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포왜란의 발생원인과 대마도

        심민정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4

        The riot that occurred in Sampo(three ports) mainly by Japanese residing in Tsusim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is referred to as “Sampowaeran”. This uprising has been regarded as a small-scale uprising. And the causes of the uprising have been thought to be Chosun reinforcing its regulative policy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ciliatory policy and then establishing regulations for reception or political change in Chosun increasing coercive ruling on administration of Chosun. However, the cause of Tsusima itself of this uprising cannot be disregarded as the people in Tsusima raised it as the subjects. Although previous research neglected this part, this article aims to point out as one of the causes the point that the large-scale uprising of Sampowaeran was raised by the mixture of situations like the nationwide riot prevalent in Japan then, loss of power of Tsusima in Guju(九州), and Tsusima intending to acquire economic rights and interests through Chosun.

      • KCI등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심민정,서귀남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1 놀이치료연구 Vol.2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group play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the effect of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the changes in the scores of the social skills scal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nvestigated. Second,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 children that were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10-12 using the A center located in D city.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for 6 wee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ocial skill scal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Second,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incidence of pro-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eadily increased and showed social improvement.

      • KCI등재

        조선후기 연례송사 겸대제 시행과 외교적 의미

        심민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confirm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Yeonryesongsa Gyeumdae system between Korea-Japan relations in 1636, and the meaning of Gyeumdae system. Research on Gyeumdae system was conducted mainly on the 'King's letter Rewrite Case', and only the results of achieving the Yeonryesongsa(Japanese envoys in one year) Gyeumdae system were highlighted. Although the diplomatic significance of the dispatch of the Tongsinsa was great, that aspect was overlooked. Negotiations on Yanagawa Ikken and Gyeumdae system resulted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Lee Jeong-am Rotation System and Tongsinsa dispatch. This association can have several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burden of entertaining Japanese envoys in Joseon was greatly reduc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double-age system.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urrent system, not only the number of Segyeonseon to entertain the Japanese envoys decreased, but also the annual entertainment cost of 468 seats was reduced. Second, the 'Doseogyodae' regulation for 'Sudoseoin' among the annual litigation was also revised. Third, the trade with Tsushima conducted in Waegwan wa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diplomatic mission of the envoys, and at the same time, the Daegwan was in charge, and the payment system was also chang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urrent system for annual litigation clearly shows how the system for entertaining Japanese envoys was revised und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uperiority of Joseon. It also shows the efforts of the diplomats of the two countries for peaceful negotiations, who did not want to experience the horrors of war again. In this respect, the nego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Gyeomdaeje system can be see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odifier “peaceful fellowship relationship” that expresses Korea-Japan relations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일관계에서 대표적인 일본사신 접대 규정인 연례송사 겸대제가 시행되는 과정과 결과, 그리고 겸대제 시행의 의미에 대해 확인하였다. 국서개작사건[柳川一件]의 발생과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조선 측에서는 겸대제 시행과 연례송사에 대한 접대 부담 경감, 일본 측에서는 이정암윤번제가 실시되었다. 동시에 양국의 외교 사행인 통신사 파견 및 차왜 파견의 재정비라는 결과를 낳았다. 이처럼 겸대제의 시행은 임진전쟁 후 조선과 일본의 국교재개 과정에서 발생한 국서개작사건의 결과로서만 언급되었을 뿐 겸대제 자체에 대해서는 간과되었다. 겸대제의 시행은 조선 측에 접대 부담을 상당히 경감시켜 주었다. 겸대제 교섭 과정에 대해서 기존 연구에서는 증정교린지 등의 내용을 인용하여 1635년 홍희남과 최의길 일행이 마상재를 공연할 목적으로 에도로 향하면서 대마도주의 변호를 해준 공으로 이루어낸 결과물로 인식했다. 즉 1635년부터 이미 교섭이 진행된 것으로 인식한 것이다. 하지만 1635년 겸대 교섭은 대마도주와 야나가와 시게오키의 소송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파견이 중지되었던 연례송사가 한꺼번에 건너오는 것을 막고자 이루어진 겸대교섭이었다. 세선정탈등록 에 의하면 접대할 연례송사 세견선의 선척 수를 아예 줄이는 겸대제 시행 교섭은 1636년에 가서야 이루어졌고, 시행 규정은 1637년 5월에 완전히 정비되었다. 겸대제 시행 결과 접대할 세견 선척수가 감소한 것은 물론이고 연간 468여 석에 달하는 접대 비용도 경감되었다. 또한 연례송사 중 수도서인(受圖書人) 도서교대(圖書交代) 규정도 정비되었으며, 구청(求請)을 위한 세견선이 정해진 기한을 넘어 체류할 시에는 일공(日供) 등을 지급하지 않는 규정도 마련되었다. 왜관에서 행해지는 대마도와의 교역도 사신들의 외교임무와 완전히 분리되는 동시에 대관(代官)이 담당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결제시스템도 변경되었다. 연례송사에 대한 겸대제 시행은 조선 우위의 외교관계 확립 하에서 일본사신 접대제도 개정이 이루어진 모습을 잘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다시 전쟁이라는 참상을 경험하고 싶지 않았던 양국 외교담당자들의 평화적인 관계를 위한 교섭 노력도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겸대제 교섭과 시행은 17세기 말부터 조일관계를 표현하는 ‘평화적 교린관계’라는 수식어의 시작점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 KCI등재

