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海兵大隊 編制의 標準化에 關한 硏究

        안영현 해군대학 1983 海洋戰略 Vol.- No.25

        해병대대 편제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별책 참조)

      • KCI등재

        장 지오노의 작품에 나타난 물의 이중성

        안영현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La nature constitue le sujet par excellence de Jean Giono. Elle sert de base à l'oeuvre de ce romancier et son monde n'est qu'une sorte d'extension et d'application de l'univers visionnaire où jouent les quatre éléments naturels. Ces derniers deviennent donc pour Giono l'hormone de l'imagination qui produit son monde d'un voyant. Or l'ambivalence apparaît comme à la fois une base de l'imagiaire et un des plus grands caractéristiques des images matérielles. La marche ambivalente de l'imagination matérielle nous fait enfin découvrir un monde à deux pôles: la valeur positive et la valeur négative. C'est par la valeur symbolique de l'eau que nous dégageons, dans la vision du monde gionien, le système de l'ambivalence fondamentale. D'abord, l'eau gionienne s'ordonne, sous le schème spatial, selon l'opposition de deux valeurs symboliques dont les images prennent le symbole de intimitè/hostilité, ordre/désordre, sacré/profane, bien/mal etc. Cette opposition spatiale de l'eau est de constituer, dans les romans gioniens, le principal moteur des actions et d'y éclore les drames de conflit fondamental. Ensuite, Giono dépeint son monde propre où tous les éléments s'animent d'un même élan vital. L'élément de l'eau apparaît donc comme un être vivant et cet animisme se réalise nettement dans la mesure où Giono le décrit en recourant aux attributs de l'animal ou de l'homme. Il existe alors chez Giono l'eau élevée au rang de personnage qui a deux forces ambivalentes dans leurs manifestations: d'un côté la force intime de la mère, la force du créateur et de l'autre la force hostile de l'être néfaste, la force du destructeur. Et enfin, il y a la symbolique de l'eau où son rôle de l'embivalence est, dans le drame gionien, de préparer le monde harmonieux ou réconciliateur. On trouve alors le domaine de l'eau comparable à un carrefour où se rencontrent la mort et la vie. Ainsi, l'entrée provisoire dans la mort est la condition fondamentale qui permet de passer la grande barrière: l'homme et le monde gioniens entrent dans un nouvel ordre par la double valeur de l'eau qui assume une conversion de toutes les forces mortelles(sauvage, corruption, abîme etc.) en énergie vitale, moteur de résurrection. En somme, vu par l'imagination matérielle