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 탄성 영상 평가를 위한 플라스틱 기반의 팬텀 개발

        안동기(Dong-Ki Ahn),정목근(Mok-Keun Joung)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9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9 No.4

        초음파 의료용 탄성 영상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인체 조직 모사 팬텀을 제작하였다. 인체에서 종양이나 암 조직은 주위의 정상조직보다 단단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조직의 단단함을 영상화하는 기법이 탄성 영상 기법이다. 인체의 병변 조직의 기계적인 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경화제와 연화제를 이용하여 탄성도가 다른 균일 탄성 팬텀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균일 탄성 팬텀은 시료의 비율에 따라 11.1~79.6 ㎪ 범위의 탄성계수 값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외부 매질과 내부 매질의 탄성계수 차이가 5배와 7배 정도인 초음파 병변 모사 팬텀을 제작하여 탄성 영상을 획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작된 플라스틱 기반의 탄성 팬텀이 인체의 탄성 특성을 모사하는 탄성 팬텀으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A human tissue mimicking phantom is construc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a medical ultrasound elasticity imaging system. In a human body, the tumor or cancer is stiffer than its surrounding normal tissue. A technique for imaging the elasticity of such a tissue is referred to as elastography. Homogeneous elasticity phantoms with differing Young’s moduli are constructed using a plastic hardener and softener to simulat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 diseased human tissue. The Young’s modulus of the fabricated homogeneous phantom materials were measured from 11.1 to 79.6 ㎪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the amount of the hardener to that of the softener. An ultrasound lesion mimicking phantom was made of these materials, and ultrasound elasticity imaging was performed on it. It is confirmed in this paper that the fabricated plastic-based elasticity phantom is useful in representing the elastic characteristics of a human tissue.

      • KCI등재

        제 4-5 요추간 유합술 후 수술 방법에 따른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

        안동기(Dong Ki Ahn),이송(Song Lee),정기웅(Ki Woong Jeong),최대정(Dae Jung Choi),차상규(Sang Kyu Cha),조근호(Kun Ho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요추부 유합술 후 발생되는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있어서 후외측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질환으로 제4, 5요추의 유합술을 시행받고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157예 중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하여 후외측 유합술을 시행한 86예를 Ⅰ군으로, 척추경 나사못과 cage를 이용하여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71예를 Ⅱ군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양 군 간에 성별, 연령, 수술 전 인접 분절의 퇴행정도, 최종 추시에서 유합 분절의 시상각 그리고 추시기간에서 표집 오차가 있는가를 조사하고 근위 및 원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와 재수술의 비율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대조하여 추체간 유합술 여부를 포함한 상기 비교 인자들 중 실질적인 위험인자를 다중 로지스틱 희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근위 인접 분절의 퇴행정도(p=0.036)를 제외하고는 표집 오차는 없었다. 근위부 퇴행성 변화는 Ⅰ군 31/86 (36%), Ⅱ군 26/71 (37%)이었으며 재수술은 Ⅰ군 8/86 (9%), Ⅱ군에서 6/71 (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41, 0.536). 원위부 퇴행성 변화는 Ⅰ군 9/86 (10%), Ⅱ군 8/71 (11%)이었으며 재수술은 Ⅰ군 4/86 (5%), Ⅱ군 2/71 (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36, 0.435). 양측 인접 분절 중 일측 이상 퇴행성 변화가 발생한 군(65/157, 41%)과 발생하지 않은 군(92/157, 58%)을 대조한 결과 고연령과 부족한 유합 분절 시상각이 유의하게 위험성을 증가시켰다(p=0.024, 0.001). 결론: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제4, 5 요추간 분절 유합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는 후외측 유합술을 시행한 군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추체간 유합술 여부보다는 고연령과 적은 유합 분절 시상각이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켰다. Purpose: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ost-fusion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between performing posterolateral fusion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 seven patients who underwent L4-5 fusion using pedicle screws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followed up more than three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Eighty-six cases of posterolateral fusion (group Ⅰ) and 71 case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Ⅱ) were compared. Sampling bias was evaluated by comparing gender, age, the preoperative degeneration of adjacent segments, the sagittal angle of fusion segments on the last follow up and the follow-up period. The differences of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and the revis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multilaterally. The actual risk factors for such d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 which contrasted the degeneration group with the non-degeneration group for all the above factors, including whether interbody fusion was done or not. Results: Sampling bias was excluded except for the preoperative proximal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p=0.0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proximal degeneration (31/86, 36% in group Ⅰ, 26/7.1, 37% in group Ⅱ, p=0.536) and revision (8/86, 9% in group Ⅰ, 6/71, 8% in group Ⅱ, p=0.53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distal degeneration (9/86, 10% in group Ⅰ, 8/71, 11% in group Ⅱ, p=0.536) and revision (4/86, 5% in group Ⅰ, 2171, 3% in group Ⅱ, p=0.435). When comparing those cases who developed degeneration on either side with the non-degeneration cases, the odds ratio of old age and an insufficient sagittal angle of the fusion segment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24, 0.001).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djacent segments degeneration between the postero-lateral fusion group and th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Rather than the operation methods, old age and insufficient sagittal angle of the fusion segments were the actual risk factors of such degeneration.

