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정호,김형주(Jung-Ho Ahn),Hyoung-Jo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2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객체 접근의 성능은 효율적인 객체 선인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급의 객체 시맨틱을 사용하지 않고 페이지나 세그먼트를 단위로 선택적인 객체 선인출을 수행하는 동적 SEOF(Selective Eager Object Fetch)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객체 인출의 상관 관계와 빈도수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다른 기존의 객체 선인출 방법들과는 달리 시스템의 부하에 따라 선인출의 정도를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메모리나 스왑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객체 버퍼의 사용을 제한하여 자원의 고갈을 막을 수 있으며, 클러스터링의 정도나 데이타베이스의 크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다중 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When accessing objects in an object-oriented database, performance can be greatly improved by prefetching objects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object prefetch policy, dynamic SEOF(Selective Eager Object Fetch}, which prefetches objects only from selected candidate pages without using any high-lever object semantics. Our policy considers both correlations and frequencies of fetching objects when selecting candidates to prefetch, Unlike existing prefetch policies, dynamic SEOF utilizes the memory and the swap space of clients efficiently by adjusting its behavior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us improves overall performance. Furthermore, the proposed policy prevents resource exhaustion by limiting the range of utilizations of objects in the buffer and has good adaptability to both the effectiveness of clustering and database size. We sho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olicy through experiments over various multi-client system configurations.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절충치료 치험례
안정호(Jung Ho Ahn),임준(Joon Im),이정섭(Jeong-Sub Lee)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2017 연세임상교정 Vol.24 No.1
성장이 완료된 성인 골격성 III급 환자의 경우 절충치료와 악교정 수술 사이의 선택은 여전히 결정하기 어려운 하나의 도전으로 남아 있다. 골격적 부조화가 심하지 않아 교정적 절충치료를 계획할 수 있는 골격성 III급 환자는 상황에 따라 III급 고무줄을 동반하거나 발치 또는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herapy 등을 이용하여 치료하여 왔다. 이후 miniscrew나 miniplate와 같은 임시 골성 고정원의 개발과 발전으로 인하여, 이러한 골격성 III급 환자의 절충치료 시 좀 더 다양한 치료옵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골성 고정원의 사용은 환자의 협조도를 요하지 않으며 치료 역학을 단순화 할 수 있고 archwire의 bending의 양을 줄이며 anchorage 상실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miniplate를 이용한 하악 전체 치열의 후 방이동과 함께 상악 정중구개부의 miniscrew를 이용한 상악 전체 치열의 전방이동을 통해 전치부 반대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를 절충치료한 치험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In case of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hose growth is completed, the option between camouflage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remains as a challenge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 decision. The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hose camouflage treatment could be planned due to mild skeletal discrepancy have orthodontic treatment including Class III elastics, tooth extractions or multiloop edgewise archwire therapy. Due to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emporary skeletal anchorage system such as miniscrew or miniplate, more varied treatment options were made possible in camouflage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patients. The usage of skeletal anchorage system does not require the cooperation of the patient, may simplify the treatment mechanics, lessens the amount of bending of archwire, and minimizes the loss of anchorage. This case report will show camouflage treatment of a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with anterior crossbite. Treatment mechanics included mandibular total arch retraction with miniplates and maxillary total arch protraction with miniscrew in the midpalatal area.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을 위한 학습자 텍스트 구조 분석 연구 -논증형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정호 ( Jung Ho Ahn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5
본고에서는 중급 학습자들의 논증형 작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현재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능력의 현황을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작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최근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대학 수학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쓰기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나 작문교육에 대한 연구나 교수법 개발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 미비한 상황이다. 또 현장에서도 수업과 평가가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숙달도 기준 중급에 해당하는 3급 학습자들이 논 증형 주제인 ‘텔레비전의 장점과 단점, 바람직한 텔레비전 시청 방법’라는 주제로 쓴 텍스트를 툴민(St. Toulmin)의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형식적 문단 구성 능력을 살펴보았는데 전체 학습자 중에서 34%에 해당하는 17명의 학습자가 문단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학습자들은 모두 자국에서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유학을 왔지만 약 34% 정도의 학생들은 문단 나누기의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다음으로 논증적 주제 전개 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에서 필수적으로 드러나야 하는 결론(테제), 논거, 추론규칙이 모두 드러나 있는 글이 전체 50편 중에서 7편으로 나타났으며 추론규칙만 결여되어 있는 글이 9편, 결론이 결여되어 있는 글이 12편 결론을 포함하여 추론규칙까지 결여되어 있는 글이 11편,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없어서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으로 분석이 불가능한 글이 11편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학습자들 중 필수 요소를 갖추어 작문을 한 학습자들이 전체의 약 14%에 불과했다. 