de l'eau, tout l'univers romanesque de Giono est donc décrit à partir des images universelles qui résident dans les archétypes mythiques. C'est des archétyphes de la cosmogonie et de l'initiation que Giono prend dans ses romans. A travers ces motifs archétypaux nous voyons enfin le projet final de Giono, celui de dépeindre son monde visionnaire où se déploient la victoire de la vie, les vraies richesses et la joie éternelle. 우리는 지오노의 작품에서 물의 이원성이 드러내는 상징체계를 다양한 구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작품의 공간구도 속에서 물의 이미지들은 모성성의 내밀함과 외부세계의 적의성, 무질서한 세상의 카오스와 성스러운 공간의 코스모스, 순수한 세상의 선과 속세의 악 등으로 나타나며 이항대립의 상징적 가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생명적 구도하의 물의 이미지는 인간존재의 영역에서 내밀한 힘과 적대적인 힘이 서로 대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물적 형상으로서 창조의 은밀한 힘과 악마 혹은 재앙적 기능의 파괴적 힘이 대립하는 갈등양상을 겪는다. 갱생적 구도에서 이 물의 이미지는 또한 팡의 상징으로 죽음과 재탄생의 이중성을 드러내는가 하면, 정화의 상징을 통해 야생, 타락, 파괴, 매몰이라는 심연의 죽음 속에 새로운 출발의 잠재적 삶이 잉태되어 있는 공존적 가치의 양면성을 간직하고 있다. 이렇듯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를 그려내는 지오노의 세상에서 물의 물질적 상상력은 이원적 가치가 내포된 상징체계를 구축하며 작품의 다양한 구도 속에 편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작품 속의 공간구조는 작가의 의식이나 드라마의 의미에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지오노 작품 공간의 심층배경을 형성하는 물의 대립성은 곧 이야기 구성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언제나 대립의 해소 또는 화해의 길로 귀결되는 지오노 특유의 드라마에서 물의 대립적 상징체계가 인수하는 공간의 구도는 바로 갈등의 이야기가 잉태되고 부화할 수 있는 전제적 조건의 장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지오노 문학의 애니미즘은 전일적 생명력의 표본이다. 인간과 자연이 한 몸으로 참여하는 그의 세상에서 물의 이중적인 힘은 곧 우주의 질서에 부합하는 삶의 한 단면을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살아있는 물의 요소들이 드라마 속에서 등장인물처럼 나타나고 있는 것은 이처럼 지오노의 세상에 편재되어 있는 모든 존재들이 동일한 생명력으로 대립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역동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물의 양면성은 갱신을 위한 욕구의 무의식적 발현이다. 물은 어머니의 자궁처럼 새로운 생명이 잉태되기 위해 되돌아가는 무덤 같은 공간인 것이다. 융을 인용하는 바슐라르의 말처럼 물에서의 죽음은 가장 모성적인 죽음이므로 죽음의 어두운 물은 곧 삶의 물이 되는 것으로서 창조 또는 재생의 욕망을 동시에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립적 가치로 공존하는 이러한 물의 양면성은 지오노의 갱생적 드라마를 완성하는 필연적 구도가 될 것이다. 이렇듯 지오노의 작품 속에서 다양한 이미지로 나타나는 물의 이중적 가치는 조화와 화해를 담보하는 작가의 세상에 전제적 구조의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상력의 세계가 근본적으로 물질적이라고 말하는 바슐라르는 4원소론에서 인간의 사고 영역이 자유롭게 확장될 수 있음을 물질의 이미지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물질적 상상력은 인간의 무의식이 빚어내는 신화적 사고의 영역에 닿아있다. 따라서 물질이 내포하는 상징성은 신화의 원형성, 즉 보편화된 이미지들로부터 발현된다. 우리가 지오노의 작품에서 밝혀 본 물의 이중적 구도들은 바로 이러한 물질적 상상계에 편재된 보편적 이미지들이 드러내는 신화론적 사고의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 ...