      • KCI등재

        경피적 척추성형술 시 발생한 골시멘트에 의한 척수 손상

        안동기(Dong Ki Ahn),최대정(Dae Jung Choi),이송(Song Lee),김관수(Kwan Soo Kim),김태우(Tae Woo Kim),전태환(Taw Hwan Ch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경피적 척추성형술의 합병증 중 척추관내 골시멘트 누출은 드물지 않게 발생하며, 이 중에는 심각한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의 신경 손상이 영구적 또는, 가역적인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척추관내의 골시멘트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 척수는 경미한 외상 등에 의해 보다 수월하게 추가적 손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교실에서는 75세 여자 환자가 제8, 9 흉추에 경피적 척추성형술을 받다가 척추관내 골시멘트 누출로 Nurick 4등급의 신경 결손이 발생하였으며, 골시멘트를 제거하지 않고 지내다가 9년 후 사소한 외상으로 인해 Nurick 5등급으로 진행한 예를 경험하였으며 수술적 제거술을 시행하고 6개월 후에 Nurick 2등급으로 호전되었다. 본 증례를 관찰한 결과 이와 같은 신경 손상은 골시멘트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 경미한 외상에 추가적인 신경 손상을 받기 쉬우며 장기간 지연된 경우라도 골시멘트를 제거하면 신경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Among the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vertebroplasty, bone cement leakage into the spinal canal doesn't happen very often, but this could provoke a severe neurologic deficit. It is not certain whether this neurologic deficit may be permanent or reversible. Yet if the bone cement is left in the spinal canal, trivial events such as minor trauma could worsen the neurologic symptoms. The authors treated a 75-year-old female patient with Nurick's grade Ⅳ neurologic deficit, which was due to cement leakage into the spinal canal after previous vertebroplasty of T8 and T9. She had been having a neurologic deficit for 9 years, and it became aggravated after a minor trauma to Nurick's grade Ⅴ. After the cement in the spinal canal was removed, her neurologic symptoms were improved to Nurick's grade Ⅱ. Leaving a cement mass in the spinal canal may be a risk factor for additional neurologic injury even when suffering only a minor trauma, and the neurologic symptoms can be improved after removal of the cement, even for the case with a long-term neurological defect.

