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이론 쉬바파의 쉬바 개념 고찰 - 『쉬바수트라』 1장 1송을 중심으로

        심준보 한국요가학회 2022 요가학연구 Vol.- No.27

        This study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first song of Śivasūtra, "the Consciousness is the Self(caitanyātmā)" in accordance with Ksemaraja's commantary, the Vimarsini. In addition, the history of Śaivism before the tradition of Advaita Śaiva was summarized and presented briefly. Śiva, who appears as Rudra in the Ṛgveda, was a violent god of storm and disease, but gradually changed to a god who protects humans and livestock from storm and disease, and eventually emerged as the one and only God and a personal God in the Mahābhārata. Śavism largely divided into Puranic Śavism, which protects the value of Vedas, and non-Puranic Śavism, which used to practice non-Vedic rituals, and the latter was divided into Outer Path(Atimārga), which opened to ascetics only, and Path of mantras(Mantramārga), which included not only ascetics but also Brahman householders who worshiped Śiva. The Path of Mantras was again divided into Śaiva-siddhānta, who argued for dualism, and Advaita Śaiva, who argued for non-dualism. The doctrine of Advaita Śaiva was developed philosophically by Brahmins in Kashmir in the 9th century, and Śivasūtra is the first work at that time. In Śivasūtra, the reason that the Absolute Conciousness(caitanya) was defined as the real Self(Ātman) is for revealing the difference of Śiva from Puruṣa and Brahman, who were claimed as the real Self in Sāṅkhya and Vedānta. Puruṣa and Brahman have the difficulty of not being able to relate to the phenomenal world that changes constantly, because they are defined as an immutable reality. Śiva, the true Self of Śivasūtra, transcends the phenomenon world as the Consciousness that creates it. In other words, like Puruṣa and Brahman, Śiva is absolute subject as "viewer" that cannot be objectified like an existence of the phenomenon world. However, Śiva is the Consciousness that creates the phenomenon world by dividing itself without any other cause, such as prakṛti of Sāṅkhya and māyā of Vedānta. Therefore, all existence of the phenomenon world is Śiva, and Śiva is the one who is the cause of his existence without any other cause or restriction as like prakṛti or māyā. This characteristic of Śiva is called the absolute freedom(svātantrya) or “uncreated”. Beyond Puruṣa and Brahman, whose completeness is restricted by prakṛti and māyā, it is because of this absolute freedom that Śiva is defined in Advaita Śaiva as the true Self. This Absolute freedom(svātantrya) is called the absolute Consciousness(caitanya), the true Self(ātman), and Śiva in Śivasūtra Ⅰ.1. and Advaita Śaiva.

      • 공유 부동산의 분할을 위한 경매의 몇몇 이론적,실무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심준보 대한변호사협회 200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62

        좁은 의미의 형식적 경매는 민법, 상법 기타 법률의 규정에 의한 환가를 위한 경매를 말하는데, 그에 관하여 민사집행법 제274조 제1항은 유치권에 기한 경매와 마찬가지로 임의경매의 예에 따라 실시한다 고 규정하고 있어, 임의경매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절차규정 중 어느 것이 적용되고 어느 것이 적용되지 않는지를 놓고 종래 논란이 있어 왔다. 이 글에서는 협의의 형식적 경매 중 실무상 압도적 비중을 점하는, 공유부동산의 분할을 위한 경매로 논의의 범위를 좁히고, 공유물분할제도의 취지나 위와 같은 경매의 기초가 되는 공유물분할판결의 효력, 특히 형성력의 특성에 주목하여, 위와 같은 경매에 따른 압류에 처분금지적 효력이 있는지, 있다면 그 효력은 통상의 경매에 있어서의 압류와 어떤 차이를 띠는지, 부동산 위의 각종 부담의 존속 여부에 관한 민사집행법 제91조 제2항 내지 제4항이나 잉여주의(剩餘主義)에 관한 같은 조 제1항이 적용되는지 등에 관하여 간략하게 검토하여 보았다. 기본적으로 민사집행법 제274조 제1항과 같은 간략한 준용 조항만으로는, 통일성을 찾기 어려운 온갖 잡다한 환가형 경매 절차들을 한꺼번에 규율하는 데 아무래도 무리가 있으므로, 앞으로 민사집행법 개정의 기회가 있을 때 이들 경매에 관한 최소한의 절차 조항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불이성 법륜사(不二城 法輪寺)와 현대포교– 대륜세영(大輪世榮) 대종사를 중심으로-