      • KCI등재

        장 지오노의 작품에 나타난 동물의 이미지

        안영현 한국프랑스학회 201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8 No.-

        L'imagination de Giono produit un monde où se sont unis tous les êtres: la nature animale, végétale, la matière vivante et non vivante, tout est sensible comme l'homme. De cette harmonie fondamentale entre l'homme et la nature, Giono développe la vision cosmique dont le motif renvoie à un temps primordial. Le monde de Giono présuppose et prolonge donc la cosmologie qui apparaît dans son oeuvre comme une structure archétypale. Or le bestiaire est en relation étroite avec la cosmologie qui est à cet archétype centré sur l'univers des origines. Car l'animal a toujours occupé une place de choix dans la mentalité collective comme dans la rêverie d'individuelle. L'imagination sur l'animal permet ainsi la reconstitution de la pensée premitive. Dans cette perspective, nous examinons l'image animale qui devient pour Giono l'hormone de l'imagintion et donne à son oeuvre les diverses figures de la cosmogonie. Notre premier chapitre est alors consacré à l'étude de la symbolique animale qui est porteuse d'une figure apocalyptique du monde gionien. Pour faire éclore dans son oeuvre cette figure triste d'un drame cosmique, Giono n'oublie pas d'établir le cadre désordonné dans lequel semble être effacée la trace du monde. C'est par cette image du cataclysme que l'animal gionien participe à construire un monde apocalyptique. Ainsi, liée aux images dépressives du monde, les animaux maléfiques de Giono sont d'abord doués d'un sens particulier par lequel ils arrivent à connaître certains secrets de la nature mystérieuse; ils apparaissent donc comme un visionnaire qui se comporte surtout en annonciateur d'un monde catastrophique. Et ensuite, les animaux évoqués par Giono jouent un rôle destructeur qui dirige la mort dans un monde assimilé au chaos apocalyptique: la mise en jeu de ces animaux exploite la symbolique universelle du mal qui dévaste le monde que punit le ciel. Mais assumée par la valorisation négative de l'animal, la figure apocalyptique ne provoque pas chez Giono seulement le désordre, elle est aussi indispensable à l'ordre. Elle opère en quelque sorte une conversion de toutes les forces néfastes, orientées vers le néant ou le chaos, en énergie positive, moteur de naissance et de résurrection. Nous arrivons donc à prolonger la cosmogonie où l'animal joue son rôle de l'animation intime du monde. Ainsi, le monde gionien se réveille avec une vigueur cosmique et, pour évoquer cette intuition de la vie originelle ou de la vie renouvelée, Giono utilise la symbolique des animaux épiques: cheval, serpent, taureau, chèvre, cerf et le reste. Or évoqué par l'image emblématique de ces animaux, le monde de Giono s'attache au visage de l'Univers où tous les êtres semblent animés par un même élan vital. Nous découvrons en somme une vision du monde gionien: la mise en place de son monde se réalise grâce à l'harmonie parfaite qui se soumet à la loi de Pan; cette harmonie est une affirmation totale de la vision cosmique qui constitue la symbolique de la roue, assimilée à la création continuelle du monde et à l'image idéale du triomphe de la vie.

      • KCI등재

        소아·청소년에서 맹출 전 치관 내 방사선 투과상의 유병률과 특징

        안영현,양연미,황재준,정태성,신종현,Ahn, Younghyun,Yang, Yeonmi,Hwang, Jaejoon,Jeong, Taesung,Shin, Jonghy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pre-eruptive intracoronal radiolucencies (PEIR) from panoramic radiograph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examined panoramic radiographs of 3,000 patients aged between 5 and 14 years old who visited ten dental hospitals in Korea. The age and gender of the patients, the tooth type, the number of intracoronal radiolucent lesions,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lesions were recorded. The overall prevalence of patients with PEIR was 2.5%.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f PEIR between both genders was not significant. Within each tooth type, the mandibular first molar showed highest prevalence of PEIR (29.6%). The central part of the crow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location of PEIR (56.8%). The size of the PEIR lesions was mostly limited to less than one-third of the thickness of coronal dentin.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 청소년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맹출 전 치관 내 방사선 투과상(pre-eruptive intracoronal radiolucencies; PEIR)의 유병률과 병소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전국 10개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만 5세에서 14세 환자 3,000명의 파노라마가 사용되었다. 환자의 나이와 성별, PEIR이 발견된 치아의 종류 및 치아 개수, 병소의 치관 내 위치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PEIR의 환자당 유병률은 2.5%였으며 성별에 따른 PEIR의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EIR이 가장 많이 발견된 치아는 하악 제1대구치로 전체의 29.6%를 차지하였다. 병소의 56.8%가 치관의 중간 1/3에서 나타났으며, 87.5%가 치관부 상아질 두께의 1/3이하의 크기를 보였다.

