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행정통합의 재고찰: 겔렌(Arnold Gehlen)의 제도론을 중심으로

        안지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1 행정논총 Vol.49 No.4

        This study is a re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that has been progressing since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unification of the two different administrations of East and West Germany. This includes the joining of a bureaucracy which was socialized under different systems. Therefore,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consider humane studies in the study of Germany's unification of administration. In this respect, Arnold Gehlen (sociologist, philosopher) is an important figure because his theory of systems is improved by putting emphasis on the question, "What are human beings?" Additionally, this study draws the primary factors for successful unification as well as unification's problems drawn from interviews with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the point is to learn from the unification of Germany by observing current events. 이 연구는 독일 통일 이후 진행된 행정통합을 이론적인 면과 실천적인 측면에서 재고찰하고 있다. 특히 행정통합은 상이한 동・서독 행정제도의 통합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체제에서 사회화된 관료의 통합이다. 따라서 독일 행정통합의 연구를 위해서 행정학은 인문학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제도이론을 발전시킨 독일 출신의 철학자 이며 사회학자인 아르놀트 겔렌(Arnold Gehlen)이 중요하다. 또한 이 논문은 동・서독 관료와의 인터뷰를 통해 행정통합의 문제점과 성공적인 행정통합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독일의 행정통합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이다.

      • KCI등재

        자본주의 미디어가 사회주의 국가의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독과 북한비교를 중심으로

        안지호,현주 한독사회과학회 2017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7 No.2

        1989년-1990년 사이에 독일통일의 창이 열렸던 골든타임에 동독 주민이 서독과의 평화로운 통일을 선택하는데, 서독의 방송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60년 시작된 동독과 서독의 시청률 경쟁은 1970년대에 본격화 되었다. 그러나 동독 정권의 기대와는 달리 동·서독 주민 모두가 동독의 방송을 외면하였으며, 서독보다는 동독이 상대국의 미디어 방송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렇듯 수세적 입장이 된 동독정권은 동독주민들의 서독방송 접촉을 통제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서독방송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동독주민들은 통일 전까지 동독의 미디어보다는 서독의 미디어의 선호하고 신뢰하였다. 결국 동독의 미디어 정책은 실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북한에서는 동독에 비해 시기적으로 늦은 1990년대 이후부터 남한의 미디어 영상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동독의 사례를 통해 서방언론의 효과를 학습한 북한정권은 남한의 미디어 유입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고난의 행군 이후 성장한 장마당을 통해 북한내의 남한미디어의 유입은 접경지역의 북한 주민들에서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독과 북한의 서방 미디어 유입의 과정과 정권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여 방송컨텐츠가 주민들의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남북교류와 통일준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Between 1989-1990 Golden Age of Germany(which was open minded for Reunification of Germany), West German Broadcasting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helping East German Residents choosing Peaceful Reunification of Germany. The war of the audience ratings of East German Broadcasting and West German Broadcasting (Selection of different country's Broadcasting with themselves' Broadcasting by East and West German residents) began in the 1960s and became more regularized in the 1970s. However, Against all expectations of East German Regime, Both East and West German Residents didn't give a attention to East German Broadcasting, and East German Broadcasting was influenced by West German Broadcasting more than West German Broadcasting was influenced by East German Broadcasting therefore East German Regime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at East German Residents didn't care of East German Broadcasting. However, until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East German Residents preferred and trusted West German Media rather that East German Media. The Media Policy of East Germany has failed. Since the 1990s South Korean Media Images also came in North Korea. Although it is still limited to some North Koreans, it is constantly increasing. In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the each processes of Media inflow to each countries(East Germany and South Korea) and its impact to East German and South Korean Residents.

