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eam Shaping by Independent Jaw Closure in Steveotactic Radiotherapy

        안용찬,조병철,최동락,김대용,허승재,오도훈,배훈식,여인환,고영은,Ahn Yong Chan,Cho Byung Chul,Choi Dong Rock,Kim Dae Yong,Huh Seung Jae,Oh Do Hoon,Bae Hoonsik,Yeo In Hwan,Ko Young E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서론 :정위방사선치료는 높은 정밀도로 크기가 작고 구형인 병변에 국한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병변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병변 주변의 정상조직에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립턱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방사선량 분포를 개선하는 방법, 선량계산과 선량분포의 도시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정위방사선치료 시의 호의 궤적상 병변은 방사선조사영역 내에 포함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을 최대한 차폐하도록 원형 콜리메이터와 독립턱 부분페쇄를 적절히 조합하였다. 물 펜톰과 마이크로 전리함을 이용하여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를 측정하여 이론적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필름선량측정계를 이용하여 5 cm 깊이에서의 심부선량분포를 측정하여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자료를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뇌전이 환자의 정위 방사선치료 선량계산과 도시에 적용하여 원형 콜리메이터만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추가하였을 경우의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 5.0 cm 직경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고 한 쪽 독립턱을 중심축으로부터 30 mm, 15.5 mm, 8.6 mm, 0 mm 까지 열었을 때 측정한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는 계산치와 각각 0.5%와 0.3%의 오차범위로 잘 부합하였다. 필름선량계로 얻은 5 cm 깊이의 심부선량분포도 역시 계산치와 잘 부합하였다.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으로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정위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독립턱의 부분폐쇄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계획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규칙한 병변에 대하여도 정위방사선치료를 확대 적용할 수 있겠다. Purpose :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RT) can deliver highly focused radiation to a small and spherical target lesion with very high degree of mechanical accuracy. For non-spherical and large lesions, however, inclusion of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ithin the high dose radiation volume is inevitable in SRT This is to report the beam shaping using the partial closure of the independent jaw in SRT and the verification of dose calculation and the dose display using a home-made soft ware. Materials and Methods : Authors adopted the idea to partially close one or more independent collimator jaw(5) in addition to the circular collimator cones to shield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hile keeping the target lesion within the radiation beam field at all angles along the arc trajectory. The output factors (OF's) and the tissue-maximum ratios (TMR's) were measured using the micro ion chamber in the water phantom dosimetry system, and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A film dosimetry procedure was peformed to obtain the depth dose profiles at 5 cm, and they were also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where the radiation dose would depend on the actual area of irradiation. Authors incorporated this algorithm into the home-made SRT software for the isodose calculation and display, and was tried on an example case with single brain metastasis. The dose-volume histograms (DVH's) of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the normal brain derived by the control plan were reciprocally compared with those derived by the plan using the same arc arrangement plus the independent collimator jaw closure. Results : When using 5.0 cm diameter collimator, the measurements of the OF's and the TMR's with one independent jaw set at 30 mm (unblocked), 15.5 mm, 8.6 mm, and 0 mm from th central beam axis showed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 within 0.5% and 0.3% error range. The dose profiles at 5 cm depth obtained by the film dosimetry also showed very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The isodose profiles obtained on the home-made software demonstrated a slightly more conformal dose distribution around the target lesion by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where the DVH's of the PTV were almost equivalent on the two plans, while the DVH's for the normal brain showed that less volume of the normal brain receiving high radiation dose by using this modification than the control plan employing the circular collimator cone only. Conclusions : With the beam shaping modification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authors have realized wider clinical application of SRT with more conformal dose planning. Authors believe that SRT, with beam shaping ideas and efforts, should no longer be limited to the small spherical lesions, but be more widely applied to rather irregularly shaped tumors in the intracranial and the head and neck regions.

