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의 인물전(人物傳) 일고(一考)

        안장리 ( Jang Li An ) 연민학회 2012 연민학지 Vol.17 No.-

        본고에서는 연민의 『韓國名人小傳』과 『李朝名人列傳』 등 인물전을 통해 역사서 기술의 기반이 되는 역사관과 인간관을 고찰하였다. 연민의 인물전은 인물사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1669명이라는 많은 인물을 다루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역사 전개에 있어서 다양한 계층, 다양한 역량의 필요성을 인정한 연민의 역사관 때문으로 여겨진다. 연민 인물전은 개개 인간의 총체적인 면모를 밝히기 보다는 역사적 상황에서의 거취를 중시하고 있다. 연민의 인물전에서 정몽주는 대의를 위해 순절한 인물로, 정도전은 고려를 배반하고 나아가 조선에서도 반역의 기치를 올린 출세주의자로 부각되어 있다. 연민은 인물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혈통과 학통을 연계지어 역량을 평가하였고, 성리학·문장·벼슬 등 당대의 잣대를 인물 평가의 기본으로 삼았지만 미천한 신분의 중인, 하찮게 여겨지던 예술가 그리고 반역자의 경우도 과학이나 문장 등에 있어서 실력이 뛰어나고 훌륭한 작품을 남겼거나 세상의 부조리를 개혁하려 하였다면 충분히 가치 있는 인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애국애족의 거취에 최상의 가치를 두었다. 본고에서는 연민의 인물전이 신분이 높은 기득권자에 의해 기록된 역사 즉, 사화와 당쟁으로 점철된 역사, 정치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안용복과 같은 미천한 애국자가 설 자리가 없다고 판단하여 시작되었음을 밝혔다. 연민은 인재가 쓰이지 못하는 시대의 부조리함을 비판하고 우리나라가 인재가 많은 나라라는 자부심을 그려냈는데 이는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연민이 인물전에서 野史에 전하는 다양한 인물과 그들의 이면적 모습을 흥미있게 소개하였음을 밝혔다. Yeonmyeon tried to write a history like Sima Quan`s 『Shiji (historical records)』. But, he didn`t leave a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Yeonmyeon`s view of history and man through his 『Brief biographies of Korea Master 』and 『Lee Dynasty Master series 』. Because it is the basis of describing a history. Even though Yeonmyeon`s Inmuljeon(Peoples) is not a figure dictionary, it has a characteristic to treat a large quantity of 1669 figures. This is due to Yeonmyeon`s view of history in which he recognized the necessary of different class and ability. This article determined that Yeonmyeon`s Inmuljeon(Peoples) has the characteristic to consider very important in one`s position in the historical context rather than define the total aspect of an individual people. Then, Yeonmyeon estimated that Jeong mong-ju was the man who died for his loyalty, on the contrary to this, Jeong do-jeon was a status seeker who betrayed the Kingdom of Goryeo, furthermore raised up the treason to Joseon Dynasty also. For explaining a man, he estimated an ability connecting a family to a scholastic mantle, and a people based on the criterion that was used in that time such as Neo-Confucianism, a sentence and government post, however, he also estimated a man who was a lowly status such as the public, or an artist who was supposed to be non-person, and even a betrayer as being worth enough, if they had a good ability in a science and a sentence, or left a good work, or tried to revise the irrationality in the World. Moreover, he had put the devotion to one`s country and to ones people on the best value. This is also because the purpose of writing the Inmuljeon was based on the devotion to Yeonmyeon`s country and to his people. This paper determined that Yeonmyeon`s Inmuljeon carried on the spirit of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the lad of Joseon Dynasty, which drew the country where has the absurdity of the age when a talented person is not used and great pride what the country has many talented pers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found that in the Inmuljeon, Yeonmyeon interestingly introduced various peoples and the hidden side of them who appeared in a history by understanding that the humble patriot, such as An yong-bok, didn`t have a post to stand in the historical presentation based on history and politics which was riddled with a series of a historical story and political strife recorded by the privileged class of high stand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姜希孟의 詩文學 연구

