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입지의 사회적 쟁점과 결정과정에 대한 연구

        심한별(Shim, Han-Byul),박소현(Park, So-Hyu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12

        The physical standard of school location is getting lost its critical power on the location decision making procedure. The restructuring of school facilities and their rearrangement, the agent who is responsible for facilities’ installation expense and negative externality are the conglomerate social issues that consequently delivering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condition. This study points out those issues by the result of analysing preceding studies’ research subjects and apprehends their contextual effects on the conflicts cases between schools and their adjacent communities. As for the cases, externality, the complexity of interest bounded to the communities’ specific context, and the legal procedure of location adoption have the latent conflict-causing institutional features. The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stakeholders implies the flexible approach to the coordinative social decision making of school location, which means the necessity of preliminary opinion gathering and its definite responsible institution’s role.

      • KCI등재

        사교육과 한국 중산층 주거지 근린의 구성

        심한별(Shim, Hanbyul)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이 글은 사교육 공간과 결합된 중산층 주거지의 경험적 사례를 통해 사교육이 근린공간을 구성하는 실천적 힘을 획득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근원에는 계층성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한국의 주거지 계획 모델과 공간 생산 방식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중산층 거주지 근린은 가구 구성원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으로 조직하는 공간이므로 그것의 주요한 구성 요소나 배치 형태는 계급재생산을 위한 아비투스(Habitus)적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애초 일제의 토지구획정리사업부터 중산층의 주거지 계획원리로 도입되었던 ‘근린주구’ 모형은, 이후 대규모 주택공급 정책이 만들어낸 단지형 아파트 계획에서의 반복적 적용을 통해 집합주거 구성을 위한 설계 기준으로 변형되어 제도화되었다. 서울 강남을 필두로 신시가지, 아파트, 아파트단지 형식이 한국 중산층 주거의 주류로 정착되는 과정의 한편에서, 근린주구 모형이 강조했던 보행권 내의 공교육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로서의 공적 모델은 공교육과 사교육의 일상을 선택적으로 편성하는 계층적 주거지 모델로 재편되어 왔다. 입시에서 사교육 의존이 강화되고 민간 기업이 기존 단지를 재건축하게 되면서 입주자만의 사교육 공간과 배타적 커뮤니티 공간을 단지 안으로 내부화하는, 계층성이 한층 강화된 모델 또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계급재생산 조건으로서의 거주지 근린의 의미를 뒷받침하며, 향후 한국 중산층 주거지의 물리적 재생 과정 또한 그들의 계급재생산 조건과 맞물려 진행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paper reveals that shadow education has acquired the practical power to construct middle class neighborhood with illustrating their residential practice combined with shadow education, and argues that problem lies both in Korean residential planning model and space production mode that are prone to strengthen the hierarchical class coherence. As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for middle class is the space that organizes their daily lives specifically, its components or arrangements are Habitus conditions for their class reproduction. The ‘neighborhood unit’ model, which was quoted from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for middle class residence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y, has been transformed and institutionalized into the legalistic design standard for housing plan through iterative projects of complex-type apartment construction triggered by the large-scale housing supply policy. Starting with Gangnam, as apartments, apartment complexes, and newtown developments turned into the mainstream of Korean middle class residence, the public model of neighborhood unit, which used to believe in the public education within walkable vicinity and common sphere of community living, was deformed into a stratum model that selectively organizes public and shadow education. Increasing dependence on shadow education and frequent reconstruction of aging apartment complexes by private companies bolster the classist neighborhood planning model with internalized facilities for shadow education and elite enclave only for the dwellers. As this transformation illuminates the significance of the neighborhood as Habitus, one can predict that the upcoming regeneration of middle class residence in Korea lies in line with the class reproduction condition.

