향한 디딤돌 `의언(意言)` -유식불교 『섭대승론(攝大乘論)』을 중심으로-

        안환기 ( Hwan-ki Ahn )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13 天台學硏究 Vol.16 No.-

        본 논문은 `의식(意識, mano-vijnana)`과 `의언(意言, manojalpa)`이 그 기능상 유사한 면을 보이지만, `의식`과 달리 `의언`은 수행의 과정에서 진(眞)의 세계에 이르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유식불교에서 해탈의 경지는 세속의 차원과 다른 성스러운 경지로서 수행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궁극의 경지이다. 유식불교를 가장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것으로 알려진 『섭대승론(攝大乘論)』에서 `의언`은 번뇌종자로 가득 차있는 `알라야식`을 성스러운경지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필자는 기존의 연구가 `의식`과 `의언`의 차이를 뚜렷하게 제시하지 않은 것은 두 기능의 위상을 간과한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본 논문은 이 관점에서 인식의 변화과정을 `의언`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4심사(尋伺)`및 `4여실지(如實智)`에 의한 마음의 근본적인 변화가 `의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밝혔다. In this article I pointed out that even if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function of mano-vijnana(意識) and that of manojalpa(意言), manojalpa makes another role in the process of practice. The state of nirvana is a holy place where monks eager to reach but it is different from the mundane world in Yogacara Buddhism. It is said that manojalpa helps alayavijnana filled with klesa-bija become to be the holy state in Mahayanasamgraha known to be a systematically theorized book. As the existing researches overlooked status of mano-vijnana and manojalpa,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not clearly displayed. In this point of view I analyzed the change of the cognition with a focus on the role of manojalpa. As a result, I clarified that the radical change of the mind through four contemplations(四尋伺) and four clear wisdoms(四如實智) is able to be explained by manojalpa.

      • KCI등재

        언어에 의한 "식"의 변화 -『섭대승론』을 중심으로

        안환기 ( Hwan Ki Ah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본 논문은 마음의 질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전의’를 분석하여 ‘전의’를 일으키는 최초의 계기가 진리를 전달하는 언어에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세속에서 마음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표현하는 ‘전변’을 고찰하였다. 필자는 ‘전의’가 ‘전변’과 달리 변화이전과 이후가 질적으로 달라진다는 데 그 특징이 있음에 주목하고 이에 의거해서 언어에 의해 ‘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유식에 의하면 중생들은 진리를 들었을 때 깨달음에 이르고 싶다는 마음이 일어나게 되어 수행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수행자의 마음에는 ‘유루종자’와 ‘무루종자’가 공존하며 수행이 진전됨에 따라 오염된 것은 점점 감소하고 청정한 ‘종자’가 증가한 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청정한 세계로부터 흘러나온 이야기를 잘 듣고 그것을 통찰하는 과정에 의해 나타난다. 즉 ‘의언분별’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의해 수행자는 가행무분별지, 근본무분별지, 후득지를 차례로 경험하게 된다. 보살은 근본무분별지 이후에 증득되는 후득지를 경험하게 되면서 자타(自他)가 서로 다르지 않으며 공(空)함을 통찰하게 된다. 이 경험에 의해 보살은 열반에 머물지 않고 중생을 구원하기 위해 윤회의 세계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비의 마음을 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후득지를 증득함에 있음을 유식불교는 보여 준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정문훈습종자’에 의해 ‘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심리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살이 자신이 깨달은 바를 언어로 표현하여 중생을 변화시킬 수 있었던 것은 후득지의 증득에 있음을 규명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first change of vijnana[識] originated from the massage expressing the truth. Practice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change the state of the mind. Taking notice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causing the practice is the holly truth flowing from the dharma - dhatu[法界], I intended to emphasize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vijnana by language. Yogacara school displays that hearing the holy truth, people is eager to find enlightenment and goes into the path of practice. It is said that sasravabija[有漏種子] and asasravabija[無漏種子] coexist in the mind of monk and dirty bija[種子] diminish and clean bija increase at the progress of practice. It comes from the process of paying attention to the teaching of the holly truth and of having an insight into it. That comes from the act of Tuei - un - bun - bul[意言分別]. By these processes the monk experiences prayoganirvikalpa - nana[加行無分別 智], nirvikalpa - nana[根本無分別智],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in order. Bodhisattva comes to get an insight into Sunyata[空] by experiencing the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comes back into the world of Samsara[輪廻] in order to save the people not staying at Nirvana[涅槃]. Due to acquire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makes mind of charity. In this article I clarify that Bodhisattva`s attaining the Hudugji(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makes the people change his mind by language expressing the holly truth through analyzing the change of vijnana by Jeongmun hunsubjonja[正聞薰習種子] in psychological view.