        중간 상담수련자의 수련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Q 방법론적 접근

        심민정,이송이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hat difficulties are recognized in the training process based o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intermediate counseling trainees who are currently in the training process for skilled counselo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used, and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select the population, and through this, a total of 220 statements were extracted. A total of 40 statements representing universality and representativeness were selected for the Q sample. The P sample consisted of 30 intermediate counseling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Q classification. Among them,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y participants with high factor weight by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a total of 5 types of perception on difficulties in the training process recognized by intermediate counseling trainees. The following five meaningful types were extracted as the difficulties in the training process perceived by intermediate counseling trainees: Type 1 ‘Exhaustion due to energy depletion’, Type 2 ‘Disappointment in uncooperative relationship’, Type 3 ‘Disappointment type due to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ype 4 ‘Dissatisfaction type with rude supervisor’, Type 5 ‘Type of burden for meeting qualification requirements’. Through these study result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ach type of difficulty unique to intermediate counselors were discussed,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현재 전문상담자 수련 과정에 있는 중간 상담수련자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수련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는지 그 유형과 특성을 탐색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사용하였는데, 모집단 선정을 위하여 문헌분석과 심층 면접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22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Q 표본을 위해서는 보편성과 대표성을 나타내는 총 40개의 진술문이 선정되었다. P표본은 중간 상담수련자 30명으로 Q 분류에 참여하고. 이들 중 유형별 인자가중치가 높은 연구참여자에게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간 상담수련자가 인식하는 수련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5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도출한 중간 상담자가 인식하는 수련 과정에서의 어려움 유형은 1유형 ‘에너지 고갈로 인한 소진 유형’, 2유형 ‘비협조적 협업관계에 대한 실망 유형’, 3유형 ‘이상과 현실의 간극에 의한 낙심 유형’, 4유형 ‘무례한 수퍼바이저에 대한 불만 유형’, 5유형 ‘자격 취득 요건 충족에 대한 부담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중간 상담수련자들만의 어려움의 각 유형의 특징과 의미를 논의하고 의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

