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분해 촉진에 의한 시설환경중 잔류농약 경감기술 개발

        이재구,정인상,권정욱,안기창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1997 연구보고서 Vol.2 No.-

        광분해 촉진에 의한 작물중 잔류농약의 인위적인 경감을 위하여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합성화합물중에서 감광작용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40여종에 대하여 감광작용을 검정하여 6개의 화합물을 선발하고 사과와 오이에 사용되는 살균제중 iprodione, bitertanol, chlorothalonil, dichlofluanid 및 myclobutanil을 관행법에 따라 상기 작물에 살포한 후 감광제를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40여종의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과 합성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감광작용을 탐색하여 ketone계인 PS-1, 방향족 amine계인 PS-2, quinone계인 PS-3, 무기화합물인 PS-4, 유기산염인 PS-5, 광촉매제인 PS-6를 선발하였고, 모래를 이용한 예비실험을 통하여 각 농약에 대하여 3종의 감광제를 선발하였다. ② 상기 농약의 각 작물에 대한 회수율은 0.5ppm과 1.0ppm에서 모두 91%∼106%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③ 사과에 처리된 iprodione의 경우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15일 경과 후 잔류량은 무처리의 74%로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감광제는 큰 효과는 없었다. ④ 감광제 처리에 의한 사과중 chlorothalonil의 잔류량 경감효과는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과 방향족 amine계 감광제인 PS-2를 처리하고 1일 경과 후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각각 56%와 54%로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⑤ 사과에 처리된 bitertanol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그다지 큰 효과는 없었으나 무기화합물인 PS-4처리구에서 처리 1일 후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63%이었다. ⑥ 오이에 처리된 iprodione의 경우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3일과 15일 경과 후 그 잔류량은 무처리의 각각 44%와 30%로 광분해 촉진 효과가 컸다. ⑦ 감광제 처리에 의한 오이중 myclobutanil의 잔류량 경감효과는 반도체 광촉매제인 PS-6을 처리하고 1일 경과 후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3%이었다. ⑧ 감광제 처리에 의한 오이중 dichlofluanid의 잔류량 경감효과는 방향족 ketone게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3일과 7일 경과 후 그 잔류량은 각각 무처리의 44%와 25%로 광분해 촉진효과가 컸다. ⑨ 위의 결과를 요약하면 작물과 농약에 관계없이 방향족 ketone계 감광제인 PS-1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광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내었고, 방향족 amine계 감광제인 PS-2, 무기화합물 PS-4 및 반도체 광촉매제인 PS-6은 농약에 따라 특이하게 그 효과를 나타내었다.

      • 광분해 촉진에 의한 시설환경중 잔류농약 경감기술 개발

        이재구,정인상,권정욱,안기창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6 연구보고서 Vol.1 No.-

        광분해 촉진에 의한 작물 및 토양중 잔류농약의 인위적인 경감을 위하여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합성화합물 중에서 감광작용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40여종에 대하여 감광작용을 검정하여 6개의 화합물을 선발하고 고추와 토마토에 사용되는 살균제중 procymidone, vinclozolin 및 carbendazim을 관행법에 따라 상기 작물에 살포한 후 감광제를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40여종의 자연계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과 합성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감광작용을 탐색하여 ketone계인 PS-1, 방향족 amine계인 PS-2, quinone계인 PS-3, 무기화합물인 PS-4, 유기산염인 PS-5, 광촉매제 PS-6를 선발하였다. ② 2종의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procymidone과 vinclozolin, 그리고 benzimidazole계 살균제인 carbendazim을 토양 및 토마토와 고추에 살포 후 선발된 감광제를 살포하고 일정시간 후에 시료를 채취하여 농약잔류분석법에 의하여 그 잔류량을 정량하였다. ③ 감광제 살포에 의한 토양중 농약의 광분해 촉진효과에서 procymidone의 경우에는 방향족 amine계 감광제인 PS-2를 처리한 후 1일에 대조구 잔류량의 71%로 그리고 15일 후에는 44%로 감소하였다. ④ 토양에서 vinclozolin의 경우에는 감광제 PS-2를 처리한 후 1일에 잔류된 량이 대조구의 71%로 그리고 15일 후에는 21%로 감소하였다. ⑤ 토양에서 benzimidazole계인 carbendazim의 경우에는 procymidone과 vinclozolin의 경우와 달리 특이하게 효과를 나타낸 감광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원예작물중 농약잔류량은 감광제 살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토마토에 살포된 procymidone의 경우는 ketone계 감광제인 PS-1을 처리하고 15일 경과 후 그 잔류량은 무처리의 47%로 감소하였고, 고추의 경우에는 방향족 amine계 감광제인 PS-2를 처리한 후 15일에 무처리의 57%로 감소하였다. ⑦ Vinclozolin의 경우에는 방향족 amine계 감광제 PS-2를 처리한 후 1일과 15일에 토마토에 잔류된 량이 대조구의 각각 38%과 56%이었고, 고추에서의 잔류량은 대조구의 각각 82%와 64%이었다. ⑧ Carbendazim의 경우 방향족 amine계의 감광제 PS-2를 토마토에 처리하였을 때 가장 광분해 촉진 효과가 좋았으나 고추에 있어서는 4개의 감광제 모두 효과가 있었으나 이들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고추의 잎이 무성하게 햇빛을 차단했기 때문에 감광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Long-term fate of the herbicide mefenacet in a rice-grown lysimeter over a period of 6 consecutive years

