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 大嘴子遺蹟 3期聚落의 變遷

        安在晧(Jae ho Ahn)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3 No.-

        본고는 2015년의 편년체계(3a~3e기)를 기반으로 遼東반도 남단의 여러 유적과의 병행관계와 大嘴子유적의 주거지와 취락의 특징과 변천을 살피고자 작성되었다. 大嘴子유적 3기(BC 1400~1100년)에는 쌀과 잡곡 등의 곡물이 출토되었지만, 식료공급에는 수렵과 어로를 통한 채집경제의 의존도 높았다고 추정된다. 가옥 내에 토기를 산발적으로 널어놓고 소각 폐기한 것을 가옥에 대한 의례로 판단하였다. 주변유적과의 병행관계는 双陀子4기를 새로 설정하고, 토기상을 통하여 双陀子3期문화→于家村상층문화→砣頭문화의 변천으로 살폈다. 羊頭窪유적을 大嘴子3기유형 보다 늦은 双陀子4기와 동시기로 판단하였다. 취락은 주로 세대공동체를 단위로 형성된다. 5단계를 통하여 3c기가 획기이다. 3c기에는 장방형의 線狀으로 가옥이 배치되며 그 중앙에 대형가옥이 배치된다. 이전 시기에는 주로 대형과 중형 가옥이었는데, 이 이후부터는 대형가옥은 1동만 존재하고 소형가옥은 비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모든 주거지마다 행해지던 주거지 폐기 의례도 줄어들고, 세대공동체단위에서 하나의 가옥에만 시행되는 양상으로 바뀌게 되었다. 3e기에 조성된 돌담은 방어적 기능도 고려할 만하지만, 거주공간을 분할하여 소형주거지를 분리한 계층사회에 진입한 것이라 추정된다. 그리고 大嘴子유적의 주변 지역공동체의 대변혁을 시사하는 자료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hase Ⅲ settlement of the Dazuzi site and examine its contemporaneity with other neighboring sites in southern Liaodung peninsula, based on the chronological sequence I developed in 2015. Despite the presence of carbonized crop grains including rice discovered in Phase Ⅲ settlement (1400- 1100 BC) it is assumed that the Dazuzi people had highly relied on hunting and gathering for food procurement. In addition, burnt and abandoned pottery shards found scattered on the floor are considered to be evidence of the house deconstruction rituals. In order to establish the chronological sequence among the sites, I proposed Phase Ⅳ of the Shuangtuozi site and the temporal changes from Phase Ⅲ of the Dazuzi site to upper layer of the Yujiacun site, and then to Tuotou cultures, based on pottery typological seriation. It appears that the Shuangtuozi site was contemporaneous with Phase Ⅳ of the Datuozi site, which was later than Phase Ⅲ of the Dazuzi site. A settlement generally consists of clustered basic compositional units, household communities. Amongst the whole five stages of its occupancy, Phase Ⅲ-c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most transformative moment. In this phase, small rectangular houses were linearly arranged with the a large house at the center. Contrary to the previous phases with large and mid-size houses forming a majority of dwelling structures, a large number of small houses had been constructed since Phase Ⅲ-c whereas only one large house was built. At the same time, the frequency of house destruction rituals performed in each house also began to decrease and the ritual was practiced only in a single house per household community. The stone walls built in Phase Ⅲ-e is considered to have punctioned as a partition separating small houses as well as defensive fortifications, which implies the commencement of a stratified society. Thus this can indicate major transition of the adjacent local settlements of the Dazuizi site.