      • SCOPUSKCI등재

        Beam Shaping by Independent Jaw Closure in Stereotactic Radiotherapy

        안용찬(Yong Chan Ahn),조병철(Byung Chul Cho),최동락(David R. Choi),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Jae Huh),오도훈(Do Hoon Oh),배훈식(Hoonsik Bae),여인환(In Hwan Yeo),고영은(Young Eun K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Introduction: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RT) can deliver highly focused radiation to a small and spherical target lesion with very high degree of mechanical accuracy. For non-spherical and large lesions, however, inclusion of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ithin the high dose radiation volume is inevitable in SRT. This is to report the beam shaping using the partial closure of the independent jaw in SRT and the verification of dose calculation and the dose display using a home-made soft ware. Materials & Methods: Authors adopted the idea to partially close one or more independent collimator jaw(s) in addition to the circular collimator cones to shield the neighboring normal structures while keeping the target lesion within the radiation beam field at all angles along the arc trajectory. The output factors (OF's) and the tissue-maximum ratios (TMR's) were measured using the micro ion chamber in the water phantom dosimetry system, and we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A film dosimetry procedure was performed to obtain the depth dose profiles at 5 cm, and they were also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where the radiation dose would depend on the actual area of irradiation. Authors incorporated this algorithm into the home- made SRT software for the isodose calculation and display, and was tried on an example case with single brain metastasis. The dose-volume histograms (DVH's) of the planning target volum e (PTV) and the normal brain derived by the control plan were reciprocally compared with those derived by the plan using the same arc arrangement plus the independent collimator jaw closure. Results : When using 5.0 cm diameter collimator, the measurements of the OF's and the TMR's with one independent jaw set at 30 mm (unblocked), 15.5 mm, 8.6 mm, and 0 mm from the central beam axis showed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 within 0.5% and 0.3% error range. The dose profiles at 5 cm depth obtained by the film dosimetry also showed very good correlation to the theoretical calculations. The isodose profiles obtained on the home-made software demonstrated a slightly more conformal dose distribution around the target lesion by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where the DVH's of the PTV were almost equivalent on the two plans, while the DVH's for the normal brain showed that less volume of the normal brain receiving high radiation dose by using this modification than the control plan employing the circular collimator cone only. Conclusion : With the beam shaping modification using the independent jaw closure, authors have realized wider clinical application of SRT with more conformal dose planning. Authors believe that SRT, with beam shaping ideas and efforts, should no longer be limited to the small spherical lesions, but be more widely applied to rather irregularly shaped tumors in the intracranial and the head and neck regions. 서 론 : 정위방사선치료는 높은 정밀도로 크기가 작고 구형인 병변에 국한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병변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병변 주변의 정상조직에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립턱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방사선량 분포를 개선하는 방법, 선량계산과 선량분포의 도시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정위방사선치료 시의 호의 궤적상 병변은 방사선조사영역 내에 포함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을 최대한 차폐하도록 원형 콜리메이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절히 조합하였다. 물 펜톰과 마이크로 전리함을 이용하여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를 측정하여 이론적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필름선량측정계를 이용하여 5 cm 깊이에서의 심부선량분포를 측정하여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자료를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뇌전이 환자의 정위 방사선치료 선량계산과 도시에 적용하여 원형 콜리메이터만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추가하였을 경우의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 : 5.0 cm 직경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고 한 쪽 독립턱을 중심축으로부터 30 mm, 15.5 mm, 8.6mm, 0 mm 까지 열었을 때 측정한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는 계산치와 각각 0.5%와 0.3%의 오차범위로 잘 부합하였다. 필름선량계로 얻은 5 cm 깊이의 심부선량분포도 역시 계산치와 잘 부합하였다.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으로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정위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독립턱의 부분폐쇄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계획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규칙한 병변에 대하여도 정위방사선치료를 확대 적용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안와 및 안부속기 악성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지준영,안용찬,김윤덕,Jun-Young Ji,Yong-chan Ahn,Yoon-Duck Kim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2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orbital and ocular adnexal malignant lymphoma and the effectiveness of radiotherapy for its treat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4 eyes in 4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orbital and ocular adnexal malignant lymphoma and who underwent radiotherapy. Results: The main symptoms of malignant lymphoma patients were conjunctival mass, lid mass, lid swelling, and exophthalmos. Histopathologically, MALT-lymphoma was the most common in 39 patients (88.6%). In all 54 eyes of the 44 patients, the mass either decreased or disappeared completely after radiotherap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 months, ranging from 4 to 68 months. There was no recurrence of malignant lymphoma in the orbit or ocular adnexa during this period. However, there were three cases where the tumor recurred in other systemic organs. Complications of radiotherapy included mild punctate epithelial erosion, xerophthalmia, cataract, and retinopathy. Conclusions: Localized radiotherapy is an effective and safe way to treat malignant lymphoma of the orbit and the ocular adnexa. In order to decrease complications, the use of lens shielding and optimized radiation amount should be considered.

