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 환경 내에서의 특수교사의 협력 유형 분석

        안도연 국립특수교육원 2008 특수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협력에 참여하는 특수교사들의 협력 경험을 분석하여 협력 유형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 환경에서 근무하는 초등 특수교사 10명을 심층면담하고 그들의 협력 경험을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여 협력 유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협력 유형은 적극적인 협력자와 형식적인 협력자, 짝사랑 협력자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협력 유형에 영항을 미친 변인으로는 특수교사 요인과 장애아동 부모, 근무 학교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 요인으로는 협력 지식 및 경험, 업무량이었다. 또한 장애아동 부모 요인으로는 협력적과 비협력적 태도였으며 근무하는 학교 변인에는 IEP 회의, 협력적, 비협력적 태도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적극적인 협력자는 유능감을 느꼈으며, 형식적인 협력자는 나태함을 경험하고 있었고, 짝사랑 협력자는 장애아동 부모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get the best outcom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s the relationships of parent and teacher have been increased to collaborative partnershi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special teachers about the practice of collabor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groun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l990). It was that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s signed in a written consent. The data was collected by depth interviews accomplished from September, 2006 to May,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irst, that the collaboration typ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classified as the positive collaborator, the passive collaborator and unretumed-collaborator. Seco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Collaboration types of the special teachers were confirmed to the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of children with disorder, and the school. The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vealed to their work load, professionalism for collaboration. The variabl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were the attitude of the parent cooperation and the recogni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goal.

      • KCI등재후보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안도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준비도와 통합교육을 위한 현 교사양성과정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서울․경기에 위치한 장애통합유치원 중 50 곳을 선정하여 원장과 교사들을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개인적 내용과 통합교육 준비도,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현 교사양성과정의 개선점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총 178부(원장 43부, 교사 135)의 설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통합교육 준비도가 낮았으며 경력과 교사 양성 과정에서 경험한 교육 실습지 유형이 준비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교사 양성과정이 통합교육에 부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교육내용과 교육 실습 방법의 수정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Inclusive education is one of the more attention-getting issues on the current education. So teachers prepare to inclus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ncipals and teachers by the preparation and recognition for inclusive education. A sample of 178 participants(Principals=43, teachers=135) are living in Seoul or Gyeonggi of Korea. The study was analyzed by a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e principals and teachers don't know to inclusive education methods and hope to change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외로움 개입 예비 프로그램의 효과 : 주관적 외로움 및 인터넷 사용행동 개선을 중심으로

        안도연,이훈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1 인지행동치료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에 개입하기 위한 집단 프로그램을 예비적으로 개발하고, 외로움과 관련된 중독행동 중 하나인 인터넷 사용을 통해 개입효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외로움을 고독으로 재정의 하고 건설적 대처방법을 탐색함으로써, 외로움 및 인터넷 사용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은 인지적 신념의 수정, 외로움을 고독으로 재정의 하기, 외로움 경험과 대처방법 공유하기 및 건설적 대처 찾기 등을 주요 요소로 구성하였다. 외로움 관리 프로그램에 자원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 10명을 대상으로 1회기 2시간의 프로그램을 4주간 시행하였고, 최종 수료자 8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을 통해 외로움 수준이 높은 고 외로움 집단에서 외로움 수준 및 인터넷 사용시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group therapy program for lonely people(Loneliness Group Therapy; LGT)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on loneliness and internet addictive behavior was examined. The program focused on redefining of loneliness as solitude and training of constructive coping strategies. Ten students had participated in the LGT and 8 of them completed the whole 4–weeks course. The levels of loneliness and internet using time of the high lonely stud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교육실습 경험분석-근거이론 중심으로-

        안도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2 통합교육연구 Vol.7 No.1

        This research focuses on a qualitatively in-depth study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during the practicum. For this 8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of inclusive setting kindergartens. And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is based on the groun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1990).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All of them felt role conflict and identity confusion. However, their attitude was divide. First group, they felt role conflict and identity confusion but they effort making a profession and friendly with kindergarten's staff. So they make the good identit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But another group lose out making profession and friendly with kindergarten's staff. So they are give up a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이 연구는 예비유아특수교사가 장애유아통합유치원에서 교육실습 경험을 이해하고 그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대학의 예비유아특수교사 8명이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장애통합유치원에서 4주간 교육실습 경험을 심층면담, 일기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전사하여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하면서 유아특수교사로서의 역할 갈등과 정체성혼란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유아특수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형성하고 친밀감을 형성하려는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성공한 예비교사들은 유아특수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전문성 형성과 친밀감 형성에 실패한 교사들은 유아특수교사가 아닌 다른 직업으로 이탈하려는 태도를 나타냈다

