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성금융브랜드 디자인아이덴티티 연구

        안혜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4

        금융 시장의 개방과 금융상품의 다양화, 복합화로 인해 금융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금융상품은 상품의 개발과 모방이 용이하고 고객의 입장에 서도 그 차이점을 알기가 쉽지 않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금융 상품이 소비자들에게 선택되기 위해 서 금융 브랜드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른 경쟁이 심화되었다.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금융업계에서도 디자인 마케팅에 대한 중요 성도 점점 증대되고 있다. 연구자는 금융 브랜드의 디자인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기초를 제시하고자 삼성 금융계열사의 디자인 마케팅 사례 를 연구의 과제로 삼고 각 계열사 간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비교연구 하였다. 삼성 금융계열사는 계열사 별 각기 다른 디자인 아이덴 티티를 통해 브랜드를 커뮤니케이션하였다. 삼성금융계열 사는 보험업과 자산운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보험업인 삼 성화재와 삼성생명은 블루 계열의 컬러를 활용한 그래픽 모티브를 개발하여 홈페이지와 광고 , 리플렛과 포스터 등 기 타 홍보물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었고, 금융업 인 삼성증권과 삼성자산운용은 레드 계열의 컬러 아이덴티 티를 구축함으로써 보험업과 차별화된 디자인 아이덴티티 를 형성하였다. 보헙업종과 비교해 자산운용업은 삼성의 아 이덴티티와는 구분되며, 고객의 감성과 상품 브랜드를 중심 으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커뮤니케이션 하였다. 연구결과 삼성금융사들은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독특 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지속 적인 디자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었다. This study i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sign Marke ting of Finance Corporate. This study proceeded Samsu ng financing grou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ual Identity on hom epage, advertisement, leaflet, poster and PR publications of Financing firms. For this study, homepage, advertisement, leaflet, poste r and PR publications of Sanmsung Insurance, Sanmsun g Life Insurance, Sanmsung Securities and Sanmsung F und were gathered . From the study, we found that Design Marketing of Fi nance Corporate were designed consistently on its desig n expressions. Design products on Sanmsung Insurance, Sanmsung Life Insurance were designed in blue color b ased on Samsung Group color system. Because of blue were linked with its mother company, Samsung it was easy to remind of Corporate image. By the way Sanmsu ng Securities and Sanmsung Fund were designed in red color, which was brand identity' color, unrelated on Sa msung. In conclusion,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finance bra nd was according to brand strategy. I hope, through this paper, finance brand will be struct ured systematically and multi-facetedly. The way to po werful brand of finance brand depends on its lasting and consistent design strategy.

      • KCI등재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 실행에 따른 디자인 아이덴티티 연구

        안혜신(Hye Shin Ahn),최진규(Jin Kyu Choi),김홍찬(Hong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현대 소비자들은 음료 구매 시 맛과 가격은 물론브랜드 네임, 디자인, 광고와 같은 시각적인 요소까지 고려하며 내 이미지를 대변할 수 있는 제품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이에 기업들은 세계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제품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브랜드 입지를 강하게 하기 위한다양한 브랜드 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그 중 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접근해 브랜드의 인지와 기억에 있어, 효과적으로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방법인패키지디자인을 브랜드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키지 디자인을 통하여 자사의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는 디자인의 향상된 가치를 창출하는 패키지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 실행을 그 사례로 들어 패키지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한 패키지 아이덴티티의 정의와 구성요소, 패키지 아이덴티티에 있어 마케팅과 브랜드 고려사항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사례 연구로서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과 용기의 형태, 크기, 재질, 뚜껑의 형태에 적용되는 웅진식품의 패키지 아이덴티티 매뉴얼을 분석하였다. 또한 웅진식품의 주력 제품 6가지에 대하여 패키지 아이덴티티 전략실행 전 후를 비교 분석하였고,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웅진식품의 아이덴티티 전략 실행 전 후에 대한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웅진 식품은 패키지 아이덴티티 적용 이후 제품들 간에 패밀리 룩을 이루면서 웅진 식품고유의 컬러와 무늬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패키지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패키지 디자인에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웅진 식품만의 강하고 일관된 패키지 아이덴티티 정립을 위해서는 형태, 색상, 그래픽 세 가지 요소를 제품 컨셉별로 적용하기 위한 보완이 필요하며, 몰드가 아이덴티티를 창출에 큰 비중을 가짐에 따라 재료에 관한 매뉴얼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Modern consumers consider not only taste and cost, but brand name, design, advertisement and other visual factor when purchasing a drink. This is because a general perception of a drink has changed from a onetime consumable object to something one carries around with them and expresses one`s image. Thus, deciding the color and font for the design has become as important as deciding which ingredient to use for the product itself. It has become a key strategy for drinks to be released in sync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s and to be aware of the needs of the consumer to lead the trend. Also, as modern consumer trend is moving toward a new brand preferential trend based on product images that affects the sentiments of consumers, companies are striving to gain the upper hand in the market through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which combines their product technological superiority with sentimental brand images. Among these various methods, package designing, which is a method that excels in leaving an impression to the consumer by approaching sentimentally is widely being used. Thus, this study has provided theoretical data on package identities which can create heighten values with a design that promotes the brand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ckage identity using the examples of Woongjin Foods.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composition, marketing and brand factors for package identity were reviewed through studying various literatures. As for the case study, the Woongjin Foods` package identity manual which is applied to the Woongjin Foods` package identity strategy, container shape, size, material, and lid shape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se analysi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6 major products of Woongjin Foods and compared the before and after of the application of package identity. And a study contains survey and Interview with experts. The case study discovered that the products of Woonjin Foods maintained a family look. Each product maintained the unique color and pattern of Woongjin Foods. In order to create a strong and unilateral package identity, an improved application of 3 factors- shape, color, and graphic- is necessary. Also, as the mold has the greatest affect on generating an identity, a statement stating the need to improve the manual section on base material was proposed.