        심준보,박정미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8 No.-

        Bul-i-seong-beob-lyun-sa(Non dual castle Truth wheel Temple) is a modern temple in a city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considers biographies of Daeryun Seyeong, or Beobun Daeryun (1884-1979), a buddhist monk of modern Korea, who has built Bul-i-seong-beob-lyun-sa and has restored Taego Order Korean Buddhism, and then argues on his achievement in modern period of Korean Buddhism, especially on the meaning of Bul-i-seong-beob-lyun-sa in the point of a modern propagation of Buddhism.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are some inexact and wrong facts in his biographies, although he was a important monk in modern history of Korean buddhism. For example, his buddhist name, birth year, and several facts in his a period of the propagation activity of Buddhism(1910-20) are not exact. And we can know the claim that Sunday Buddhist Truth Meeting and a modern buddhist woman organization was held for the first time in Bul-i-seong-beob-lyun-sa is wrong The attractive point of Bul-i-seong-beob-lyun-sa in the point of a modern propagation of Buddhism is that we can find strong wishes and leadership of a founder of a modern temple in a city which is one of features of temples in the city developed after the 1970s in Daeryun Seyeong who was the builder of Bul-i-seong-beob-lyun-sa 불이성 법륜사는 20세기 초반에 세워진 한국불교의 근대적 도심포교당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불이성 법륜사를 창건하고 한국불교 태고종을 중흥한 대륜세영(1884∼1979) 대종사의 전기를 고찰하여 그의 행화를 기술하고, 그가 창건한 불이성 법륜사의 현대 포교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륜세영은 현대불교에 큰 족적을 남겼음에도 그의 전기에는 불분명하거나 잘못된 점이 많았다. 예를 들어 법호와 법명, 정확한 생년, 도심포교 당시(1910-20년대)에 활동한 내용들이 정확하지 못한 점들이 있었다. 또 불이성 법륜사가 일요법회와 현대적 불교여성단체를 최초로 실시하고 설립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불이성 법륜사가 현대포교적 관점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성장한 도심포교당의 특징 중 하나인 포교당 설립자 개인의 원력과 카리스마를 불이성 법륜사의 창건자인 대륜세영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인도 전통의 차크라 개념과 6차크라 체계의 확립

        심준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기존 학자들의 문헌적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도 전통의 차크라 개념을 정의하고 오늘 날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6, 내지는 6+1의 차크라 체계가 어떻게 성립되었는지를 고찰한다. 차크라는 아직 정확히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만달라, 얀트라와 같이 신들이나 신을 상징하는 만트라들의 원이나 기하학적인 문양을 말하는 것 이다. 그 중 만달라는 보다 큰 규모의 것을 말하고 얀트라나 차크라는 그 속의 일부분인 것이다. 특히 얀트라는 일종의 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 있는 것에 만들어진 것이고, 차크라는 특히 원 모양의 신들의 결합을 주로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만달라를 제사 의례에 사용되는 원 모양의 큰 대(臺)라고 하면 차크라는 그 일부의 요소를 구성하는 것이 다. 그런데 이런 외부적 의례 형태가 신체로 내면화 되었을 때 만달라는 신체이고, 하타요가적 신체의 중심으로서의 차크라는 신체 만달라의 중요 요소를 구성하는 급소라고 할 수 있다. 인도 전통의 하타요가적 신체의 차크라는 원래 초기 탄트라의 외적 의 례가 신체로 내면화 되면서 관상을 위한 하나의 장치로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내면화 과정은 탄트라에 속한 각 신앙의 교설들에 따른 관념 적이고 상징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탄트라에 속한 각 교설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차크라 체계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6, 혹은 6+1 체계가 인도 에서 보편적으로 퍼졌고, 이 체계가 19세기 말에 서구에 전해졌다. 오늘 날 서구의 차크라 체계는 인도 전통의 6, 혹은 6+1 체계에 서구의 오컬 티즘이 결합되어 인도 전통의 차크라 체계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가지 게 되었고, 이 체계 외에도 다양한 차크라 체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6, 혹은 6+1 차크라 체계만이 유일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cakra in Indian tradition and considers how the most commonly known cakra system of 6, or 6+1 is established today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Western scholars. We may say that cakra which is similar to maṇḍala and yantra, is a circle or geometric pattern of gods, or mantras representing god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it accurately. Among them, maṇḍala refers to a larger scale and yantra and cakra is a part of it. In particular, yantra is made on durable things that can be used as a kind of talisman, and cakra is especially meant to be a combination of circular gods. In this regard, maṇḍala is a large circle-shaped structure used in rites, and cakra is a part of it. When this external ritual form is internalized into the body, we may say that maṇḍala is the body, and cakra is the key point in it. It seems that the cakra system in a traditional Indian hathayogic body has been formed as a device for a meditation, when the external rite form of Tantra was internalized into the body. This internalization process was ideological and symbolic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each faith in Tantra, so there were various cakra system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each doctrine of various faiths in tantra. Among them, the 6 or 6+1 cakra system became common in India, which was introduced to the West in the late 19th century. Today, the Western cakra system combines the six or six plus one systems of Indian tradition with Western occultism, making it quite different from the Indian traditional cakra system. Although there had been various cakra systems in India, 6, or 6+1 cakra system is recognized as the only one in the West.