      • KCI등재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요천추부 척추감염의 수술적 치료

        안동기(Dong Ki Ahn),정기웅(Ki Woong Jeong),권병기(Byung Ki Kwon),차상규(Sang Kyu Cha),박관영(Kwan Young Park),조근호(Kun Ho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심한 골파괴와 하지동통을 동반한 척추 감염증 환자에서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감염조직의 제거술, 골이식술 그리고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기한 술식으로 치료한 단분절의 요천추부 감염증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6예가 결핵성이었고 4예가 화농성 감염이었다. 방사선적 평가 기준은 골 유합, 시상각의 회복 정도로 하였으며 임상적 평가 기준은 요통과 하지 동통의 VAS, 마비의 회복정도로 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견고한 골유합을 얻었다. 요추 시상각이 -3.6±12.5°에서 -1l.4±9.3°로 의미있게 교정되었으나(p=0.007), 수술 직후에 비하면 -16.2±10.2°에서 -1l.4±9.3°로 유의한 교정각 소설이 있었다(p=0.005). 요통은 수술 전 8.3±0.7에서 최종 2.6±1.6으로 호전되었으며(p=0.005), 하지 통증은 수술 전 6.8±2.1에서 수술 후 0.5±0.9로 호전되었다(p=0.005). 수술 전 상태를 통제한 최종 요통의 정도와 연령(r=0.79, p=0.011) 그리고 최종 하지 동통과 연령(r=0.75, p=0.020)사이에는 강한 양적 선형관계가 있었으며 최종 요통과 시상각(r=0.30, p=0.430) 그리고, 최종 하지동통과 시상각(r=0.41, p=0.274)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고정기기와 관련된 합병증이나 심부 창상감염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단분절의 요천추부 척추 감염증에 있어서 후방 절개를 통한 감염조직의 제거술과 골이식술 그리고,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은 골유합과 임상증상의 호전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이었다. 이와 같은 술식에 의해 감염의 확산이나 창상의 감염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유의한 시상각의 교정 효과가 있었다. 연령이 적을수록 요통과 하지 동통의 감소가 더 우수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is operative method, which includes removal of infected materials, insertion of a bone graft and fixation with pedicle screws through a posterior-only approach in spondylitis with advanced bone destruction and radicular pain.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refractory single level spondylitis of the lumbosacral spine, who underwent the above operation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2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ix cases were tuberculous and 4 cases were pyogenic in etiology. Radiologically, bone union and restoration of sagittal alignment were assessed. Clinically, Visual Analog Scales (VAS) for back pain, leg pain and resolution of neurologic symptom were analyzed. Results: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Sagittal angle was corrected significantly from -3.6±12.5° to -11.4±9.3° (p=0.007). However, loss of correction was noted from -16.2±10.2° at immediate after surgery to -11.4±9.3° at last follow-up (p=0.005). Back pain VAS was improved from 8.3±0.7 to 2.6±1.6 (p=0.005) and leg pain VAS was improved from 6.8±2.1 to 0.5±0.9 (p=0.005). There wa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final back pain (r=0.79, p=0.011) and leg pain VAS (r=0.75, p=0.020).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sagittal angle and back pain (r=0.30, p=0.430) and leg pain VAS (r=0.41, p=0.274). Implant related complications and deep wound infections did not occur. Conclusion: In single level spondylitis of the lumbosacral spine, a posterior-only surgical approach is a useful method in which debridement, bone graft placement and pedicle screw fixation can be performed. This procedure did not provide increased risk with respect to infection control, and it allowed correction of the sagittal angle. The younger the age of the patients, the better the back pain and leg pain VAS results.

      • KCI등재

        선형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혈관 변형률 영상법

        안동기(Ahn, Dong-Ki),정목근(Jeong, Mok-K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3