        안장리(An Jang-li)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9 No.-

        In this paper, I tried to studied the friendship of Kang Hui-maeng brothers through their poems. The number of friendship poems between this brothers is sixty nine. The contents of poems is four categories which are family, a government post, a poem and a picture and floriculture. Kang Hui-maeng brothers are the member of distinguished family. Family and Nation is the post of self-realization. Kang Hui-ahn is the eldest son. He is seven years older than Kang Hui-maeng. He have the important position in his family. But his son died at an early age and Hui-ahn was impeached for a plotting treason. Kang Hui-maeng wrote about getting a son and losing him. He complained about his situation through the poetry with his relatives and sought a Utopia. The limitation of Kang Hui-ahn was not his ability but his destiny. They communicated by poems, paintings and gardening. Kang Hui-maeng brothers were unrivaled in these fields at that time. Kang Hui-ahn thought that painting and floriculture were humble thing. However Kang Hui-maeng enjoyed those things with his brother. Kang Hui-maeng request Hui-ahn's painting frequently and compiled Yanghwa-sorok. It was the exploits of Hui-maeng that Hui-ahn could achieve his own world of paintings, writings and gardening.

      • KCI등재후보

        소상팔경(瀟湘八景) 수용과 한국팔경시의 유행 양상

        안장리(An, Jang-L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4 한국문학과 예술 Vol.13 No.-

        중국 소상팔경 문화는 한국에 유행하여 문학, 미술, 조경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소상팔경문화가 한국에 유행한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문학 분야 한국팔경시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살펴보았으며, 일상성과 전범성의 원리에 의해 한국팔경시가 유행하게 되었음을 밝혔다. 고려 명종대 유입된 소상팔경은 중국 명승인 소상강지역의 여덟 경승을 시와 그림으로 향유하는 탈속적이고 고고한 문화의 전범이었다. 그러나 이규보는 소상팔경시를 시재를 겨루는 도구로 인식하게 하고 소상팔경에 등장하는 기러기를 사람들의 주살을 두려워하는 생활속의 경물로 변화시켜 친근하고 일상적인 경관으로 만들었다. 이제현은 중국에 있으면서 고국의 수도 송도를 팔경시의 대상으로 삼아 팔경의 한국화를 이루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고향, 부임지 등 주변 경관의 일상적인 모습을 팔경시로 읊는 풍조가 유행하게 되었다. 이색은 자신의 고향인 한산을 팔경의 대상으로 삼아 한산팔경시를 지었고 안축은 자신의 부임지인 삼척을 대상으로 삼척팔경시를 지었다. 한국팔경시의 유행은 한국팔경시의 전범화를 촉진시켜 자신의 목적을 선전하는 도구로서 한국팔경시를 활용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정도전은 새로운 도읍을 팔경시로 노래하였고, 김종직은 자기 고향 사람들의 유교 생활 실천을 천양하였다. 심지어 수양을 중요시한 사림들이 은거지에서의 수양생활을 팔경의 대상으로 삼는데 까지 이르렀으며, 임금 또한 자신의 후원공간을 팔경의 대상으로 삼는 등 한국팔경시는 일상화와 전범화의 원리에 의해 지역과 계층을 초월하여 유행하게 되었다. The Chinese culture of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in vogue in Korea and had enormous impacts on Korean culture, art, and landscaping. What were the reasons behind its fash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s through the Palgyeong poetry of Korea and found that the poetry was in vogu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ordinariness and canonicity. Being introduced in Go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ere a canon of unworldly and aloof culture to enjoy the eight picturesque sceneries of the Xiaoxiang River, one of the scenic spots in China, through poems and paintings. Lee Gyu-bo made the poetry of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perceived as a tool to compete over poetic materials and turned the wild geese in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to the natural features in life that were afraid of human arrows, thus making them as part of the familiar daily landscape. Staying in China, Lee Je-hyeon made Palgyeong a Korean style with the Palgyeong poems on Songdo, the capital of his home country. There was a trend in vogue which depicted the daily aspects of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one"s hometown and new post with Palgyeong poems. Lee Saek wrote Hansan Palgyeong poems with Hansan, his hometown, as the object of Palgyeong. Ahn Chuk wrote Samcheok Palgyeong poems with his new post Samcheok as the object. The fashion of Korean Palgyeong poetry facilitated its canonization and thus resulted in cases of using it as a tool to promote one"s goals. Jeong Do-jeon sang about the new capital with Palgyeong poems, and Kim Jong-jik spread the practice of Confucian life among the people of his hometown. Even the Sarims that valued cultivation made their cultivation life at the retirement places the object of Palgyeong, and the kings made their back gardens the object of Palgyeong. Those cases indicate that the Korean Palgyeong poetry was in vogue regardless of region and social clas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opularization and canonization.