      • KCI등재후보

        제4장 조선 전기 對日 交隣體制 -일본 사신 접대를 중심으로-

        심민정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민족사상 Vol.4 No.1

        After Joseon was founded, Joseon established a relation as 'Sadae-Gyorin system' with various regions. According to this system, It was recognized that an idea as 'Gyorin' is called an equal relation with countries which invested from China. But when a Joseon's Gyorin relation is seen with the premise as 'Investiture' from China, it's possible to find the suspicious circumstances at too many parts. It was limited and checked at the reception to a Japanese envoys by this research. As a result : First, all envoys that the Japanese envoys(日本國王使) which invested and the Tsushima's envoys who didn't invested were included in the reach of 'Gyorin' in Japan. Second, All Japanese envoys were included in the reach of Gyorin, all the time when it wasn't invested and it was invested from China.I find out that Joseon neighboring countries were named 'Gyorin country' without the one by which it was invested from China, and Joseon built the original Gyorin system to soak these countries in the category of the Gyorin system. Key Words :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Gyorin(交隣) system, A Good-neighbor Policy, Japan, Japanese envoys, Reception ceremony 조선 개창 후 여러 체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조선은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사대교린체제(事大交鄰體制)’로 정립하였다. 이 체제 하에서의 ‘교린(交隣)’이라는 개념은 이제까지 중국으로부터 책봉(冊封)을 받은 피책봉국끼리의 대등한 관계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책봉(冊封)’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조선의 교린 관계를 본다면, 너무도 많은 부분에서 불합치하는 상황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로 일본 사신에 대한 접대로 한정하여 그 상황을 살폈는데, 일본 내에서도 책봉을 받은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와 책봉을 받지 않고, 그저 하나의 지방에 불과한 대마도(對馬島)의 사신이 모두 ‘교린’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사실이 첫 번째 불합치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또 사신의 접대 문제에 있어서도 일본국왕사가 명의 책봉을 받았던 시기나 책봉을 받지 않았던 시기나 모두 ‘교린’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고, 책봉의 여부가 접대의 양상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를 통해 조선은 책봉과 관계 없이 사대 대상을 제외한 조선 주변국을 ‘교린국(交隣國)’이라 명명하고, 교린체제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조선만의 독자적인 교린체제를 구축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조선 전기에 조선이라는 국가에서 행해진 ‘교린(交隣)’, 혹은 ‘교린체제(交隣體制)’는 흔히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 일본에서 흔히 얘기되던 '탈중화적 교린체제'의 의미를 일찍부터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래부사접왜사도』를 통해서 본 倭使 접대 - 宴享을 중심으로 -

        沈玟廷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1

        Korea and Japan frequently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diplomatic trade and culture. 『Dong-Nae Pu Sa Cheb Wae Sa Do』(東來府使接倭使圖) portraid the reception of Japanese envoys at Pusan by the Cho-Sun dynasty. This picture which was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ten-fold scre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eption of Japanese envoys through this pain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an musician was remained until the late time in Cho-Sun. It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manner of reception by the government. Also It was the women dancers, not boys, that danced. Moreover a nest-of-boxes culture was flowed in through Japanese envoys. Finally, I think that this study served as a stimulus to examine the reception of Japanese envoys at Pusanmin a more fruitful way, and wish to contribute for discovering the special culture at Pusa in the late Cho-sun period.

