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 중국 신문의 위상과 지식 네트워크 ― 초기 《신보(申報)》를 중심으로

        심태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5 No.-

        本論文的目的在於重新評?早期《申報》地位與參與《申報》制作的人物。 在以往的硏究, 大部分認爲1898年戊戌變法改革之前的《申報》是以營利爲目的的商業報紙, 幷且受外國人資本的統治, 因此?幷未符合言論的基本條件, 也沒執行政治、社會上言論的角色。除此之外, 由於《申報》是外國人創刊的報紙, 因此難免帶有外國人視野的色彩, 幷且參與制作的人物文化水平幷不太高, 所以在擴散新知識方面《申報》也沒起?大的作用。 但是本文認爲, 早期的《申報》反而制造出開放的討論場地, 在形成新聞媒體的公共領域上擔任了重要的角色。 通過楊月樓事件, 我們可知在社會問題上《申報》十分重視政府與老百姓之間的溝通, 幷且把報紙的批評作用解釋爲中國傳統, 表明《申報》能勾成爲中國近代發行時間最長的報刊, 幷不只因爲?有商業性的緣故。 調査有關編輯《申報》的編輯人經曆與其他報刊制作人員以及其周圍的`新學`相關機構的人物聯系網, 可知他們是知識分子, 文化水平幷不低, 而且他們在早起《申報》的活動, 幷不是爲私人而努力, 而是有公共意識的人士。 《申報》的制作人員, 以當時的租界爲中心的公共領域, 接觸到了世界幷代表了當時跨越相交的分眼光, 也是生産新知識的共同體聯網之一分子。

      • KCI등재

        Early Intellectual Formation of Zhu Guangqian

        심태식 중국어문연구회 2009 中國語文論叢 Vol.0 No.43

        20세기 중국 현대미학과 문학이론 방면에서 쭈꾸앙치엔(1897-1986)은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미학과 문학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난해하게 알려진 미학과 문학이론들을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풀어쓴 저술들로 일찍이 1920년대 후반부터 중국 청년 지식인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1980년대 쭈꾸앙치엔은 개혁개방이후 불어 닥친 새로운 사조 속에서 일찍이 사회 속에서 개인의 주관적 능동성과 휴머니즘을 강조한 그의 학술사상으로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 이 논문은 그의 문예미학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쭈꾸앙치엔 사상의 형성기를 살펴본다. 고향인 동성과 대학시절을 보낸 홍콩의 교육과정 속에서 그의 초기 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중국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서양 학문사상을 동시에 간직한 쭈꾸앙치엔의 독특한 학문적 태도를 조명한다. 어린 시절 부친으로부터 시작된 전통적 훈육은 동성파 고문전통의 세례로 이어져 쭈꾸앙치엔의 초기 지적 태도에 굳건한 유교전통의 토대를 형성한다. ‘군자’를 열망하는 그의 이상은 홍콩대학에서 서구 학문을 접하면서 수정되지만 신학문과의 조우는 다른 한편 10년간 진행된 전통교육과의 융합이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했다. 서양과 중국의 지적 전통 가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는 미적 태도를 통한 자기수양의 계기를 강조하는 전통 중국사유를 서양의 낭만주의적 개인주의와 연결하는 모습에서 두드러진다. 서양의 가치를 우위에 두고 극단적으로 중국전통을 비판했던 5.4시기에, 변화의 중심에서 떨어진 홍콩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쭈꾸앙치엔에게 전통과 신학문, 서양과 중국이 소통할 수 있는 시공간을 마련해 준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다. 홍콩대학을 졸업할 무렵 예술 속에서 감정의 수양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유는 중국과 서양의 지적 전통이 쭈꾸앙치엔에게서 충돌이 아닌 통섭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f Mao Dun's Proletarian Literature

