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Young Children’s Narratives:The Means of Reconfiguration

        안지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2

        We live with stories. The art of storytelling is the art of exchanging experiences. Story is essential to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ho we are, what we do, how we feel, and why we ought to follow some course of action. In this article, children’s story/storytelling is revealed as a medium of children’s thinking and finding subjectivity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The narratives created by these children showed the complex journey they tak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elf-ident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이야기- 반성적 내러티브를 통하여 -

        안지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재학 중인 4학년 학생들의 보육실습 기간 전 후 및 실습기간 동안 작성한 개인 저널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저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 시작전에는 실습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뿐만 아니라 다가올 상황에 대한 기대감을 보이기도 하였다. 실습 과정 중에는 유아 및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교육적 만남의 의미를 인식하면서 교사됨의 실천적 의미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실습을 마친 후에는 교사됨의 성장도 경험하면서 실습경험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탐색의 기회가 됨을 이야기 하였다.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경험 과정인 보육실습 기간이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 있어 중요한 기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Reflexive journal writing strengthens a subjective understanding of reality it requires writers to question their assumptions, values and actions and their impact on others. This study explores a four-week practicum experience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s revealed through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xive journals and provides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acticum and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Fifteen 4thgrad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at Gyeongsangbukdo participated in writing reflexive journals covering their pre-practicum, in-practicum and post-practicum experiences. During any practicum,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fear, anticipation and personal conflict in their relations with children and teachers. However, as analyses of the pre-service subjects demonstrates, when practicum participants engage in reflexive journal writing, they examine their fears and conflicts through critically examining their assumptions and rethinking their notions of self and others in their construction of practical knowledge. Reflexive journal writing should be the heart of the practicum for it gives voice and shape to the construction of meaning. We recommend establishing a more structured and well planned early childhood practicum system, and m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critically reflexive practice.

      • 2-유아교사 반성적 저널을 통해서 본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안지령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our-week practicum experience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e sol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um experience and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Fifteen 4th grad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the university located at Gyeongsangbukdo were participated in writing reflexive journals and journals were analyzed to collect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pre- practicum, in-practicum, and post-practicum. During the practicum,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e fear, anticipation, inner conflict in the relation with children and teachers. However, the time of practicum is a good way of rethinking about self, furthermore, constructing the practical knowledge. Thus, establishing more structured and well planned early childhood practicum system should be needed, and m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supervise teachers should be given to create advanced professional teaching experience to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반영된 교사전문성 인식 및 의미

        안지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ion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reflective journal. To do so, 1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ve journal analysis were used to study teachers‘ experiences of in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ions of professionalism are role performance, emotional connection and happiness. Then, the understandings about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re preparation for practical knowledge, resilience and growth as a teacher. As a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writing reflective journal experiences based on practicum gave the teacher's positive influence to their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Reflective analysis through journal gave them to make plan for improving, to find their good points, to show then a short cut to a professionalism as a teacher.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writing experiences of reflective journal have shown a lot of reflection more than expected. Therefore, this study will giv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전문성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보다 전문적인 교사양성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동의한 연구참여자는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15명으로 이들의 실습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전문성에 대한 인식형태와 예비유아교사들이 해석하고 있는 전문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 해 본다.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교사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탐구

        안지령(Ahn, Ji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understandings of personal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o so, 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 analysis were used to study the understandings of teacher personal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derstanding of personal education, the value of personal education, and the prospect of personal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personal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as the basic factor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value of the chance in reflection in becoming a teacher, and psychological cultivation and desirable establishment of teacher image. Therefore, this study gives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s personal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교사양성과정에서의 교사인성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지를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진행을 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참여자는 연구에 동의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들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면담과 개별 저널 작성으로 자료를 수집 한 후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사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교사인성교육에 대한 가치, 교사인성교육에 대한 전망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 인성에 영향을 끼치는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향후 유아교사 관련 변인들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유아교사의 인성을 함양하는 교사교육 관련 연구에도 영향을 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안지령(Ahn, Ji-R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9

        본 연구는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유아교육에서의 남자교사들의 존재성과 유아교사됨의 의미 및 이를 통한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로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남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저널쓰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로서 남학생들은 기대감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여성이 다수인 장에서 소수자로서 생활하면서 교사가 된다는 과정이 쉽지는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유아교육에서 남자교사의 위치에 대해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 도전하는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더불어 유아교육 분야에서 남교사에 대한 관심과 논의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 pre-service teachers" meaning of becom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nduct this narrative research, six male pre-service teachers in 4-year teacher education programs participated in doing interviews and writing journal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ale pre-service teachers are becoming a teacher through the expectation, experience as a minority, the confusion of their positioning, and the anticipation to the futu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ould discuss related to th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이해

        안지령 ( Ahn Jir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역량과 현재 자신들이 갖고 있는 역량의 수준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면서 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역량 강화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세계 각국에서도 교사 훈련 및 양성, 전문성 개발 등이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는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역량 혹은 핵심역량 등의 용어를 사용하면서 교사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한 결과, 전반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사 역량 하위 영역 중 교직성향, 전문성 인식 및 자기학습 영역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평가준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교육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in teach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questionnaires 143 out of 154 were returned, and 119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ept insincer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about the tendency of teacher competency is generally high. The traits of teaching and self-study is high but the conducting the curriculum is low. Second, the analysis about the understanding in teacher competency is different depending on grade and age. That is, the lower grad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eaching traits and self-study but the higher grade showed the management of classroom is important. Third, the analysis about the need of education toward teacher competency is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grade. The sub factors are character of teaching, development of profession, traits of teaching and self-study.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the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for teachers` prof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awareness education but als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practice. Also,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