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일부 산채의 in vitro 산화 방지 활성, 알파-글루코시데이스와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활성
안해천(Haecheon Ahn),정라나(Lana Chung),최은옥(Eunok Choe)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2
묵나물 형태의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 생채인 참나물의 75%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 방지 활성,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함량을 구하여 이들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삼나물과 다래순에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삼나물, 다래순, 방풍나물에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미역취와 다래순에서 높았다. 삼나물 추출물은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다래순 추출물은 다른 산채에 비해 토코페롤 함량이 높았다. 산채 추출물의 산화 방지 성분 함량과 in vitro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플라보노이드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r2=0.8895)를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으나, α-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이 높았던 삼나물과 다래순은 항당뇨, 항비만 활성을 가진 잠재적인 식품 자원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evaluate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nt content,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samnamul (shoot of Aruncus dioicus), miyeokchwi (Solidago virgaurea), daraesoon (shoot of Actinidia arguta Planchon), and bangpungnamul (leave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as muknamul, and fresh chamnamul (Pimpinella brachycarpa). Tocopherol content (4.8-78.3 mg/100 g) of sanchae was lower than polyphenols (4.4-12.2 g/100 g). Daraesoon with high tocopherol contents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Samnamul had the highest level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ntioxidant activity was correlated with flavonoid content (r2=0.8895), bu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other antioxidants tested, suggesting that polyphenol content in samnamul, miyeokchwi, daraesoon, bangpung, and chamnamul might not be critical determinant of antioxidant activity.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samnamul and daraesoon could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