        심태식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28 No.-

        1925년에 출판된 마오둔의 <프롤레타리아예술론>은 마오둔의 문학론이 문학혁명에서 혁명문학으로 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아 왔다. 특히 문학의 계급성에 대한 마오둔의 관점이 1920년대 중반기 이미 확립된 것으로 대륙 연구계에서 주목해 왔다. 그러나 일본학자인 시라미주 노리코는 이 글이 소련의 문예이론가인 보그다노프의 글을 대부분 번역했음을 밝히면서 그 진위여부에 논란을 제공했다. 보그다노프는 러시아혁명 초기 가장 강력한 전국적 노동자문화정치조직인 프롤레트꿀트의 지도자로서 레닌과 경쟁하다 실각한 문예이론가로 소련에서 반혁명분자로 낙인찍히고 중국에서도 비판의 대상이었다는 점에서 쟁점들을 다시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시라미주 노리코와 논쟁하면서 마오둔과 보그다노프 시각의 차이를 강조한 孙中田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한편 마오둔이 보그다노프의 글을 참고하면서 일으킨 변화에 대해 1925년 전후에 발표된 글들을 비교하며 분석한다. 마오둔은 보그다노프의 글을 통해 기존에 미래주의에 대한 긍정적 입장에서 비판적 시선으로 전환하는 기회를 얻는다. 1920년대 말 혁명문학 논쟁에서 마오둔이 소련의 미래주의에 빗대 혁명문학 논자들을 비판하는 시각은 1925년 전후 보그다노프의 글을 통해 받은 영향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혁명문학 논쟁에서 '슬로건 문학'과 프롤레타리아문학을 구분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마오둔의 선구적 역할은 여전히 인정되지만 문학에서 계급문제에 대한 마오둔의 탁월한 인식을 보여주었다는 지금까지의 평가는 재검토되어야 함을 본고는 밝히고 있다.

      • KCI등재

        뒤 알드의 ≪중화제국과 중국 타타르의 지리, 역사, 연대기, 정치, 자연(물리)에 대한 서술≫ (소고)小考

        심태식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30 No.-

        本文章對耶蘇會傳敎士杜赫德(Jean-Baptiste Du Halde, 1674-1743)編撰於1735年的著書≪中華帝國全志≫進行了硏究。産生在近代歐洲的有關中國的資料, 其量和深度非同一般得令人驚奇。在漫長的曆史裡東亞和東南亞國家通過與中國的交流積蓄了흔多有關中國的資料, 但與此相比, 近代歐洲積蓄的有關中國學資料, 在數量和內容方面更加津津有味。中國與歐洲的文化交叉不是單單的中國旅行或訪問後的印象記水平, 而是有關對中國的介紹和硏究爲歐洲近代文化的形成做出了擧足輕重的作用。在歐洲近代史上中國是形成近代歐洲的一個因素。在這種意義上看, 不可忽視歐洲看中國的視線引起變化的18世紀歐洲啓蒙主義時期。杜赫德著書就站在歐洲對中國的視線有變化的中間位置。本文章先簡單了解杜赫德著書出版時期的背景倂調査最初在巴黎出版的法語原版和其他版本。除了巴黎原版外還有在荷蘭海牙(Hague)用法語出版的海牙版(1736)、兩種英語飜譯版(1736-1741), 德語飜譯版和俄語飜譯版四種。通過對這些版本的調査可知, 杜赫德的著書不是用當時耶蘇會傳敎士常用的拉丁語而是用法語來書寫的。而且次年法語版本以低廉的價格再次出刊, 同樣的法語版本這次却不同於第一次出刊的豪華精裝書。法國原版出版後的第二年開始出版英文飜譯版。通過對圍著互不相同的版本而出版的各國出版背景、時期、版本的形態與質量, 收록內容等進行的調査可以推測當時歐洲對中國學的關心有增無減。同時當時的出版語言不是歐洲傳統語言拉丁語而是以本國語中心的飜譯版, 由此可見17世紀歐洲知識社會出現大衆化現象。這普遍現象證實, 在近代歐洲國民國家(nation-state) 形成過程中曾普遍用本國語。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