      • KCI등재

        야사서(野史書)에 나타난 구치관(具致寬) 기록의 왜곡양상 고찰

        안장리(An, Jang-Li)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20 No.-

        본고의 목적은 역사 기술에 있어서 정권을 잡은 세력 중심의 역사서술도 왜곡되기 쉽지만 이를 바로세우기 위해 쓴다는 역사서술 역시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역대 야사에서 기존 야사를 인용하거나 정리하는 술이부작(述而不作)의 방식임을 내세웠으나 실제 내용에서는 편찬자의 의도에 의해 구치관을 계유정난의 주동자요 반대세력을 잔혹하게 처단한 추살자로 왜곡시키고 있음을 밝혔다. 윤순거의 노릉지와 이정형의 동각잡기의 계유정난 당일 기록에서는 구치관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청야만집에서 동각잡기를 주로 인용하면서 동각잡기에서 ‘무사(武士)’로 표현된 부분을 구치관·홍윤성(洪允成)·유수(柳洙) 등으로 구체화하였고, 연려실기술에서는 청야만집에서 주로 기술되었던 부분을 본문으로 처리하고 별도의 출처를 표시하지 않 아 일반적인 사실로 인식하게 하였음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야사서 편찬자들이 이렇게 서술한 이유를 시비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된다는 송시열의 암시, 계유정난 당시 신하들을 추살한 인물과 도구,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구체성을 높이려던 야사 편찬자의 의욕 등으로 추정하였다. 아울러 야사 편찬자들이 의욕적으로 이를 구체화하고 본문화한 이유는 구치관 등이 계유정난 당일 무사적인 거취를 보이거나 계유정난 이후 변방의 장수로 발탁된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본래 구치관 관련 기록은 계유정난의 부당성에 공감하는 조선후기 사찬 편찬자들이 역사 바로잡기의 일환으로 집필되었으나 송시열과 같은 비중있는 독자의 지적과 구체성을 높이려는 의욕 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역사를 왜곡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a need to reconsider historical descriptions intended to straighten out distorted historical descriptions that could be easily made by the regime with power. It set out to demonstrate that the compilers of unofficial history distorted the facts about Gu Chi-gwan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by recording that he was the leader of Gyeyujeongnan and murderer that killed the opposing force brutally even though their unofficial history was said to follow the method of just describing and no making up to cite and sort out the old unofficial history. There was no mention about Gu in the records of the day when Gyeyujeongnan broke out in Noreungji by Yun Sun-geo and Donggakjabgi by Lee Jeong-hyeong. Mainly citing Donggakjabgi, however, Cheongyamanjip specified the part that was written with warriors in Donggakjabgi by mentioning Gu Chi-gwan, Hong Yun-seong, and Yu Su. Yeonryeosilgisul included most of the records of Cheongyamanjip in its main body and did not mention the source separately, thus making the readers take them as general facts. There were two major reasons why the compilers of these unofficial history books described him in that way: one was the suggestion of Song Si-yeol that argued they should not be afraid of distinguishing right from wrong; and the other was their enthusiasm to increase specificity by mentioning the figures, tools, and methods involved in the murder of subjects during Gyeyujeongnan. In addition, the compilers of unofficial history specified them and included them in the main body enthusiastically because Gu and his colleagues took a position of warriors on the day of Gyeyujeongnan and were appointed as frontier commanders after the revolt. In the second part of Joseon, the compilers of private publications wrote books on Gu Chi-gwan to straighten out the history based on their common opposition to the injustice of Gyeyujeongnan, but they eventually made an error of distorting history themselves due to the comments of important readers such as Song Si-yeol and their own enthusiasm to increase the specificity of their records.

