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3세기 후반부터 15세기까지 사제 복장

        안봉환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8

        13세기 후반부터 15세기까지 사제는 평소에 어떤 복장을 하고 다녔을까? 당시의 교회는 사제 복장에 관해서 어떤 규정을 내세웠을까? 제4차 라테란 공의회(1215)를 통해 교황 인노첸시오 3세(Innocentius III, 1198-1216)가 공포하였고 교황 그레고리오 9세(1227-1241)의 [법령집] 안에 수집된 규정들 이후로 많은 지역 공의회는 사제 복장과 관련해서 장백의를 성직자의 신분에 맞는 보편적인 복장으로 고정시킨다. 규정에 따르면 사제 복장은 위에서부터 채워져 있고 너무 짧지도 길지도 않도록 한다. 너무 지나치게 화려한 복장은 피하고 앞과 좌우에 트임이 없도록 하고 소매는 길지 않도록 한다. 또한 녹색이나 적색의 옷감을 사용하여 만든 복장을하지 않도록 한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Bonifacius VIII, 1294-1303)는 1298년에 칙서 [사크로상타](Sacrosancta)를 통해 [제6집](Liber sextus)을 공포하였는데, 그 안에는 사제 복장에 관련된 규정에 큰 영향을 주었던 두 가지 교령이 포함되어 있다. 교황 그레고리오 10세(Gregorius X, 1271-1276)가 만든 교령에서는 평신도처럼 복장을 착용하는 이중 혼인한 하급 성직자들에게 더 이상 사제의 복장을 하고 다니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성직자의 고유한 특전도 박탈하는 내용을 다룬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Bonifacius VIII, 1294-1303)가 직접 만든 교령에서 ‘단 한 번 혼인하였을 경우’ 모든 기혼 성직자는 성직을 표시하는 삭발을 할 수 있고 성직자 복장을 착용할 수 있으며 성직자의 특전을 누릴 수 있다고 선언한다. [클레멘트 교령집]이라고 알려진 모음집은 1317년 10월 25일 교황 요한 22세의 칙서 [꾸오니암 눌라](Quoniam nulla)에 의해 공포되었는데, 클레멘트 5세 교황은 정당한 이유 없이 줄무늬 있는 옷이나 트임이 있는 여러색깔의 복장을 공공연히 착용하는 성직자에게 6개월간 성직록 정지 처벌을 부과한다. 또한 가장자리까지 안감을 댄 장백의나 갑옷 위에 입던 짧고 헐렁한 망토(tarbardum)를 착용하는 성직자에게 한 달 이내에 그 망토를 가난한 이들에게 넘겨주도록 명한다. 이어서 클레멘트 5세 교황은 사제 복장에 관해서 이전 규정이 지니고 있던 의미를 요약해주면서 전통적인 개념, 즉 “외적인 복장의 품위를 통해 내적 품행의 정숙함을 보여주어야 한다.” 라는 점을 강조한다. 15세기의 공의회들, 특히 코스탄자 공의회(1418)와 바실레아 공의회(1435)의 교령은 외적으로 드러나는 복장과 성직자의 내적 품행의 관계, 성직자 복장의 정숙함 그리고 사제 복장을 반드시 공적으로 착용해야 함을 계속해서 강조한다. 이러한 규정들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는 외적인 표지를 바탕으로 성직자를 평신도로부터 반드시 구별해야 하고 동시에 사제는 자신의 복장을 언급하는 것에 대해서도 많은 신자들에게 감화를 주는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사목적인 관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From the end of the 13th till the 15th century how the sacerdotal clothing was? How does the Church of that period establish the discipline about the sacerdotal clothing? After the rule emanated by Pope Innocence the 3rd in the 4th Lateran Council(1215) and collected in the Decretals by Gregory the 9th(1227-1241), then many provincial councils confirmed such disposition concerning the ecclesiastic clothing that results must be constituted by an enough long and closed clothing, whose colour has to be neither green nor red, avoiding all that is superfluous. On March the 3rd 1298 by the Sacrosancta bull Pope Boniface the 8th(1294-1303) promulgates a new collection that takes the name of Liber Sextus because it is added to the five books that compose the preceding work. In this collection two Decretals had great influence till the Council of Trent and they regard the discipline about the ecclesiastic clothing concerning those clerics, of