      • SCOPUSKCI등재

        Sequential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II Nasal Natural Killer/T Cell Lymphoma

        노영주(Young Joo Noh),안용찬(Yong Chan Ahn),김원석(Won Seog Kim),고영혜(Young Hyeh K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초기 병기 비강 natural killer/T-cell 림프종에 대한 CHOP 항암화학요법과 국소 방사선치료의 순차적 적용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9년 12월 사이에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종양센타에 비강 I/II 병기natural killer/T-cell 림프종으로 등록된 17명의 환자들 중 14명의 환자들에 대하여 순차적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적용하였고 이들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치료방침은 우선 CHOP 항암화학요법을 3주 간격으로 3∼ 4회 시행한 후 5주간에 걸쳐 육안적 병변과 인접한 림프절 부위에 대한 국소 방사선치료를 추가하는 것이었다. 결 과: 방사선치료의 시작 전에 시행한 국소종양의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평가는 50%의 환자들에서 양호한 반응(완전관해 5명+부분관해 2명)을 보였고 나머지 50%의 환자들에서는 병변이 진행하였다. 6명의 환자에서 국소재발이 나타났는데 이들 중 2명은 원격전이를 동반하였고, 영역 림프절 재발을 수반한 경우는 없었다. 3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50.0%와 42.9%였으며, 모든 사망과 재발사례는 치료개시 후 13개월 이내에 발생하였다. 예후인자의 단변량 분석에서 ‘B’ 증상이 없는 경우, 항암화학요법과 전체 치료방침에 양호한 반응을 보인 경우, 국제예후지표상 저위험군 등이 양호한 생존율과 관련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의 치료방침에 의한 결과는 과거의 방사선치료 단독 또는 방사선치료 후 항암화학요법 추가에 따르는 결과들과 비교해 볼 때 재발양상과 생존율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없었다. 따라서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새로운 병용방법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망된다. Purpose: Authors would report the results of sequential CHOP chemotherapy (cyclophosphamide, adriamy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and involved field radiotherapy (IFRT) for early stage nasal natural killer/T-cell lymphoma (NKTCL).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among 17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tumor registry with stage I and II nasal NKTCL from March 1995 to December 1999 received this treatment protocol. Three to four cycles of CHOP chemotherapy were given at 3 weeks' interval, which was followed by local IFRT including the known tumor extent and the adjacent draining lymphatics. Results: Favorable responses after chemotherapy (before IFRT) were achievable only in seven patients (5CR's+2 PR's: 50%), while seven patients showed disease progression. There were six patients with local failures, two with distant relapses, and none with regional lymphatic failure. The actuarial overall surviva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at 3 years were 50.0% and 42.9%. All the failures and deaths occurred within 13 months of the treatment start. The factors that correlated with the improved survival were the absence of‘B’ symptoms, the favorabl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overall treatment, and the low risk by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on univariate analyses.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historic treatment results by IFRT either alone or followed by chemotherapy, the current trial failed to demonstrate advantages with respect to the failure pattern and survival. Development of new treatment strategy in combining IFRT and chemotherapy is required for improving outcomes.

      • KCI등재후보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초기 치료결과 보고

        신성수,안용찬,전호경,이우용,강원기,박영석,박준오,송상용,임도훈,박원,이정은,강민규,박영제,Shin, Seong-Soo,Ahn, Yong-Chan,Chun, Ho-Kyung,Lee, Woo-Yong,Kang, Won-Ki,Park, Young-Suk,Park, Joon-Oh,Song, Sang-Yong,Lim-Do-Hoon,Park, Won,Lee, J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2