      • KCI등재

        유식불교 ‘법신(法身)’ 개념의 심리학적 의미

        안환기(Ahn, Hwan-ki)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3 No.-

        본 논문은 융 이론의 ‘자기(self)’와 유식불교의 ‘법신’개념을 분석함으로써, 두 이론이 보여주는 궁극적 경지가 형이상학적 실체나 초월적인 인격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현상이라는 점을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융의 사유가 불교세계관과 무관하지 않으며 인간의 보편적 심리를 대상으로 했음을 제시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융의 이론과 유식불교가 같은 논의의 장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이어 융의 ‘자기’는 ‘개성화’라는 과정을 통해 도달되는 궁극적인 상태이며 유식불교의 ‘법신’은 수행을 통한 마음의 변화 즉 ‘전의’를 경험함으로써 증득되는 경지라는 점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자기’라는 본성을 회복함으로써 원만한 사회적 관계형성을 지향하는 융의이론과 ‘전의’에 의해 후득지(後得智)를 증득함으로써 법신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이후 중생구원을 제시하는 유식불교에는, 자신의 내적인 상태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관계를 지향하는 공통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또한 융의 ‘자기’는 인류가 역사이래로 축적해온 원형적 이미지이며 이 ‘자기’는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의 산물이라는 점을 주목하여, 이러한 점이 법신의 공성(空性)과 연결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미시적 관점에서 두 이론을 분석해보면 두 이론이 서로 다른 문화적 전통 속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마음의 기능을 표현하는 개념 및 심리구조에 차이가 있으며 ‘자기’와 ‘법신’개념이 의미하는 범주가 다르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지만,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두 이론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곳은 초월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적인 마음의 현상이라는 점에서 두 이론이 공통된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논의하고자 했다.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ultimate state of Jung’s theory and Yogācāra is not the entity or the personal God but the phenomenon of the mind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and Dharma-kāya(法身). To begin with, I argue that the two theories can be discussed together from the two viewpoints. One is that Jung’s thought is not different from the world-view of Buddhism, and the other is that the subject of the two theories is the universal psychology of a human being. Then I examine that the concept of self means the ultimate state man at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and Dharma-kāya is the ultimate state attained from the āśraya-parivŗtti(轉依) of ālayavijñāna. I argue there are some points of sameness between the self and Dharmakāya in that the two concepts mean not to stay in the internal state but to make social relationships. That is, Jung’s theory is oriented to a social relationship by recovering the self and Yogācāra is th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by acquiring nondiscriminative and subsequently attaining wisdom. I also argue that the self and Dharma-kāya as experiential results are not entities. Consequently, I attempt to prove that,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concept and psychological structure and of the category of the self and Dharma-kāya between the two theories in the microscopic view, when taking a broad view, there is a common point between the two theories in that they are all oriented to the ultimate state, which is not transcendental but experientially phenomenal.

      • KCI등재

        이타적 행위의 중층적 의미 -"이타성"에 대한 리처드 도킨스와 유식(唯識)사상의 해석을 중심으로-

        안환기 ( Hwan-ki Ah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4 인문사회 21 Vol.5 No.2