        뇌졸중 등의 혈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 혈관 내 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IVUS)영상 기법이 사용 되고 있다. 최근에는 혈관 내벽에 붙은 혈전을 탄성 영상법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혈관 내 초음파는 혈관 내에 트랜스듀서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진단 방법에 위험성이 있다. 본 논문은 선형 트랜스듀 서를 이용하여 혈관 외부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혈관 내벽에 붙은 혈전의 변형률 영상을 얻었다. 혈관 벽의 움직임 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혈관 벽과 수직이 되도록 주사선의 방향을 조향하면서 초음파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초음파 데이터는 기저대역의 복소수 신호로 복조한 뒤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을 이용하여 혈관 벽의 움직임을 계산 하여 변형률 영상을 얻었다. 제안한 방법을 플라스틱 기반의 혈관 모사 팬텀을 제작하여 검증하였다. 혈관 모사 팬 텀은 혈관에 해당하는 직경 6mm의 실린더 공간에 물을 채우고 벽을 따라 2mm 두께의 부드러운 혈전을 혈관 벽의 내부에 배치하였다. RF 데이터는 상용 초음파 진단기에서 7.5MHz 선형 트랜스듀서를 사용하여 -40도부터 40도까지 1도 간격으로 조향시킨 81개의 스캔라인 데이터를 얻었다. 실험 결과 단단한 배경 팬텀에 인접한 혈전 영역이 더 무 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제안한 방법의 탄성 영상법이 비록 주사선이 혈관 벽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역으로 제한되 지만 혈관 변형률 영상법의 유용함을 실험으로 입증하였다. The intrasvascular ultrasound (IVUS) imaging technique is used to diagnose cerebro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Recently, elasticity imaging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to diagnose blood clots attached to blood vessel intima. However, the IVUS imaging technique is an invasive method that requires a transducer to be inserted into blood vessel. In this paper, strain images are obtained of blood clots attached to blood vessel intima with data acquired from outside the blood vessel using a linear array transducer. In order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blood vessel accurately, experimental data are acquired by steering ultrasound beams so that they can intersect the blood vessel wall at right angles. The acquired rf data are demodulated to the baseband. The resulting complex baseband signals are then processed by an autocorrelation algorithm to compute the blood vessel movement and thereby produce strain image. This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experiments on a plastic blood vessel mimicking phantom.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using a home-made blood vessel mimicking phantom. The blood vessel mimicking phantom was constructed by making a 6 mm diameter hollow cylinder inside it to simulate a blood vessel and adhering 2 mm thick soft plaque to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cylinder. The RF data were acquired using a clinical ultrasound scanner (Accuvix XQ, Medison, Seoul. Korea) with a 7.5 MHz linear array transducer by steering ultrasound beams in steps of 1o from -40o to 40o for a total of 81 angl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laque region near the blood vessel wall is softer than background tissue. Although the imaging region is restricted due to the limited range of angles for which scan lines are perpendicular to the wall, the feasibility of strain imaging is demonstrated.

      • KCI등재후보

        조각골 이식과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의 연구

        안동기(Dong Ki Ahn),정기웅(Ki Woong Jeong),이송(Song Lee),최대정(Dae Jung Choi),차상규(Sang Kyu C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후방 기기 고정술과 병행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시, 이식골로 조각골만을 사용한 술식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국소 조각골을 사용한 군과 자가장골 조각골을 사용한 군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의 조각골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소 조각골을 사용한 16예를 Ⅰ군으로, 자가장골 조각골을 사용한 42예를 Ⅱ군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Kirkaldy-Willis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골유합은 Brantigan과 Steffee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tudent t-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임상적 만족도는 Ⅰ군이 81.3%, Ⅱ군이 88.1%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Ⅱ군 중 12%에서 골 공여부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나 이 중 불만족으로 평가된 예는 없었다. 골유합률은 Ⅰ군이 75%, Ⅱ군이 90%로, 붕괴유합은 Ⅰ군이 25%, Ⅱ군이 19%로, Ⅱ군에서 우수한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추간판 간격의 감소(Ⅰ군:2.0±1.3 ㎜, Ⅱ군: 1.91±2.3 ㎜)와 분절 전만각의 감소(Ⅰ군: 2.1±3.1°, Ⅱ군: 0.8±4.4°)는 모두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시간(Ⅰ군: 193±45분, Ⅱ군: 201±51분)과 실혈량(Ⅰ군: 590±86 ㎖, Ⅱ군: 675±126 ㎖)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조각골을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국소골군과 자가장골군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골유합률과 임상적 만족도를 보였으며 두 군의 골유합률과 임상적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군 모두에서 상당 부분 붕괴유합이 관찰되었으며, 붕괴유합이 인접분절이나 임상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다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utilizing pedicle screw fixation and chip bone graft, and to compar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in two group which use local chip bone and autoiliac chip bone re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58 cases of single segment chip bon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hich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Group Ⅰ was operated with local chip bone and group Ⅱ with autoiliac chip bone. Radiologic union was assessed, based on Brantigan & Steffee method and functional outcome by Kirkaldy-Willis criteria. Student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Clinical satisfaction of group Ⅰ and Ⅱ were 81.3% and 88.1% respectively (p>0.05). Though 12% of group Ⅱ complained about pain on the donor site, no one among them were assessed as unsatisfactory. Radiological union was confirmed in 75% in group Ⅰ and 90% in group Ⅱ (p>0.05). Twenty five percent of group Ⅰ and nineteen percent of group Ⅱ showed collapsed unio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Ⅰ and Ⅱ in loss of disc height, segmental lordosis, operation time and blood loss. Conclusion: Both local and autoiliac chip bon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re useful methods in the aspect of radiologic union and functional outcome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owever, considerable collapsed unions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long term influence of collapsed union on the adjacent segment and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요추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재수술