        목적: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 요법의 초기 치료성적과 급성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4월까지 T3또는 T4 병기의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완전절제가 어렵거나, 종양이 하부직장에 위치하여 수술 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불가능하리라고 예견된 40명의 환자에게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37명의 환자가 수술 전 치료방침을 완료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전 골반부에 일일 1.8 Gy씩 5주간에 45 Gy를 엎드린 자세로 조사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경구 UFT와 Leucovorin (LV)(12명), 정주 5-fluorouracil (FU)와 LV (10명), 정주 5-FU 단독요법(일시 정주 10명, 지속 정주 5명)을 각각 시행하였다. 수술은 수술 전 치료 종료 후 4$\~$6주경에 예정하였으며 35명에 대해서 수술을 시도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수술 전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높았. (92.5$\%$, 37/40). 수술 전에 간과 폐에 새로운 원격전이가 확인된 2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에서 절제수술을 시도하였고, 22명(62.9$\%$)에서 항문 괄약근의 보존이 가능하였으나, 2명(5.7$\%$)은 개복 후 절제수술을 포기하였다. 절제수술을 시행한 33명 중 30명은 육안적 완전절제를, 1명은 육안적 불완전절제를 시행하였으며 2명은 병리소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수술 및 병리소견에 근거한 병기하강률은 45.5$\%$ (15/33), 절제연 음성 완전절제율은 78.8$\%$ (26/33)였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 도중 급성 부작용으로 Grade 3$\~$4 호중구 감소가 4명(10.8$\%$)에서 발생하였다. 절제수술 후 국소 재발이 12.1$\%$ (4/33), 수술 전 치료방침 완료 후 원격 전이는 21.6$\%$ (8/37)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3년 생존율은 87$\%$였다. 결론: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은 낮은 부작용으로 높은 수술절제율, 병기하강률, 완전절제율, 항문 괄약근 보존율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장기간에 걸친 추적관찰을 요한다. Purpose: To report the early results of preopeartive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RCT) for treating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April 2002, 40 rectal cancer patients who either had lesions with a questionable resectability or were candidates for sphincter-sacrificing surgery received preoperative CRCT. Thirty-seven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RCT course. 45 Gy by 1.8 Gy daily fraction over 5 weeks was delivered to the whole pelvis in the prone position. The chemotherapy regimens were oral UFT plus oral leucovorin (LV) in 12 patients, intravenous bolus 5-FU plus LV in 10 patients, and intravenous 5-FU alone in 15 patients (bolus infusion in 10, continuous infusion in 5). Surgery was planned in 4$\~$6 weeks of the completion of the preoperative CRCT course, and surgery was attempted in 35 patients. Results: The compliance to the current preoperative CRCT protocol was excellent, where 92.5$\%$ (37/40) completed the planned treatment. Among 35 patients, in whom surgery was attempted after excluding two patients with new metastatic lesions in the liver and the lung, sphincter-preservation was achieved in 22 patients (62.9$\%$), while resection was abandoned during laparotomy in two patients (5.7$\%$). Gross complete resection was peformed in 30 patients, gross incomplete resection was peformed in one patient, and n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surgery was available in two patients. Based on the sur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the down-staging rate was 45.5$\%$ (15/33),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with the negative resection margin 78.8$\%$ (26/33). During the CRCT course, grade 3 $\~$4 neutropenia developed in four patients (10.8$\%$). Local recurrence after surgical resection developed in 12.1$\%$ (4/33), and distant metastases after the preoperative CRCT start developed in 21.6$\%$ (8/37). The overall 3-years survival rate was 87$\%$. Conclusion: Preoperative CRCT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is well tolerated and can lead to high resection rate, down-staging rate, sphincter preservation rate, however, longer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흉벽을 침범한 pT3N0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박영제(Young Je Park),안용찬(Yong Chan Ahn),임도훈(Do Hoon Lim),박원(Won Park),김관민(Kwan Min Kim),김진국(Jhingook Kim),심영목(Young Mog Shim),김경주(Kyoung Joo Kim),이정은(Jeong Eun Lee),강민규(Min Kyu Kang),남희림(Hee Lim Nam),허승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흉벽을 침범한 pT3N0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한지의 여부와 적절한 방사선치료의 조사영역에 관 해 서 는 아직 정립된 이론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종양으로부터 수술 절제연까지 충분한 여유를 얻기가 힘들었던 소견으로 방사선치료를 추가한 흉벽침범 pT3N0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흉벽침범 pT3N0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한 환자는 모두 21명이었다.모든 환자들은 근치적 폐절제술과 흉벽절제술과 함께 동측 폐문 및 종격동림프절 곽청술을 시행받았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3˜4주 후에 시작하여 선택적 림프절 방사선조사를 고려하지 않고 원발종양에 의해 침범된 흉벽과 그 주변조직에만 국한하여 최소 54 Gy를 조사 하도록 예정하였다(1회선량 1.8˜2.0 Gy, 주 5회 치료).환자들의 생존율과 재발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무병생존율, 국소종양억제율, 무원격전이 생존율은 각각 38.8%, 45.5%, 90.2%, 48.1%였다.모두 11명의 환자에서 치료실패를 경험하였는데, 원격전이가 6명, 흉곽내재발이 3명, 원격전이와 흉곽내재발의 동시재발이 2명이었다. 흉곽내재발 환자 5명 중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내에서의 국소재발은 2명, 늑막파종이 2명, 종격동 림프절 재발이 1명이었다. 방사선치료와 관련되는 RTOG 3등급 이상의 급성 및 만성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흉벽침범 pT3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완전 절제를 통한 국소제어 인바,수술소견상 충분한 여유 절제연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여 국소 제어율을 높이도록 도모하는 것은 충분한 당위성을 갖는다. 또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에 있어서도 선택적 림프절 방사선 조사를 배제함으로써 영역림프절 재발의 과도한 위험부담 없이도 급성 및 만성 부작용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Purpose: No general consensus has been reached regarding the necessity of post operative radiation therapy(PORT) and the optimal techniques of its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chest wall invasi on (pT3cw) and node negative (N0)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ere trospectively analyzed the pT3cwN0 NSCLC patients who received PORT because of presumed inadequate resection margin on surg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 1994 till June 2000, 21 pT3cwN0 NSCLC patients received PORT at Samsung Medical Center; all of whom underwent curative en-bloc resection of the primary tumor plus the chest wall and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PORT was typically started 3 to 4 weeks after operation using 6 or 10 MV X-rays from a linear accelerator. The radiation target volume was confined to the tumor bed plus the immediate adjacent tissue, and no regional lymphatics were included. The planned radiation dose was 54 Gy by conventional fractionation schedule. The survival rates were calculated and the failure patterns analyzed. Results Overall survival, disease-free survival,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and distant metastases-free survival rates at 5 years were 38.8%, 45.5%, 90.2%, and 48.1%, respectively. Eleven patients experienced treatment failure: six with distant metastases, three with intra-thoracic failures, and two with combined distant and intra-thoracic failures. Among the five patients with intra-thoracic failures, two had pleural seeding, t wo had in-field local failures, and only one had regional lymphatic failure in the mediastinum. No patients suffered from acute and late radiation s i de effects of RTOG grade 3 or higher. Conclusion: The strategy of adding PORT to surgery to improve the probability, not only of local control but also of survival, was justified, considering that local control w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the successful treatment of pT3cw NSCLC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resection margin was not adequate. The incidence and the severity of the acute and late s i de effects of PORT were markedly reduced, which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both during and after PORT, w ithout increasing the risk of regional failures by eliminating the regional lymphatics from the radiation target volume.