      • KCI등재

        학업성취도 예측 요인 분석 및 인공지능 예측 모델 개발 - 블렌디드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안도연,이광호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2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so rapidly, education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to provide optimal learning for each student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is study, us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ata of elementary school 5th to 6th graders conducting blended mathematics classes, we tried to find out what factors predic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predicts mathematics academic performance using the results. Math learning propensity, LMS data, and evaluation results of 205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nalyzed with a random forest model. Confidence, anxiety, interest,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in math learning strategy were included as mathematics learning disposition. The progress rate, number of learning times, and learning time of the e-learning site were collected as LMS data. For evaluation data, results of diagnostic test and unit test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thematics learning strateg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low-achieving students among mathematics learning propensities. The LMS training data had a negligible effect on the predi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I model can predict low-achieving students with learning data generated in a blended math clas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ll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for teachers to evaluate and give feedback to students. 본 연구는 학습분석학을 기반으로 블렌디드 수학 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습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205명의 수학 학습 성향, LMS 데이터, 평가 결과를 수집하여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분석하였다. 수학 학습성향에는 수학학습 자신감, 수학불안, 수학교과 흥미, 수학학습 자기관리, 수학학습전략이 포함되었다. LMS 데이터로 e학습터의 진도율, 학습 횟수, 학습 시간을 수집하였다. 평가는 진단평가와 각 단원의 단원평가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학습성향 중 수학 학습 전략이 저성취 학생을 예측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LMS 학습 데이터는 예측에 미미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모델이 블렌디드 수학 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습 데이터로 저성취 학생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교사가학생을 평가하고 피드백하는 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교사의 평가 활동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용과 정신건강 및 심리적 유연성의 관계

        안도연,이훈진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3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actical Confucian virtue of Zhongyong (Doctrine of the Mea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were investigated. Zhongyong consists of three aspects: understanding the situations and taking appropriate action or optimal response (timeliness and harmony); not being biased and going toward the extreme (dynamic balance and equilibrium); and being open to and tolerant of others (empath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Zhongyong attitude and various positive/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depression, anxiety,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well-being,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 the participation of 364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Zhongyo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articular, the Zhongyong attitude had a stronger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an psychological flexibili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Brain Imaging in Mathematics Education: An Analysis of KCI Studies

        안도연,양선홍,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2023 Brain, Digital, & Learning Vol.13 No.4

        This study reviews the application of EEG, fMRI, and fNIRS in mathematics educationresearch in South Korea, analyzing 16 significant papers from the last 25 years. The resultsdemonstr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rainwave patterns and various aspects ofmathematical learning. EEG studies highlighted the role of different brainwaves in mathanxiety, computation, and problem-solving. fMRI research revealed the importance ofwhole brain activation in spatial and numerical processing. Studies using fNIRS emphasizedthe prefrontal cortex's involvement in mathematical tasks, particularly in spatial andcomputational tasks. Conclusions highlight the need for math learning programs thatenhance brain connectivity and consider problem difficulty and learner preferences. Thestudy advocates for more research on the prefrontal cortex, particularly in relation to mathanxiet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rain imaging techniques in understandingcognitive processes in math education, suggesting an integrated approach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비계설정 도구로서의 ChatGPT: 초등학생의 수학 논리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안도연,손태권,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2023 Brain, Digital, & Learning Vol.1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ed scaffolding using OpenAI’s large language model, ChatGPT-4.0, with the aim of enhancing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og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Based on Vygotsky’s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the influence of AI-based hint provision 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nts provided by ChatGPT effectively improved the students’ problem-solving levels, particularly utilizing restructuration and verification strategies efficiently. Furthermore, this AI model accurately identified the students’ errors and provided appropriate hints considering these errors. However, such effects varied depending on the difficulty of the problem and the students’ level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I as a tool for personalized educational support and suggest its applicability, especially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교사와의 협력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안도연,김병석 국립특수교육원 2007 특수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교육 환경에서 협력에 참여하는 장애학생 부모들이 인식하는 협력 과정을 모형화하기 위해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 부모 10명을 만나 3회 심층면담하고 장애학생 부모가 인식하는 협력과정을 분석하여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들을 찾고 이 과정을 이론적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은 협력에 관한 지식 및 경험이 부족하고 양육으로 인해서 지쳐있었으나 협력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인과적 조건). 그러나 과거 협력 참여자의 특징과 과거 경험한 협력 강도·빈도(맥락적 조건), 교사태도, 협력에 대한 교육 풍토, 부모참여에 대한 선입견(중재적 조건)에 따라서 적극적인 협력자와 수동적인 협력자, 무관심한 협력자로 협력 유형이 나뉘었다. 결과적으로 적극적인 협력자는 안정감과 유능감을 느꼈으며, 수동적인 협력자는 교사와의 협력에 거리감을 표현했고 무관심한 협력자는 교사와의 협력과정에 불만을 표시하며 외부와(장애학생 부모회)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get the best outcomes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ent-teacher and relationships are increasingly viewed as collaborative partnerships. Greater emphasis is being placed on the strengths, resources, and adaptive capacities of families, which have often been minimized in the past, and on the value of parental participation regarding their children and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ssessment and planning. Therefore,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par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bout the practice of collaboration. This study was executes by applying the groun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0). Interviews were conducted 1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ta was collection with in-depth interviews between September 2006 and May 2007 and signed consent forms were obtained form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rents have high motivation regarding the necessity of the collaboration. But, practice level of the collaboration was diverse. Because there are another factors, which influence complexly how to build their own strategy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 condition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teacher and parents should improve the collaborative practice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