course neither priests nor deacons, that were married. The first is a rule by Gregory the 10th(1271-1276) that forbids the bigamists to wear the ecclesiastic clothing and it deprives them of any clerical privilege. The second rule is by Boniface the 8th himself, that decreed all the married clerics to enjoy the clerical privileges, to wear the tonsure and the ecclesiastic clothing if “cum unicis et virginibus contraxerunt.” Some years later, Pope Clement the 5th(1305-1314) wrote out some constitutions for the Council of Vienna (1311-1312) and then he would promulgate them as collection. But the collection, known as Constitutiones Clementinae, was promulgated by John the 22nd with the Bull Quoniam nulla on October the 25th(1317). With regard to the rules about the clerical clothing that are collected in the Constitutiones, as already Innocence the 3rd, also Clement the 5th establishes any cleric wearing silk or different colours dresses, without any reasonable cause, if he is titular of privileges, to be suspended for sex months from receiving incomes. Also those clerics that wear a mantle lined till the border, or so short that it let the underlying dress notably uncovered, if they have an administration, they must give this mantle to the paupers. Then Clement the 5th expresses a concept that, recapitulating the sense of the preceding legislation about the clerical clothing, has a validity that will never disappear: the priests and the religious men of any order, by the dignity of their exterior clothing, must show their interior honesty of customs. Then two councils of the 15th century, that legislate about the clerical clothing, reaffirm concepts already acquired just as again the link between the exterior clothing and the interior disposition of a cleric, the clothing simplicity and the necessity of wearing the ecclesiastic clothing in public. The Council of Constance(1418) convicts the indecorous and eccentric clothing by which the century fashion wants to be signed and that council let note that who uses such clothing he reveals meanwhile which is his own thought. Later, the Council of Basilea(1435) invites the Bishop to correct the abuses about the ecclesiastic clothing and it underlines that like we show ourselves dressed in a decorous way to an important person of this world, we must wear a decorous clothing all the more so as we are in front of God; so, who must recite the canonical hours, they must enter into the Church wearing the talaric tunic and clean cottas. The reason of this rules, besides being in the necessity to distinguish the clerics from the lay men by some exterior signs, is available in the pastoral worry that the priests must be a model in the edification of the other faithful also for what concerns the ecclesiastic clothing.75)