      • KCI등재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코인두암 환자에서의 구강건조증 분석

        박영제(Young Je Park),안용찬(Yong Chan Ahn),박원(Won Park),주상규(Sang Gyu Ju),남희림(Heerim Nam),오동렬(Dongryul Oh),박희철(Hee Chu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2

        목 적: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코인두암 환자에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구강건조증의 시간경과 에 따른 변화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2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코인두암 환자에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를 적용한 환자 51명을 설문조사의 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는 3회의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모의치료를 이용한 3단계 치료계획을 시행하는 순차적 조사영역 축소방법을 사용하였고, 총 선량 72 Gy를 목표로 하였다. 구강건조증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점수(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를 측정하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경과시간, 성별, 나이, 병기, 항암치료의 병용유무, 그리고 이하선의 평균 방사선량 등에 따르는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항암치료를 병용한 환자가 40명, 방사선치료 단독환자가 11명이었으며, 방사선치료 후 설문조사까지 경과시간은 중앙값 20 (1∼58)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XQS 점수의 평균은 8.4점(최하 6점, 최고 14점, 표준편차 1.9) 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경과시간에 따라 XQ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χ2=-0.484, p<0.05). 성별, 나이, 병기에 따라 XQS 점수의 차이는 없었고, 항암치료를 병용한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단독 환자와 비교하여 XQS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전체 이하선의 평균선량은 35 Gy 미만에서 35 Gy 이상보다 XQS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코인두암 환자에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 후 측정한 XQS 점수는 방사선치료 후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항암치료를 병용함으로써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이하선에 조사되는 평균선량을 35Gy 미만으로 하는 것이 구강건조증 증상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겠다.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xerostomia following 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 CRT) in nasopharynx cancer patients using the 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 Materials and Methods: Questionnaire study was done on 51 patients with nasopharynx cancer who received 3D CRT from Dec. 2000 to Aug. 2005. 3D CRT technique is based on “serial shrinking field” concept by 3 times of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Total target dose to the primary tumor was 72 Gy with 1.8 Gy daily fractions. Xerostomia was assessed with 4-questions XQS,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XQS and time elapsed after RT, age, sex, stage, concurrent chemotherapy, and parotid dose were analyzed. Results: Concurrent chemotherapy was given to 40 patients and RT alone was given to 11 patients. The median time elapsed after 3D CRT was 20 (1∼58) months and the mean XQS of all 51 patients was 8.4±1.9 (6∼14). XQS continuousl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after 3D CRT (χ2=-0.484,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XQS according to sex, age, and stag. However, XQS of concurrent chemotherapy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RT alone patients (p=0.001). XQS of patients receiving total mean parotid dose ≥35 G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35 Gy (p=0.05). conclusion: Decreasing tendency of XQS over time after 3D CRT was observed. Concurrent chemotherapyand total mean parotid dose ≥35 Gy were suggested to adversely affect radiation-induced xerostomia.

      • SCOPUSKCI등재

        N2 병기 비소세포 폐암의 수술 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

        이규찬(Kyu Chan Lee),안용찬(Yong Chan Ahn),박근칠(Keunchil Park),김관민(Kwhan Mien Kim),김진국(Jhin Gook Kim),심영목(Young Mog Shim),임도훈(Do Hoon Lim),김문경(Moon Kyung Kim),신경환(Kyung Hwan Shin),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 적:N2 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전 동시화학방사선요법과 수술을 적용하여 급성 부작용, 수술절제가능성 및 수술 후 병기 강하율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1997년 5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N2 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은 1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 연령의 중앙값은 61세(45∼67세), 남녀 성비는 12:3 이었으며 세포 조직형은 편평상피암종이 11명, 선암종이 4명이었다. 