        경기성,안기창,권정욱,이용필,이은영,김윤정,Fritz Führ,이재구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8 No.1

        To show the long-term fate of the herbicidemefenacet in rice paddies, [aniline-14C]mefenacet was appliedto a lysimeter of loamy soil with a depth of 1 m, and riceplants were cultivated for 6 consecutive years according tothe conventional methods in Korea. Mineralization of [14-C]mefenacet to 14CO2 and volatilization from the soil surfacewere 12.01 and 0.02 %, respectively, of the originallyapplied amount during the first 23 weeks following application. Throughout the 6-year period, the total proportion of14C-radioactivity that leached through the lysimeter soil was0.778 % of the original radioactivity. The total 14C-radioactivityabsorbed and translocated by rice plantsthroughout the 6 years was 2.46 % of the applied 14C. Measurement of the 14C-radioactivity distributed in eachpart of the rice plant (the straw, the ears without rice grain,the chaff, and the brown rice grain) indicated that the amountof 14C in straw was 25.87 times higher than that in brown ricegrain over the 6 years. The 14C-radioactivity remaining inthe soil layer after 6 years was 44.58 % of that applied,91.45 % of which was distributed in the upper 0–20-cmlayer.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mefenacet moveddownward very slowly and more than half of the herbicideapplied was released into the air, mainly through mineralizationto CO2 in soi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 감광제/광촉매에 의한 공기오염물질 제거

        이재구,안기창,박주형,권정욱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1999 연구보고서 Vol.4 No.-

        일반 주거환경 또는 재배시설 내의 공기오염물질인 농약 및 병원성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자연광 또는 인공광 조건하에서 몇몇 감광제/광촉매에 의한 광분해 촉진효과와 미생물의 살균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광촉매로는 반도체 물질인 PC-1과 PC-2, 그리고 산화제로 사용되는 PC-3, PC-4, PC-5 및 PC-6과 감광제로 PS-7과 PS-8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시험화합물로는 유기인계 살충제인 dichlorvos와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procymidone, 환경오염물질인 methyl tert-butyl ether (MTBE)를 선정하였고, 유해 미생물로는 Pseudomonas putida, Phytophthora capsici, Salmonella typhimurium, 및 Escherichia coli를 선정하였다. Dichlorvos의 경우에는 자연광과 인공광 조건하에서, 광촉매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의 광촉매가 처리된 모든 처리구에서 4배 이상의 광분해 촉진효과를 보였으나, MTBE의 경우에는 단지 광촉매 PC-1 처리구만 이 광촉매 무처리구에 비해 약 17배 이상의 분해 촉진효과를 보였다. 또한 procymidone의 경우에도 PC-1, PC-6 및 PS-8에 의한 광분해가 약 3배 이상 촉진되었다. 공기 중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예비시험에서는 미생물 현탁액에 PC-1을 첨가하고 인공광을 조사함으로서 미생물의 생육이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판배지에 도말된 Salmonella typhimurium은 광촉매 PC-1의 주변에서 미생물 생육이 저해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광조건 하에서 이러한 감광제/광촉매를 이용한 기술은 농약을 비롯한 여러 환경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재배시설 내의 작업자와 일반 대중의 환경오염원에 대한 노출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r the artificial removal of the air pollutants such as pesticides, environmental toxicants,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he greenhouse or the living environment, the accelerated photodegradation and the biocidal effects by some photosensitizers (PS)/photocatalysts (PC) were tested under the sunlight and/or artificial light. The selected photosensitizers/photocatalysts were the semiconductors (PC-1 and PC-2), the oxidizers (PC-3, PC-4, PC-5 and PC-6), the aromatic ketone (PS-7) and the aromatic amine(PS-8). The test toxic pollutants included the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dichlorvos (DDVP), the dicarboximide fungicide procymidone, and the gasoline additive, methyl tert-butyl ether(MTBE) as the organic pollutants, and Pseudomonas putida, Phytophthora capsici,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s as the pathogenic organisms. In the case of dichlorvos, all the photocatalysts selected showed more accelerated photodegradation than the control without photocatalyst under both the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Whereas, only the photocatalyst PC-1 accelerated the degradation of MTBE about 17 times more than the control under both the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Procymidone was much more degraded by the photosensitizer PS-8 and the two photocatalysts (PC-1, PC-6) than by PS-7.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s to diminish the population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air, the photocatalyst-1 added to the microbial suspensions obviously inhibited the microbial growth under the artificial light. The photocatalyst-1 showed the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spread on the nutrient broth agar med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otosensitizers/ photocatalysts under the light can remove some air pollutants and hence they can be used to reduce the exposure of the workers in the horticultural facilities and/or the public in the environment to the harmful pollu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