        안동기(Dong Ki Ahn),이송(Song Lee),정기웅(Ki Woong Jeong),박준성(Joon Seong Park),차상규(Sang Kyu Cha),박훈석(Hoon Se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로 재수술이 필요했던 경우의 위험인자들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로 재수술을 시행한 35예의 실험군과 수술 방법 및 시기를 기준으로 층화 표집된 73예의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성별, 나이, 수술 방법, 유합분절 수, 유합분절의 고정, 최초 수술 시 인접분절의 불안정 및 퇴행성 변화, 요추 전만각, 전체 요추의 퇴행성 척추증, 최상위 척추경 나사못의 위치, 주거지역, 노동정도, 운동정도, 흡연, 생활 습관 그리고 BMI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다변량의 로지스틱 희귀분석상에서 요추 전만의 감소(odds ratio=3.04l)와 원위 인접분절의 불안정(odds ratio=17.196), 심한 육체노동(odds ratio=2,462), 운동의 결핍(odds ratio=2.534) 그리고 농촌주거(odds ratio=46.729)가 유의 하게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켰다. 결론: 요추 전만각의 감소, 원위 인접분절의 불안정, 심한 육체노동, 운동의 결핍 그리고 농촌 주거는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수술 후 생활 형태는 인접분절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이 있었다. 현재의 증상과 무관하여도 원위 인접 분절의 불안정이 있을 경우에는 유합 범위에 포함시킬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요추 유합술 시 적절한 요추 전만의 재건은 여타의 기술적 인자보다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ver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djacent segment failure after lumbar spine fusion using pedicle screw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35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spine fusion using pedicle screws and required revision surgery due to adjacent segment failure. These were compared with 73 control patients who were stratified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surgical method and period. Gender, age, surgical procedures, the number of fusion segments, the fixation of the sacrum, initial instability and degeneration of the adjacent segments, lumbar lordosis, whole lumbar spondylosis, placement of most proximal screws, habitat, the demand of physical work, physical exercise, smoking, life style and 8MI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insufficient lumbar lordosis (odds ratio=3.041), instability of the distal adjacent segment (odds ratio=17.196), physically demanding jobs (odds ratio=2.462), delinquent exercise (odds ratio=2.534) and rural habitat (odds ratio=46.729)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adjacent segment failure. Conclusion: Insufficient lordosis, instability of the distal adjacent segment, physically demanding jobs, delinquent exercise and rural habitat were found to be risk factors. The postoperative life style has a large impact on adjacent segment failure. The extension of fusion to an unstable distal segment should be deliberated even though it is not attributable to the current symptoms. A reconstruction of the proper lordosis far outweights the other methodological factors.