현실적으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작문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대학 수학을 위한 기본적인 작문 능력을 갖추지 못한 학습자들이 많다. 그러한 학습자들이 대학교에 입학한 후에 성공적으로 학업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어 작문 능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능력 배양을 위한 현장에서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이상적인 주제 전개 방법 및 필수 요소의 구성 모형이 나온다면 조금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작문평가 전문성은 현실적인 요구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을 주요 주제로 논의하였다.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작문평가의 문제적 국면을 국어교사 양성의 국면, 작문평가 실행의 국면, 작문 평가의 경험적 국면으로 설정하여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교사 평가전문성의 신장 방안 두 가지를 검토하였다. 하나는 국어교사의 개별적 특성에 기반을 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평가 도구 및 평가 환경 개선에 기반을 둔 것이다. 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채점의 엄격성 유지 훈련, 작문평가 효능감의 신장, 평가 과정 점검 질문의 개발 및 적용, 평가 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으며, 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평가 기준의 상세화 및 평가 척도의 적정화, 평가 예시문의 선정 및 활용, 국어교사 협의회의 운영, 작문평가 반성 전략의 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을 기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argumentative essays of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to find out the current writing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and to discuss the approach composition education should take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education to successfully fulfill college-level requirements has become greater than before. However, the field of composition education still lacks relevant studies and proper teaching methods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of education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 writing task requiring them to write an argumentative composition on ‘pros and cons of television and desirable ways to watch television``. Then, the composi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odel for argumentative theme development developed by Toulmin. First, the paper examined learners` ability in organizing paragraph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pproximately 34 percent of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paragraph structures in essay writing. Although the participants had all completed high school-level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34 percent of the learners did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paragraph structures. Next, the study investigated learners` ability to develop an argument in argumentative writing employing the three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conclusion, grounds for an argument, and rule of in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7 out of 50 essays had all three components. 9 essays were missing rules of inference, 12 essays did not have a conclusion, 11 essays lacked both a conclusion and rules of inference, and 11 essays were not possible to analyze using the model. Only 14 percent of the participants had the ability to write an essay making use of all three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With the increase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education has grown. Yet, the results clearly suggest the need for approaches in composition instruc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o foster academic learners with the academic-level writing proficiency.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will be developed by applying the way for theme development of different text types to Korean composition education.
더미 클래스를 가지는 열린 집합 얼굴 인식 방법의 유효성 검증에 대한 연구
안정호(Jung-Ho Ahn),최권택(KwonTaeg Choi)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The open set recognition method should be used for the cases that the classes of test data are not known completely in the training phase. So it is required to include two processes of classification and the validation test. This kind of research is very necessary for commercialization of face recognition modules, but few domestic researches results about it have been publish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en set face recognition method that includes two sequential validation phases. In the first phase, with dummy classes we perform classification based on sparse representation. Here, when the test data is classified into a dummy class, we conclude that the data is invalid. If the data is classified into one of the regular training classes, for second validation test we extract four features and apply them for the proposed decision function. In experiments, we proposed a simulation method for open set recognition and showed that the proposed validation test outperform SCI of the well-known validation method.
