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Aquatic Moths, Elophila turbata (Butler, 1881) (Lepidoptera, Crambidae, Nymphulinae) in Korea, with New Host Plants

        진재호,안능호,배양섭,Jin, Jae-Ho,Ahn, Neung-Ho,Bae, Yang-Seop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포충나방과의 물명나방아과에 속하는 얼룩애기물명나방(Elophila turbata (Butler, 1881))에 대한 성충, 종령유충, 번데기의 형태적 특징과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여 재기재하였으며, 또한 이 종의 생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기주식물로 개구리밥,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생이가래(Salvinia natans)를 확인하였다.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dult and immature stages on Elophila turbata (Butler, 1881) belonging to subfamily Nymphulinae, family Crambidae are redescribed base on Korean materials. Also we observed biological characters of this species including host plants, Spirodela polyrhiza(L.) Schleiden, Salvinia natans ($Linn\acute{e}$) Allioni and Lemna perpusilla Torre. And, photographs of adult, genitalia and immature stages are provided.

      • KCI등재

        Two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Ypsolopha Latreille (Lepidoptera: Ypsolophidae) from Korea

        나솔문,안능호,변봉규,배양섭,Na, Sol-Moon,Ahn, Neung-Ho,Byun, Bong-Kyu,Bae, Yang-Seop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1

        Ypsolopha속 (나비목:Ypsolophidae)의 2종, Ypsolopha vittella (Linnaeus, 1758)와 Ypsolopha nigrofasciata (Yang, 1977)를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두 종의 진단형질, 기재, 분포, 기주식물, 성충사진 및 암컷 생식기 사진을 제시하였다. Two species of the genus Ypsolopha Latreill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Ypsolopha vittella (Linnaeus) and Y. nigrofasciata Yang. The diagnosis, description, distribution, host plants, adult photographs, and pictures of female genitalia are provided.

      • 한반도 서식 자생곤충종의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

        김기경 ( Ki Gyoung Kim ),안능호 ( Neung Ho Ahn ),박선재 ( Sun Jae Park ),전미정 ( Mi Jeong Jeon ),서홍렬 ( Hong Yul Seo ) 한국토양동물학회 2013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cumentation system of voucher specimens of indigenous insects in Korean peninsula. Voucher specimens in this study are defined as biological specimens having the collection data, taxonomic information and correct scientific identification, which are preserved as the evidence of biological species in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11,853 biological species were recorded in Korean peninsula until in 1996. According to the newly compiled national inventory of indigenous species of the Korean peninsula, 14,145 biological species were recorded until in 2012. Among them, 8,245 species were confirmed with information for voucher specimens and image data b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since 2008 untill 2013. All confirmed species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ion, taxonomic and image data for each species was deposited as DB in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biological resources in NIBR.

      • KCI등재

        개미 둥지에 서식하는 한국 미기록속 Ippa Walker (나비목, 곡식좀나방과)에 대한 보고

        이동준,동민수,김기경,안능호,이봉우,배양섭,Dong-June, Lee,Minsoo, Dong,Ki-Kyeong, Kim,Neung-Ho, Ahn,Bong-Woo, Lee,Yang-Seob, Ba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The genus Ippa Walker, 1864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with a species I. conspersa (Matsumura, 1931). I. conspersa is generally known as myrmecophiles having ecological relationships with some ant species such as Lasius spp. Photographs of adults, immature stages, and the genitalia of I. conspersa are provided.

      • KCI등재

        삼척시산불지역에서의 나방류에 관한 종다양성 변화

        배양섭,채도영,주영돈,배정훈,김종명,안능호,이철민,Bae, Yang-Seop,Chae, Do-Young,Ju, Young-Don,Bae, Jung-Hoon,Kim, Jong-Myung,Ahn, Neung-Ho,Lee, Cheol-M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1

