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호사의 경관영양 공급에 대한 인식과 수행: 경관영양 지침 적용 전 개선점 파악
안은미,이형순,유지형,지수나,권국환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7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배경 및 목적: 입원환자의 영양지원은 환자회복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환자에게 필요한 영양을 제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영양공급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지식을 가지고 환자에 맞는 영양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경관영양 공급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 지식, 경관영양 관련 간호수행을 파악하고, 경관영양 지침 적용 전 개선해야 할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의 중환자실 및 일반병동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4월 30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지를 돌려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Americ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과 Europ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에서 권장하는 경관영양공급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경관영양에 대한 인식, 지식, 간호행위와 관련된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 L-tube 의 위치 확인, 경관영양 투여 전 환자 확인, 최소 상체 거상 정도, 영양액의 실온 노출시간에 대한 지식은 대다수의 간호사들이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후 거상 유지 시간은 8%의 낮은 정답률을 보였고, 경관영양 투여 전 손 위생방법에 대해서는 모든 경관영양 수행 시 손을 씻고 장갑을 착용해야 하나,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는 2%에 불과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위 잔여량 보고 기준에 대해서는 75% 의 간호사들이 50cc 이상 이라고 대답하여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장 영양 전후 영양관 관류에 대해서는 최소 30cc 이상의 관류액으로 관류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30cc 미만의 관류액으로 관류하는 간호사들이 30~40%로 확인되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간호사들은 경관영양에 지식이 아직 부족하고 현재 권고되는 경관영양공급 지침과 다른 간호수행을 보이는 부분이 많았다. 또한 간호사들마다 경관영양공급 지식 및 수행에 대해 서로 다른 대답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경관영양 프로토콜 적용 전에 경관영양 지침에 대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경관영양공급에 대한 최신 지견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며, 하나의 통일된 지침을 가지고 경관영양공급 간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미치는 영향
안은미,허정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Research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lifelong learning for middle-aged women should be expanded to help middle-aged women understand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restore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s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 social activities is expanding,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learning,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among middle-aged women.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life of middle-aged wom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lifelong learning variables such as lifelong learning competenc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se three lifelong learning. And that it has a causal influence. Based on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 model, we extracted the relev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a resul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were directly influenced. Was found to be indirectly influenc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ffects positive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middle-aged women are not effective in recognizing the quality of life if they do not feel satisfied by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ctive support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o increas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and increase satisfaction with learning outcomes in runn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들이 정체성을 이해하고 정립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중년여성들의 사회활동 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평생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지만 중년여성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역량, 평생학습 참여동기, 평생학습만족도 등 평생학습 관련변인에 따라 중년여성의 삶의 인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세 가지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상호인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가설적 인과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을 추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평생학습 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평생학습역량은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평생학습활동에의 참여는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년여성들이 실제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하여 만족도를 느끼지 못한다면 삶의 질을 인지하는 데 있어서는 효과가 없는 것 또한 사실로 판명되었다.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는 평생학습에의 참여동기를 부여해주고 학습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노후준비교육 참여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변화
안은미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노후준비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 함에 있다 평생학습관을 이용하고 있는 중년여성 . 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12주 동안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갔다. 성공적 노화 요소인 자기효능감, 노화수용, 적극적 사회활동, 가족지향에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과거의 삶을 돌이켜 볼 수 있었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양한 만남을 통해 적극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사회활동의 중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삶의 일부로 생각하여 순응해 나갔다. 나이들어가면서 배우자와 자녀들에게 관심받기를 요구했던 자세에서 가족에게 먼저 관심을 보이게 되면서 가족지향으로 변화되어 갔다. 이 연구에서 조사 분석된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노후준비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기효능감, 노화수용, 적극적 사회활동, 가족지향 등과 관련된 성공적 노화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 변화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i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Fourteen middle-aged women using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a 12-week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as changed. Changes in perception were found in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elf-efficacy, aging acceptance, active social activity, and family orientation. Participation in the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elped to look back on past life and restore confidence. Strongl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live actively through various encounters. They accept aging naturally, think it as a part of life, and adapt. They were asked to be interested in husband and children, but as they showed interest in family first, became a family-orien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related to self-efficacy, aging acceptance, active social activities, and family orientation. Therefore, the ag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seen as an effective program for the change of successful aging awareness of middle-aged women.
두릅 추출물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HPLC 분석법 검증
안은미,최송암,최지영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 No.
Aralia elata Seemann (AE) has long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diabetes mellitus, anti-arthritic, and anti-gastric ulcer agent in Korea, Japan, and Chin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simple and reliable HPLC/UV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ost active anti-hypertensive compound, a 3-O-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 hederagenin 28-O-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ester (HE)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shoot extract of AE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gredient. The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of HE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reverse-phase C18 column at 40℃ with H2O and acetonitrile (70:30, v/v) as an isocratic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1.0 mL/min and detection wavelength of UV 205 nm. This HPLC/UV analytical method showed good specificity and high linearity in the tested range of 0.03125-2.0mg/ml with excellen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99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were 12.0 μg/mL and 36.5 μg/mL, respectively.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data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0.2% and 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HPLC/UV analytical method is very simple, specific, precise, accurate, and reproducible and thus can be usefu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HE as a functional anti-hypertensive compound in AE extract.
부모에게 의존하는 미혼 독신들을 위한 자립과 부양 과제 탐색
안은미,허정무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0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6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미혼 독신들이 부모 의존에서 벗어나 독립할 수 있는 지원 방안 및 새로운 가족관계 설정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중소도시의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다음 세 가지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결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미혼 독신으로 지내는 성인 남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부모에게 계속 의존하면서 지내고 있음에 따라 경제적으로 비교적 풍족한 미혼 독신들의 증가하고 있다. 셋째, 남성의 경우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반대로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경향이 있다. 부모의 부양, 간호에 대해서는 과반수가 찬성하고 있다. 간호에 대해서는 높은 찬성률을 보이지만 경제적 부양에 대해서는 지지율이 다소 낮은 편이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미혼 독신들의 자립을 지원하는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고령사회로 진행하면서 부모 세대와 성인자녀 세대 모두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태도 전환 및 노년준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exploring self-reliance and support tasks for parent-dependent sing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tried to suggest ways to support unmarried singles outside their parents' dependence and to establish new family relationship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orking in large companies in small and medium cities. First, as the marriage value view that marriage is not a necessity is recently formed, the proportion of unmarried men and women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marriage age. As women's ability to change their lives, being highly educated, low wages and high marriage costs have led to the avoidance of marriage. Second, economically and materially rich unmarried singles are showing their lifestyles instead of receiving sufficient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ird, males tend to be economically dependent on their parents as their age increases, whereas females tend to be economically independent. More than half support parental support, nursing and living with parents. While support for nursing is high, support for economic stimulus is rather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adult children designed to help them to becom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long with an imploved attitude toward preparing for aging of both parents and adults are suggested. We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old age prepar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