      • KCI등재

        順序配列補充法의 實驗的 檢討

        안재호(Ahn, Jae Ho)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89

        순서배열법은 문화사고고학을 연구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지만, 순서배열보충법은 사회고고학의 도구로써 유적 내모든 유구의 동시성과 시간성을 밝히기 위한 발생순서배열법의 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결실자료를 보충하여 그 결실자료가 최소가 되는 배열을 조작하여 양식편년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5개의 예시로써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서배열된 각 유구의 배열은 실제의 시간 순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서 순서배열되었다고 그것을 바로 편년으로 인식하면 안 된다.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은 형식의 출현 양상을 통하여 획기를 설정하여, 다수의 유구를하나의 획기로 묶었을 때 그 획기의 순서만이 역사적인 시간의 순서와 거의 일치한다. 둘째, 올바른 시간성을 가진 획기의 수를 늘리려면 3기 이상의 유구에서 출토되는 형식의 수를 늘려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유물에서 유효한 시간적 속성을 찾아 분류하여야 한다. 그리고 형식은 그 존속기간이 짧을수록 좋은 결과를보이고, 존속기간이 긴 형식은 순서배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Contrary to seriation often used as a method for cultural-historical archaeology, complementary seriation is a branch of occurrence seriation and used to examine the simultaneity and temporality of the artifacts found in the same archaeological site. The benefit of this method in chronologizing styles is based on its usefulness in providing a possible series of artifacts with minimum missing data by properly complementing the miss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hich were done with five samp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method, First, it is noteworthy that a set of serialized artifacts is not necessarily reflective of the real temporal order, which means that the result of seriation cannot be taken directly for a chronology. One useful method to cope with this problem is to define several periods to which each artifact can be assigned and then examine the temporal order among these periods. The experiments corroborate that the order drawn from these periods reflects the real historical order.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iods well-defined and reflective of the correct temporal order,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tyles each of which was discovered from more than three different remains. For this, valid temporal features of the artifacts should be extracted to properly classify them. The styles that were produced during only shorter terms could result in better results whereas those with longer terms are less useful since they cannot have meaningful influences in seriation.

      • KCI등재

        장재(張載)의 형이상학 비판 -기(氣)와 신(神) 개념을 중심으로-

        안재호 ( Jae Ho Ahn ) 퇴계학연구원 2011 退溪學報 Vol.129 No.-

        장재(橫渠)의 형이상학은 일반적으로 ``氣一元論``으로, 심한 경우에는 ``唯氣論``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기실, 장재가 말하는 氣는 형이하의 질료적 氣(음양오행)와 형이상의 실현원리인 神(중용의 誠)을 모두 아우르는 ``太和絪縕한 氣體``이다. 그러나 그는 어떤 경우 ``신``이 ``기``에 복속된 것으로, 또 다른 곳에서는 독립된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어느 경우 유물론자들의 주장처럼 유물론적 기일원론의 모습이 강력하기도 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기``에 대한 ``신``의 완전한 독립이 강조되기도 한다. 우리의 비판은 바로 여기, 즉 서로 상반되어 보이는 두 측면에 대한 분석에 집중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장재의 형이상학이 보다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재의 氣 개념은 단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음양오행 등의 질료적 형이하자만이 아니다. 그것은 동시에, 더욱 근본적으로는 본체이자 총체인 ``태화원기``이다. 장재의 기 개념을 이렇게 둘로 구분할 수 있는 근거는 그의 神 개념에 있다. 왜냐하면 장재에게 있어 ``신``은『역전』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천지만물에 오묘하게 작용하여 그것들을 화육하는 형이상의 실현원리이기 때문이다. 형이상의 실현원리는 결코 질료적 형이하자이기만 한 ``기``의 속성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형이하자인 기와 형이상자인 신을 모두 아우르는 일원론적 체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하나의 총체가 있어야만 하는데, 장재는 그것을 ``태화원기``로 상정했다. 장재는 도불의 배척(존재의 문제)과 유학 전통의 재정립(도덕실천의 문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형이상학 체계가 바로 ``태화인온한 기 본체론``인 것이다. 이 중에서 도불의 배척을 위해 ``有``, 즉 氣를 강조한 측면에만 집착하게 되면 도덕실천의 근거, 즉 神을 놓치게 된다. 반대로 도덕실천의 근거를 설명한 ``신``을 강조하다보면 형이상과 형이하를 아우르는 장재 형이상학의 일원론적 체계를 놓치게 된다. 그래서 장재 형이상학에 대한 유물론자와 모종삼 등의 이해는 각각 옳기도 하고 또한 부족하기도 한 것이다. 張載的形上學一般被稱爲``氣一元論``, 甚至理解爲是一種``唯氣論``. 其實, 張載所說的氣乃是全包容形下質料的氣(陰陽五行)及形上實現原理之神的太和絪縕氣體. 然而, 他有時旣說神是歸屬於氣的, 而有時則說是獨立於氣的. 因此, 有時就像唯物論者的主張那樣顯得是種唯物論性氣一元論, 而別時則又强調神之完全獨立. 吾人的批判就在這兒, 卽集中在對互相相反的兩個方面的分析. 這樣, 才能明確理解張載形上學. 張載的氣槪念不只是像一般以爲的陰陽五行等質料性形而下者. 那同時也是, 更根本的是又本體也總體的``太和元氣``. 能將張載氣槪念分成這樣兩種的根據就在他的神槪念. 對張載來說, 神就像『易傳』所說的那樣, 是一種妙用於天地萬物而又把·們化育成長的. 形上的實現原理絶不能成爲質料性形而下者的屬性. 是故, 想要建立一個包容形下氣和形上神的一元論體系, 那需要一個總體·整體. 張載所謂太和元氣乃是那種總體·整體. 張載早已持有排斥道佛(存在問題)和再貞立儒學傳統(道德實踐問題)這兩種目標. 要完成這目標的形上學體系就是``太和絪縕的氣本體論``. 此中, 如果執着於形下氣的方面, 那就會流失道德實踐根據(神); 相反, 專强調神一面的話, 會抛棄一元論的形上學體系. 由此, 唯物論者和牟宗三等對張載形上學的理解是又對又錯的.