        2000년 삼척 동해안산불이 나방군집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3개의 조사지(지점1: 미피해지역, 지점2: 지표화 피해지역, 지점3: 수관화 피해지역)를 설정하여 2006부터 2009년 까지 1년에 4회 UV 라이트 트랩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조사지에서 30과 727종 3,804개체를 채집하였다(지점1: 27과 505종 1,727개체, 지점2: 24과 353종 1,193개체, 지점3: 25과 340종 885개체). 밤나방과, 명나방과, 자나방과와 잎말이나방과는 종수와 개체수가 3개의 조사지에서 상위를 점했다.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H') 모두 지점1에서 가장 높았다. 유사도(${\alpha}$-Index)는 2006년에는 지점2와 3이 더 높았지만, 2009년에는 지점1과 2가 더 높았다. 나방류를 유충기의 기주로 16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군집변화를 분석하였다. 지점3에서 초본식성의 나방류의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목본식성의 개체수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 연구결과, 나방군집은 산불 이후 식생변화와 더불어 회복되었고 지표화 피해지역에서 나방군집의 재생은 수관화 피해지역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moth communities in Samcheok, Korea,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the East Coast Fire in 2000. Moths were collected with UV light traps 4 times a year from 2006 to 2009 at 3 sites: Unburned area (Site 1), Surface fire area (Site 2), and Crown fire area (Site 3) sites, respectively. A total of 3,804 individuals belonging to 727 species from 30 families were captured at the 3 study 1,727 individuals of 505 species (27 families) at Site 1, 1,193 individuals of 353 species (24 families) at Site 2, and 885 individuals of 340 species (25 families) at Site 3. Species richness and individuals of Noctuidae, Pyralidae, Geometridae, and Tortricidae were the highest at all 3 sites. All of species richness, individuals, and species diversity (H') were the highest in Site 1 for 4 years. The index of similarity (${\alpha}$-Index) was higher between Site 2 and 3 in 2006, while higher between Site 1 and 2 in 2009. Moths were grouped into 16 categories by hosts of the larval stage. Individuals of moths of herbaceous feeding habit continuously decreased at Site 3, but proportion of individuals of tree feeding habits continuously increased.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moth communities was relatively recovered according to vegetation change after forest fire and regeneration of moth communities in surface fire area was more faster than in crown fire area.

      • SCIEKCI등재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Efficacy Evaluation of Bacillus velezensis for Shot-Hole Disease Biocontrol in Flowering Cherry

        Viet-Cuong Han,유난희(Nan Hee Yu),윤혁준(Hyeokjun Yoon),안능호(Neung-Ho Ahn),Youn Kyoung Son,Byoung-Hee Lee,김진철(Jin-Cheol Kim) 한국식물병리학회 2022 Plant Pathology Journal Vol.38 No.2

        Though information exists regarding the pathogenesis of the shot-hole disease (SH) in flowering cherry (FC),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focusing on SH management. Therefore, here,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SH pathogens both in vitro and in vivo as well as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unds. Two biosurfactant- producing bacterial antagonists,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strains JCK-1618 and JCK-1696, exhibited the best effects against the growth of both bacterial and fungal SH pathogens in vitro through their cell-free culture filtrates (CFCFs). These two strains also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s via the action of their antimicrobial diffusible compounds and anti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rude enzymes, solvent extracts, and biosurfactants of the two strain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imeof- flight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 partially purified active fractions revealed that the two antagonists produced three cyclic lipopeptides, including iturin A, fengycin A, and surfactin, and a polyketide, oxydifficidin. In a detached leaf assay, pre-treatment and co-treatment of FC leaves with the CFCFs led to a large reduction in the severity of the leaf spots caused by Epicoccum tobaicum and Bukholderia contamina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wo antagonists produced indole-3-acetic acid, siderophore, and a series of hydrolytic enzymes, along with the formation of a substantial biofilm.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diffusible compounds and VOCs of B. velezensis against the SH pathogens and their efficiency in the biocontrol of SH.