      • KCI등재

        16세기 사제 복장: 트렌토 공의회까지

        안봉환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9

        16세기에 사제가 입던 평상복은 어떠하였을까? 당시의 교회는 사제 복장에 관해서 어떤 규정을 내세웠을까? 제5차 라테란 공의회(1512~1517)에서 레오 10세는 교황령 수페르네 디스포지시오니스(Supernae dispositionis, 1514.5.5.)를 반포하였다. 이 문헌에 서는 고위 성직자의 가솔(familia)을 구성하는 성직자들의 복장과 관련된 규정을 다루고 있다. 특히 사제들에게 단정한 복장, 즉 법으로 정한 흰색의 복장들을 착용하고 적어도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겉옷(tunica talaris)을 착용하도록 한다. 궁정 관리나 마부처럼 고된 일을 하는 하급 성직자들은 성직자 복장에 관한 규정이 면제되어 대품을 받지 않은 경우 짧고 헐렁한 복장을 착용할 수 있다. 나아가 교황 가솔의 구성원들에게 주교 품위에 어울리는 홍색 복장을 착용할 수 있다. 16세기에는 트렌토 공의회의 규범을 시작으로 사제 복장에 관한 중대한 결정들을 내렸다. 공의회는 사제 복장과 관련된 남용을 비롯하여 여러 남용에 단호하게 대처하려고 교회 개혁에 관한 일반 규정들을 제시하면서그 권한을 관할 주교에게 맡기고 있다. 트렌토 공의회의 개혁 교령에서 성직자 복장에 관한 주제는 세 번 언급되며 이전 입법을 부분적으로 반복하고 있다. 먼저 교황 율리오 3세가 소집한 제14차 회기(1551.11.25.)의 제6조는 성직자에게 외적으로 적합한 복장과 단정한 내적 품행 사이의 일치를 다루고 있다. 한편으로 성직자들이 자신의 품위와 성직자 신분의 명예를 과소평가하면서 공적으로도 평신도 복장을 착용할 정도로 경솔함과 종교에 대한 경멸이 몇몇 성직자들 안에 뿌리박혀 있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성직자의 신분과 품위에 맞는 정숙하고 단정한 복장을 착용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보편법이든 개별법이든 그 법을 존중하여 따르도록 하면서 법적 처벌이 가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 두 번째, 제22차 회기의 제1조는 성품을 받은 성직자들이 신자들에게 삶과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할 좋은 표양과 관련된 다른 것들과 함께 그들의 신분에 적합한 복장을 착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관할 주교들은 성직자들의 신분에 부적합한 사치와 탐닉, 춤과 노름, 오락과 각종 범행 그리고 피해야 할 세속적인 거래에 관한 교황들과 공의회에 의해 결정된 이전의 규정들을 상기한 뒤에 주교들에게 지켜지지 않는 규정들을 정성들여 지키도록 당부하고 있다. 끝으로 제23차 회기의 제6조는 삭발례의 표지를 지닌채 성직록 수령의 특전을 누리면서 만 14세가 되지 않는 이에게도 법정에 대한 면책특권을 누리도록 허용하는 성직자 복장을 언급하고 있다. 덧붙여 서, 교황 보니파시오 8세(Bonifacius VIII, 1294~1303)의 교령에서 정한 조건에 따라, 결혼한 하급 성직자들은 관할 주교의 지시나 명령에 따라 어느 성당에서 소임이나 직무를 맡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삭발례의 표식을 지닌 채 성직자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고 주지하고 있다. In the 16th century how the sacerdotal clothing was? How does the Church of the period established the discipline about the sacerdotal clothing? During the V Lateran Council(1512~1517), Pope Leo X promulgated the “Supernae Dispositionis” Constitution. There are established rules concerning the clothing of those clerics that constitute the “family” of a prelate. In particular the presbyters are recommended to wear dresses of a colour established by the right and long at least until the heels. Instead it is made an exception for the clerics that carry out a laborious job, like the esquires or the grooms, who are allowed to wear shorter or more convenient dresses, provided that they are not presbyters. Besides the papal “family” members are allowed to wear red dresses in decorum of the pontifical dignity. The XVI century saw important decisions about the ecclesiastic clothing beginning from the norm of the Tridentine Council(1545~1563). The Council left the concrete regulation on the clerical clothing to the discretion of local Ordinaries, inside the general dispositions about the Church reform that had to remedy various abuses, among which also those concerning the clerical clothing. The clothing argument is treated three times by the Council in his reform Decree, retaking in part the precedent legislations. First of all, in the XVI session, that happened under Pope Julius II(1550~1555), it returns the theme about the coherence between the clothing that appears outside and the interior dispositions of a cleric. So it prosecutes noting that in some the presumption and the contempt of religion have reached such a point that “without any cure for their own dignity and the clerical status honour, they publicly wear laical dresses…”, and it urges to respect either universal or particular norm, by pointing out the possibility of incurring the canon penalties. The second, the necessity of wearing in public an appropriate clothing by those that are constituted into sacred orders is after confirmed in the XXII session of the Council, together with other demands concerning the good example to transmit to the faithful. After remembering other precedent prescriptions about the life, the honesty, the forming of the clerics and all that is not suitable for their status, it invites the Ordinaries to do all to report the useful prescriptions in use and to make them be diligently observed by all. Finally, the XXIII session refers to the clerical clothing that, together with tonsure and having specific prerogatives, permits also the cleric that is not fourteen yet to enjoy the forum privilege. Besides it is made observed that the clerics constituted only into minor orders, that are marr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by Boniface VIII(1294~1303) and that are destined by their bishop for some ministry, must wear the clothing and tonsure. 99)