      • KCI등재

        독일 한인간호사들의 간문화성에 대한 연구 : 베를린 한인간호사들의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안지호,현주 한독사회과학회 201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3 No.1

        이 연구는 지금까지 간문화성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행위자인 파독 간호사에 초점을 두고 있다. 파독 간호사들은 길게는 50년 짧게는 30년 이상 독일에서 이주 생활을 해 오고 있다. 따라서 파독 간호사들은 간문화성의 구체적인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연구자들은 한인 간호사들의 문화 활동 그 중에서도 무용단 활동에 주목하고 있다. 왜냐하면 한인 간호사들은 무용단 활동을 통해 독일과 한국의 문화를 소통시키는 문화적 교량 역할을 수행하여 간문화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베를린 한인간호사들의 문화 활동에 잠재되어 있는 이주노동자로서의 구체적인 삶을 이해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총 4차례 9개월간 베를린에 체류하면서 현장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자 료와 심층면접을 통해 한인간호사들의 간문화성을 강화시키는 요인과 약화시키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자들은 한인간호사들이 문화 활동을 하면서 무용단과 결합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과 시간이 한인 간호사의 간문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간문화성의 특징인 구성적, 과정적 그리고 역동적 차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올해는 한인 간호사들이 독일에 온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한인간호사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나오길 바란다.

      • KCI등재

        안면센서 바이오피드백의 임상적 적용: 음성치료 또는 발성훈련에 미치는 효과

        안지호,최성희,이경재,최철희,윤종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2

        배경 및 목적: 바이오피드백 치료법은 목소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훈련 중 하나이다. 공명 발성치료나 튜브 발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얼굴 구조의 특정 부위에서 진동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된 안면진동측정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성훈련이나 음성치료시 안면진동 감각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음성장애가 없는총 38명의 정상 청년층이 참여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안면진동센서시스템을 이용하여 세 가지 신체 부위(뺨, 코, 목)에 진동센서를 장착한 후 편안한 상태에서 /ㅏ/발성, 카주 발성, 입술트릴, 허밍, 튜브발성, 물저항 발성 동안 진동부위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공명 발성이나 튜브 발성 유형에 따라 신체 부위(볼, 코, 목)별 진동 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허밍에서는 코에서 가장 큰 반면, 물저항 발성, 입술트릴, 카주, 빨대 발성에서는 뺨에서 가장 진동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음성치료나 발성훈련법 (/ㅏ/발성, 카주, 입술트릴, 콧노래, 빨대 발성, 물저항 발성) 간 진동 크기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중 진동원인 입술트릴과 물저항 발성이 다른 단일 진동원 발성에 비해 진폭이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안면진동센서는 반폐쇄성도운동 훈련이나 치료를 하는 동안 안면진동 감각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동 감각에 대한 생체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명 음성 또는 튜브 발성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Studie über die Entwicklung der Integrationspolitik in Deutschland: Am Beispiel koreanischer Krankenschwestern und deutsch-russischer Einwanderer in Deutschland

        안지호,현주 한독사회과학회 201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3 No.4

        In Deutschland wird Integrationspolitik überwiegend aus einer normativen Perspektive betrachtet. Ein Leben in einem fremden Land bedeutet aber Kommunikation zwischen zwei Kulturen. Integrationspolitik kann demzufolge auch als ein Kommunikationsprozess betrachtet werden. Diese Arbeit stellt einen Versuch dar, eine andere Blickrichtung einzunehmen. Naheliegend ist dabei für uns eine Perspektive, die die Kommunikation und damit die Dimension der Sprache in die Betrachtung miteinbezieht. Dadurch soll auch der praktischen Integrationsarbeit Rechnung getragen werden. Zwei Einwanderungsgruppen - die koreanischen Krankenschwestern und die deutsch-russischen Einwanderer - werden in dieser Arbeit miteinander verglichen. Der zeitliche Fokus richtet sich auf die 60er, 70er und 90er Jahre. In beiden Fällen untersuchen wir Faktoren, die im Integrationsprozess eine Rolle gespielt haben. In Deutschland wird Integrationspolitik überwiegend aus einer normativen Perspektive betrachtet. Ein Leben in einem fremden Land bedeutet aber Kommunikation zwischen zwei Kulturen. Integrationspolitik kann demzufolge auch als ein Kommunikationsprozess betrachtet werden. Diese Arbeit stellt einen Versuch dar, eine andere Blickrichtung einzunehmen. Naheliegend ist dabei für uns eine Perspektive,die die Kommunikation und damit die Dimension der Sprache in die Betrachtung miteinbezieht. Dadurch soll auch der praktischen Integrationsarbeit Rechnung getragen werden. Zwei Einwanderungsgruppen - die koreanischen Krankenschwestern und die deutsch-russischen Einwanderer - werden in dieser Arbeit miteinander verglichen. Der zeitliche Fokus richtet sich auf die 60er, 70er und 90er Jahre. In beiden Fällen untersuchen wir Faktoren, die im Integrationsprozess eine Rolle gespielt haben.