      • 지오노의 전반기 소설에 나타난 세상의 이미지

        안영현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人文學誌 Vol.20 No.1

        Nous choisissons de travailler sur les premiers romans de Giono, datant globalement d'avant la deuxie`me gueurre mondiale. En effet, ces romans ont comme point la ce´le´bration de la nature dont Giono posse`de une acuite de sensation. Et c'est un monde de visionnaire que l'imagination de Giono produit par le truchement des quatre e´le´ments: la terre, l'eau, l'air et le feu. Nous nous posions alors la question: quelles sont les caracte´ristiques de ce monde avec les images que suscitent en lui les e´le´ments naturels, re´servoir de son sens. Dans cette perspective, nous voyons que le monde de Giono est d'abord en rapport avec les phe´nome`nes chaotiques: l'installation des te´ne`bres, l'annonce de catastrophe par l'animal visionnaire et le de´luge qui traduit l'ane´antissement du monde. Ensuite, nous examinons qu'il se poursuit par l'animation du monde: la nuit, sein naturel ou` germe la vie, subit la loi de la premie`re cre´ation qui lui succe`de; la terre s'ordonne selon le motif de la figure maternelle, a` valeur ute´rine et nourricie`re. Enfin, nous de´gageons que l'image de l'animation se trouve aussi mise en rapport avec l'harmonie cosmique dont jouissent les e´le´ments naturels de l'univers gionien: Giono - cre´ateur transforme les e´le´ments en e^tres vivants et exalte le monde mythique de Pan qui signifie le grand Tout, la vie universelle. Ainsi, dans l'univers gionien ou` le romancier devient lui-me^me patron d'une cosmogonie, nous remarquons que son monde se caracte´rise par une vie en harmonie parfaite avec les e´le´ments et contient une vision empreinte d'optimisme.

      • 서사학적 분석을 통한 『 나무를 심은 사람 』 의 이해

        안영현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學誌 Vol.23 No.1

        서사학의 이론은 러시아 형식주의자 V. Propp 이래 두 갈래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서술 형식에, 다른 하나는 서술 내용에 중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의 범주에 속하는 G. Genette의 『서술 담론』 Discours du R??cit 분석- 서술 텍스트와 이야기 진술 (r??cit), 그리고 이야기 내용(histoire) 사이의 제반 관계 분석- 을 통해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는 사람』을 서사학 속에서 어떻게 이해하여야 하는가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Genette 논의의 근간이 되는 세 가지 요소, 즉 시간 (Temps), 서술법 (Mode), 서술태 (Voix)의 범주 속에서 본 텍스트의 분석이 이루어졌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정교한 글쓰기와 끊임없이 다양성을 추구하는 지오노 작품의 미학적 효과를 음미해 보았다.

      • 지오노 작품에 나타난 여행과 상상세계

        안영현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人文學誌 Vol.15 No.1

        지오노 문학에서 신화적 세계는 작품전체를 떠받치고 있는 중심골격이다. 특히 본 연구의 텍스트인 「세상의 노래 Le Chant du monde」, 「영원한 기쁨 Que ma joie demeure」, 「선상의 전투 Batailles dans la montagne」에서 이 원초적 세계는, 자연과 인간의 일체성을 부각시키려는 지오노의 상상력과 무의식의 발현을 통해, 우주적 질서에 부응하는 《통과제의적 여로》의 원형적 모티브로 표출되고 있다. 먼저 지오노의 작품속에서 이야기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배경들은 소설의 단순한 무대가 아니다. 그것은 우주적 요소들의 원형적 현상들을 조명해주는 갈등적 공간세계며 또 순환체계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영원 비젼의 시간세계다. 즉 지오노의 자연은 두 대립된 갈등적 구조와 시간적 리듬이 공존하면서, 화합과 조정의 기능을 통해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을 모색하는 초월적 세계를 형성한다. 이어서 신비로운 세계로부터 부화된 지오노의 인간 드라마는 이 초월적 자연의 부름에 응답하는 모험적 세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탐색"은 이야기의 중심테마가 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한 추구는 인간의 존재양식을 바꾸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인간 행동의 우주적, 규범적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같이 자연세계와 인간세계에서 원초적으로 드러나는 지오노의 세계는 근본적으로 통과제의적 세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행로는 신화속에서 영웅들이 겪는 「떠남과 시련」,「통과」, 「회귀와 재생」이라는 "여행"의 다양한 원형적 이미지들로 이루어진다. 결국 신화적 상상세계를 통한 통과제의적 여행이 추구하고 있는 것은 새로운 비젼을 향해 도약하는 삶이다. 그리고 지오노에게 있어서 이 도약은 자연으로의 인간귀속, 즉 우주적 조화로부터 나오는 「참다운 삶 vraie vie」를 의미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