      • KCI등재후보

        英祖御製 帖本 律文의 종류와 주제

        안장리(An Jang-li)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6

        이 논문은 영조어제 첩본 율문의 종류와 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조어제는 간본과 첩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만년 영조의 작품은 대부분 첩본으로 보관되어 있다. 영조어제가 첩본으로 보존된 것은 일차적으로 영조의 효심에서 비롯되었다. 즉 선왕인 숙종보다 많은 시문을 지을 수 없다고 하여 작품마다 첩으로 만들도록 하였던 것이다. 영조는 전통적인 시문을 짓지 않은 대신 독특한 산문과 율문의 작품을 남겼는데 율문의 형식은 3언, 4언, 5언, 6언, 잡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중에는 3언율문이 가장 많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영조가 왜 굳이 3언 율문을 선택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른 갈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율문 3언 형식과 연관된 자료로는 실록의 비망기, 3언 한시, 악장, 가사 등을 들 수 있는데 비망기에는 신하와의 문답에서 3언으로 기록된 경우가 산견되었다. 3언한시는 중국이나 한국에서 별로 유행하지 않았던 형식임을 확인하였다. 악장에서는 3언으로 이루어진 면이나 음악적 성격 등에서 관련성을 찾았다. 3언 율문의 교술성과 내외 3언을 1구로 설정하여 100언으로까지 확장된다는 점을 가사에 가까운 특성으로 보았다. 이처럼 다양한 갈래와 연관성을 보이는 영조어제첩의 율문은 영조에게는 눈어둡고 귀어두운 만년임에도 하루에 몇 편씩 지을 정도로 익숙한 글쓰기였다. 영조어제 첩본의 주제는 늙고 병들어 늘 약을 끼고 살았던 만년의 한탄이 주조를 이룬다. 자신의 처지에 대한 한탄과 세상에 대한 불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신에 대한 한탄으로 노년의 처지, 질병의 고통, 가족에 대한 추모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조 어제 첩본의 독특한 양식은 효심에서 시작되었으나 자기에게 맞는 문체의 창조로 나아갔다. 즉 3언 율문은 오랜 실험 과정을 거쳐 80세에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는 한문으로 표현되었지만 우리 정서에 맞는 가창 방법 모색의 일환으로 수립되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영조어제 첩본 5천여편이 십년도 안된 짧은 기간에 창작될 수 있었던 것은 대상 중심에서 자기중심으로 전이되었으며, 특별한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일상적 경험과 추억을 그대로 읊었기에 하루에도 몇 편씩 자술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The paper intends to explain the form and subject of the poetry in King Yongjo's album. The works of King Yongjo was composed with book and album. and the most of that is album. Yongjo did not want to write more works than his father. So he write differnet style. It is composed with three chinese charicters, four chinese charicters, five chinese charicters, six chinese charicters, mix chinese charicters. The most of that is three chinese charicters, At first, he write four chinese charicters for the most part. But after A.D.1771, he write three chinese charicters, The form of three chinese charicters is various. The first is the Bi mang gi (備忘記) that is recorded in Veritable Records of Choseon dynasty. The second is three chinese charicters which was ancient chinese poems. The Third is music texts which existed at early Choseon dynasty. The forth is Gasa(歌辭) which was extended until 100 characters. The subject of three chinese charicters is four. The first is lamenting for the later life. The second is physical pain with disease. The third is look back upon the memory of his late familly. The forth is discontented with the way of the world.