      • KCI등재

        성경 안에서 옷의 상징적 의미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본고는 성경 안에 드러나는 옷의 상징적인 의미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창세기의 가죽옷부터 묵시록의 흰옷에 이르기까지 옷은 인류의 영적인 신분을 드러내는 상징이다. 창세기 2-3장에서는 옷의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도 옷을 입어야 하는 이유를 원조의 수치심(창세 3,7 참조)에서 찾는다. 창조주 하느님에 의해 질서 지어진 낙원에서는 어떠한 옷도 인간에게 필요하지 않았다. 하느님의 영광으로 덮여있는 인간은 완전함과 무죄함, 깨끗함과 거룩함의 상태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범한 죄는 새로운 상황을 초래하였다. 그들의 온몸은 하느님의 현존 앞에서 결핍된 상태가 되었다. 이런 결핍 상태를 감추기 위해 그들에게 무화과나무 잎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하느님께서는 친히 타락한 인간의 나약함과 한계 안에서도 일정한 품위의 영속을 식별할 수 있는 가죽옷을 입혀 주신다. 그들이 입은 가죽옷은 이중의 새로운 의미 곧 하나는 타락한 인간의 품위를, 다른 하나는 시초에 잃어버린 하느님의 영광을 다시 입게 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하느님께서 계획하시는 구원의 역사는 옷의 상징을 통해 낙원에서 잃어버린 영광을 회복시켜 주시겠다는 약속에 대한 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제 아담의 가죽옷을 통해 드러난 이중적인 의미는 거룩한 변모 안에서 영광을 입으신 예수님의 상징적인 옷을 통해 극복된다. 그분의 옷은 부활을 통해 썩어 없어지지 않을 옷을 입는 당신 육체의 영광을 상징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믿고 세례를 받은 이들도 죄의 더러운 옷을 벗고 깨끗한 옷을 입어야 함을 미리 보여준다. 부활하신 후에 주님께서는 영광의 상징인 찬란한 광채를 띤 그분 본래의 의복을 입으셨다. 영광을 입으신 그리스도께서는 아담이 잃어버린 완전함을 회복해 주셨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사제복, 세례복과 혼인 예복의 기원과 상징적, 신학적, 영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선택받은 이들은 사제이신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어 하느님을 섬기는 사제가 되어야 하고, 그리스도를 입고 옛 인간을 벗어 버리고 새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 세상에서 죄와 잘못으로 물들었더라도 하느님의 최후 심판을 통하여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혼인 예복을 갖추고 잔칫방에 들어가야 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symbolic sense of clothing that is revealed in the Bible. From the leather garments of Genesis to the linen clothing of the Apocalypse, clothes are symbols that indicate a spiritual identity.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of Genesis we find that the reasons we must dress are two; the first reason is to put something on to cover ourselves, and this is in general the role of clothing, the second reason comes from the shame of our ancestors. Our ancestors did not need any clothes in Paradise and this was ordained by God the Creator, because the human being was covered by the glory of God and he was in a state of integrity, innocence, purity and holiness. But the sin of our ancestors caused a new reality. Suddenly they felt their personal nakedness in the presence of God. To hide their nakedness they felt that the only fig leaves were not sufficient to cover themselves. God the Creator Himself offered them the leather garments in which we can perceive a certain dignity within their human limitations and weaknesses. Their leather garments indicate two meanings; human dignity restored and the new possibility to cover themselves with the glory of God. The History of Salvation planned by God reveals, through the symbol of clothing, the promise to allow us to recover the lost glory of God in Paradise. Now the double sense revealed by Adam’s leather garments is surpassed by Christ’s symbolic clothing covered in glory during the Transfiguration. His clothing symbolize the glory of his body covered by incorruptibility through the Resurrection and prefigure also for those baptized the covering of themselves by pure clothes, divesting themselves of the dirty clothes of sin. After the Resurrection our Lord covers himself by his own clothing that shines with bright brilliance which is symbol of glory, because Christ, clothed by glory, recovered the integrity lost by Adam. For this reason we can find the origin and the symbolic and spiritual sense of the sacerdotal, baptismal and nuptial clothing. The priest is among the Elect that officiates before God - joined to Christ through his Priesthood - covering himself with Christ and becoming a new man, replacing the old one. The people that desire to enter into the Kingdom of Heaven at God’s Last Judgement, even though they are sinners, they must put on new clothes to enter into the nuptial banquet.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의 사제 복장