      • KCI등재

        한역불전에 나타난 베탈라(vetāla, 起尸鬼) 연구

        심준보 韓國佛敎硏究院 2012 불교연구 Vol.37 No.-

        This paper considers the ritual for the vetāla which is a vampire in India. We analyze vetāla stories and rituals in Vetālapañcavimśati(25 stories of vampire) and buddhist texts in Taisho Tripitaka for this study. So we can fi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vetāla is not simply a ghost moving a dead body, rather we can call it the genie in the magic lamp, and the dead body possessed by vetāla as a magical jewel that is said to be able to grant all wishes, namely, cintamani. We also find that the contents related with vetāla stories and rituals in Vetālapañcavimśati and buddhist texts in Taisho Tripitaka are as follows 1) a good dead body for the vetāla ritual, 2) a assistant for the ritual, 3) a good place for the ritual, 4) the way to make the platform for the ritual, 5) the way of adornment for a dead body 6) the present offered to vetāla, 7) mantra chanting for the ritual, 8) the way protecting from other ghost's invasion.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buddhist texts translated to Chinese character would be good source in the field of the Hindu tantra rituals. 본 논문은 탄트라의 주요 의례인 베탈라 의례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인도문헌인 『베탈라25話』(Vetālapañcavimśati)와 한역불전을 자료로 이용했다. 이를 통해 기시귀로 한역된 베탈라는 단지 시체를 움직이는 귀신이라는 의미보다는, 시체라는 일종의 램프 속에 들어있는 램프의 요정이며, 베탈라에 빙의된 시체는 여의자재의 능력을 상징하는 근두운이나 여의주, 여의봉과 같은 성격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베탈라25話』나 한역불전에 나타난 베탈라의례 관련 내용은 가)알맞은 시체의 종류, 나)의례의 조력자, 다)의례에 알맞은 장소, 라)의례단의 건립, 마)시체의 처리, 바)공양물, 사)진언 염송, 아)잡신의 침범과 예방법, 자)의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초능력을 다루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힌두탄트라 의례 연구에 있어서 한역불전이 새로운 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판례 변경의 의의