      • KCI등재

        야은 길재에 대한 추숭과 비판에 대한 연구

        안장리(An, Jang-Li)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유교국가인 조선시대 역사기록은 왕조중심으로 씌어졌고 자신이 속한 왕조의 입장에서 씌어질 수밖에 없었다. 길재는 왕조초기의 추숭, 사림시대도통의 제2인자로의 옹립과 추숭, 그리고 18세기 왕들과 서민교화의 전범으로서의 추숭 등 조선 전시대에 걸쳐 절대적인 추숭을 받았다. 남효온, 박세채 등에 의해 은연 중에 신씨를 섬긴 인물, 삼년상을 치를 필요 없는 스승에 대해 삼년상을 행한 인물 등으로 평가받기도 했으나 이런 논란에 대해서도 이황, 정경세, 안정복 등 당대 인사들로부터 옹호를 받았다. 이황은 공민왕이 우왕을 후계로 인정하였으므로 신씨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고, 정 경세는 신씨설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이 많다고 하였으며, 안정복은 신씨라는 설에 대해 논평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여 신씨설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나아가 길재와 정몽주와 같은 위인이 섬겼다면 신씨일리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신씨 조작설에 힘을 실어주었다. 본고에서는 길재 절의 추숭에 대한 시대적 변모를 정리했을 뿐 아니라 길재의 절의에 대한 논란을 통해 단편적으로 남아있는 역사기록의 한계, 세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역사기록의 맹점 등을 극복하는 과정도 확인할수 있었다. Built on the ideas of Confucianism, Chosun and it’s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around the kings. The historical records were only possible to be written in the perspective of the king during the time of documentation. It would not be considered overly exaggerated to state that Gil-Jae was praised after his death without further questioning during the entire Chosun Dynasty. Gil-Jae has been posthumously praised and enthroned as second-in-command of the Do-tong during the era of the Confucian scholars. He was also recognized after his death during the early years of Chosun, and recalled by his reformation act of the people and the kings during the 18th century. On the contrary, Kil-Jae was also denounced by critiques. He was well-known for serving Shin through Nam Hyo-on, Park sae-chae, etc and mourning a teacher, who did not need to be recognized as a person of a third year memorial service, for three years. However, even after the negative judgements, the most recognized and eminent persons during the times of Chosun such as Lee Hwang, Ahn Jung-Bok, Jung Gyung-se, etc appraised that Kil-Jae should be highly respected by his fidelity to principle, integrity and honor. Lee Hwang stated that King Gong-min has accepted King Woo as his successor and Jung Kyung-se announced that there are many who are doubtful towards the rumors of Shin. Ahn Jung-bok wanted more comments and further discussions regarding the rumors of Shin and heavily criticized such rumors. Ahn Jung-bok added his indication that if great men like Kil-Jae and Jung Mong-Joo served as followers, it would not have been Shin; Ahn empowered Shin’s fabricated story. This research will discuss the Kil-Jae’s posthumous praises about his fidelity to principle, integrity and honor have changed through tim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the affect of loopholes through different social conditions, etc of historical documents by looking into the arguments and controversies of Kil-Jae’s fidelity.

      • KCI등재

        조선시대 정몽주 숭모 양상 고찰 : 국왕을 중심으로

        안장리(An, Jang-li)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포은집』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포은 숭모 양상을 고찰하는 한편 이를 다시 개인 차원의 숭모, 국가 차원의 숭모, 가문대상의 숭모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전기의 성종과 중종, 조선후기의 선조와 숙종 그리고 영조 등은 조선의 기틀을 세우고 국난으로 무너진 기강을 재건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유교국가로서 조선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정몽주 숭모에 남다른 정성을 드렸다고 할 수 있으나 조선 태종대 이후 역대 국왕 중에 개인 차원의 숭모, 국가 차원의 숭모, 가문대상의 숭모를 수행하지 않은 왕은 없음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가치인 충절과 유학의 표상인 정몽주 가문을 유지 존속시키고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치제를 수행한 조선 역대 국왕의 숭모행위가 특정 국왕의 개별적 행위라기보다는 조선이라는 국가유지를 위해 수행해야 할 역대 조선국왕의 기본적인 업무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atterns of admiring Poeun among the kings of Joseon and classified them into admiration at the individual, national, and family level with a focus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 and Poeunjip. The findings show that Kings Seongjong and Jungjong in the former part of Joseon and Kings Seonjo, Sukjong, and Yeongjo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put their whole minds to the admiration of Jeong Mong-ju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Joseon, rebuild the discipline that fell due to a national crisis, and emphasize Joseon s identity as a Confucian state. Since King Taejong, all the kings of Joseon admired Jeong at the individual, national, and family level.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kings of Joseon engaged in the act of admiring Jeong Mong-ju, who represented loyalty, one of Joseon s representative values, and was a model of Confucianism, by keeping and maintaining his family and supporting his memorial service with financial aids as part of their basic duties as a king of Joseon to maintain the state rather than a personal practice by certain kings.