      • KCI등재

        Influence of gas turbine specification and integration option on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gasification solid oxide fuel cell/gas turbine systems with CO2 capture

        안지호,박성구,김동섭 대한기계학회 2013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7 No.9

        We investigated key design features of the integrated gasification solid oxide fuel cell/gas turbine (IG-SOFC/GT) system including carbon dioxide capture. Two different types of system configurations that depend on the carbon dioxide capture scheme (pre- and oxycombustion captures) were examined. Research focus was given to the effect of the gas turbine specific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IG-SOFC/GT systems using two different gas turbines were analyzed, and their performances were compared. A parametri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urther understand the performance comparison. We found that the net system efficiency was not very sensitive to the turbine inlet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ratio. As a result, similar net efficiencies were observed between the systems using two gas turbines with quite different specifications. In addition, a revision of the system layout was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ower capacity of the system could be increased and the system efficiency could also be slightly enhanced by supplying nitrogen separated from the air separation unit to the fuel cell rather than to the gas turbine combustor.

      • KCI등재

        북한의 학교 교실에 대한 미시적 연구

        안지호(安志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사회학자 고프먼의 연극학적 접근에서 발전시킨 주요 개념인 대면상호작용, 체면, 팀, 무대, 인상관리, 상황(사건) 등을 활용하여 미시적 사회공간인 북한의 교실을 다루고 있다. 교실을 무대로 담임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담임교사가 학급간부인 학급반장과 초급단체비서를 선출하는 상황(사건)에 주목하였다. 이 사건을 통해 담임교사는 앞으로 자신의 경제생활을 책임질 열성학부모와 관계를 맺게 된다. 학급간부라는 자리를 매개로 담임교사-간부학부모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담임교사는 자신의 경제생활을 후원하는 열성학부모 뿐만 아니라 각종 학교행정을 도와줄 충성스런 학생이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학급반장과 초급단체비서가 수행한다. 따라서 담임교사에게 있어 학급간부 선정은 자신의 경제적 생활 유지는 물론 교실에서 교사의 대리인을 뽑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 연구는 학급간부선출이라는 상황과 여기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사건을 중심으로 북한 교실에서 벌어지는 교사와 학생간의 다양한 대면상황을 다루고 있다. This study approaches a classroom situation in the North Korea schools as a micro social space based on the mail concepts developed by Goffman’s dramaturgical approach that includes face to face interaction, facing, team, stage, impression management, situation and significant events. This study regards classroom as a stage of drama and describes how a homeroom teacher interact with classroom students, especially focused on the electing the executive members of classroom - the class president and the classroom secretary. As teachers become economically vulnerable in North Korea, they tend to be decisive in electing the executive members of classroom, whose parents’ economic support is deeply inter-wined with the teacher’s economic life. In addition, the class president and the classroom secretary play key roles as the loyal supporters in performing administrative works or mobilizing other students. Therefore, the election of classroom executives is a significant event to influence on the teacher’s economic life and designate the representative or the teacher.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 elec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낙인정보 관리에 관한 연구: 고프먼(E. Goffman)의 낙인이론을 중심으로

        안지호,현주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8 地域發展硏究 Vol.27 No.1

        This study focuses on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Information Management(Stigmatization Information) as various actions that occur while North Korean Defectors are having Face to-face Interaction Process with South Koreans. The reason of the researcher being interested in Face to-face Interaction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is that Microscopic Behavior Analysis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order to analyze the Multifaceted Behaviors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South Koreans, the researcher used Goffman's Theory “Stigmatization, Dishonor, Potential Dishonor, Concealment and Camouflage. Researcher analyze various actions that occur in meeting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through Goffman's Theory. Finally,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 Process of Diverse Interactions into several stages by the Degree of Integration. Though this, the researcher contain Encounter Integration in the Frame Work of Discussion of Integration Policy and then the researcher draws a Political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