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심현석(H.S. Shim),이서현(S.H. Lee)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3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본 논문에서는 전력용 변압기 대전류 영향을 받는 저압 Lead주위의 Tank와 Housing 온도를 살펴보았다. 저압 Lead주위에는 Lead 손실과 와전류 손실 영향으로 국부적인 과열이 많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국부과열 현상은 절연물 파괴를 일으킨다. 이전 해석 방향은 총 전력손실을 Source Term에 입력하여 계산하였으나 이런 해석 방법은 국부 온도 상승을 확인할 수 없을뿐더러 전체적인 온도 패턴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국부적 온도 상승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계-열유동 연성해석을 실시하고 실험값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하였다.
정하규(H. K Jung),권원태(W. T. Kwon),리광훈(G. H. Rhee),심현석(H. S. Shim),정종혁(J. H. Jung),이현욱(H. W. Lee) 한국생산제조학회 2008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5
Thermosonic bonding is a method using heat and ultrasonic for bonding two materials. Since a horn transfers vibration and heat to the bonding material, it is a ver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heat flow on the horn and the alteration of the dynamic behavior due to the manufacturing error of the horn.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temperature to the horn system and the effect of tolerance parameters to the amplitude and orientation of the system are performed. The manufacturing error that give most significant the effect on the amplitude and orientation are determined using Taguchi's method. It is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the horn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while the amplitude and the orientation by the error of the length.
서지근,심현석,김상현,Seo, J.,Shim, H.S.,Kim, S.H. 한국진공학회 201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1 No.2
기울어진 각도 증착(GLAD)에서 입사원자의 속력이 표면 지형에 미치는 영향 Molecular Dynamics와 결합한 Kinetic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증착원자의 속력이 증가함에 따라 거칠기가 줄어드는 완만한 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GLAD 계산에서 증착원자 속력이 ${\upsilon}_0$에서 $10{\upsilon}_0$로 증가함에 따라 표면 지형을 대변하는 성장 지수 ${\beta}$값은 0.97에서 0.67로 감소하였다. 화학증기증착(CVD) 방법과 같은 증착 방법에 대해서도 증착원자의 속력 의존성을 고찰하였다. GLAD에 비해 지수 ${\beta}$값의 속력에 따른 차이는 적지만 CVD의 경우에도 증착원자의 속력이 표면 지형에 일정정도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 연계 해석 방법을 통한 탱크 재질 변경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기 모선의 온도 상승 예측
강한영(H.Y. Kang),심현석(H.S. Shim),이서현(S.H. Lee),최종웅(J.U. Choi),박석원(S.W. Park)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3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본 논문은 가스 절연 개폑기의 모선을 감싸고 있는 탱크의 재질 변경에 따른 온도 상승을 예측하기 위하여, 전자계-열.유동 복합 연계 해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탱크의 재질을 자성체 혹은 비자성체로 제작에 따른 모선의 온도 상승을 예측 하고자 하였다. 전류가 흐를 때 철과 같은 자성체의 경우 전류의 밀도 및 표피효과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어 중요 온도 상승 부위에는 비자성체를 사용 하고 있다. 하지만 제작 비용이 자성체를 사용 할 때보다 높아 국부적으로 일부분에 사용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탱크의 직경 360°인 경우, 상부 45°를 비자성체로 하고 나머지 315°를 자성체로 하였을 경우(Case 1) 및 상부 187°만 비자성체로 하고, 나머지 173°를 자성체로 하였을 경우(Case 2) 2가지의 경우에 대한 복합 연계 해석을 통하여 온도 상승값을 비교 하였으며, 최적의 비율을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하여 온도 상승 예측 및 원가 절감의 가스 절연 개폐기를 개발 하였다. 모선 전체의 1/3 지점에서 Tank 절단면의 온도 분포를 살펴보면, 자성체와 비자성체의 사용에 따른 온도 분포를 더욱 뚜렷이 알 수 있으며, 비자성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모선의 온도는 약 43℃ 이며, 자성체의 경우 약 47℃를 나타냈다. 45°의 비자성체가 탱크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미비하며, 탱크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약 120°~180°가 되어야 비자성체에 의하여 온도 상승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