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식품산업의 국내산 원재료 이용률 추정

        안동환 ( Dong Hwan An ),김관수 ( Kwang Soo Kim ),최지현 ( Ji Hyeon Choi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5 農業經濟硏究 Vol.56 No.1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mpirical model capable of correcting the over-estimation problem associated with the estimation of domestic input use ratio in food industry. This model incorporates direct and indirect use of imported raw materials which are used as intermediate inputs. We found that domestic agricultural input use ratios for food industry after taking imported raw materials used in both direct and indirect intermediate inputs into account are much smaller than those without them (4.6%, 17.4% lower, respectively). Breaking down these ratios into sub-industry category, we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in livestock and dairy industry (due to imported raw materials used in producing intermediate inputs) after taking these intermediate input effects into consideration: livestock processing (87.5% vs 62.9%); poultry processing (98.8% vs 55.6%); milk (93.1% vs 67.7%); dairy products (63.9% vs 47.2%).

      • KCI등재

        조사정책논문 :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식품가공산업과 주요 수입중간투입재의 물가파급효과 분석

        안동환 ( Dong Hwan An ),김관수 ( Kwan Soo Kim ),임정빈 ( Jeong Bin Kim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2 農業經濟硏究 Vol.53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ice effects in foo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ir imported-intermediate inputs using a price input-output model. Raw inputs and products of food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largely used for food processing itself as well as other industries such as livestock, dairy, feed, and restaurant industry, etc. Therefore, the price changes of those products make ripple effects on the prices of many other industries. Our results show that 1) the overall price level is expected to change by 0.1511%, when the prices of processed food by 10%; 2) the price effects of rice milling industry among domestic food manufacturing industries is highest followed by beer, seed oil, non-alcoholic beverage,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other seasoning, and flour industry, etc: 3) the price effects of other grains is highest among imported intermediate inputs followed by seed oil, meat, wheat, bean, frozen fish, raw sugar, and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industry, etc: 4) wheat, flour, other grains, beans, raw sugar, and sugar which are major intermediate inputs in food manufacturing industry have the largest price ripple effects on flour, noodle products, starchy, tofu, sugar, and cocoa products and candy cakes industry, respectively.

      • KCI등재

        도시근로자가구와 농가의 소득불평등도 비교 분석: 엔트로피지수의 그룹별,소득원별 분해

        안동환 ( An Dong Hwan ) 한국농업경제학회 2004 農業經濟硏究 Vol.45 No.1

        N/A This paper investigated inequality of urban and farm household income for the period of1990-2000 by estimating a generalized entropy inequality index This index was decomposed into within- and between-group inequalities for urban and farm households.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each income source to inequality, Our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inequality of farm household income tends to be increasing, white that of urban household income seems to be stabl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effects of economic crisis (or IMF) on the income inequality seem to be different between farm households and urban households. Between-group inequality of urban and farm households is estimated to be small but increasing during the study period. Also, we found that the degree of farm household income inequality attributable to agricultural income inequality has decreased significant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농가의 정보접근성이 농가판매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민경 ( Minkyung Kim ),안동환 ( Donghwan An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7 農業經濟硏究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farmers` participation in informatization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on the farm sales earning. This paper considers three variables to capture farmers`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if a farmer uses computer or not; if the farmer belongs to the village carrying out an Information Network Village Program; and if the farmer participates in any farmers` organization including producers` organization. A two-stage model is applied to avoid any endogeneity problem related with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farm sales. We found that education level, participating in non-farming activities such as tourism or marketing related activities, the level of reg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participating in farmers organizations have some positive impacts on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farmers. Furthermore, the enhanced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is likely to increase the farm sales earnings, whil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on farm sales earnings seems to decline as the size of farm sales earnings increa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HP를 이용한 지역브랜드의 경쟁력 분석

        김관수 ( Kwan Soo Kim ),오상훈 ( Sang Hoon Oh ),안동환 ( Dong Hwan A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4