      • KCI등재

        경골 근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공정술시 사선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은 안전한가?

        안동기(Dong Ki Ahn),최대정(Dae Jung Choi),김진학(Jin Hak Kim),이정수(Jung Soo Lee),양종화(Jong Hwa Yang),부경환(Kyung Hwan B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2

        목적 : 근위 경골 골절 치료시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의 내외측 사선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은 근위 경비 관절 원위부에 근접하여 주행하는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비골신경 및 전경골 동맥)을 손상할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방사선학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22예의 단순 방사선 사면상에서 비골 골두 근위 피질골에서 근위 경비관절 원위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고 단순 방사선 측면상에서 내외측 사실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 삽입 수준 높이에서 경골 전방 피질골과 금속정 중심점(O)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슬관절 자기공명영상 60예의 근위 경비관절 수준에서의 축상면상 위에 측정된 금속정 중심점(O)을 표시하고, 금속정의 중심점에서 비골 전방 10 ㎜ 위치점(P)와 비골 후내방 피질골과 접하는 점(A)을 연결하였다. 세점으로 이루어진 각 POA내에 내외측 사선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이 삽입시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위험 삽입각도로 정의하였다. 자기공명축상면상에 표시된 금속정 중심점을 지나는 경골의 횡직경과 45도 사선직경을 계측하였다 . 결과 : 비골 골두 근위 피실골에서 근위 경비관절 원위부까지 길이는 18.5±3.3 ㎜였고, 근위 경비관절 수준 높이에서 금속정 중심점은 경골 전방 피질골에서 15.3±3.4 ㎜ 후방 위치로 계측되었다. 내외측 사선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의 위험 삽입각도(각 POA)는 21.4±6.2-67.8±6.7°였다. 자기공명 축상면상의 근위 경골 횡직경은 평균 58.0±5.8 ㎜였으며, 45° 사선직경은 평균 50.7±6.2 ㎜로 약 7.3 ㎜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 금속정 근위 끝에서 근위 잠김 나사못의 삽입 깊이는 근위 경비관절의 길이보다 길며 내외측 사선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은 금속정 중심점에서 45°로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시 항상 위험 삽입 각도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내외측 사선방향 근위 잠김 나사못의 삽입시 비골신경과 전경골 동맥을 손상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Purpose : We tried to reveal radiographic clues for the possibility of damages to the important structures, including the peroneal nerve and the anterior tibial artery, caused by a proximal interlocking screw with a medial to lateral oblique direction (ObML-PIS). Materials and Methods : The length of the proximal tibiofiular joint (PTFJ) was measured from the tip of the fibular head to the end of PTFJ on the simple oblique radiographs of 22 cases of tibial intramedullary (IM) nailing. The center (0) of the 1M nailing, from the tibial anterior cortex at the level of insertion of an ObML-PIS, was measured on the simple lateral radiographs. The angle POA (P: a point 10 ㎜ anterior from the anterior fibular border, A: a point on the tangent line from the 0 point to the posteromedial cortex of the fibula) was measured on the MR axial view of 60 cases, and within this angle an ObML-PIS could injure the important anatomical structures. Transverse and 45-degree oblique diameters of the proximal tibia on the MR axial view were also measured. Results : The PTFJ length was 18.5±3.3 ㎜ and the 0 point was located at 15.3±3.4 ㎜ posterior from the tibial anterior cortex. The angle POA was 21.4±6.2-67.8±6.7 degrees with medial to lateral oblique directions. The transverse diameter of the proximal tibia was 58.0±5.8 ㎜ and the 45-degree oblique diameter was 50.7±6.2 ㎜. Conclusion : Special caution may be needed when we use an ObML-PIS because it is located at the level distal from the end of the PTFJ and within the POA angle, and the peroneal nerve and anterior tibial artery can possibly be sever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