      • KCI등재

        영조어제의 봉모당 소장 양상 고찰

        안장리(An, Jang-li)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본 논문에서는 영조어제 현황과 봉모당의 소장양상을 고찰하였다. 영조어제는 문집, 열성어제, 刊本, 帖本 등 4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문집을 시기별로 구분하면,『어제』 상(1714년~1747년 11월), 『영종대왕어제속편』(1758년 6월~1761년 6월), 『영종대왕어제』(1761년 8월~1763년 7월), 『어제』 하(1763년 8월~1764년 7월), 『集慶堂編輯』(1764년 11월~1767년 9월), 『속집경당편집』(1768년~1770년 8월). 『英宗大王御製拾遺』(1725~1776) 등이다. 이들은 정조 대 건립된 봉모당에 보관되었으며, 철종 대 이건된 봉모당에서 『집경당편집』만 후고에 보관되고 다른 어제들은 봉모당에 그대로 보관되었다. 『열성어제』의 영조어제는 先王인 숙종보다 많은 작품을 남길 수 없다는 이유로 1714년부터 1758년까지의 어제만 편찬하였고, 이를 영조 사후에 간행하였다. 이 역시 철종 대에는 후고에 보관되었다. 영조어제첩본은 『奉謨堂奉安御書總目』에 의하면 1741년부터 1776년까지의 어제로 이루어져 있으나 1770년 이후의 작품이 대부분이며 봉모당에 26개 함에 보관되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영조어제간본은 『奉謨堂奉藏書目』에 의하면 1741년 〈御製大訓〉 간행 이후 1776년까지 수시로 간행되었다. 역시 봉모당에 2개의 함에 보관되어 왔다. 현재 영조어제는 대부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영조의 문집, 영조어제첩 등은 『英祖 · 莊祖文集』, 『英祖文集補遺』, 『英祖御製解題』 등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하였고, 영조어제간본, 열성어제 등은 『英祖御製訓書』, 『열성어제』 등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출판한 바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e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Bongmodang’s possession patterns of them. His creations consist of four types, which are his collections of works, Yeolseong creations, Gan versions and Cheop versions. His collections of works were divided by the period, and they were “Eoje” Sang (1714~November, 1747), “Yeongjongdaewangeojesokpyeon” (June, 1758~June, 1761), “Yeongjongdaewangeoje” (August, 1761~July, 1763), “Eoje” Ha (August, 1763~July, 1764), “Jipgyeongdangpyeonjip” (November, 1764~September, 1767), “Sokjipgyeongdangpyeonjip” (1768~August, 1770), and “Yeongjongdaewangeojeseupyu” (1725~1776). They were housed at Bongmodang that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Only “Jipgyeongdangpyeonjip” was transferred to the Hugo of Bongmodang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with the remaining creations preserved at the original one. In “Yeolseongeoje,” King Yeongjo’s creations only between 1714 and 1758 were published because he believed it would be wrong to publish more works than his predecessor King Sukjong. They were published after his death and housed at Hugo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According to “Bongmodangbonganeoseochongmok,” the Cheop versions of his creations included the ones created between 1741 and 1776 with most of them created after 1770. They were kept in 26 boxes at Bongmodang. According to “Bongmodangbongjangseomok,” the Gan versions of his creations were frequently published from 1741 when “Eojedaehun” was published to 1776. They were kept in two boxes also at Bongmodang. Today most of King Yeongjo’s creations are housed at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is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Eoje Cheops were published into “Collections of King Yeongjo’s and King Jeongjo’s Works,” “Boyu of King Yeongjo’s Collection of Works” and “Haeje of King Yeongjo’s Creations”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Gan versions of his creations and Yeolseong Eojes were published into “Hunseo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Yelseongeoje” by Kyujanggak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