        본 논문은 이타적 행위에 대한 유식불교와 리처드 도킨스의 해석을 비교 분석한것이다. 일상인들은 대부분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행하지만 타인을 위해 행하기도 한다. 유식불교에 의하면 이타적 행위는 수행에 의해 도달한 보살의 행위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수행을 하지 않은 평범한 인간의 이타적 행위를 어떤 의미로 해석해야 할까? 유식불교는 인간의 마음을 3가지로 구분한다. 첫째는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중생의 마음이다. 여기서 중생의 이타적 행위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행위로 해석된다. 둘째는 수행의 과정에서 생겨나는 마음이다. 이 마음에는 이타적 행위를 일으키게 하는 요인[無漏種子]과 이기적 행위의 요인[有漏種子]이 공존하게 된다. 셋째는 보살의 경지이다. 보살은 순수하게 타인의 이익을 위한 행위를 일으키는 자이다. 한편 도킨스는 인간을 유전자의 운반체로 본다. 그는 인간이 사유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결국은 유전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에 의하면 인간의 이타적 행위는 유전자가 자신의 종족을 보존하기 위한 이기적인 목적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유식불교에서 평범한 인간은 자신의 이기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사유하고 행동하는것으로 해석된다. 그들의 이타적 행위의 이면에는 자신의 이기적 목적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점은 도킨스가 이타적인 행위 또한 유전자의 이기적 목적에 의해 이루진다고 해석한 것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하지만 유식불교는 수행을 통해 인간의 마음이 질적으로 변화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기적 마음의 상태에서 이타적인 마음의 상태로 바뀔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유식불교가 보살의 경지를 제시함으로써 순수한 이타주의적 마음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도킨스의 관점에서는 해석될수 없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planation of Dawkins and Yog c ra Buddhism about the altruism. An ordinary people makes action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other peoples. According to the Yog c ra Buddhism altruistic acts are done by Bodhisattva who is achieved by practice. Then how do we explain the altruistic acts of an ordinary people who does not make practice? The state of mind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Yog c ra Buddhism. The first, there is a mind of sentient beings who put themselves. I think that the altruistic acts of sentient beings are only for themselves. The second, there is a mind which is formed in the course of practice. In that mind there coexist the clean cause which makes the altruistic acts and the contaminate cause which makes selfish acts. The third, there is a mind of Bodhisattva. He is one who acts only for other peoples purely. Besides Richard Dawkins thinks that the man is the carrier of a gene. He explains all the acts of man to be for preserving the gene of actor himself. He thinks that the altruistic acts are done for preservation of the species by the selfish object of a gene. It is explained that the acts of an ordinary people are formed from the selfish intention in Yog c ra Buddhism. The altruistic acts also show the selfish tendency like the explanation of Richard Dawkins. But Yog c ra Buddhism displays that the mind of man is able to be changed qualitatively via practice. I think Yog c ra Buddhism shows that the mind has potential to become purely altruistic state. This is able to be never found in the explanation of Richard Dawkins. In this view I tried to show that the altruistic deposition of sentient beings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Bodhisattva.