      • KCI등재

        寬倉里遺蹟의 編年과 變遷

        안재호(Ahn, Jae Ho) 부산고고학회 2021 고고광장 Vol.- No.28

        호서해안지역의 대표적인 송국리문화 유적인 보령 관창리유적의 형성과정을 통하여 사회상을 재검토하고자한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분류하고, 순서배열보충법으로 작성된 양식편년에 따라 주거지를 3시기로 나누었다. 관창리취락은 수전을 기반으로 한 농경사회이지만 수렵채집문화도 공존한다. 무덤은 취락 내부에 발견되지만, 별도의 구릉에도 묘역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제도술을 도입하면서, 토기가마를 한 곳에 모아두고 그주변에 고상창고와 공방을 갖춘 반전업적 생산체제를 갖춘 점이다. B지구가 중심지역이면서 3개의 구역(A~C) 으로 나누어진다. Ⅰ기취락은 B지구 A구가 중심이며 1동의 대형가옥이 존재하지만 소규모에 불과하다. Ⅱ기에는 B구에 토기가마가 조영되면서 확장되지만, A구는 축소한다. 2동의 대형가옥이 A·B구에 등장한다. Ⅲ기가 되면 A구는 쇠퇴하고 2개 구역으로 재분할된 B구에 대형가옥은 구릉의 최상부에 1동, 특수건물이 입지하는 낮은 곳에 각 1동씩분포한다. 이 시기는 수장이 등장하기 직전으로서 취락 구성원 사이의 계서와 귀속지위가 인정된 사회였다 Gwanchang-ri settlement was an agrarian society based on paddy-field production but huntinggathering was also performed simultaneously. Graves have been discovered both inside the settlement and separated hill areas. The discovery of earthenware kilns gathered together in the same spot surrounded by raised warehouses and workshops suggests that the introduction of ceramic technique from China led to the formation of a semi-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The settlement is accordingly divided into three districts of A, B (a central ara), and C. The settlement formed in Period I stretched out mostly around District B and A and only one large-sized house was built there whereas all others had small sizes. In Period II, District B began to expand as earthenware kilns were installed there while the size of District A was being reduced. Two large-sized houses were built in Districts A and B in this period. As District A declined in Period Ⅲ, District B began to be divided into two sub-districts, one around the hilltop and another located in the lower area with some special purpose buildings, and two large houses were built in each of these sub-districts. Period Ⅲ was right before the appearance of chiefdom in this region and the community formed there in this time had a society where the ranks and ascribed statuses among the people living together in the large houses were stabilized.