      • KCI등재

        두모포왜관 시기와 초량왜관 시기 연례송사 접대 비교 연구 -『接倭式例』(1659)와 『嶺南接倭式例改謄錄』(1732)을 중심으로-

        심민정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5 No.-

        This study has taken a look at the concept and category of Yeonryesongsa (Japanese envoys in a year) the representative Japanese envoys in the later Joseon and how these envoys were accommodated and what changes were available in the reception rule.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activities of Yeonryesaongsa, these studies had tendency of concentrating on the trade activities in particular. But, Yeonryesongsa had the envoys to receive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ritual of envoys rule of Joseon in addition to its characteristics of inner ways to Joseon once a year. Category of Yeonryesongsa has made change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Dumopo-Waegwan and Choryang- Waegwan and was settled for 8-Songsa only in the first part of the 18th century. The most important turning point to change the category of Yeonryesongsa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Gyeomdaeje. Because of this, the reception Songsa was reduced from around 25 persons to 9~10 Songsas. Thereafter, during the Choryang-Waegwan period, the Amyeong- Songsa was excluded from the reception subject to settle for Yeonrye-8-songsa. Regulations related to reception on Yeonryesongsa were based on the Gyeomdaeje implementation. Examples are found in the change of terms for the Sukbaesik or request to implement by Dangsang(the floor of Royal Palace) in the Sukbaerye. In addition, in the event that there is a material relationship or situational change to Joseon and Daemado(Tsusima), the ceremony of envoy reception was changed or a request for change was proceed. For the case of Dangsang-sukbae, Gyeomdaeje implementation, and Chinese Invasion in the Year of Byeongja, there was a request by Japanese part, and when the transfer of Waegwan was determined to Choryang, the request of Dangsang-sukbae was raised again in the following year. For the case of the banquet ritual, the execution of the Giyu-treaty(1609) was the turning point. Due to Giyu-treaty, there was a change in the category of Yeonryesongsa to make the reception, and there was a need for new reception rule. Because of this, the position that the main guest was taken for north to south that was resulted in change to east to west, and the Sanggyeon-haengrye that was exercised by both parties in first bow and replay bow is changed to Sangeuprye. Also, the reception rite that was differently appl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ositions for the Japanese officers became more unified gradually. However, with respect to the unity and point of time, this article has not confirmed, but it is assumed to have the bases in implementing Gyeomdaeje when there was a change of diplomatic relationship. 조선 후기 대표적인 일본 사절이었던 연례송사(年例送使)의 개념과 범주를 비롯하여 이 사신들이 어떻게 접대를 받았는지, 접대 규정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연례송사의 활동, 그 중에서도 특히 무역 활동에 연구가 집중된 경향이었다. 그런데 연례송사의 개념과 범주가 불명확한 상황에서 기존 연구가 진행되다 보니 송사의 외교적 성격은 소홀히 다뤄진 측면이 있다. 하지만 연례송사는 교역 등을 목적으로 1년에 한 번씩 조선으로 내도한다는 특성 외에 조선 측 빈례 규정에 따라 접대를 받는 사절이었다. 이를 간과한 나머지 연례송사의 개념을 서술한 사전에는 접대 대상에서 제외되어간 수직왜(受職倭)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또한 초량왜관 시기 『통문관지』, 『증정교린지』 등의 규정집에 제시되어 있는 8송사만을 범주에 포함시켜 겸대제(兼帶制) 시행 이후 ‘연례송사=연례8송사’라는 동일 개념으로 설명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 연례송사의 범주는 두모포왜관, 초량왜관 전체 시기를 통틀어 계속 변화했으며, 18세기 초반에 가서야 8송사로 정착되었다. 연례송사의 범주가 변화하는 가장 중요한 기점은 겸대제의 시행이다. 이로 인해 접대하는 송사는 기존 25명 전후의 인원에서 9~10송사로 감소하게 되었다. 이후 초량왜관 시기 중에 아명송사(兒名送使)가 접대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연례8송사로 정착되어 갔다. 연례송사에 대한 접대 관련 규정들도 겸대제 시행이 기준이 되었다. 대표적인 규정 변화로는 서계식의 용어 변화나 송사들이 숙배례 시 모래 바닥이 아닌 판상(板上)에서 하게 된 것 등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조선과 대마도 측에 중대한 관계 혹은 상황 변화가 야기될 경우에도 사신접대 의례가 변화하거나 변화 요청이 진행되었다. 당상숙배의 경우를 예로 들면, 겸대제 시행, 병자호란 발생 시 일본 측 요청이 있었으며, 초량으로 왜관 이전이 결정되었을 때에도 그 이듬해에 다시 당상숙배 요청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조선 측은 기존의 교린 대상에 대한 규정을 바꾸는 것을 원치 않았고, 이 때문에 끝내 새로운 규정 변화를 허용해 주지 않았다. 연향의례의 경우는 기유약조 체결이 기점이 되었다. 기유약조로 인해 접대해야 할 연례송사 범주에 변동이 생기면서 새로운 접대 규정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주객(主客)이 북남으로 자리했던 위차(位次)가 동서로 변경되고, 양측이 재배(再拜)와 답배(答拜)로 행하던 상견행례가 상읍례(相揖禮)로 변경되었다. 또 일본 측 정관의 지위 고하에 따라 달리 적용되었던 접대례도 점차 단일화 되어갔다. 다만 단일화 시점에 대해서는 본고에서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사신 접대 변화가 컸던 겸대제 시행이 기점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