        심준보 민사판례연구회 2014 民事判例硏究 Vol.- No.36

        The role of judges is not confined to simply interpreting and applying legal norms. They play an active role in the formation of those norms. In this process, the role of judges reaches far beyond such passive functions as filling in the gaps derived from uncertainties, defects, errors, and inconsistencies of legislation, or supplementing the inherent limitations of positive laws as a legal text. It is judges who complement, through the judicial process,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which justifies the binding power of legal norms. The basis for such a claim can be also found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rticle 103, which stipulates that judges shall rule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The duty of judges to explain the reasons of specific conclusions derives from the fact that a trial is a part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to form legal norms. Precedents are the judgments o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s inevitably includ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se reasons, and these precedents are given the 'referent power' to the judge in question as well as other judges in their future interpretation and/or application of laws. Such referent power is based on the Constitution, inter alia, paragraph 1 of Article 11, which declares equal treatment under the law. 'Precedents' as used in the Code refer to the judgments by the Supreme Cour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s, assume the presence of other opposing judgments, analysis or opinion,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conceptual element setting limits to 'exclusion' for the sake of judicial efficiency. Nevertheless, the opinions of the Supreme Court expressed in the form of abstract legal propositions are not in and of themselves precedents, and their normative meaning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s to the issues of specific cases. Criteria to change a precedent can be deduced from the above-mentioned nature of precedent. The change is inevitable (a) if the issues of a judgment do not deviate from the issues presupposed by the precedent, (b) if there exist no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factual basis of both cases which can justify differentiated ruling, and (c) if the juridical reasoning of the preceding and pending cases cannot stand together in the whole legal system without contradiction. 법관은 이미 형성된 법 규범을 해석하고 적용함은 물론 그 형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그 과정에서 법관이 담당하는 역할은 소극적인 기능, 즉, 실정법의 불확정성이나 추상성, 흠결, 오류, 모순을 보충․가교하거나 텍스트로서의 실정법이 벗어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보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법관은 사법절차를 통하여 법 규범의 구속성을 정당화하는 근거인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법관의 역할은 법관이 ‘양심에 따라’ 재판할 것을 규정한 우리 헌법 제103조에서도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법 규범의 형성을 위한 의사소통과정의 일부라는 재판의 특성으로부터 재판의 결론(주문)에 이르게 된 이유를 설명할 법관의 의무가 도출된다. 법관이 결론에 이른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법령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판단이 판례인데, 이러한 판례는 향후 그 법관이나 다른 법관들의 법령 해석 및 적용에 일정한 ‘준거력’, 즉, 준거로서 작용하는 힘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힘은 우리의 헌법질서, 특히 법 앞의 평등을 규정한 헌법 제11조 제1항 등에 근거를 두고 있다. 법전 용어로서의 ‘판례’는 법령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으로서, 그와 대립하는 다른 판단, 해석 또는 의견을 개념적으로 전제하고 있으며, 사법작용의 기능적 효율성을 위한 ‘배제’의 한계를 설정하는 개념요소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대법원 판결에서 추상적 법 명제 형태로 표현된 부분이 곧 판례는 아니며, 그 규범내용은 ‘당해 사건의 사안과의 관련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판례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일응의 기준은 위에서 본 판례의 특성들에서 도출할 수 있는데, ① 해당 판단의 논점이 기존 판례가 전제한 논점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② 해당 판단과 기존 판례의 사안에 양자의 차별적 취급을 정당화할 정도의 실질적 차이가 없으며, ③ 해당 판단의 법리가 기존 판례와 공존하면서 전체 법체계에 모순 없이 자리 잡을 수 없다면 판례의 변경은 불가피하다.

      • KCI등재

        Keeping house: evaluation of housekeeping genes for real-time PCR in the red alga, Bostrychia moritziana (Florideophyceae)

        심준보,심은영,김광훈,한종원,Giuseppe C. Zuccarello 한국조류학회I 2016 ALGAE Vol.31 No.2

        Biological response of cells to variable conditions should affect the expression level of certain genes. Quantification of these changes in target genes needs stable internal controls.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has traditionally used reference or ‘housekeeping’ genes, that are considered to maintain equal expression in different conditions, to evaluate changes in target genes between samples and experimental conditions. Recent studies showed that some housekeeping genes may vary considerably in certain biological samples. This has not been evaluated in red algae.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al internal controls for real-time PCR,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eleven commonly used housekeeping genes; elongation factor 1-alpha,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β-actin, polyubiquitin, 30S ribosomal gene, 60S ribosomal gene, beta-tubulin, alpha-tubulin,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ubiquitin-conjugating enzyme, and isocitrate dehydrogenase in different life-history stages of Bostrychia moritziana. Our results suggest that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and 30S ribosomal gene, have the most stable gene expression levels between the different life history stages (male, female, carposporophyte, and tetrasporophyte), while the other genes are not satisfactory as internal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s of GAPDH and 30S would be useful as internal controls to assess expression level changes in genes that may control different physiological processes in this organism or that may change in different life history stages. These results may also be useful in other red algal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