치료 전 임상적 T병기는 T1, T2, 및 T3가 각각 2명, 12명, 및 1명씩이었으며 모든 환자들이 N2 병기로서 이중 10명은 종격동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을 통하여 종격동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였고 나머지 5명은 흉부 CT 영상 상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강력히 의심된 경우였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는 흉부 CT 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원발 병소, 동측 폐문부 및 종격동 림프절에 대하여 10MV X-선을 이용하여 45Gy를 5주간에 걸쳐서 조사하도록 계획하였다(일회 선량 1.8Gy, 일일 1회, 주 5회). 수술 전 복합화학요법은 cis-Platin(100mg/m2) 을 제 1일에 급속 정주하고 Etoposide(50mg/m2/day)를 제 1일부터 제 14일까지 경구로 2회에 분복하도록 하였으며, 첫 번째 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의 시작일에, 두 번째 화학요법은 4주 후에 시행하도록 계획하였다. 수술은 방사선-복합화학요법의 완료 3주째에 흉부 CT 영상을 얻어 병변의 진행이나 원격전이의 소견이 없음을 확인한 후 시행하였다. 결 과:방사선치료는 15명 모두에서 계획된 목표 선량 45Gy를 조사하였으며, 복합 화학요법은 11명의 환자에서는 계획대로 2회를, 나머지 4명에서는 1회만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치료 방법과 관련하여 1명의 환자가 수술 15일만에 급성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으며 입원치료를 요하는 정도의 급성 부작용의 발현은 방사선폐렴과 호중구 감소로 인한 발열이 각각 1명, 2명이었다. 급성 식도염은 RTOG grade 1이 9명, grade 2가 3명으로 대체로 경미한 편이었다. 총 26회의 복합 화학요법과 관련된 급성 부작용으로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및 빈혈이 각각 26.9%, 7.7%, 3.8%에서 나타났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13명으로 이 중 12명에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하여 수술절제율은 92.3%(12/13) 이었다. 한 명에서는 수술 시 늑막 전이가 확인되어 절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다른 2명은 수술을 거부하였다. 수술 후 병리학적 T병기는 T0, T1, 및 T2가 각각 3명, 6명, 및 3명이었으며 N병기는 N0, N1, 및 N2가 각각 8명, 1명, 및 3명이었다. 병리학적 완전 관해는 모두 3명의 환자에서(27.3%) 확인되었으며, 수술 전 임상적 병기와 비교하여 볼 때 병기 강하, 불변, 상승이 각각 8명(61.5%), 4명(30.8%), 1명(7.7%) 이었다. 결 론:N2 병기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대체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요한다. Purpose:This is to evaluate the acute complication, resection rate, and tumor down-staging after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I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Fiftee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May 1997 to June 1998 in Samsung Medical Center.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61 (range, 45∼67)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2:3. Pathologic type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11) and adenocarcinoma (4). Pre-operative clinical tumor stages were cT1 in 2 patients, cT2 in 12, and cT3 in 1 and all were N2. Ten patients were proved to be N2 with mediastinoscopic biopsy and five had clinically evident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es on the chest CT scans.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field included the primary tumor, the ipsilateral hilum, and the mediastinum. Total radiation dose was 45 Gy over 5 weeks with daily dose of 1.8 Gy. Pre-operative concurrent chemotherapy consisted of two cycles of intravenous cis-Platin (100 mg/m2) on day 1 and oral Etoposide (50 mg/m2/day) on days 1 through 14 with 4 weeks' interval. Surgery was followed after the pre-operative re-evaluation including chest CT scan in 3 weeks of the completion of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f there was no evidence of disease progression. Results:Full dose radiation therapy was administered to all the 15 patients. Planned two cycles of chemotherapy was completed in 11 patients and one cycle was given to four. One treatment related death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ccurred in 15 days of surgery. Hospital admission was required in three patients including one with radiation pneumonitis and two with neutropenic fever. Hematologic complications and other acute complications including esophagitis were tolerable. Resection rate was 92.3% (12/13) in 13 patients excluding two patients who refused surgery. Pleural seeding was found in one patient after thoracotomy and tumor resection was not feasible. Post-operative tumor stagings were pT0 in 3 patients, pT1 in 6, and pT2 in 3. Lymph node status findings were pN0 in 8 patients, pN1 in 1, and pN2 in 3. Pathologic tumor down-staging was 61.5% (8/13) including complete response in three patients (23.7%). Tumor stage was unchanged in four patients (30.8%) and progression was in one (7.7%). Conclusion:Pre-ope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I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emonstrated satisfactory results with no increased severe acute complications. This treatment scheme deserves more patient accrual with long-term follow-up.