        안봉환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1

        In the 18th century how the clerical clothing was? How does the Church of the period established the discipline about the clerical clothing? Regarding the clerical clothing, the I Provincial Council of Milan (1565) ordered clerics for the first time to wear black as a clerical color, and the original Roman collar (collaro) was worn in the 16th Century.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church imposed all cleric to wear the clerical clothing and the collar. Then concerning the use of the vestis talaris there were not only the Constitutions published by the Popes of 18th Century, i. e. Apostolici ministerii (23.5.1723) of Innocent XIII (29.6.1667), In supremo (23.9.1724), Apostolicae Ecclesiae (2.5.1725), Pastoralis officii (27.3.1726) of Benedict XIII, Ad militantes (30.3.1742) of Benedict XVI (21.11.1691), but the two documents of the Sacred Congregation of the Council, i. e. Ruben (28.7 and 15.9.1708) and Spoletana (14 and 28.1.1764), and also an Instruction of the Sacred Congregation of Propaganda Fide (Pro Mission. Malabar, 9.4.1783). The Papal Constitutions of 18th Century, as well as the decisions of the Congregations stated for the clergy of the diocese of Rome that the vestis talaris was to be worn from the rising of the sun till the going down thereof, wearing of a narrower collar and, however, it was not allowed to wear them a shorter clerical clothing. Especially the beneficed clerics, by the dignity of their exterior clothing, must show their interior honesty of customs. The Constitutions at that time confirmed the use of the vestis talaris and the collar to all the ecclesiastics, even those who lived in rural areas, only for the celebrate of Mass and when participating in other sacred functions, but when they were on a journey they were allowed to wear black shorter dress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dignity and modesty. Nevertheless, at that time some clerics neglected the decree of the Tridentine Council (sess. XIV, c. 6 de reform) by not wearing a clerical clothing and tonsure. The episcopal decisions required alla major clerics to wear a clerical clothing under penalty of an ipso facto incurred suspension a divinis, reserved to the himself, and requiring clerics in minor orders to do the same under penalty of being denied the conferral of higher orders, the acquisition of benefices, and the right of lay patronage. At time these episcopal decisions in what seemed best in each one’s own territory, became a source of dissatisfaction among the clergy and they had recourse to the Holy See for modification, especially if the clerics were obliged to wear the vestis talaris exclusively, and received the response that they were to submit to the bishops. The shorter clothing was normally to be black, but custom and particular laws often made provisions for other colors of a somber nature. The Holy See approved of the wearing of a white clothing by missionaries on the grounds that some foreigners vehemently objected to black, and hence many of them would embrace Christianity only if the clergy wore a white tunic. White, however, was not to be used if this gave rise to any danger or suspicion of superstition, or was taken as a sign of a false religion. Moreover, non change could be undertaken except with the counsel and consent of the missionaries in any given area, so that concord and uniformity, so necessary in the missions, would prevail. 18세기에 사제가 입던 평상복은 어떠하였을까? 당시의 교회는 사제 복장에 관해서 어떤 규정을 내세웠을까? 사제 복장을 시대별로 구분해 보면, 16세기 말기에는 검은색 긴 겉옷(프랑스식으로는 Soutane, 영국식으로는 cassock)과 초기 형태의 로만 칼라(Roman Collar)가 도입되고, 17-18세기에는 트렌토 공의회 제14차 회기의 「개혁교령」 제6조와 식스토 5세의 교황령을 바탕으로 수단 착용과 목 칼라 사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던 시기였다. 사제 복장과 관련하여 18세기에 반포된 교황 칙서들로는 인노첸시오 13세의 「아포스톨리치 미니스테리이」(Apostolici ministerii, 1723.5.23.), 베네딕토 13세의 「인 수프레모」(In supremo, 1724.9.23.)와 「아포스톨리캐 에클레시애」(Apostolicae Ecclesiae, 1725.5.2.) 그리고 「파스토랄리스 오피치이」(Pastoralis officii, 1726.3.27.), 베네딕토 14세의 「앋 밀리탄테스」(Ad militantes, 1742.3.30.)가 있고, 공의회성 문헌으로는 「루벤」(Ruben, 1708.7.28.과 9.15.)과 「스폴레타나」(Spoletana, 1764.1.14.과 28.)가 있으며 인류복음화성의 훈령 「말라바르 선교사를 위하여」(pro Missionario Malabar, 1783.4.9.)가 있다. 당시 문헌들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로마의 성직자들은 해가 떠오를 때부터 자정까지 짧은 복장을 하지 않고 항상 수단을 착용해야 하며 목 칼라를 사용해야 한다. 특히 성직록을 받은 성직자들은 단정한 복장을 착용하여 외적 복장의 품위가 품행의 내적 정숙함을 보여주어야 한다.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이전에 관례대로 사용하던 수단이 성직자 신분에 더 적합하기 때문에 시골이나 산악지역에 살더라도 모든 성직자들은 성당에 들어가고 나올 때, 미사를 거행하거나 성무를 수행할 때 반드시 수단을 착용해야 한다. 여행 중이거나 다른 합당한 이유가 있는 한, 예외적으로 짧은 복장을 착용할 수 있지만 신분과 품위에 적합하게 단정해야 한다. 교회의 상부 기관에서는 하급 성직자들에게 성직자 복장을 착용하도록 강요하는 반면에 하급 성직자들은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아 긴장 관계가 적지 않았다. 심지어는 관할 주교의 교령에 반대하여 교황청에 상소하는 일도 벌어졌다. 일부 성직자들이 트렌토 공의회의 규정을 무시하며 사제 복장 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황청에서는 트렌토 공의회의 규정을 적용하면서 계속해서 성직자들에게 적합한 복장을 착용하도록 하는 한편, 이런 규정을 위반한 성직자들에게 엄격한 처벌을 내리는 주교들의 노력을 옹호하였다. 복장 규정을 위반한 사제들은 그 자체로(ipso facto) 성무집행 정지의 처벌을, 아직 대품을 받지 않은 성직자들은 거룩한 품계에 오르지 못하는 처벌을 받았다. 그런 처벌은 이전 법률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완화된 것이었다. 다른 한편 교황청은 선교 지역에서 활동하는 선교사들에게 흰색의 복장을 하도록 허용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키프리아누스의 재화의 올바른 사용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0