        시·군의 브랜드 경영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시·군이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 자산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소비자인 일반국민들의 인식과 평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브랜드 경쟁력 확보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지역브랜드의 현 위상 및 경쟁력 현황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개별 지역의 브랜드에 대한 평가와 활용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지역적/경제적/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전체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지역브랜드의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경험도/매력도를 중심으로 각 시·군이 보유하고 있는 지역브랜드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의 틀을 고안하고, 이를 기초로 실증분석으로서 2012년 전국 151개 지역의 지역브랜드 인지도/경험도/매력도 지수를 추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역이 가지고 있는 역사와 문화, 자연, 산업, 생활, 인간 공동체와 같은 지역자산을 활용하여 지역 상품의 구매욕구와 지역으로의 여행 욕구, 그리고 거주 희망 욕구를 유발시키는 지역이미지의 총화로서, 지역의 자연적 속성(예, 지역 자원), 지역의 사회문화적 속성(예, 민간/공공 서비스, 문화행사), 그리고 지역의 경제적 속성(예, 지역 상품, 지역 소득)에 의거하여 지역브랜드의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접근법에 의거하여 지역브랜드의 경쟁력은 지역 인지도/경험도/매력도의 지수로서 측정되었다. 먼저 AHP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인지도/경험도/매력도 지수 추정에 사용된 가중치의 추정결과를 보면, 먼저 인지도 지수의 경우 지역상품에 대한 인지도가 0.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역공간에 대한 인지도 가중치가 0.303, 문화행사에 대한 인지도 가중치는 0.236, 그리고 지역의 일반 인지수준에 대한 가중치는 0.141로 나타났다. 경험도 지수는 지역 방문 경험과 지역 상품 구입 경험 요인의 가중치가 각각 0.309, 0.301로 추정되었고, 문화행사 참여 경험 가중치가 0.390으로 추정되었다. 매력도 지수는 지역거주 의향(0.217), 지역상품 구매의향(0.203), 지역신뢰도(0.177), 지역행사 참여의향(0.147), 지역방문 의향(0.133), 그리고 지역호감도(0.123) 순서로 나타났다. 지역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경험도, 매력도 지수 추정 결과, 인지도 지수의 평균은 22.82, 경험도 지수의 평균은 6.30, 그리고 매력도 지수의 평균은 45.29로서 매력도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군 단위 지수가 도단위보다 높게 나타나 광역인 도 단위 보다는 구체적으로 지역의 속성을 이해하기 용이한 시군 단위의 브랜드 가치가 더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별로는 지역브랜드의 세 가지 구성요소에서 모두 호남권과 강원권의 지역브랜드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인지도 및 매력도의 경우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40-50대, 남자, 초등학생, 중·고생 자녀가 있는 응답자의 인지도가 높게 추정되었다. 이와 달리 경험도의 경우 40-50대 여자,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응답자, 자영업과 전업주부의 지수가 높게 추정되었다. 다음으로 시·군별 인지도 지수는 여수시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보성군, 포항시, 강릉시, 안동시, 영덕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브랜드 경험도 지수 또한 여수시가 가장 높게 추정 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강릉시, 완도군, 포항시, 나주시, 속초시 등의 순으로 추정되었다. 지역브랜드 매력도 지수는 강릉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주시, 울릉군, 완도군, 춘천시 등의 순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이 인지도, 경험도 및 매력도 등 시군별 지역브랜드를 구성하는 요소별로 순위에 차이가 있는 것은 브랜드 구성 요소별로 영향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결과는 시군별로 지역브랜드 구축과 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각 지역브랜드 구성 요소에 따라 지역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함축성을 지닌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의의는 지역의 자연적/사회문화적/경제적 속성이라는 구조적 접근법 하에서 지역브랜드 경쟁력을 지역자원(자연적 속성), 지역 문화행사(사회문화적 속성), 지역 상품(경제적 속성)에 대한 인지도, 경험도, 매력도 지수로써 평가하였다는 점에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접근법을 활용한 지자체별 실증 분석결과는 지역이미지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자체 지역브랜드의 경쟁력 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역브랜드의 인지도, 경험도, 매력도 기준에서 향후 해당 지역브랜드의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해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지자체의 지역브랜드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전략 및 정책 수립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역브랜드에 대한 지역특성별 및 소비자특성별 영향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인접지역효과를 포함하여 대도시로부터의 거리 등 위치 요인이 지역브랜드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한 보다 엄밀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지역브랜드 가치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 This study developed three indices for evaluating regional brand value, i.e. awareness index, experience index, and attractiveness index. We used an AHP approach to estimate these indices for 151 rural regions (151 administrative jurisdictions in Korea).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regional brand index varies considerably across regions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terviewee. First, the value of regional brand of local jurisdiction is higher than that of more integrate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Second, the brand value of Gangwon and Jeolla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Third, the interviewees with school children in the age of 40-50 are likely to have higher regional brand value. The estimation results also show a need for different strategies to develop and improve regional br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