      • KCI등재

        호법의 의타기성에 대한 관점에서 본 라캉의 실재계

        안환기(Ahn, Hwan-Ki)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1 No.-

        본 논문은 유식학의 삼성론 가운데 하나인 의타기성을 ‘가(假)’와 ‘실(實)’의 측면에서 분석한 호법(護法, Dharmapāla 530-561)과 실재계가 상징계에 ‘재현(representation)’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한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의 사상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인간의 심리구조와 그 작용기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두 이론에 모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해 비교 연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캉의 상징계에서 실재계를 경험하는 기제와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첫째, 호법의 관점에서 볼 때, 라캉의 ‘실재계’와 유식학의 해탈의 경지는 모두 언어를 초월한 상태라는 점에서 공통의 접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라캉에게서 ‘실재계’는 ‘상징계’속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곳이지만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곳이다. 이로 인해 라캉에게서 ‘실재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욕망은 본질적으로 결핍된 욕망으로 간주된다. 반면 호법의 유식학에서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곳은 해탈의 경지이다. 이곳에 도달하고자 하는 욕망이 일어나고 이어서 실제로 그곳에 이르고자하는 마음[발심(發心)]을 일으켜 수행을 열심히 하게 되면 결국 수행자는 해탈의 경지[實]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게 유식학의 관점이다. 둘째, 수행을 통해 자신의 마음에 존재하는 번뇌를 소멸하여 도달하는 곳이 해탈의 경지인 것과 달리 라캉의 실재에 이르는 방법은 환상 속에서 대상들의 위치를 ‘물’까지 고양시키는 ‘승화’이다. 이것은 상징계 속에서 언어를 통해 실재를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로 인해 스스로 감성적인 측면을 고양시켜 경험하고자 하는 라캉 특유의 방법이다.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the theory of Dharmapāla (530-561) by analyzing the ‘Interdependent Nature of Things(Paratantra-svabhāva)’ considering falseness or truth and that of Jacques Lacan (1901-1981) by examining how ‘the Real’ represents itself in ‘the Symbolic.’ I especially attempt to interpret the thought of J. Lacan from Dharmapāla’s perspective. Thus far there has been no comparative study in this area despite the fact that they explain concretely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and mental processes. Consequently, I analyzed ‘sublimation’, the process by which ‘the Real’ is represented in ‘the Symbolic’,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ommon area between the theory of J. Lacan and that of Yogācāra in that all of the ultimate states are those transcending the limits of language when we see them from Dharmapāla’s standpoint. In contras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at ‘the Real’ is the ultimate state which ‘the subject of language’ cannot reach. Thus, the desire to reach ‘the Real’ is regarded as a deficiency in the theory of J. Lacan. Meanwhile, Nirvana is the ultimate state in Yogācāra. When people desire to reach this state and practice diligently by themselves, it is possible for them to experience Nirvana. Second, people can reach the ultimate state by practice in Yogācāra, but there is a different way to reach the state of ‘the Real’ according to Lacan. The subject is able to reach this state by ‘sublimation’, elevating the object to the state of ‘Ding’ in a fantasy. It is a very unique way in that the subject experiences the state by elevating their emotion due to limits which prevent the expression of ‘the Real’ by language in ‘the Symbolic.’

      • KCI등재

        언어에 의한 수행경험의 이론화

        안환기(Ahn, Hwan-ki)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ground on which th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practitioner, which was seemed to be subjective, was expressed by language and became to be a systemic Yogacara theory. For this, 1 analyzed post- Wittgenstein theory and applied it to Yogacara theory. Post-Wittgenstein theory shows that when personal object is expressed by the language that is compatible with the rules of community, it becomes a public one. I concluded that when the contents, which are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samadhi, are rendered into the lett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ules of community , they become to be public objects. I also showed that the contents observed through practices became to be systemic theories by the action of common discrimination. In such a perspective, I clarifìed a point of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an ordinary person and bodhisattva by analyzing the change of mind. An ordinary person expresses his thought by language as a result of the division of vijnana by abhilapavasanabija. Bodhisattva also expresses his experience to other peoples by language. But the division of vijnana of Bodhisattva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an ordinary person in that acquiring the Hudllgji (後得智, meaning wisdom attained later on), Bodhisattva awakes and recognizes the contents observed during the state of Mubunbyeolji (無分別智, meaning wisdom of nondiscrimination). Finally I clarifìed that there is similarity between an ordinary person and bodhisattva in that their cognitive processes are formed by the active division of vijnana.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at the division of vijnana of an ordinary person results from his desire whereas that of bodhisattva results from his mercy. This phenomenon is a unique aspect of Yogacara theory, which does not appear in post-Wittgenstein theory. 유가행파는 수행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개별수행자의 경험 내용을 문자로 기록하여 그것을 타인과 공유하며 후대인들에게 계승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주관적으로 보이는 개별 수행자의 경험 내용이 언어로 표현되어 유가행파의 이 론으로 체계화될 수 있었던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이론을 분석하여 이것을 유가행파의 이론에 적용했다. 후기비트겐슈타인 이론은 사적인 대상이 공동체의 규칙에 부합되는 언어에 의해 표현 되었을 때 그 언어는 공적인 대상이 된다고 제시한다. 필자는 삼매의 상태에 나타난 마음의 작용 또한 수행공동체에 부합되는 언어로 표현되면 공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수행을 통해 관찰한 내용을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의 분별’작용에 의해 수행경험을 공동체의 규칙에 부합되는 언어로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제시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일상인과 수행을 통해 도달한 보살이 각각 언어작용을 일으키기까지 겪게 되는 심리과정을 분석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일상인들의 언어작용은 ‘명언훈습종자’의 현현에 의한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된다. 보살의 언어작용 또한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보살은 ‘후득지’를 증득하면서 ‘무분별지’의 상태에서 본 내용을 자각하고 그것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일상인의 ‘식’의 분화와 질적으로 다르다. 이상의 분석결과 이 논문은 일상인과 보살의 인식과정이 ‘식’의 능동적 분화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고 제시 했다. 반면 일상인과 보살 사이에 나타나는 결정적인 차이는 언어작용이 자신을 위한 욕망에서 비롯되었는가 아니면 타인을 우선시 했는가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후기비트겐슈타인의 이론에 나타나지 않는 유식불교의 독특한 점이다.