      • KCI등재

        왈슈의 모델에 기초한 비서구 미술비평에 대한 고찰

        안혜 한국조형교육학회 1998 造形敎育 Vol.0 No.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edagogical methods of art criticism for non-Western art by explo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teaching art criticism in the United States. In this paper several pedagogical art criticism formats are reviewed: Feldman(1973), Broudy(1988), Mittler(1980), Hamblen(1984), Lankford(1984), Anderson(1993), and Fehr(1994), Because current methods of art criticism focus more on pluralistic or multicultural approaches, external cues such as historic and contextual information is broadly emphasized and evaluated in this paper. Walsh’s ten-step DBAE model is used for art criticism of non-Western art. This model encourages students to study non-Western art by search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cues. This paper also shows how each step of Waish’s model can be applied to Korean folk paintings, hwacho (Bird and Flowers) screens.

      • KCI등재

        공공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안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1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began in the 2000s, with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resource scarcity, and the thought of the future. Currently, the concept is gradually expanded and embodied, and consequently aims to lead the direction of our lives in a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Especially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research on sustainability is becoming active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which is seen as a way to seek to recover and revamp the declining local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ustainability in public design and analyze cases that indicate sustainability in the public design field, suggesting directions for sustainability development in the public design sector. In this work, the following sustainable public design directions a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in three areas: social/cultural, industrial/economic, and physical/environment.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dentity should be strengthened, understanding of public design should be spread, and participation should be increased. In industry and economy aspect, great efforts shall be made to prepare measures to revitalize the urban economy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to improve urba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serve as the most direct factors, such as promoting sustainable land use, considering sustainable resource and energy use, and pursuing the sustainability of public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s.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specific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in the public design sector can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환경파괴와 자원 부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미래를 생각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그 개념은 점차 확장되고 구체화되어 결과적으로는 우리 삶의 방향을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나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도시 재생이라는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는 쇠퇴한 지역 경제, 사회, 문화적 회복과 쇄신을 모색하는 방안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문헌 연구와 사회.문화, 산업.경제, 물리.환경의 세 분야의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문화 측면에서는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공공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확산하고 참여증대를 이루어야한다. 산업.경제 측면에서는 지역활성화를 위한 도시경제 부흥 방안을 마련하고, 균형개발 및 도시안전 및 방재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물리.환경 측면은 가장 직접적인 요소로 작용하는데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을 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자원 및 에너지 이용을 고려하며, 지속가능한 교통 시스템 발전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다. 향후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디자인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와 실행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사용자 맞춤형 사무용 클립 디자인 개발 연구

        안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4

        사무용 클립시장은 문구류의 시장 규모 증가와 함께 증가세에 있으나 한국 클립시장의 경우 대형문구업체나 금속 가공업체가 주로 클립을 생산하고 있어 기존의 대중적인 클립으로는 신규업체가 클립시장에 뛰어들기 어려운 상황이다. 소규모의 클립 업체 또는 신규업체의 경우 클립 사용자의 특성과 클립 사용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클립에 반영하여 기능적 또는 심미적으로 차별화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P사의 원터치 다목적 클립 개발을 위해 사무용 클립의 특성과 사용자 행태 분석 등을 바탕으로 P사의 클립 디자인을 개발하고 클립 디자인의 활용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P사의 사무용 클립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디자인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사용자 조사를 위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시제품을 활용하여 사무용 클립 사용자의 특성 분석을 위해 사용 행태, 사용 상황 등을 컨텍스츄얼 인쿼리 방법으로 조사 분석했다. 연구 결과로 사용자 조사 분석 결과를 종합해 P사의 사무용 클립 디자인 개발 방향을 도출하고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P사는 시장 및 사용자 조사를 통한 상품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다.