      • KCI등재

        유학적 개념과 일상에서의 경험 조사를 통한 중용(中庸)의 심리학적 정의 도출:예비연구

        안도연,이훈진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e the confucian value, ‘Zhongyong(Doctrine of the Mean)’ which pervade every aspect of Koreans. There are two approaches to study of confucian concept by using psychological methodology: the ‘top-down’ as theoretical approach and the ‘bottom-up’ as empirical approach. These two approach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order to clarify psychological construct of Zhongyong, we studied the documents about Confucianism and Zhongyong and classified Zhongyong into four dimensions(top-down); cognition, emotion, motive, and the self. Then we conducted a survey with 101 individuals who have academic experiences about Zhongyong(bottom-up). The two questionnaires about concept and experience of Zhongyong were collected and analysed 94 valid responses(48 male and 46 female, mean age = 31.6, standard deviation = 7.19). 94’s response-se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by the four dimension criteria. Zhongyong which lay people have recognized was also classified into four dimensions such as cognition, emotion, motive, and the self but few responses were classified as the self. The four dimensions of Zhongyong are considered as follows: The cognitive factor is dialectic thinking/cognitive flexibility. The emotional factor is emotion regulation/affect balance. Zhongyong is internal motive related to autonomy and competence of Self Determination Theory. Lastly, Zhongyong is understood by the self-actualization/self-realization. 유학을 심리학적으로 연구하는 데는 개념에서 시작하여 실생활 모습과 연계하는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접근과 삶속에서 나타나는 말과 행동을 조사하여 체계화하는 아래로부터 위로의 접근이 있으며 이 두 가지는 상호보완적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의 개념 중 일상성과 친근성이 높은 중용을 심리학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이 두 가지 접근의 수렴을 시도하였다. 먼저 관련 논문과 문헌들을 리뷰하여, 중용을 인지, 정서, 동기 및 통합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실생활에서 일반인들의 인식을 통해 나타나는 모습을 탐색하기 위해 대학 재학 학력 이상의 일반인 101명을 대상으로 중용의 개념과 경험을 수집하여 그 중 유효한 9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를 이론적으로 구분한 인지, 정서, 동기, 통합적 측면에 따라서 분류하였고, 그 결과 일반인들의 중용 개념 및 경험은 이론적으로 도출한 인지, 정서, 동기, 통합적 측면으로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인지적 측면이 가장 많았고 통합적 측면은 소수였다. 이후 결과를 종합하여 관련된 심리학적 변인들로 정리하였다. 중용의 인지적 측면과 관련된 심리학적 변인으로는 변증법적 사고 및 인지적 유연성, 정서적 측면에서는 정서적 균형과 적응적 정서 조절, 동기적 측면에서는 내적 동기와 이를 통해 지속되는 중용 행동을 고려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 통합적 측면에서는 자기실현으로 중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함의 및 추후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