      • KCI등재
      • KCI등재

        도덕 실천 역량에 관한 율곡의 이론체계 淺析 - 心-意를 중심으로 -

        안재호(AHN, Jae-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1 No.-

        율곡은 “理無爲、氣有爲”하고 또한 리기는 “不相離”하기 때문에 오직 “氣發理乘一途”만을 인정했다. 이런 총강령에서 볼 때, 七情에 포함되는 四端뿐만 아니라 人心과 대립하는 道心마저도 “理發”한 것일 수 없다. 율곡이 보기에, 인심과 도심은 각각 그 유래가 있지만, 그것들의 근원은 한가지로 천리이며 그 발현방식 또한 같다. 그러나 그는 또한 인심과 도심이 “相爲終始”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관점은 비록 율곡이 인심과 도심의 유래를 그 결과로 간주하는 오해에서 비롯되었지만, 도덕실천의 주동성을 긍정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가 보기에, 그 유래가 性命이든 혹은 形氣이든 상관없이 중요한 것은 적절한 실천이다. 설령 性命에 근원한 것일지라도, 그것은 도심의 가능태이지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므로 불량한 인심으로 변해버릴 수 있다. 반대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이런 변화과정의 주재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것은 바로 허령하여 지각하는 심의 기능 - “意”, 즉 논리적 사고이다. 물론, 논리적 사고는 도덕실천을 담보해주지 못한다. 그래서 율곡은 먼저 논리적 사고를 통해 선을 지향하는 “志”를 확정하라고 제안했다. 이런 주지주의 윤리학은 율곡 형이상학의 마땅한 결론이다. 그것은 비록 도덕실천의 필연성을 담보해주지 못하지만, 그 필연성이란 단지 이론적 가치일 뿐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구체적 가치를 필요로 하는데, 율곡의 학설은 그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Li[理] does not work and Qi[氣] works, but LiQi does not leave each other, Yulgok admits only one way that Qi is manifested and Li rides there. In this general code, not only the Four Beginnings [四端] included in the Seven Feelings[七情], but also the Moral Mind [道心] which is opposed to the Human Mind[人心], cannot be represented by Li. In the eyes of Yulgok,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each have their own origins, but their common roots are likewise the Tianli[天理] and their way of expression is one. But he also thought they wer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each other. This is because Yulgok misunderstood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s a result, but it can be said that he has affirmed the main dynamic of moral practice. In his view, whether it comes from the Nature[性命] or the Vital Force[形氣], the important thing is correct practice. Even if it originates from the Nature, because it is a possible form of Moral mind, is not meant to be yet, it can be changed to a bad Human mind. The opposite is the same. Therefore, presiding over this process of change is very important. That is the function of empty, perceptible mind – Yi[意], that is logical thinking. Of course, logical thinking cannot guarantee moral practice. So Yulgok also insists on first establishing the Zhi[志] towards the good. This intellectual ethics is the definitive conclusion of Yulgok metaphysics. It does not guarantee the necessity of moral practice which is only of theoretical value, in our real world, we need specific values. The theory of Yulgok can provide such a clue.

      • DDS 기반 자율 주행 시스템의 시간적 제약 위반 탐지 기법

        안재호(Jae-ho Ahn),노순현(Soon-hyun N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자율 주행 자동차는 다수의 센서와 ECU 등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시간적 제약사항들을 갖는 자율주행 응용들을 구동하며 각 응용들에 대한 시간적 제약사항 위반을 탐지해야한다. 이러한 분산 시스템에서 응용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미들웨어들 중 대표적인 것은 DDS이다. DDS는 높은 확장성을 지원하는 발행-구독 통신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실시간성을 고려한 다양한 QoS 정책들을 제공한다. 하지만 DDS는 자율주행 응용이 요구하는 시간적 제약사항들 중 deadline과 correlation 제약 사항에 대한 위반 여부를 탐지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DDS 기반 시스템에서 deadline과 correlation 제약 사항 위반 여부를 런타임에서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진은 제안된 기법을 DDS의 구현들 중 하나인 Vortex 사의 OpenSplice 기반 시스템에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검증한 결과, deadline과 correlation 제약 사항에 대한 위반 여부를 적은 오버헤드와 함께 성공적으로 탐지하였다.

      • KCI등재

        정호(程顥)의 “생지위성(生之謂性)”설(說) 비판(批判)

        安載晧 ( Ahn Jae-ho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정호가 제시한 “生之謂性”의 의미와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호의 “생지위성”은 天德이라는 명칭으로 사람과 사물에게 부여된 天理와 천지만물의 개별성、개체성을 직접 형성하는 질료로서의 기품이 불가불리의 관계로 맺어져 이루어진 개념이다. 이에 따라 본문은 우선 정호가 스스로 깨우쳤다고 자부했던 천리 개념을 분석하고, 그것이 어떻게 萬物一體의 근거가 되는지 설명했다. 또한 만물이 각이한 개체가 됨을 설명하기 위해 정호가 제시한 음양오행의 작용과 그에 따라 나타나는 ‘개별적 리’를 스스로 어떻게 설명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런 형이상학적 체계를 근거로 정호가 일반적인 ‘性’을 말한 경우 제시한 천덕이 무엇인지 분석했고, 마지막으로 그 천덕이 기품과 결합하여 나타난 “생지위성”의 의미와 그로부터 발생하는 이론적인 문제를 가능한 한 명확하게 분석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problems of “ShengZhiWeiXing” claimed by Cheng Hao. “ShengZhiWeiXing” is an idea combining “TianLi[天理]” which is given to human namely as “TianDe[天德]” with “QiBing[氣稟]” which provides a basis for individuality as material. With the above mentioned, this paper will first analyze the idea of “TianLi” which Cheng Hao confidently thought he realized it by himself and will then explain how it could be the basis of “WanWuYiTi[萬物一體]”. In addition, based on this metaphysical system, I present an analysis on what “TianDe” is when Cheng Hao claimed general “Xing[性]” and finally I concisely present the historical way of attempting to solve these problems and how these can be solved.

