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교육 질 지표에 의한 초등 통합교육의 인식 수준 및개선방안

        안병주(Byung-Joo An)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敎科敎育硏究 Vol.35 No.1

        This study’s aim is to evaluate the recognition level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quality indicators of inclusive education. 152 teachers in elementary special schools were involved in the survey for three weeks, which was carried out from March 3, 2014 to April 4, 2014. To achieve this aim, the recognition level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teaching career,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region of work)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Related Factors’ of inclusive class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of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in the area of parents, and ‘Support of School Nurses’ in support staffs were given lower evaluations compared to other areas of study. Therefore, additional measures seem to be urgently needed. Second, when compared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male teachers evaluated the qualitative level of inclusive education more highly in general. Third, the younger the teachers were, the more highly they rated the support of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The teachers who had teaching careers in special schooling evaluated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with Non-Disabled Children’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who didn’t.

      •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계층적 대표값 군집화 기법

        안병주(Byung-Joo An),김은주(Eun-Ju Kim),이일병(Yil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Ⅱ

        군집화는 데이터 집합을 유사한 데이터 개체들의 군집들로 분할하여 데이터 속에 존재하는 의미 있는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대부분의 군집화 기법들은 비교적 적은 양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것이고 다차원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문제는 다루지 않고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군집화 기법으로는 부적절하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군집화 알고리즘인 계층적 대표값 군집화(HRC) 기법을 제안한다. HRC는 자기조직화지도와 계층적 군집화 기법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방법으로 두 단계에 거쳐 군집화를 수행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자기조직화지도를 통해 데이터를 요약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요약된 대표값 정보만을 가지고 계층적인 군집화를 수행한다. 또한, 두 번째 단계의 계층적 군집화 적용시 양질의 군집을 발견하기 위해 군집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척도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HRC와 기존 군집화 알고리즘이 발견한 군집의 질을 비교하여 성능을 평가했다.

      • KCI등재후보

        복지권으로서 교육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황정보,이선재,안병주,강경희,김청아 국립특수교육원 2007 특수교육연구 Vol.14 No.2

        결핍에서 오는 필요의 개념은 장애인에게 복지권으로서 교육받을 권리를 가장 잘 말해주고 있다. 장애인은 신체적·인지적 손상으로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존적 필요의 충족뿐만 아니라 동시에 교육기회 균등이나 개인차의 고려 등을 통해 무지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보편적 필요가 충족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장애인들에게 이러한 결핍에 따른 필요를 충족시켜 줄 이론적 근거가 롤즈(J. Rawls)의 정의론이라 할 수 있다. 정의론의 '차등의 원칙'에 따르면, 교육에 있어 비장애인과 장애인 중 먼저 최소 수혜자인 장애인의 교육복지를 우선하여 극대화할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이론적 근거에 대한 정당화를 논의하였다. 기존의 특수교육진흥법은 '국가가 교육할 권리'를 가지는 국가 주도적 교육이었다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은 수년간 장애인의 교육권 확보를 위해 애쓴 장애인 교육 주체들이 노력 끝에 '교육받을 권리'를 찾게 된 의미 있는 결실로 평가되어 진다. The concept of need which comes from lack represents well the right to education as welfare right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meet the universal need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uch as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the consideration for individual difference as well as their substantial need. The rationale which may satisfy the need associated with the lack can be J. Rawls's a Theory of Justice. The difference principle by Rawls presents the need of the educational welfar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the least advantaged) to take precedence over that of the non-disabled and be maximized, it is considered that he created the rationale that makes secure their right to education. While establish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as national-driven education that state had to the education right,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tc.' can be a significant fruit which takes back 'the right to education by citizens' by the educational subjects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o have taken pains to secure their right to education for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