      • KCI등재

        완벽주의와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의 관계: 조직지원인식으로 조절된 개인-직무부합의 매개효과

        안혜신(Hyeshin An),장유진(Yoojin Ja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19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완벽주의와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개인-직무부합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적용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및 중기업과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사무직 직장인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직무부합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개인-직무부합의 관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개인-직무부합을 통해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적인영향을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조직구성원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욕구와 직무의 요구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하는데, 이러한 노력은 조직이 자신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한다는 인식이 높으면 개인-직무부합의 수준을 더욱 증가시키며, 이는 결국 직무에 대한 열의와 조직에 대한 몰입 정도를 높이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제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job fit moder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06 office workers of private and public compan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job f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erson-job fit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Thir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person-job fi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embers of organizations with a higher level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would actively adjust their desires to job demands, which in turn increases the level of person-job fit when their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is high, ultimately facilitating their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인공지능(AI) 시대에 왜 영성(spirituality) 탐구를 위한 미술교육이 필요한가?: 포스트휴먼 신학에 기초한 이론적 고찰

        안혜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6

        As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increased and AI has rapidly evolved in our daily l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question of why we need to explore spirituality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 theology.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in which human cognitive ability has been greatly challenged by the machine and human-machine hybridization has been accelerated, it has become necessary for an ontological reconceptualization of human beings, which should be done beyond ethics education, through spiritual education. Firstly, the concept of spirituality as human nature and educational theories seeking spirituality are examined. Secondly, the theme of spirituality in modern and postmodern art, and existing art education theories seeking spirituality are discussed. Thirdly, posthuman themes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al principals of spiritual exploration extracted from posthuman theology, and a need to explore spirituality in art education are suggested.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인공지능이 생활 속에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영성 탐구가 미술교육의 맥락에서 왜 필요한지에 대해 포스트휴먼 신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기계에 의해 인간의 인지 능력이 크게 도전받고, 기계와 인간의 혼종화가 점점 심화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본성이 무엇인지 존재론적 재개념화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윤리교육을 넘어서 영성교육을 통해 이루져야 하기 때문이다. 첫째, 인간의 본성으로 서의 영성 개념과 영성을 탐구하는 현대 교육 이론을 살펴보았다. 둘째, 영성의 주제를 다룬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가와 작품, 영성 탐구를 장려한 기존 미술교육론을 고찰하였다. 셋째,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의 의미와 아울러 포스트휴먼 신학에서 추출된 교육적 영성 탐구 원리를 제안하면서, 미술교육에서 이러한 영성 탐구의 필요성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안혜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9

        본 연구는 일반인의 미술 감상 동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미술 감상 동기 척도를 제작 하고, 미술 감상 동기와 감상자 개인 특성과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미술관 감상자들에게 미술 감상 동기에 대해 질문하여 10개의 미술 감상 동기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예술적 동기, 정서적 동기, 교육적 동기, 사회적 동기로 구성된 8개 문항 4요인 미술 감상동기측정도구를 제작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미술 감상 동기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선척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성격과 후천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 미술 경험을 선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격과 미술 경험은 미술 감상 동기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성격에서는 개방성, 미술 경험에서는 미술지식이 가장 큰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에서 성격은 예술적 동기를, 미술지 식은 교육적 동기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의 시각에서 미술 감상을 이해하고 전시 및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경험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the art appreciation scale to understand the motivations for art appreciation of general popul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and appreciators’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e art appreciation scale, 10 items of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were created based on the preliminary open responses by the appreciators from the museu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4 factors with 8 items of the art appreciation scale and their reliability was tested.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consist of artistic, emotional, educational and social motivations.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variabl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ppreciation motivations and appreciators’ characteristics. Both personality and art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art appreciation and the strongest predictors were openness and art knowledge. For the specific factor of the art appreciation, personality best predicted the artistic motivation whereas art knowledge best predicted the educational motivation. Current findings will provide scientific support for the services of art exhibitions or education that better understand appreciators’ perspectives.

      • KCI등재

        발달장애 성인의 가족이 참여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안혜신 ( An¸ Hye-sin ),이숙향 ( Lee¸ Suk-hy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발표된 발달장애 성인의 가족이 참여한 국내 질적연구 총 34편을 선정하여 4가지 연구주제(가족 돌봄 및 부양 경험, 발달장애 성인교육의 경험 및 인식, 진로개발 경험 및 고용 관련 영향요인, 발달장애인의 주거 및 생활) 및 세부변인에 따라 연구 동향을 심층 분석하였고 연구주제에 따른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성인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도출하였다. 먼저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가족 돌봄 및 부양 경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진로개발 경험 및 고용 관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발표되었다. 연구참여자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연구가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개별면담 및 그룹면담을 통해 자료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 성인과 가족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육, 고용, 사회·경제, 주거 및 일상생활, 가족 기능, 심리·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서비스 및 지원요구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발달장애 성인과 가족을 위한 지원방안 및 향후 연구과제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관련 서비스와 지원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제고, 2)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책임 공유 및 협력, 3) 생애주기에 따른 체계적 지원제도 및 서비스 전달체제 구축.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involving famili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reviewing a total of 34 relevant articles published from 2008 to 2020 in Korea. Th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four research topics(family experience as caregiv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and factors to influence employment, and housing and liv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ther variables, and based on the analysi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experienced by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there were the most studies on families experience as caregivers, and few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s and factors to influence employment. Also,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mothers as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ut there was some insufficient effort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Finally, service and support needs in various areas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social and economic, housing and living, family function,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suppor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n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as follows: a) improv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service and supports, b) sharing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for supports, c) establishing systematic support institu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life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