      • KCI등재후보

        유가 유식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안환기 ( Ahn¸ Hwan-ki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0 한국불교사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한국불교사연구소에서 기획한 ‘인문학 불교학 전공교재 간행의 구성목차와 수록내용-기존 역서와 저서의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라는 주제에 맞추어 유식학에 초점을 두고 논한 것이다. 우선, 현재 출판된 유식학 서적을 크게 번역서와 국내학자의 저술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번역서는 유식학 원전[경전과 논서]의 번역서와 외국학자의 저서를 번역한 책으로 나누고, 국내학자의 저술서는 개론서, 유식사상을 응용한 저서로 분류했다. 이를 검토한 후, 필자는 목차를 크게 3단원 즉, 유식학 입문[유식의 의미, 유식사상사], 유식학 심화[핵심개념의 기원, 원전의 근거제시], 유식학 응용[현대사상과 비교, 명상 및 상담치료에 응용]으로 구성한 후 각 단원에 담을 내용을 간략하게 제안했다. This paper focuses on Yogācāra thought in line with the theme of ‘a composition of table of contents of Buddhist textbooks through critical review of existing translation and books’ organized by the Korea Buddhist History Institute.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published books of Yogācāra thought, which were largely divided into translations and writings by domestic scholars. Specifically, the former was divided into translations of the Yogācāra scriptures and a work translated from the books of foreign scholars. And the latter was classified into introductory and applied books. After reviewing this, I composed the table of contents largely into three sections: entrance into Yogācāra thought(meaning of Yogācāra, the history of Yogācāra thought), deepening of that (origin of key concepts, presenting a scriptural source of a concept), and application of that (comparing with modern thought, applied to meditation and counseling therapy). And the contents to be contained in each table of contents were briefly proposed.

      • KCI등재

        유식학의 관점에서 본 인터넷

        안환기(Ahn, Hwan-K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4

        본 논문은 유식학의 관점에서 현대 문명의 꽃인 가상공간을 분석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화엄학의 입장에서 가상공간을 존재론적으로 규명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가상공간은 인식적인 측면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필자는 가상공간이 인식의 대상이자 인식작용의 결과가 축적된 공간이라는 측면에 주목했다. 그리고 가상공간은 ‘식’의 분화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을 부각시켜 이곳을 ‘식’이 확장된 형태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를 토대로 개인적인 인식대상일 뿐만 아니라 타인과 의사를 소통하는 곳이 된 가상공간은 ‘공종자’의 발현으로 형성된다고 해석했다. 그리고 가상공간은 욕망의 세계 곧 ‘변계소집성’이며, 욕망으로 인해 갈등과 사회폭력이 생겨나는 곳임을 상기시켰다. 결론적으로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현상을 제대로 보는 데 있다고 보고, 이것은 4심사에 의해 가능함을 규명했다. I analyzed the virtual space, the flower of modern civilization, in view of Yogācāra buddhism in this paper. The researches on the virtual space in Buddhist studies were mostly made to argue its ontological feature in the sight of Huayan Studies. But The virtual space has no existence apart from the cognitive aspect. So I tried to discuss in terms that it is the cognitive object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result of cognition. And I claimed that it is the extended space of vijñāna on the basis of the division of vijñāna. After that I argued that it is not only the personal cognitive object but also the communication space formed by the manifestation of ‘common seed.’ And I showed that it is the imagined or contrived points of view and the origin of social conflict and violence caused by the desire. In conclusion I illuminated that the way to overcome them is to see exactly the phenomenon with four analytical inquiries and ins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