      •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에 대한 선형가속기형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김대용(Dae Yong Kim),안용찬(Yong Chan Ahn),이정일(Jung Il Lee),남도현(Do-Hyun Nam),임도훈(Do Hoon Lim),이정은(Jeong Eun Lee),여인환(Inhwan J Yeo),허승재(Seung Jae Huh),노영주(Young Joo Noh),신성수(Seong Soo Shin),홍승철(Seung-Chyul 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1

        목 적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 AOVM)의 치료에 정위방사선수술을 적용하여 병변의 영상학적 반응과 임상 경과, 치료에 대한 부작용을 분석하여 AOVM의 치료 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OVM으로 진단 받은 11명(12병변)의 환자에 대하여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병변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중심부에는 이질적인 고신호를 보이며, 저신호의 테두리로 둘러 쌓여 경계가 분명한 혈관기형 소견을 보였다.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회전중심점 선량 기준으로 67∼8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3∼25 Gy (중앙값 16 Gy)이었으며, 모두 단일 회전중심점을 이용하였고, 8∼20 mm (중앙값 14 mm) 크기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였다. 결 과 :추적관찰 기간은 12∼56개월(중앙값 42개월)이었다. 재출혈이 일어난 경우는 3예로 치료 후 5, 6, 12개월 때 각 1차례씩 발생하였고 이후 추가적인 재출혈은 없었다.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괴사는 2예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임상증세를 동반하지 않은 채 T2 강조영상에서 병변 주위의 부종이 관찰된 경우도 1예 발생하였다. 결 론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AOVM의 치료는 재출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동정맥기형에 비하여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치료 환자의 선택과 처방선량의 결정 시에는 보다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Purpose :To establish the rol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 (AOVM). Materials and Methods : Eleven patients (12 lesions) with AOVM were treated with linear acceleratorbased SRS between February 1995 and December 1999.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each patients showed well- circumscribed vascula r lesion with reticulated core of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and peripheral rim of low signal intensity. SRS were performed with the median peripheral dose of 16 Gy (range 13∼25). A single isocenter was used with median collimator size of 14 mm (range 8∼20) diameter. Results :With a median follow- up period of 42 months (range 12∼56), rebleeding occurred in 3 AOVMs at 5, 6 and 12 months after SRS but no further bleeding did. Two patients experienced radiation- induced necrosis associated with permanent neurologic deficit and one patient showed transient edema of increased T2 signal intensity. Conclusion : SRS may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in AOVM located in surgically inaccessible region of the brain.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needed in the decision of case selection and dose prescription because the incidence of radiation- induced complications is too high to be accepted.