      • KCI등재

        일상의 스마트 도시

        심한별(Hanbyul Shim) 한국공간환경학회 2023 공간과 사회 Vol.33 No.2

        스마트 도시에 대한 담론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한다는 기능주의적비전과 그것의 기술 중심적 의도에 대한 비판 논의가 주를 이루어왔다. 이러한 담론들과 무관하게 여러 도시에서 스마트 도시 실험이 진행되어 왔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데이터 기술이 우리 일상 대부분의 사물에 급속히 스며들어 도시적 삶에서 근원적인 것이 되어가고 있다. 이 글은 향후 도시에서 ‘디지털 기술’이 분리될 수 없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스마트 도시를 이데올로기적 담론이 그려내는 상상물로서 비판하는 것을 넘어 디지털 세계의 도시적 실천으로서 인식할 것과 그것의 구체적 형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 도시 비판 담론의 사각지대와 규범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한다. 다음은 스마트 도시가 기술·사회·공간의 통합을 추구하면서 데이터 기술과 함께 도시성 자체가 동시에새롭게 구성되는 메커니즘을, 주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에서 관련 논의와 사례를 들어 살펴본다. 이어서 스마트 도시와 같은 ‘깊은 정보화’ 도시에서 공공성이 처하게 될 딜레마를 살펴보고 새로운 공공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는 기술·도시 결합물의 양식으로서 사물과 공간의 알고리즘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알고리즘분석을 스마트 도시 현상을 분석하는 비판적 방법론의 하나로서 제안한다. The discourse on smart cities has been dominated by a functionalist vision of leveraging data technology to solve urban problems, and critiques of its technocratic intentions. Regardless of this discourse, smart city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several cities, and on the other hand, data technologies are rapidly permeating things in our daily lives and becoming a fundamental part of urban lif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nseparability of ‘digital technologies’ in future cities, this article argues that we need to go beyond critiquing smart cities as imaginaries drawn from ideological discourses to recognize them as urban practices in the digital world and analyze their concrete mode. To this end, I first point out the blind spots in the critical discourse on smart cities and the limitations of normative approaches. Next, the mechanisms, by which urbanity itself is simultaneously reconfigured alongside the data technologies for smart cities that integrates technology society and space is examined from the view point of subjec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with relevant discussions and examples. It then explores the dilemma of publicness in the “deeply digitalized” urban like smart cities, and argues that a new concept of publicness is needed. Lastly, I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of things and spaces as a modality of the technology-urban nexus and propose that the analysis of the design can become one of the critical methodologies for addressing the smart city phenomenon.

      • KCI등재

        문화재 및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관련 갈등에 대한 연구

        심한별(Shim Han-Byul),박소현(Park So-Hyun)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origin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institution for preservation and the motives of modification applications around the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appeal cases on designations and modifications of cultural property-protective-review zon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 database of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mong 211 search results related to "cultural property", the 41 cases relevant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analy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laim that modification deliberation decision was against equity is the common insistence besides the issues about the uncertainty of sanction criteria, excessive repression of private need and interest from the use of the space, and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land. Overall, conflicts were due to the role of standard and its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order to reduce the conflic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dification deliberation decision process is to be supplemented with the prior management plan including guidelines and the consultation proceedings.

      • SCOPUSKCI등재

        저온 작동형 SOFC Lanthanum Ferrite계 공기극 소재의 전기적 특성

        강주현,최정운,심한별,유광수,Kang, Ju-Hyun,Choi, Jung-Woon,Shim, Han-Byel,Yoo, Kwang-Soo 한국세라믹학회 2006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3 No.3

        The perovskites with nominal compositions $La_{0.8}Sr_{0.2}Fe_{1-x}M_xO_3$ (M=Co, Mn, Ni, x=0.1-0.3) were fabricated by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as cathode materials of low-temperature operating Solid Oxide Fuel Cells (SOFCs).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microstructure observation for the sintered samples were performed. The ac complex impedance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600-900^{\circ}C$ in air and fitted with a Solatron ZView progra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olarization resistance of $La_{0.8}Sr_{0.2}Fe_{1-x}M_xO_3$ (M=Co, Mn, Ni, x=0.1-0.3) were characterized systematically. The porosities of the sintered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25% to 38%. The polarization resistance of $La_{0.8}Sr_{0.2}Fe_{0.7}M_{0.3}O_3$ was $0.291{\Omega}cm^2\;at\;700^{\circ}C$.

      • KCI등재

        보행자우선도로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운전자 인지 및 운전 행태에 관한 연구

        김병재(Kim, Byung-Jae),심한별(Shim, Han-Byul)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2

        최근 관련 법률 개정을 포함하여 보행권 확보와 쾌적한 보행환경을 실제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에서는 주거지 이면도로에서의 보행우선권 확보를 위해 보행자우선도로 설치 시범사업을 2013년부터 시행해왔고, 2017년 현재까지 60여 개 이상의 사업이 실행되었다. 이 사업들은 도로 노면 등에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구성하여 운전자의 차량감속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방법 중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사례에 따라서 다른 디자인 요소도 병행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어떤 디자인 요소가 운전자의 행태 변화에 효과를 가지는 지에 대해서는 경험적으로 검증된 바는 없다. 본 연구는 보행자우선도로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운전자에게 인지 되고 행동결정요인으로서 운전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운전자 차량주행 실험과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보행자우선도로의 디자인은 운전자가 보행자우선도로와 일반도로의 차이를 인지하는데 기여하지만, 세부 디자인 요소가 운전자의 순간적인 운전 행태에 영향을 줄만큼 인지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확대 시행될 보행자우선도로의 디자인 구성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 statute and various projects for pedestrian right and pleasant walk environment are ongoing as a result. Especiall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pilot project of Pedestrian Priority Road to secure the pedestrian right on side roads of residential area since 2013, and more than 60 projects are completed currently as of 2017. The project seeks the inducement of speed reduction of vehicle as its major solution through visual design elements on the surface of side roads. Different design elements are used in the current projects, but its effects on the driver’s behavior haven’t been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how visual elements of design on pedestrian priority roads are recognized by the driver, and how these elements affect on the driving behavior. Consequentially, differentiation of design of the road is proved to contribute to the driver’s recognition between pedestrian priority roads and other normal roads, but the detailed design elements are difficult to recognize enough to affect the driver’s momentary driving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