      • KCI등재

        호굉(胡宏)의 성체심용설(性體心用說) 천석(淺析)

        안재호 ( Ahn Jae-ho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호굉의 사상에 있어 性 개념은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그것만이 근본은 아니며 더구나 성 자체의 공부를 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유학사상을 “性本論”이나 “性學”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오히려 호굉의 선명한 주장, 즉 性體心用과 에 따른 盡心成性 등의 명제에 근거해서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心性學`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호굉의 이런 `심성학` 체계는 북송 유학자들이 강조한 본체, 즉 중용 역전에 근거한 우주본체를 선진유학, 특히 맹자의 논리 형식인 卽心言性을 계승한 것으로 유학사에 상당한 공헌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Hu Hong`s Confucian thoughts, Xing(性) is an important notion. However, I think it is not proper interpretation for his philosophy to call it as Xingbenlun(性本 論) or Xingxue(性學), because he has never suggested cultivation to Xing directly. I argue that Hu Hong`s theory of Xing should be considered as different type of Xinxingxue(心性學) with neo-confucian works, because of his core propositions like Xingtixinyong(性體心用), Jinxinchengxing(盡心成性). This new structure of Xinxingxue has succeeded the notion in Benti(本體) which is based on the Doctrine of Mean, Commentary on the Book of Changes through Jixinyanxing(卽心言性) which is logical form of Menciu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is study is that Hu Hong`s theory has made a big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confucianism.

      • KCI등재

        吳澄의 ‘心學’ 체계 芻議

        안재호 ( Ahn Jae Ho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오징은 주자와 상산의 학문을 종합하고자 노력했던 유학자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오징의 유학은 심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기실 요순 이래의 전통 학문이자 전체 송대 유학의 정수를 통해 주자학을 보완하려 노력한 것이며, 직접적으로는 조선의 양촌과 퇴계처럼 심 주체의 主敬 공부를 강조하는 주자학이다. 오징은 주자학의 이론적 문제를 자각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그 내용은 단지 공부론의 종합만이 아니라, 리기와 심성에 관한 반성과 자각이다. 오징에 따르면, 리는 천지 만물과 그것을 형성하는 기의 근거가 되는 독립 실체가 아니라, 단지 그것들의 자기 규율일 뿐이다. 심은 올바른 인식과 행동으로 우리를 이끄는 통솔과 주재의 주체인데, 그것의 근본적인 능력은 인지적 자각으로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성리까지 실현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이 오징의 심학이고, 그러므로 그것은 오직 “성리의 학문”일 뿐이다. Wu-cheng is regarded as a Confucian who tried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Zhu-zi and Xiang-shan. However, Wu's Confucianism used the name of Xinxue[心學], is a traditional study since YaoSun[堯舜], that clearly revealed the essence of the entire Song dynasty Confucianism, directly, like Yangchon and Toegye in the Joseon Dynasty, is a study of ZhuJing[主敬] that emphasizes Xin[心] the subject. Wu-cheng became aware of the theoretical problem of Zhuzixue[朱子學] and laid the foundation for solving it. Its contents are not only the synthesis of cultivating theory, but also reflection and awareness of the LiQi[理氣] and XinXing[心性]. According to Wu, Li is not an independent substance that is the basis of everything and the qi that forms them, is just their self-discipline. Xin is the subject of leadership and presidency that leads us to the right perception and action, its fundamental ability is cognitive awareness, through this, can finally realize the Xingli[性理] that is contained. This is the Wu’s Xinxue, therefore, is only “the study of the Xing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