        현실적 불의와 부패에 회의와 실망을 느끼면서 진실을 찾던 중에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게 된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는 세례를 받자마자 성경과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의 재산을 공동체의 가난한 이들에게 기꺼이 나누어 주었다. 그는 251년에서 256년 사이에 집필된 작품들, 특히『배교자』,『선행과 자선』,『주님의 기도』에서 가난한 이들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주었다. 자선과 선행에 대한 그의 권고는 3세기에 아프리카에서 크게 유행한 전염병과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 그리고 로마 제국의 경제 및 재정 위기와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페스트와 박해는 많은 사람들을 가난과 궁핍으로 몰아갔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그는 가난한 이들과 병든 이들에게 자선과 선행을 끊임없이 베풀었다. 그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관심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구조를 비판하기보다 부자들의 이기주의를 단죄하고 이들에게 가난한 이들과의 형제적인 연대 의식을 고취시켰다. 모든 세상은 세상을 창조하신 하느님의 소유물이다. 아무도 재물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 모든 사람들은 지상 재물을 소유할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 사람들의 품위는 부와 재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모습대로 만들어진 피조물이라는 사실에 있다. 이는 재산이나 성의 구별 없이 모든 인류에게 공통점이기 때문이다. 재산의 참된 목적은 자선과 선행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재산에 ‘소유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재산과 균형을 이룬 관계를 맺어야 한다. 자선의 가치와 효과는 죄와 죽음으로부터 자유롭게 해 주고, 하느님의 도움을 받으며, 기도와 단식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다. 굶주린 이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목마른 이들에게 마실 것을 주었으며 헐벗은 이들에게 입을 것을 준 것처럼 이 세상에서 선행을 실천한 이들만이 하늘 나라에 받아들여질 것이다. 사회적 약자인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선과 봉사를 끊임없이 베푼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는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 가난한 이들에게 자선 활동과 선행을 통하여 재물을 공유하고 부자들이 가난한 이들을 도와주도록 모범의 삶과 본보기를 남겨 준 불멸의 모습을 간직한 인물이었다. Cyprian of Carthage(200/210-258)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while searching for truth with skepticism and disappointment at the practical injustice and corruption that existed. As soon as he gets baptized all his wealth was shared among the poor in the community. In the writings that he wrote between 251 and 256 years, especially, De lapsis, De opere et eleemosynis, De dominica oratione, he showed endless interest in the poor. His recommendation for almsgiving and good works was deeply connected to a great epidemic of the black plague in Africa, in the third century and to the Emperor’s persecution of Decius and to the economic and fiscal crises of the Roman Empire. Plague and persecution drove many people to poverty, he continued to offer almsgiving and voluntary services for needy people and sick people in a social-economic disadvantaged situations. Through his interest in the poor, he sought to punish the underprivileged and promote brotherly ties with the poor, rather than criticiz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of the poor. Every world is the property of God who created the world. No one has the right to monopolize wealth. Everyone has equal rights to own property. People’s dignity is not tied to wealth and property, but rather to the fact that it is a creature created as a form of God. This is common in all mankind without distintion of property or sex. The real purpose of the property is almsgiving and good works. In oder to avoid a possession of property a person must have a balanced relationship with property. The value and effect of almsgiving is free felt guilt and death, receive God’s help and increase the value of prayer and fasting. Just like giving food to hungry people, giving a drink to those who are thirsty, giving the naked something to wear, only those who practice good works in this world will be accepted in heaven. Cyprian of Carthage continued to offer almsgiving and voluntary services for the poor and disadvantaged. He was a mortal human being who followed the example of Christ to share wealth through almsgiving and good works, living an exemplary life and a role model in helping the rich to help poor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