      • KCI등재후보

        편도암의 근치적 치료 결과

        박원(Won Park),안용찬(Yong Chan Ahn),임도훈(Do Hoon Lim),백정환(Chung Whan Baek),손영익(Young Ik Son),박근칠(Keunchil Park),김경주(Kyoung Ju Kim),이정은(Jeong Eun Lee),강민규(Min Kyu Kang),박영제(Young Je Park),남희림(Hee Rim Na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편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의 치료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치료가 시행된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대상환자들에 대한 국소 치료법의 결정은 두경부 종양 협진팀에서 합의하여 결정하였으며, 방사선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던 기준은 (1) 환자측 요인으로 전신마취와 수술의 위험이 큰 경우, (2) 환자의 수술 거부, (3) 근치적 수술 절제가 여의치 않거나, (4) 수술 후 기능장애가 클 것으로 예견된 경우 등이었다. 국소치료법으로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선별적으로 추가한 경우가 17명이었고(S±RT군), 근치적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동시병용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10명이었다(RT±CT군). 대상 환자들에 대한 추적관찰기간은 3˜ 94 (중앙값 41)개월이었다. 결 과:AJCC 병기는 I˜ II병기가 4명, III병기가 2명, IV병기가 21명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73.3% 였고, S±RT군과 RT±CT군 각각 70.6%와 77.8%였다. 관찰기간 중 모두 7명에서 재발이 발현 하였으며,이들은 모두 III˜IV병기 환자들이었고 치료개시 후 2년 이내에 재발하였다. S±RT군에서는 국소재발 2명 , 영역재발 2명, 원격전이 1명을 포 함 하 여 모두 5명이 재발하였고(조재발률=29.4%),RT±CT군 에서는 국소+영역재발 1명,원격전이 1명을 포함하여 2명이 재발하였다(조 재발률=20%).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7.0%였고, S±RT군과 RT±CT군별로는 각각 80.9%와 70.0%였다. 결 론: 저자들은 편도암에 대한 국소치료법으로서 수술을 주로 적용한 경우와 방사선치료를 주로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다른 문헌들에서 보고되는 국소제어율,생존율과 비슷한 수준의 비교적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편도암에서 방사선치료를 근간으로 하는 치료법은 수술에 의한 기능장애를 피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cur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onsil cancer by retrospectiv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5 till Dec. 2000, 27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received curative treat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Therapeutic decision was made throughmultidisciplinary conference, and curative radiation therapy was favored when, (1) the patient's condition was not fit for general anesthesia and surgery, (2) the patient refused surgery, (3) complete resection was presumed impossible, or (4) too severedisability was expected after surgery. Surgery was the main local modality in 17 patients (S± RT group), and radiation therapy in 10 (RT± CT group). T 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1 months. Results: AJCC stages were I/II in four, III in two, and Iv in 21 patients.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73.3% in all patients, 70.6% in the S ± RT group, and 77.8% in the RT ± CT group. Treatment failure occurred in seven patients, all with stage III/IV, and all the failures occurred within 24 months of the start of treatment. Five patients among the S ± CT group developed treatment failures; 2 local, 2 regional, and 1 distant (crude rate=29.4%). Two patients a m o ng the RT± CT group developed failures; 1 synchronous local and regional, and 1 distant (crude rate=20.0%).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77.0% in all patients, 80.9% in the S ± RT group, and 70.0% in the R T ± CT group. Conclusion: We could achieve favorable results that were comparable to previously reported data with respect to both the rates of local control and of survival by applying S± RT and RT± C T . RT± C T is judged to be an alternative option that can avoid the functional disability after surgical re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