KSL 교육에서의 문법 교육과 그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안정호 ( Ahn Jung Ho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6
본 연구는 KSL 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KSL 교육과정 중 문법 교육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교육 내용의 선정 및 배열에 대한 기분이 불분명했으며 문법 교육과정에 포함된 주요 개념들이 의미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KSL 교재의 경우 문법의 제시와 설명 부분이 잘 드러나지 않았으며 문법 활용을 위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는 본인들이 KSL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재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또 문법 교육에서 교재와 학습자 흥미 유발의 어려움 때문에 활동 부분의 수업 진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거의 모든 교사가 KSL 문법 교육에 대한 연수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특히 문법을 활용한 활동의 진행, 문법 수업 자료 제작 등 실제적인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the grammar education in the KSL education and to find out teachers’ perceptions of it.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the KSL curriculum,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no clear standard for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at the main concepts included in the grammar curriculum were not clear. In addition, in the case of KSL textbooks, the presentation and explanation of grammar were not clearly revealed, and the content for grammar utilization was insufficient.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well know about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the KSL curriculum, but they are less satisfied with the textbook. And they felt difficulty in conducting classes in the activity part due to the difficulty of inducing learner’s interest and problems of textbooks. Most teachers want to train KSL grammar education,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high demand for practical contents such as the progress of activities using grammar and the production of grammar class materials.
안정호(Jung-Ho Ahn),이강우(Kang-Woo Lee),송하주(Ha-Joo Song),김형주(Hyoung-Jo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 No.3
객체 저장 시스템은 지속성 객체의 저장 및 접근 등 객체를 다루는데 필요한 모든 기본적인 기능을 통해 객체지향 DBMS의 상위 모듈에 추상적인 객체 개념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 객체 저장 시스템, Soprano를 설계, 구현하였다. 본 객체 저장 시스템은 일관된 객체 개념을 지원하고 효율적인 객체 캐쉬 관리 및 스위즐링/언스위즐링 등을 통해 빠른 객체 저장 및 접근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지속성 클래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지속성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객체지향 설계 및 구현을 통한 시스템의 확장성 및 재사용성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Soprano의 전체 구조와 특징을 소개하고 주요 구현 알고리즘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001 벤치마크를 수행하여 Soprano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The object storage system provides object abstraction to higher modules of object-oriented DBMS with all of the primitive operations on objects including storing and accessing objects.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high-performance object storage system for various advanced database applications, called Soprano. Soprano provides an uniform object abstraction and supports efficient object cache management and pointer swizzling/unswizzling for fast object manipulations. And Soprano gives us the ease of persistent programming through many useful persistent classes. Soprano was designed with an object-oriented fashion, which naturally provides extensibility and code reusability. This paper presents the overall architecture and features of Soprano and shows the details of implementation algorithms. We also evaluate its performance via OO1 benchmark which is a standard OODB benchmark.
실내모형시험을 통한 OPC와 친환경 MIS 그라우트의 지반 침투성능 분석
안정호(Jung-Ho Ahn),임희대(Heui-Dae Lim),최동남(Dong-Nam Choi),송영수(Young-Su S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3
In this paper, a laboratory model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uting efficiency of ordinary portland cement(OPC) and micro cement used in MIS(Micro-Injection Process System). For this research, a injection equipment was developed for pressure permeation which can evenly simulate various grouting tests in a laboratory and suggested a standard for the production of the test specimen. Using the injection device, the laboratory injection tests of grouts were prepared with water/cement ratio of 1:1, 2:1, 3:1, 4:1, and 5:1. The analysis of injection test for pressure permeation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injection increases linearly as the water/cement ratio increases. Comparison of efficiency of the injection indicates that MIS with a relatively smaller average diameter shows more efficient injection than the OPC. In the low ratio of water/cement as 2:1~1:1, the injection efficiency of OPC was especially poor. Also, a nonlinear grout volume-injection time is represented by a hyperbolic model and grout volume predicted by hyperbolic model was compared with the value measured. From the comparison, it shows that the hyperbolic model has the potential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grouting. 본 연구에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OPC(Ordinary Portland Cement)와 MIS (Micro-Injection Process System) 공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로 시멘트의 지반 침투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내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그라우트 주입을 일정한 방법으로 재현할 수 있는 가압침투주입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공시체 제작방법을 마련하였다. 물시멘트비를 5:1에서 1:1까지 변화하여 주입시험을 수행한 결과 물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침투성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주입성능을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비표면적이 큰 MIS가 OPC보다 동일한 배합비에서 침투성능이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시멘트비가 2:1~1:1의 부배합에서 OPC의 침투성능이 매우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 한 침투량과 주입시간과의 관계곡선을 hyperbolic으로 모델링하여 예측치를 산정하고 이를 측정치와 비교한 결과 그 라우트 성능평가에 대한 hyperbolic 모델의 잠재력이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