      • 제5분과 : 환경관리 및 도시녹지 ; 자생 토양 절지동물을 이용한 제주도 토양 등급 분석 연구

        서홍렬 ( Hong Yul Seo ),김기경 ( Ki Gyoung Kim ),박선재 ( Sun Jae Park ),안능호 ( Neung Ho Ah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토양 서식 절지동물은 토양 생물상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개체수가 풍부하며, 토양의 형성이나 변화에 대한 역할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에서는 토양에 서식하는 절지동동물을 대상으로, 분류군별로 토양에서의 역할 정도에 따라 고유의 지수를 할당하고, 이 지수들을 이용하여 토양의 상태 판정에 활용하는 기법(QBS, Biological Quality of Soil)을 개발하여 토양생태계 관리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Parisi, 2005) 우리나라에서도 이 기법을 도입하여 토양의 질을 판정하는 시도가 있었다. QBS에서는 토양환경에 적응한 절지동물들의 적응 수준을 평가하고, 토양에서의 역할과 적응 정도에 따라 분류군별로 목 수준에서 생태·형태학적 지수(EMI, Eco-morphologic index)를 부여하기 때문에, 토양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종수준에서 동정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예를 들면 토양에 서식하는 미소절지동물들은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형태학적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데, 체색이나 시각기구의 감소나퇴화, 부속지(털, 더듬이, 다리)들이 감소하거나 빽빽한 형태로 된 유선형의 체형, 비행능력이 퇴화하거나 없고 도약이나 달리는 것의 적응, 그리고 큐티클 층이 얇고 바깥쪽 표면에 소수성 화합물이 부족해서 수분보유능이 감소한것 등이다. QBS에서는 이런 토양환경과 관련된 특징들의 존재 유무만 집중하여 조사하고 토양에 사는 절지동물을 복잡하고 까다롭게 종 수준에서 동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토양서식 절지동물 동정에 비전문가인 사람들도 손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사지역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QBS 값을 구하는 순서는 이탈리아에서 사용된것과 동일하게 먼저 대상지역의 토양을 채취하고 미소절지 동물을 분리한 후 주로 목 수준에서 동정하고 최종적으로 분류군과 맞는 EMI를 계산하여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라, 토양 심층에 서식하는 분류군(eu-edaphic)의 지수는 20, 중층서식 분류군(hemi-edaphic)은 적응 정도에 따라 보통 5∼20, 표층에 서식하는 분류군(epi-edaphic)은 1을 부여하였다. 낫발이목이나 좀붙이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유사한 종들로 구성된 분류군들은 단일 EMI를 갖는데, 이들은 심충에 서식하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종들은 모두 20을 갖게 된다. 그렇지만 톡토기목이나 딱정벌레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다른 종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종의 특성에 따라 다른 EMI를 갖게 된다. 만약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분류군에 속하는 다른 EMI를 갖는 생태·형태형이 존재하면 최종 점수는 높은 EMI를 갖는 분류군으로 결정하였다. 즉 최고로 토양에 잘 적응한 분류군이 그 전체 분류군의 대표적인 EMI를 결정하는 것이다. 최종 QBS 점수는 모든 조사된 분류군들의 EMI를 합산하여 산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4개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절지동물상을 조사하고 한국형 QBS시스템을 적용하여 토양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 2012). 제주도 내 토양 무척추동믈 채집은 4곳(St.1∼4)에서 진행되었다. St.1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로서 한라산 자락의 해발 664m지역으로 자연이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어나무, 조릿대가 우점하였다. St.2는 제주도 제주시 오등동 지역으로 한라생태숲 내의 관리사가 있는 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이 일부 존재 했던 곳이며 서어나무, 쥐똥나무, 억새가 우점하였다. St.3는 제주시 월평동 지역으로 한라산 국립공원의 관음사 인근지역이다. 숲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St.4는 조사지역 중 표고가 가장 낮은 103m였고, 곶자왈이 잘 보존된 동백동산 내의 폐원된 밀감과원 지역으로 종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감귤나무 등이 많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에서 토양 절지동물의 채집과 분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조사지점에 토양 샘플러(10×10×30㎝, 스테인레스 소재)를 설치하고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깊이 10㎝로 박은 다음에 토양 샘플러를 조심스럽게 회수하고 안에 있는 1,000㎖ 분량의 토양을 지퍼백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가급적 빨리 운반한 후 Tullgren 장치에 넣어 토양 절지동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토양동물은 75% 에타놀에 액침표본으로 보관 한 후 동정하였다. 동정은 토양동물학(최, 1996)과 일본산 토양동물도감(Aoki, 1996)의 검색표를 이용하여 QBS 분석에 필요한 목 또는 강 수준까지 진행하였다. 조사지점의 QBS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1에서는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1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2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점수는 총 15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3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2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4에서는 좀붙이목, 톡토기목, 집게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불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등각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점수는 총 192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조사된 4개 지역의 토양 상태는 QBS가 나눈 토양의 7개 등급 중 전부 2등급으로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사된 지역들이 생태계가 잘 보존된 한라산 국립공원 인근지역이거나 한라생태숲 지역, 곶자왈 지역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QBS가 한국의 토양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